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규제해제된 소각재 폐기물의 처분에 대한 안정성평가 연구

        김희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RESRAD Ver.6.5 전산코드를 활용하여 규제해제된 폐기물을 소각하였을 때, 매립을 통하여 소각부산물을 처분할 경우 자체처분 선량기준을 만족하는가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매립된 소각부산물에 대한 안전성평가 결과는 개인선량은 6.910E-02 μSv/y, 집단선량은 3.475E-07 man-Sv/y로 일반인에 대한 국내기준인 개인선량 10 μSv/y, 집단선량 1 man-Sv/y를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현행 ‘원자력안전위원회고시[제2014-3호]’에 따라, 자체처분 대상 폐기물은 소각, 매립 또는 재활용 처리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제해제된 폐기물과 관련된 문헌 및 논문을 살펴본 결과 소각부산물을 매립한 사례는 확인 할 수가 없었다. 만약 소각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도출 되고 소각공정절차에 의한 처리법이 활성화 된다면, 앞으로는 방사선학적 영향이 미미하지만 H-3, C-14로 인해 규제해제 대상에서 제외된 폐수지와 활성탄의 처리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In this study, it is safety evaluation about effect of dose by using the RESRAD(Ver.6.5) computer code to confirm that through landfill, incinerated by-product meets the reference dose for the general public in regulation of self-disposal. The result of safety evaluation about effect of dose for the incinerated by-product is that individual dose is 6.910E-02μSv/y and collective dos is 3.475E-07man-Sv/y. It is proved that the result meets reference dose of the general public that is 10 μSv/y of individual dose and 1 man-Sv/y of collective dose. In addition, although it is capable of landfilling, incinerating and recycling for the exempte wastes along with Nuclear Safety & Security Commission(NSSC)’s Notification[No. 2014-3], it couldn’t be confirmed the landfilling the incinerated by-product in recent references and papers. If the national consensus is derived and treating the waste by using process of incineration is activated, it could be considered to treat wastewater and activated carbon excluded from exempt waste because of nuclide H-3 and C-14

      • 교육연구시설 안전보건 관리 제도개선 방안 연구

        김연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Since September 1999, the poor research environment of science and engineering university laboratories has been reported through the media in the wake of a series of university laboratory such at acci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IST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March 31, 2005, the Act on the Development of Safety Environment for Labs, which can be applied exclusively to the safety of laboratories, was enacted by the government on March 31, 2005, as research activity workers who were not included in industrial accident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of laboratories and their status as students were not allowed to receive compensation. In addition, the safety environment for research workers has been created with the enactment of the Act as of April 1, 2006, and the creation of possible risk factors and management systems within the laboratory, thereby contributing to maintaining and enhancing laboratory safety and health. However, the safety awareness of the laboratory manager is still understood to be poor, and most of the laboratory safety and environment managers assigned exclusively to carry out the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tasks are working with other tasks in the university, which is still very far behind the level of safety awareness of advanced countries. In addition, most recent incidents involving educational facilities have been exposed to safety vulnerabilities in education facilities by old buildings and school surroundings, which increases social concerning, while the education ministry is conducting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based on the "Basic Act on Safety Management of Faciliti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ct), which these laws are not legally suitable for education facilities for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disasters. Thus,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for delegated administration of the Special Act "Guidelines on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stipulated the scope of the third type of facilities and the scope of the third type of facilities, the mayor, county and district on behalf of the managing body, and revised the criteria and procedures for designation of the third type of facilities, but there are still opinions that this is a formal procedure. In advanced countries, international standards are newly introduced to enable the operators to independently find and improve risk factors, and the system is being implemented to establish systems and to manage safety management and volumtarily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s of each institution, and it is promoted to have external audit. In Korea, a similar system such as KOSHA 18001 and a certification system for a good laboratory for safety management are being operated, so the safety culture is gaining ground due to policies for the direction of safety and management going forward together. Although, social safety awareness and various systems keep strengthened, the government still has no separated budget, manpower, or regulation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safety of education and research facilities. In addition, it’s not managed by a single government institution. Instea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in charge of in elementary,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part of university, while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s in charge of in both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nd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in the university. As a result of this overlapping range of work, they are going through things such as shortage of labor force, budget and as well as overlapping regulation. Through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o ensure that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f education and research facilities can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1999년 9월 이후 서울대학교와 KIST(한국과학기술원)에서 연이은 대학 실험실 사고가 발생하면서 이공계대학 연구실의 열악한 연구환경이 매스컴을 통하여 보도가 되었다. 일반 산업현장과는 달리 연구실이라는 특성과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산업재해로 인정받지 못한 연구활동종사자는 피해보상 조차 받을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자 정부에서는 연구실 안전이라는 단독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이하 연구실 안전법) 2005년 3월 31일 제정 되었다. 그리고 그 이듬해인 2006년 4월 1일부로 법이 시행되면서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안전환경이 조성되어 연구실 내에서 발생 가능한 유해위험요인과 이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체계가 형성되면서 연구실 안전과 보건을 유지하고 증진하는데 이바지 하고 있다. 허나, 아직까지도 연구실책임자의 안전의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는가 하며, 연구실 안전관리 업무를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전담으로 선임한 연구실안전환경관리자의 대부분이 대학 내에서 다른 업무와 겸직하며 업무를 보고 있어 아직까지는 선진국의 안전의식 수준에 비해 매우 뒤쳐져 있는 상황이다. 또한, 최근 교육시설과 관련한 사고들 대부분이 노후건물과 학교 주변 환경 등에 의한 교육시설의 안전 취약점으로 노출되어 사회적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으나, 교육시설은 「시설물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시특법)에 해당되지 않아 교육부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근거로 안전점검 및 진단 등을 실시하고 있지만 해당 법규는 자연재난, 사회재난에 대비한 사항으로 교육시설에 적합한 법적 기반이 아님에 현실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시특법 위임행정규칙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등에 관한 지침」에 제 3종 시설물의 범위와 관리주체를 대신하여 시·군·구청장이 안전관리 하여야 하는 시설물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제 3종 시설물 지정 기준 및 절차를 구체화하는 방안으로 개정하면서 관련근거를 마련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는 형식적인 절차라는 목소리가 지배적이다. 이에 선진 국가에서는 운영주체가 자율적으로 위험요인을 발굴하여 개선하는 등 주체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국제표준을 새로이 도입하여 각 기관의 실정에 맞게 제도를 수립하고 자율적으로 안전관리와 경영을 하도록 시스템화하고 있으며, 이를 외부 심사원이 검증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 유사한 KOSHA 18001과 안전관리 우수 연구실 인증제 등이 운영되어 안전과 경영이 함께 나아가는 방향의 정책으로 안전문화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인식과 제반 제도들은 계속하여 강화되고 있는 추세인데 반하여 아직까지도 교육연구시설의 안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예산과 인력, 규제 등의 제도는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를 관리하는 주체가 하나의 정부기관에서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부에서는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의 일부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대학 내 이공계열학과 연구실의 안전관리를 맡아 업무를 진행하다보니 중복되는 업무로 인력과 예산, 중복규제 등의 현상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교육연구시설 안전보건 관리가 체계적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공공기관의 안전보건경영 활동이 안전보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연구

        설문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최근 공공기관 작업장이나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건설현장 등에서 사망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여 공공기관의 안전관리 체질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구가 높다. 정부는 공공기관에 안전중심의 경영풍토를 조성하고, 자율안전관리 체제를 조기에 구축하기 위해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의 안전보건 성과 영향 요인 그리고 공공기관의 특성과 안전보건 성과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공공기관의 안전활동 수준과 성과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20년에 정부가 실시한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결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먼저 공공기관의 안전보건 경영활동이 안전보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안전활동 수준평가 지표의 4개 분야 중에서 안전보건체제, 안전보건활동 계획 및 안전보건활동 수준 등 3개 분야를 독립변수, 안전보건활동 성과 분야를 종속변수로 구성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주요 변수 간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공공기관의 특성과 안전보건활동 수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하였다. 연구 결과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인 안전보건체제, 안전보건활동 계획 및 안전보건 활동은 안전보건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안전관리 중점기관 여부, 재해 발생 여부, 기관 규모, 평가 그룹 및 사업 유형 등 기관의 특성에 따라 안전활동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조직이 산업재해 예방과 같은 안전보건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안전보건체제를 갖추는 노력이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무엇보다 최고경영자의 안전보건에 관한 관심과 노력은 안전보건 성과의 핵심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안전활동 수준평가 제도적 측면에서는 안전활동 수준 평가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현장 작동성 평가 강화, 안전보건 성과와의 연계성 검토를 통한 평가항목 조정, 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 그룹 조정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fatal accidents have occurred one after another at public organization workplaces or construction sites ordered by public organizations. In order to create a safety-centered management climate in public organizations and to establish an autonomous safety management system early,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a safety activity level evaluation system for public organiz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of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health and safety performance,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afety activity level and performance of public organizations. To this end, we empir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afety activity level evaluation of public organizations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n 2020.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ctivities of public organizations o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out of the four areas of the safety activity level evaluation index, three areas, including safety and health system, safety and health activity plan, and safety and health activity level, were analyzed as independent variables,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composing safety and health activity performance fields as dependent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etween major variables.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and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safety and health system, safety and health activity plan, and safety and health activities, which are major components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fety activit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such as whether it was a safety management priority organization, whether a disaster occurred,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the evaluation group, and the type of busi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for an organization to achieve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such as preven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afety and health system in advance. Above all, it was confirmed that the CEO's interest and effort in safety and health is a key factor in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And in terms of safety activity level evalu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review reinforcement of field-operation-ability evaluation, adjustment of evaluation items by reviewing connection with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and adjustment of evaluation group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activity level evaluation.

      • 직무과부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윤석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전 세계는 COVID-19로 인해 의료계를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전염병 예방 등 가중되는 업무로 고통 받고 있다. 코로나 사태 이전부터 직무과부하는 현대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직무과부하의 부정적인 영향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이 조직 내 구성원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이 단순히 사회적 정당성 획득을 위한 또는 사회적 비난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조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확장시키기 위한 행위가 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국내 일반기업 종사 근로자들로부터 세 시점에 걸쳐 수집된 총 356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기법을 활용하여 각 변수들 간의 통합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그 접학도를 확인함으로써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직무과부하는 일의 의미, 이직의도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조 모형 분석 결과 직무과부하는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의 의미에는 부(-)의 영향을 관계를 나타냈다. 일의 의미는 직무과부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정도가 직무과부하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력에 조절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긍정조직학 관점에서 직무과부하와 이직의도 사이에서 일의 의미의 긍정적 매개효과와 직무과부하와 일의 의미 관계에서 조직 수준의 조절변수인 CSR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CSR 수행의 당위성을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이 존재한다.

      •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와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유진 울산대학교 대학원,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과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구성원의 혁신 행동을 이끌어 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347부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각 변인들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그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은 혁신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은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했다. 리더의 진정성 리더십은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사이에서 정(+)의 효과를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진정성이 높은 서번트 리더는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직원의 혁신 행동 사이의 관계를 확인했다. 서번트 리더와 함께 일하는 구성원은 조직에 아이디어를 내고 성과를 창출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구성원의 행동은 혁신 행동을 이끌어 낸다. 또한, 조직구성원이 리더로부터 자유로운 발언, 의견 제시에 대한 심리적 안전감과 리더의 진정성을 느낀다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이 증가한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주제어 : 서번트 리더십, 진정성 리더십, 심리적 안전감, 혁신 행동 This study looked at the impact of the boss's Servant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s memb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Through this, we wanted to see how the boss's Servant leadership leads to innovative behaviors of members. The analysis results of 347 individual level data through online surveys. Established a relationship model between each variable and checked its fit.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Servant leadership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that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the leader's Servant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activitie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he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regulation effect that strengthens the effect of affection between the leader's Servant leadership and the psychological sense of Authentic of the organization's members. In other words, highly authentic Servant leaders have been shown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organization's members. The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loyee innovative activities. Members who work with Servant leaders tend to come up with ideas and generate results for their organizations. The behavior of these members leads to innovative behavio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creases if they feel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leader and the authentic of the leader in making free remarks and opinions from the opinio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round the above results. Keywords : Servant leadership, Innovative activities, Psychological Safety , Authentic Leadership

      • AHP 기법을 활용한 국가 화생방 안전교육 표준 커리큘럼 개발에 관한 연구

        김규덕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Historically, terrorism attacks using CBR weapon, such as the 1995 Tokyo subway Sarin gas attack and the 2001 anthrax mail attack in the U.S., resulted in massiv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and required national-level responses. In order to effectively respond to such terrorism incidents, Korea also legislated the Act on Counter-Terrorism for the Protection of Citizens and Public Security in 2016 and consolidated counter terrorism activities distributed to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the police, and the military into the National Counter Terrorism Center under the Prime Minister's Office. In particular, by integrating existing chemical terrorism (Ministry of Environment), bio-terroris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radioactive terrorism (Nuclear Safety Commission) into domestic general terrorism incidents, efficient response was made possible through the unification of the command system. However, it is not easy to respond effectively because the education related to CBR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us, in this paper, the education curriculum of domestic and foreign CBR response institutions was analyzed to present the national standard for CBR safety education, and the national standard for CBR safety education was developed and scientifically analyzed using the stratification analysis method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its effects and future supplementation.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plan for chemical safety education using the stratification analysis method selected 14 evaluation index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brainstorming of a group of experts, and then weight and priority were measured through stratification and double compariso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through the Cloud Social Science Research Automation (SSAR) site for the actual people on onsite duty, including police officials, fire officials and soldiers. A total of 67 valid survey results were obtained and a prima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nalysis tools of the SSAR site, and cross-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RESS 1.7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national standard for CBR safety education were weighted in the order of 'CBR Theory Education', 'CBR Incident Response Procedure', 'CBR Equipment' and 'National Response System', an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total 14 subindices were presented. The research in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of academic value by developing and presenting standards for national CBR safety education by approaching them in various scientific ways while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 on domestic 'safety education for chemical and biological systems', and to be used in policy areas in the future by reflecting the relevant laws and directives of response agencies. In the future, we will make effort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safety field as well as the chemical and biological counter terrorism field by further researching and developing the deficiencies or supplements of this research. 1995년 옴진리교의 동경지하철 사린가스 테러사건, 2001년 미국의 탄 저균 우편테러 등 역사적으로 화생방을 이용한 테러는 엄청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켜 국가차원의 대응이 실시되었다. 이러한 테러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도 2016년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이하 테러방지법)을 재정하여 국정원, 경찰, 군 등으로 분산된 대테러 활동을 국무총리 산하 대테러센터로 일원하 하였다. 특히, 기존의 화학테러(환경부), 생물테러(보건복지부), 방사능테러(원자력안전 위원회)를 통합하여 국내일반테러사건(경찰청)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지휘 체계의 일원화를 통해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응기 관별로 화생방관련 교육이 상이하다 보니 실제 현장대응 시 통일된 행동 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효과적인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차원의 화생방 안전교육 표준 커리큘럼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외 화생방 대응기관의 교육 커리큘럼을 분석하여 국 가 화생방 안전교육 표준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그 효과 및 향후 보완사 항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한 계층화분석법을 사용하여 과학적으로 분 석하였다. 우선, 계층화분석법을 이용한 화생방 안전교육 표준 커리큘럼 개발은 선행연구와 전문가 집단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14개의 교육 과제를 선정하였고, 이후 계층화와 쌍대 비교를 통한 가중치와 우선순위를 측정 하였다. 자료 수집은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군인 등 현장에서 실제 임 무수행 인원들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사회과학연구 자동화(SSAR) 사이 트를 통한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67부의 유효한 설문결과를 확보하여 SSAR 사이트의 분석툴을 활용한 1차분석을 실시하였고, DRESS 1.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국가 화생방 안전교육 표준 커리큘럼의 분석결과는 ‘화생방 이론교육’, ‘화생방 사건대응절차’, ‘화생방 장비’, ‘국가대응체계’ 순으로 가중치를 부 여하였고, 전체 14개 하위 지표에 대한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는 국내 ‘화생방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미비한 실 정에서 다양한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국가 화생방 안전교육 표준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제시함으로써 학술적인 가치가 있을 것이라 판단되 고, 향후 관련 법령 및 대응기관 훈령 등에 반영하여 정책적인 분야에서 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차후, 본 연구의 미흡한 점이나 보완사항을 추가 연구 및 발전시켜 화 생방 대테러 분야 뿐만 아니라 국가 안전분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표준 정비 방안 연구

        이경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와 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점차 고도화・복잡화・대형화되고 있으며 더불어 안전보건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는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1970년대 대한민국의 산업화 이후에 대형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산업현장에서는 매년 800여 명의 근로자가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고 있어 ‘중대산업재해’는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현대제철 아르곤가스 질식 사고(5명 사망), 태안화력발전소 컨베이어 끼임 사고(1명 사망), 이천 물류창고 건설현장 화재 사고(38명 사망)와 같은 중대산업재해가 빈발하였다. 산업재해 뿐만 아니라, 가습기 살균제 사건, 4·16 세월호 사고와 같은 ‘중대시민재해’로 인한 사망사고 등이 발생하여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남영호 침몰 319명 사망(1970), 대연각 화재 166명 사망(1971), 삼풍백화점 붕괴 502명 사망(1995), 대구지하철 화재 192명 사망(2003), 세월호 침몰 304명 사망(2014), 가습기 살균제 사건 1,553명 사망(2011~2020.7월) 등이 있었다. 이러한 중대재해의 예방을 위해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2022년 1월 27일부터 시행되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을 처벌함으로써 근로자와 일반시민의 안전권을 확보하고 중대재해를 사전에 방지하려는 목적이다. 법 제정 이후의 시행령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고, 앞으로 시행규칙 제정 등의 후속 입법조치가 진행될 것이다. 정부는 중대재해처벌법을 통해 취약 부분의 중대재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주요한 중대재해가 많이 발생하는 중소 규모 사업장의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축 지원을 위한 기반조성 전략의 수립 및 실행 등 기업에서 중대재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 및 안전관리 시스템의 빠른 구축을 위한 국가적 지원을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대재해의 예방을 위한 안전표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안전표준의 개념과 표준 현황을 살펴보았고, 중대재해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중대재해 사례를 통하여 안전표준 정비방안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표준 정비 방안을 통하여 중대산업재해예방 매뉴얼과 중대시민재해예방 국가표준 매뉴얼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안전분야 국가표준 조직체계 개선 방안도 제시하였다. 본연구는 아래와 같은 학술적 시사점을 갖고 있다. 첫째, 안전표준과 관련한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 본 연구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학술적 접근을 하고 있다. 안전관련 KS표준 제정, 매뉴얼 개발, 제품안전인증제도 확대 등 중대재해 예방 안전표준 정비 방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서 관련 분야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중대시민재해예방 국가표준 가이드라인 방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서 중대시민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경영체제 구축 및 중대시민재해 예방 가이드라인에 대해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안전분야 국가표준 조직체계 개선방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서 안전표준 제정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표준 조직체계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속적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연구는 학술적 시사점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실무적 시사점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안전과 관련하여 필요한 모든 기준을 KS표준으로 제정할 수는 없으므로 우리 생활과 친밀한 또는 기업활동과 밀접한 그러나 KS표준화 하기에는 제약이 있는 안전기준에 대해서는 중대산업재해 예방 또는 중대시민재해 예방을 위한 국가표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모든 기업활동 및 시민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국제표준기구(ISO)에서 공표하였으나 아직 국내 표준으로 부합화를 하지 못한 안전관련 국가표준을 제정함으로써 국제표준기구 회원국으로서의 의무를 다하고 국제표준 부합화율을 높여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매뉴얼 개발내용과 표준 수립 내용이 실제 현장에서 바로 적응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As society and economy develop, accidents occurring at industrial sites are gradually becoming more sophisticated, complex, and large-scale, and the public's demand for safety and health is higher than ever. Although large-scale accidents have occurred continuously since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and about 800 workers lose precious lives in accidents every year. 2 injured persons requiring treatment, occurrence of 3 or more occupational diseases within 1 year due to the same hazard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etc.) has been pointed out as a social problem. Severe industrial accidents such as Hyundai Steel's argon gas suffocation accident (5 deaths), Taean thermal power plant conveyor jamming accident (1 death), and Icheon logistics warehouse construction site fire accident (38 deaths) were frequent. In addition to industrial accidents, deaths caused by ‘serious civil disasters’ such as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cident and the 4/16 Sewol ferry incident have become social problems. Namyeongho sinking 319 dead (1970), Daeyeongak fire 166 dead (1971), Sampoong department store collapse 502 dead (1995), Daegu subway fire 192 dead (2003), Sewol ferry sinking 304 dead (2014), humidifier disinfectant There were incidents such as 1,553 deaths (2011-2020.7). In order to prevent such serious disasters,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vere Disasters, etc.” which punishes business owners and related persons, is about to be implemented (2022.1.27. Enforcement). The purpose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is to secure the safety rights of employees, including workers, and general citizens by punishing business owners, management managers, and corporations, and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that occur due to corporate organizational culture or insufficient safety management systems in advance. The Enforcement Decree after the enactment of the Act was resolved at the State Council meeting, and follow-up legislative measures such as enactment of the Enforcement Rule will be carried out. Through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the government can prevent serious accidents in vulnerable areas b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 foundation-building strategy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management system in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where serious accidents occur frequently. National support for the rapid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will be needed. This study studied the role of safety standard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as follows. First,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rious Disasters was analyzed, and the trends of recently enacted enforcement ordinances and future enforcement rules (including legislative notices and trend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Second,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major industrial accidents and major civil acidents in Korea over the past 10 years, causes and types, etc.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ional safety system and role analysis for preventing serious accidents. Third, the need for supplementation was derived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actual situation of the types and types of national standards (KS) related to major industrial accidents and major civil accidents. Fourth, in order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business owners with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serious accidents, a safety-related national standard system and development strategy were established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afety standard strategy for responding to serious accident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First, in line with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roadmap, safety standard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major accidents, such as enactment of safety-related KS standards, development of guidelines, expansion and strengthening of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systems, and mandatory subscription to product liability insurance, must be carried out without delay. Second, 155 KS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each year to harmonize safety-related KS standards with ISO and IEC standards over 5 years. Among the 775 KS standards to be enacted, the priorities for enactment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KS standard classification for each industry with a high mortality rate for resource limitations and efficient utilization. Third, since it is not possible to enact all standards necessary for safety as KS standards, for safety standards that are close to our lives or business activities, but have limitations in KS standardization, the national government for preventing major industrial accidents or major civil accidents Develop standard guidelines so that they can be applied in all business activities and civic life. Safety-related national standard guidelines develop and disseminate three types of product safety, major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standards, and major civil accident prevention standards. Fourth, the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system should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KS standards. In addition, products that have received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must be compulsorily subscribed to product liability insurance so that corporate management does not suffer significant losses due to product damage, and actual compensation should be made to victims of accidents. Product liability insurance is a must-have insurance in terms of preventing consumer damage and compensating for damages in the current economic structure of mass prod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the following expected effects through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afety standard strategy for responding to serious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First, government will actively respond to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Severe Accident Punishment Act and respond to national policies. It will play a pivotal and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national safety standards through the development of national safety standardization systems and strategies. Second, it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serious accidents by establishing a strategy for developing safety-related national standards that makes use of the purpose of the law. Through the national safety standardization strategy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workplac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we will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a safe nation by preventing and reducing major industrial accidents and serious civil accidents. Third, by enacting safety-related national standards announced by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but not yet conformed to domestic standards, it will be possible to fulfill its obligations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and increase the conformity rate to international standards.

      • 기업의 안전문화와 사고와의 연관관계에 관한 연구 : 안전행동몰입을 매개로

        김회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모든 국민이 각종 재난과 사고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에게 안전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리도록 대한민국 헌법에서도 국민의 안전에 대해 보장하고 있으며, 정부도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안전문화에 대한 조직 구성원들의 인식 확대와 중요성은 점차 커져가고 있으며, 조직의 안전은 4차 산업 혁명시대의 필수적인 미래 경영요소가 되었다. 이제 기업의 안전문화 형성은 단순히 손실을 억제하거나 낮추는 것만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신용도를 높이는 등 기업의 경쟁력을 위한 필수적인 전략인 것이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조직 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치는 기업의 안전문화의 정착과 사고와의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물론 이를 매개하는 안전행동몰입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제조업, 서비스업, 체육시설업, 건설업 등에 종사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안전문화의 내부적인 측면인 기업의 안전동기, 안전규범, 안전절차 등이 조직 구성원의 안전행동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의 안전문화와 사고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행동몰입의 매개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조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안전문화요소(안전동기, 안전규범, 안전절차)가 안전행동몰입과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두 변수 사이에서 안전행동몰입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업의 안전문화, 안전행동몰입, 사고와의 연관관계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업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키려는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인 노력이 기업의 안전문화를 형성해서 안전행동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가설 1,2,3). 또한 기업의 안전문화와 사고의 관계에 있어서 안전행동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가설 4). 둘째, 기업의 안전동기보다 안전규범, 안전규범보다 안전절차가 조직 구성원들의 안전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조직 구성원들이 안전규범을 충분히 숙지하고 안전절차를 최우선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안전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체육시설업, 제조업, 서비스업종별 순서로 조직 구성원들의 안전문화 인식 차이가 높음을 실증하였다. 업종별 다중비교 산출결과 체육시설업은 제조업보다 안전규범에서 평균 .59만큼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서비스업보다는 안전동기 및 안전절차에서 평균 .33만큼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전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체육시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순서로 기업의 안전문화 인식에 높은 결과를 보여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그동안 부족했던 안전문화의 내부적인 측면인 조직 구성원들의 안전동기, 안전규범, 안전절차가 안전행동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 분석하였고, 또한 안전행동몰입과 조직 구성원들의 사고 감소와의 연관관계를 밝힘으로서 안전행동몰입을 강화시킴으로서 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이어 기업의 안전문화를 이루는 구성요소 간의 중요도를 AHP 분석을 통해 입증하고, 안전경영시스템 국제표준 도입 이전과 도입 후 3년이 경과한 후를 비교 분석하여 연구하길 바란다.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uarantees the safety of the people to ensure their safety rights who are exposed to a variety of disasters and accidents in the modern society. The government is also making their efforts to establish the culture of safety. As such,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o expand the awareness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awareness with respect to the safety culture, and safety has become a critical management factor to be considered in the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ow, establishing the safety culture in a company is not only a matter of profit and loss but also is a mandatory strategy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gain legitimacy. Despite its import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corporate safety culture and occurrence of accidents has been understudied. Also,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safety behavior commitment whic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afety culture and occurrence of accide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impact of a company’s internal safety factors — such as safety motives, safety norms, and safety procedure — on the members’ safety behavior commitment by studying the employees working in manufacturing, service, sports facilities, and construction industry. Also,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afety behavior commitment that affects the safety culture and reduces the accidents. To do so, a literature review on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was conducted, followed by an empi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 of a company’s safety culture factors (safety motives, safety norms, and safety procedures) on safety behavior commitment and accidents. Moreover, the analysis included the mediating effects of safety behavior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Based on the analyses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s safety culture, safety behavior commitment, and acci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oluntary efforts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establish safety culture have a positive impact on safety behavior commitment by creating safety culture (Hypothesis 1, 2, and 3). Also, there is mediation by safety behavior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accidents (Hypothesis 4). Second, the impact of safety norms and safety procedures on safety behavior commitment is more significant than the safety motiv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is critical to establish safety culture in a way to encourage the members to fully be aware of the safety norms and prioritize safety procedures. Third, the within-organization variation in terms of the safety culture awareness is high in the order of sports facilities,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of the multi-comparison calculation by industry type, the sports facilities industry was .59 higher tha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safety norms, and .33 higher than the service industry in safety motives and safety procedures. The overall results exhibits that safety culture awareness is high in the order of sports facilities,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safety motives, safety norms, and safety procedures on safety behavior commitment which has been lacking in the previous literature. Also,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fact that the reinforcement of safety behavior commitment would be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 company by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behavior commitment and reduction of accidents. I recommend future studie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factors that consist safety culture of a company based on AHP analysis and analyze the effects by comparing between when the international standard was first introduced with three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 AHP 및 UTAUT 모델에 기반한 다중이용시설 대테러 안전진단 평가법의 개발

        차장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analysis of the recent threat of terrorism shows that the number of terrorist attacks has been decreasing since 2014, but that of countries where terrorism occurs has been increasing. It indicates that terrorism is spreading around the world at this moment. Recently, the target of the attacks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hard target such as governments and military facilities to the soft target such as stations and concert halls.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government departments of each type of multi-use facilities were designated by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to establish counter-terrorism measures. And the KNPA is required to conduct guidance and inspection periodically to prevent the attacks on the facilities. However, the aspect of terrorism has become complex and diverse, with simultaneous attacks occurring at multi-use facilities in recent years, also the damage has led to mass killings. What it means by those i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prevent terrorism and manage safety at multi-use facilities than ever before. In this paper, safety diagnosis indexes essential for preventing terror attacks on multi-use facilities has been developed using AHP and UTAUT by identify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ponse systems such as lessens learned from actual cases, policies, and institutional trends for safety management of multi-use facilities. First, 23 criteria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expert brainstorming to develop safety diagnosis indexes, then weights and priorities were measured through AHP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owners of multi-use facilities and police officers, as a result 105 effective surveys were adopted and utilized out of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and DRESS 1.7 was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ounter-terrorism safety diagnosis indexes gave a high weight in the order of organization and system, management and opera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evention and post-treatment, and presented the importance and priority for the total 23 sub-indexes. Next,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Facilitating Condition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effects and intention of use of the diagnostic indexes with the UTAUT model.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Usage Behavior were set as parameters and 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moderating variables were set as the number of facilities, work experience, and rank. Data for research was collected from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counter-terrorism, and 274 out of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effective surveys. Four of the six hypotheses were adop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signed study model using SPSS 22 and AMOS 21.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research theory showed that, first, the performance expectation,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factors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 the behavior of the action, but the Effort Expectancy does not affect the behavior of the action, and the Facilitating Conditions does not affect the user behavior. Second, Social Influence was the biggest factor affecting the behavior, followed by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Facilitating Conditions. In closing, among the moderating variables, the number of facilities and work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no moderating effect, and the higher the rank, the more effective it was. The research of this paper is believed to be of academic value rather than conventional research by establishing and verifying a research model of the multi-use facility counter-terrorism safety assessment method using scientific methods in the absence of domestic research on the counter-terrorism safety of multi-use facilities. The diagnostic table, which i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lso expected to be immediately available at the multi-use facility counter-terrorism safety diagnosis site, and practical value will be sufficient as it can be used in policy areas such as revision of relevant laws in the future. However, since terrorism is changing in a variety of ways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pace of social development, in-depth and continuous research on domestic counter-terrorism safety is needed. 최근 발생하는 테러의 위협을 분석해 보면 2014년 이후 전체 발생 건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테러가 발생하는 전체 국가의 수는 증가하고 있어 오히려 테러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테러 대상이 기존 정부 및 군사 시설 등 하드 타깃 테러에서 최근에는 백화점·공연장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을 목표로 하는 소프트 타깃 테러가 많이 발생하는 추세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테러방지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의 유형별 중앙 부처를 지정하여 테러 예방대책을 수립하게 하고, 경찰청이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주기적인 테러예방 지도점검을 하고 있다. 오늘날 테러는 과거와 달리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동시다발 테러가 발생하는 등 실제 테러들이 복잡·다양해졌으며 그 피해 또한 대량 살상으로 이어지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테러 예방 및 안전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중이용시설 대테러 안전관리에 관한 사례 및 정책, 제도 동향 등 국내외 대응 체계 및 실태를 파악하여 국내 현실에 부합하는 다중이용시설 테러 예방에 필수적인 안전 진단표를 개발하고 그 효과 및 사용 의도, 향후 보완 시 고려할 영향요인들을 계층화분석법 및 통합수용이론을 사용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계층화분석법을 이용한 안전 진단표 개발은 선행연구 및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23개의 지표를 선정하였고, 이후 계층화 및 쌍대 비교 분석을 통해 가중치 및 우선순위를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국 다중이용시설 시설주 및 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총 150부의 설문지 중 유효 설문 105부를 채택하여 검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분석 패키지로는 DRESS 1.7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대테러 안전 진단표는 조직 및 체계, 관리 및 운영, 교육 및 훈련, 예방 활동 및 사후 처리 분야 순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며 전체 23개 하위 지표에 대한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이후 개발된 진단표의 효과 및 사용 의도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통합기술수용이론 연구 모형을 활용하여, 독립변수로는 성과 기대·노력 기대·사회적 영향·촉진 조건을, 행위 의도와 사용 행동은 매개 변수와 종속 변수로 설정하였다. 조절 변수로는 관리하는 시설의 수, 근무 경력, 계급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전국 대테러 담당 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총 300부 설문지 중 274부를 유효 설문으로 채택한 후, SPSS 22와 AMOS 21을 이용하여 설정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총 6개의 가설 중 4개가 채택되었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첫째, 독립변수 중에서 성과 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 조건 요인이 행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력 기대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촉진 조건 요인은 사용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위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순으로는 사회적 영향이 제일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성과 기대, 촉진 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 효과로는 다중이용시설의 수, 근무경력은 조절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급이 높을수록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는 국내 다중이용시설 대테러 안전에 관한 연구들이 미흡한 실정에서 과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다중이용시설 대테러 안전 진단 평가법의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보다는 학술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 결과인 진단표 또한, 다중이용시설 대테러 안전 진단 현장에서 즉시 실무적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향후 관계 법령의 개정 등 정책적인 분야도 활용 가능한 내용으로 실용적인 가치도 충분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테러는 그 위협과 양상이 급변하는 사회 발전 속도와 발맞춰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맞춘 국내 대테러 안전 관련 심층적이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