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lassification of large-scale circulation patterns and their spatio-temporal variability during the High-PM10 events over the Korean Peninsula

        구호영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반도 겨울철 고농도와 저농도 미세먼지 사례를 유발한 종관 기상장의 주요 패턴을 각각 분류하고 유형별 이벤트 발생 전후에 있어 시공간 추이에 대해 합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2007–2018년 겨울철/봄철 동안 91개의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와 76개의 저농도 미세먼지 사례가 발생하였다. K-means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하여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를 유발하는 5개의 주요 대규모 순환패턴을 분류하였다.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의 유형 1과 5의 경우, 파동 전파(wave train) 유형으로 전체 사례의 약 41% (38사례)에 해당하며, 중국 남동부에서 불어오는 하층 수평 바람장 및 한반도 상공의 강한 하강기류가 미세먼지 집적을 유발하였고, 타 유형에 비해 기압계의 비교적 빠른 동진으로 인해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의 평균 지속일이 짧은 편이었다. 특징적으로, 유형 1의 경우, 약 10일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발생하는 사례들이 전체 사례의 42% (16사례)에 달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유형 2의 경우, 전체 사례의 약 29% (27사례)에 해당하며, 한반도상의 정체고기압과 남풍기류의 유입이 우세한 하층 기압배치를 보여 연직적으로 안정한 하층 대기와 약한 풍속으로 미세먼지의 연직확산을 저지할 수 있는 호조건을 보였다. 유형 2는 타 유형들에 비해 평균 지속기간이 가장 길고, 평균 농도 또한 가장 높았으며, 기압계 배치가 양의 북극진동 시기와 매우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유형 3의 경우, 전체 사례의 약 13% (12사례)에 해당하며, 캄차카 지역 고기압의 영향으로 편서풍의 흐름이 약화되어 대기의 흐름이 정체되는 오염물질 축적에 용이한 순환장 특성을 보였다. 유형 4의 경우, 전체 사례의 약 15% (14사례)에 해당하며,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저기압 후면으로 오염물질이 한반도로 유입되는 패턴이다. 저농도 미세먼지 사례는 4개의 주요 대규모 순환패턴을 분류하였으며, 유형별 시공간적 변동 추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유형별 고농도 미세먼지 패턴과 원격상관 패턴의 공간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유형 1과 5는 우랄 블로킹 패턴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 유형 2는 양의 북극진동 패턴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 유형 3은 서태평양 패턴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토대로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고농도 미세먼지 사례는 선행하는 상층 대규모 순환패턴과 연관이 있으며, 상층의 순환패턴은 하층 오염물질의 수송과 집적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 Jet Response to Arctic Warming in Idealized GCM

        양군환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83

        지구온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북극 지역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기온 상승률이 큰 경향을 보이는 북극증폭(Arctic Amplification)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이러한 북극 지역의 기온상승은 중위도 지역 한파 및 이상기상현상 증가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전지구 기후모델(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을 활용하여 북극-중위도 지역의 원격상관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전지구 기후모델을 구성하고 있는 대륙분포 및 지형효과, 물리 모수화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북극 지역 기온상승에 의한 대기의 변화를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륙분포 및 지형효과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기 위해 Geophysical Fluid Dynamics Laboratory(GFDL)에서 제공하는 이상대기모델인 Idealized Moist Spectral Atmospheric Model을 사용하여 북극 지역의 동서 대칭적인/비대칭적인 지표 온도 상승에 따른 제트 및 대기순환의 변화 분석하였다. 동서 대칭적인/비대칭적인 실험 모두 북극 지역 가열에 의해 중위도 제트의 위도가 적도쪽으로 이동하였으며, 동서평균 동서바람의 분포가 변화하였다. 에디 운동량 속과 에디 열 속의 분포변화로 인해 60°N 지역의 엘리아센-팜 속의 발산이 감소하였으며 40°N지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서 비대칭적인 실험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기 상층의 지위고도 증가량이 큰 경향을 보이며, 100hPa 에디 열 속 분석을 통해 성층권 순환이 약해진 것을 확인하였다. 수평 대기장을 분석하였을 경우, 동서 대칭적인 실험에서는 비대칭적인 강제력이 없기 때문에 상층 제트의 분포가 전체적으로 남하한 경향을 보인다. 동서 비대칭적인 실험의 경우 파수 1~2와 유사한 상층 제트의 변화를 보이며, 강제력을 주어진 지역 중위도에 기압골, 동쪽 지역에 기압능이 배치된 패턴을 보인다. 지표 기온 역시 기압능이 위치한 지역에 양의 편차를 보임으로써 중위도 지역 상층 제트의 사행, 중위도 기압배치, 지표 기온 상승이 일관적인 연관성을 보인다. Arctic Amplification, Accelerated warming in the Arctic compared to the rest of the globe, has been observed. Arctic warming is suggested at the possible impacts on the mid-latitude cold surges and extreme weather events. There are studies on the teleconnection of the Arctic and mid-latitude, using GCM(General Circulation model) for Arctic Amplification. However, continental distribution and topography make it difficult to analyze atmospheric changes caused by warming in the Arctic reg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not to consider these factors, the Idealized Moist Spectral Atmospheric Model, an ideal atmospheric model provided by Geophysical Fluid Dynamics Laboratory(GFDL), was used to analyze changes in jet and atmospheric circulation due to zonally symmetrical/asymmetric surface warming in the Arctic region. In both zonally symmetric/asymmetric experiments, the latitude of the eddy-driven jet was shifted toward the equator due to the heating of the Arctic region, and the distribution of the zonal-mean zonal wind was changed. Because of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eddy-momentum flux and eddy-heat flux, the divergence of the Eliasen-palm decreased at 60°N and increased at 40°N. In zonally asymmetric experiments, relatively, upper atmospheric geopotential height tends to be large, and the stratospheric circulation is weake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100 hPa eddy-at flux. When analyzing the horizontal atmospheric field, the distribution of the jet shift toward the equator because there is no asymmetric forcing in the zonally symmetric experiment. It shows a pattern in which the tough is located in the middle latitude of in the eastern of the forced region, and the ridge is located in the eastern of the forced region. The surface temperature also shows a positive deviation in the area where the ridge is located, so the eddy-driven jet, the mid-latitude ridge-tough arrangement, and the surface temperature show a consistent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