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위임준비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김승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 is a team nursing system in which registered nurses (hereafter called RN) delegate a part of their tasks to nursing assistive personnel (hereafter called NAPs), and thus to deleg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delegation and job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eparedness for deleg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26 nurses who had been working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of 5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May 24 to June 15, 2017. The research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the delegation preparedness by Kærnested and Bragadótir (2012),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by (2016) for the Korean context. With regard to job satisfaction, the tool by (1978), which has been translated by Sungae Park, Soonnyoung Yun (1992) and modified by Myoungsook Kim (2013),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0 with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survey participants was 126 nurses. The average age was 29.01±6.15 years. The average experience in their current department was 28.06±26.59 months, and the total nursing experience was 65.88±57.99 months. The average age of NAP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as 51.19±6.50 years and their average career experience was 45.74±43.82 months. In terms of delegation-related characteristics, 116 participants (92.1%) had work delegation experience, 78 (92.1%) had attended a work delegation training session, and 33 (31.8%) had studied delegation in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On a 10-point scale, the participants’ average score was 7.06±1.84 in terms of how much they understood the work of , 7.86±1.92 in terms of how much they of the responsibility to delegate work to nurse assistants, 6.24±2.05 in terms of how practical the knowledge they obtained from their education was, and 7.39±1.88 in terms of how much they rely on clinical experiences when making delegation decisions. 2. On a 5-point scale, the average delegation preparedness score of participants was 3.71±0.49. factors that impacted delegation preparedness, the RN’s understanding about the task was 4.03±0.65,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was 3.90±0.68, the level of understanding about the delegation was 3.58±0.5, and the level of delegation skill was 3.35±0.65. On a 5-point scale,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level was 3.04±0.46.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subcategories, average scores were 3.48±0.71 for , 3.26±0.60 task requirements , 3.07±0.71 for , 2.85±0.74 for level of autonomy, 2.74±0.68 for level of administrative duties, and 2.55±0.68 for salary. 3. Of the study participants’ delegation-related characteristics, delegation education (t=-2.77, p=.006)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delegation preparedness. 4. The correlation between delegation-related characteristics and delegation preparedness was analyz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for the statements “Do you make decisions on delegation in regard to your career experiences” (r=.513, p<.001), “Was your previous education on delegation in school helpful in carrying out an actual performance in the work unit” (r=.511, p=.004), and “To what extent do you know about the duties of nursing assistants” (r=.428, p<.001). 5. The correlation between delegation preparedness and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449, p<.001) was identifi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delegation education mak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legation preparedness,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legation preparedness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these results support the need for schools and clinical settings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to improve delegation preparedness for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은 팀 간호체계로 간호사가 간호보조인력에게 업무를 위임하므로 간호사가 위임을 제공할 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위임에 대한 준비성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확인하여 효율적인 위임과 직무만족의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5월 25일부터 6월 15일까지 서울, 경기 지역의 5개 종합병원 및 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근무 중인 일반간호사 1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로 위임준비성은 Kærnested와 Bragadóttir (2012)의 도구를 김미영, 박진화와 최미란(2016)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한국어판으로 번안하고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은 Stamps, Slavitts, Piedmont와 Hasse (1978)의 도구를 박성애와 윤순녕(1992)이 번안하였고 김명숙(2013)이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종적으로 총 126명 대상자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평균 연령이 29.01±6.15세, 현 부서의 근무 경력은 평균 28.06±26.59개월, 병원 총 근무 경력은 65.88±57.99개월이었다. 간호보조인력의 연령은 평균 51.19±6.50세, 근무 경력은 평균 45.74±43.82개월이었다. 위임 관련 특성에서는 위임을 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 116명(92.1%), 위임 교육을 받은 사람이 78명(61.9%)이었고, 이 중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사람은 33명(31.8%)이었다. 간호보조인력의 업무내용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정도는 10점 척도에서 7.06±1.84점, 간호보조인력에게 위임한 업무의 책임에 대한 인지 정도는 7.86±1.92점, 학교의 교육내용이 위임에 실제 도움이 되는 정도는 6.24±2.05점, 위임할 때 임상경험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정도는 7.39±1.88점이었다. 2. 대상자의 위임준비성은 점수가 높을수록 위임준비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5점 척도로 평균 3.71±0.49점이었고 하위 영역은 ‘업무 내용에 대한 이해’ 4.03±0.65점, ‘위임 업무 구분’ 3.90±0.68점, ‘위임 내용에 대한 이해’ 3.58±0.59점, ‘위임에 대한 기술’ 3.35±0.65점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음을 나타내는 5점 척도로 평균 3.04±0.46점이었다. 하위 영역은 ‘상호작용’ 3.48±0.71점, ‘직무’ 3.26±0.60점, ‘전문 직업적 수준’ 3.07±0.71점, ‘자율성’ 2.85±0.74점, ‘행정’ 2.74±0.68점, ‘보수’ 2.55±0.68점 순이었다. 3. 대상자의 위임 관련 특성 중에서 위임 교육 여부(t=-2.77, p=.006)는 위임준비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위임 교육을 받은 경우가 받지 않은 경우 보다 유의하게 위임준비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4. 대상자의 위임준비성과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는 양적 상관관계(r=.44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임준비성이 높아지면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데에 상관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위임 교육 여부가 위임준비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위임준비성과 직무만족 간에는 양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와 임상 현장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가 위임준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외래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위임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김숙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hospitals, work delegation to nurse assistants frequently takes place in outpatient departments (OPD). For efficient delegation of OPD nurse,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level of nurses’ self-leadership that influences themselves and their delegation preparedness to nurse assistants. In this situation, the study investigated OPD nurs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delegation preparedness and self-leadership. This study examined 130 OPD nurses at 2 tertiary hospitals in Seoul,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15-23 Mar 2017. Delegation preparedness was employed as a research tool, which had been utilized by Kærnested and Bragadóttir (2012) then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by Miyeong Kim, Junhwa Park and Miran Choi (2016). With regard to self-leadership, this study utilized the tool by Prussia, Anderson and Manz (1998), which had been modified and improved by Pylseok Yang and Haeryonng Kim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0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are 125 women (98.4%) in the study participants, accounting for the major part. Average age was 36.4±6.49; average career at the present department, 66.49±68.82 months; and total hospital career, 156.03±74.04 months. The average age of nurse assistants who provide delegated service was 39.39±8.12; and career, 187.47±107.69 months. In terms of the dele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study participants, 85% (108 persons) of them had work delegation experience, 56.7% (62 persons) received work delegation education; and, of them, 43.5% (37 persons) received such education through job training. On a 10-point scale, they scored 6.91±2.52 on how much they understood the work of nurse assistants; 8.40±2.11, on responsibility for work delegated to nurse assistants; 1.38±2.67 on how much the knowledge they gained at school was helpful in actual delegation; and 7.65±2.02 on how much they rely on clinical experiences in making a decision upon delegation. 2. On a 5-point scale, the study participants’ delegation preparedness averaged 3.77±0.16. In terms of the delegation preparedness factors, understanding of the work was found the highest followed by delegation work division, delegation technique, and understanding of delegated work, in order. Their self-leadership level averaged 3.86±0.16 on a 5-point scale. With respect to the self-leadership factors, behavior-focused strategy was found the highest followed by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y and natural reward strategy, in order. 3. Of the stud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legation-related characteristics, delegation education (t=-2.34, p=.021) was found to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legation preparedness while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elf-leadership. 4. The correlation between delegation preparedness and self-leadership was analyzed. As a resul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562, p<.001) was identified. 5. The work career at the present department(β=.015, p=.047), delegation education(β=.297, p<.001), and self-leadership(β=.494, p<.001) were found variables with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f delegation preparedness. Regression model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40.028, p<.001). Adj-R² was .399, indicat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approximately 40%. Based on the findings above, self-leadership, delegation education and career at the present department were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nts’ delegation preparedness. Of them, self-leadership showed the largest influence.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reinforce self-leadership in school and clinical field and provide sustained education. Schools, in particular, will need to strengthen their education on delegation. 병원에서 간호 보조 인력에 대한 위임이 주로 일어나는 부서는 외래로 간호사가 간호 보조 인력에 대한 위임준비성과 자신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셀프리더십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하는 것은 외래 간호사의 효율적인 위임을 위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외래 간호사를 대상으로 위임준비성과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2군데 상급 종합병원의 외래 간호사 1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7년 3월 15일부터 3월 23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위임준비성은 Kærnested와 Bragadóttir (2012)가 사용한 도구를 김미영, 박진화, 최미란(2016)이 한국어판으로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셀프리더십은 Prussia, Anderson과 Manz (1998)가 사용한 도구를 양필석과 김해룡(2009)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여성이 125명(98.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평균 연령은 36.4±6.49세, 현 부서의 근무 경력은 평균 66.49±68.82개월, 병원 총 근무 경력은 156.03±74.04개월이었다. 위임 업무를 제공하는 간호 보조 인력의 평균 연령은 39.39±8.12, 근무 경력은 187.47±107.69개월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위임 관련 특성을 보면 업무 위임을 해본 경험이 있는 경우가 85%(108명), 업무 위임 교육을 받은 사람은 56.7%(62명)이었으며 이 중 직무교육을 통한 교육이 43.5%(37명)이었다. 간호 보조 인력의 업무 내용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는 10점 척도 상 6.91±2.52점, 간호 보조 인력에게 위임한 업무에 대한 책임은 8.40±2.11점, 학교에서 배운 내용이 실제 위임에 도움이 되는 정도는 1.38±2.67점, 위임 시 임상경험에 근거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정도는 7.65±2.02점이었다. 2. 대상자의 위임준비성은 5점 척도로 평균 3.77±0.16점이었고, 위임 준비성 항목은 ‘업무내용에 대한 이해’, ‘위임 업무 구분’, ‘위임에 대한 기술’, ‘위임 내용에 대한 이해’ 순이었다. 셀프리더십 정도는 5점 척도로 평균 3.86±0.16점이었고 셀프리더십 항목은 ‘행동 지향적 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 ‘자연 보상 전략’ 순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위임 관련 특성 중 위임 교육 여부(t=-2.34, p=.021)가 위임준비성 차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셀프리더십과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위임준비성과 셀프리더십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62,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위임준비성에는 현 근무부서 경력(β=.015, p=.047), 위임 교육여부(β=.297, p<.001), 셀프리더십(β=.494, p<.001)이 유의미한 예측력을 가지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40.028, p<.001), 수정된 결정계수(Adj-R²)는 .399로 이들 변수들의 위임준비성에 대한 설명력은 약 4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대상자의 위임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셀프리더십, 위임 교육 여부, 현 근무부서 경력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셀프리더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와 임상 현장에서 셀프리더십 강화와 위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교에서도 위임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간호대생의 실습소속감과 자아존중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은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4학년 간호대생을 대상으로 실습소속감과 자아존중감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간호대생의 실습 적응력을 키우고, 임상 실습 현장에서 학생 스스로 자기주도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2개 대학에서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4학년 간호대생으로 총 163명을 편의추출하여 2016년 9월 21일부터 2016년 10월 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로 실습소속감은 Levett-Jones 등(2009)이 개발한 간호 대학생이 실습지에서 경험하는 소속감을 측정하는 설문지인 Belongingness Scale-Clinical Placement Experience (BS-CPE)를 Kim과 Jung (2012)이 번안하고 적용한 한국판 실습소속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은 Rosenberg (1965)가 개발하고 전병재(1974)가 적용한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기주도학습은 Guglielmino (1977)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검사인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SDLRS)를 유귀옥(1997)이 번안하고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실습소속감은 평균 3.48±0.39점(5점 척도)이었으며, 자아존중감은 평균 3.66±0.52점(5점 척도), 자기주도학습은 평균 3.50±0.36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실습소속감은 성별(t=-3.00, p=.003), 지역(t=-3.54, p=.001), 간호학에 대한 태도(t=2.74, p=.007), 변화에 대한 적응 정도(t=3.37, p=.001), 주 실습 지도자(t=3.17, p=.045), 실습 성적(F=3.92, 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간호학에 대한 태도(t=2.65, p=.009), 변화에 대한 적응 정도(t=10.33,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은 변화에 대한 적응 정도(t=2.26, p=.025)와 실습 조 인원(t=-2.33, p=.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연구대상자의 실습소속감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10, p<.001), 실습소속감과 자기주도학습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66, p<.001), 자아존중감과 자기주도학습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517,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β=.369, p<.001), 실습소속감(β=.290, p<.001), 5명 이상의 실습 조원(β=.154, p=.041)이었으며, 이들 변수는 자기주도학습에 대하여 35.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간호대생의 실습소속감 및 자아존중감, 자기주도학습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이 자기주도학습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었다. 따라서 임상 실습 교육 시 간호대생의 자기주도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기 이해 및 수용을 높여주고, 실습 현장에서 간호대생의 소속감을 높이며, 5명 이상의 실습 조원으로 구성되도록 고려해야겠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belongingness and self-esteem on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1, 2016 to October 6, 2016 with 163 senior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lacement more than 1 year and lived in Seoul or Busan. The structured-questionnaire consist of a totally 88 items, which were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belongingness,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3 program, which utili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belongingness was 3.48±0.39 and self-esteem was 3.66±0.52. The mean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3.50±0.36. 2. The level of belonging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ender(t=-3.00, p=.003), region(t=-3.54, p=.001), attitude of the major (t=2.74, p=.007), adjustment(t=3.37, p=.001), main clinical nursing instructor(t=3.17, p=.045), clinical practice grade(F=3.92, p=.01). The level of self-esteem was different from major attitude(t=2.65, p=.009) and adjustment(t=10.33, p=.001).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was different from adjustment(t=2.26, p=.025) and members of clinical practice(t=-2.33, p=.026). 3. Belonging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r=.410, p<.001)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r=.466, p<.001).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r=.517, p<.001). 4. The elements that affect self-directed learning, such as self-esteem(β=.369, p<.001), belongingness(β=.290, p<.001), and 5 members of clinical practice(β=.154, p=.041), explained 35.2% of the self-directed learning(F=9.81,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belongingness, self-esteem, and self-directed learning. Self-esteem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self-directed learning. Consequently, in order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eek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for the education methods in the field of practical education which can enhance self-esteem.

      • 후고 볼프의 《뫼리케 가곡집》에 대한 분석 연구 : 희극성을 주제로 한 <황새의 소식>(Storchenbotschaft)과 <작별>(Abschied)을 중심으로

        정소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의 목적은 후고 볼프(Hugo Wolf)의 《뫼리케 가곡집》 중 희극성을 주제로 한 제48번 <황새의 소식>(Storchenbotschaft)과 제53번 <작별>(Abschied)을 작품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볼프의 희극성이 음악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증명하는 데에 있다. 우선, 19세기 낭만주의 예술 가곡의 흐름을 살펴봄으로써 볼프의 음악적 경향이 어떠한지 알 수 있었다. 그는 새로운 음향을 지향하고 혁신적인 음악을 구사하는 바그너를 예찬하였다. 진보주의자인 바그너의 영향을 받은 볼프는 자신의 음악에서 늘 새로운 시도를 하였으며, 바그너의 낭창법을 제53번 <작별>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 모습도 나타났다. 필자는 『그로브사전』에서 “희극적인 노래”로 분류된 여섯 곡 중 제48번 <황새의 소식> 그리고 제53번 <작별> 두 곡을 발췌하여 분석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시가 지닌 내재적 의미와 볼프의 다양한 작곡 기법을 통한 희극성을 알 수 있었다. <황새의 소식>은 시인의 내면에서 일어난 상황을 표현하고 있다. 이 시에 등장하는 목동은 시인 뫼리케를 의미하며, 황새는 시인을 불안한 현실로부터 구원해주는 시적 영감을 상징한다. <작별>에선 시인의 시적 세계에 대한 끊임없는 갈등을 내포하고 있다. 이 시의 주인공은 시인의 서정적 자아를 의미하며, 비평가는 시인의 작품을 평가하는 시인의 또 다른 자아를 상징한다. 즉, 두 시는 시인의 내면에서 일어난 세계를 희극적으로 승화시킨 것이다. 볼프는 가사에 나오는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성악 선율과 피아노 반주에 생생하게 묘사하였으며, 곡의 내용과 분위기가 전환될 경우에는 음악에도 함께 변화를 주어 시와 음악의 일치를 보여주었다. 곡의 분위기를 섬세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많은 지시어를 사용하였고, 즐겁고 기쁜 분위기에서는 왈츠풍의 새로운 음악을 삽입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불협화음, 반음계, 악센트, 꾸밈음, 극적인 다이내믹 변화 등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곡의 흥미와 긴장을 고조시켰다. 따라서 볼프는 희극성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음악적 기법을 사용하였고, 곡에 나타나는 희극성은 시인의 내면에서 일어난 세계를 희극적으로 승화시킨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정신간호사의 공감능력과 유머감각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말자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공감능력, 유머감각, 의사소통능력의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고,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시와 G시에 소재한 10개의 정신의료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이며, 자료수집기간은2017년 9월 1일부터 9월 25일까지이었다. 자료수집방법은 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고 직접 작성토록 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공감능력과 유머감각 및 의사소통능력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정도는 t-test, ANOVA, Scheffé test, 공감능력과 유머감각 및 의사소통능력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여성이 84.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연령은 20 ̴30대가 64.8%, 미혼이 58.0%, 종교는 없는 경우가 56.2%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학사가 51.6%, 직급은 일반간호사가 67.6%, 임상경력은 평균 9.76년, 정신과 근무경력은 10년 이상이 31.5%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이수 경험이 56.2%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공감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03±0.30점, 유머감각은 5점 만점에 3.11±0.41점, 의사소통능력은 5점 만점에 3.59±0.43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정도는 결혼상태(t=4.46, p<.036), 종교(t=4.02, p<.04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유머감각(r=.53, p<.001), 공감능력(r=.39,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머감각(β=.47), 공감능력(β=.34)순으로 나타났으며(F=29.56, p<.001), 34.4%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정신간호사의 유머감각이 높을수록,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 정도가 높았다. 따라서 정신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신간호사의 유머감각과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간호대학생의 독일간호실습 경험

        이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by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on how nursing students'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in Germany are being expressed. With patterned meaning drawn inductively form the data, this research has applied the qualitative subject analysis towards nursing university students' practical training in Germany to understand its meaning in-depth and to provide detailed and profound inform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8 individuals who agreed to participate to the research in-depth interview amongst 16 nursing students who had a one semester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 in Korea and have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 in Germany amongst nursing university students whose institute are located in S District in Seoul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November 18, 2018 to December 14, 2018, and the analysis method for the data analysis regarding interview was analyzed with the application of 6-step Qualitative subject analysis that Braun and Clarke(2006) has suggested. The articles were analyzed by Braun and Clarke(2006)'s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6 themes and 15 subthemes were extracted as shown below: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in Germany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6 themes and 15 subthemes. The first theme was‘expectations for new teachings through overseas practice, with subthemes of‘expectations for advanced nursing’,‘curiosity about a special place, Germany’. Second theme was 'resolving linguistic problems through active utilization of linguistic․non-linguistic communication’,with subthemes of‘make and learn from German pocket-book’,‘understand non-linguistic gestures’ and‘make full use of translator’. Third theme was‘gain support to become confident in practice’, with subthemes of ‘favorable response from patients faced by students’, 'nurses provided detailed explanations to students upon nursing’ and‘nurses gave impression that they trusted students’. Fourth theme was‘realization of basic nursing provided to patients’, with subthemes of 'nurses attended to every basic nursing of patients’and‘basic nursing provided basis to form rapport with patients’. Fifth theme was‘Envious of relaxed and comfortable ambience of ward’, and relevant subthemes were‘conversations between medical staff, patients and guardians seemed comfortable’ and‘felt comfortable during practice period’. Sixth theme was ‘opportunity to review practice conditions of Korea’, and following subthemes were‘overcame the fear of practice by participating in practice’,‘acknowledged the meaning of comfortable relationship rather than nursing the patients’and‘learnt much through differences from Korean nursing practi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brought significance together the diverse society and cultural meaning of the overseas experience that will bring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and as a starting data to improve the continuous overseas experience for the nursi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long-term. By escaping the fear of practical training, and receive healing.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대학교육 변화에 대한 요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에 간호학 분야에서도 국제적으로 간호대학과의 교류협력을 증진하여 학생들의 국제적인 역량을 키워 나가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독일간호실습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 자료로부터 패턴화된 의미를 귀납적으로 이끌어내어 상세하고 풍부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질적주제분석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일개 간호대학에서 3학년 학생 중 독일간호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으로 편의표집과 눈덩이표집 방식을 통해 최종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면대면 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2018년 11월 18일부터 2018년 12월 14일까지 자료의 포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진행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독일간호실습 경험에 대한 면담내용은 Braun과 Clarke이 제시한 6단계의 질적주제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6개의 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해외실습을 통해 새롭게 배운다는 기대감을 가짐’이었고, 하위주제로는‘선진간호를 배운다는 기대감이 있음’, '독일이라는 특수한 장소에 대한 호기심이 있음’이었다. 두 번째 주제는‘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적극 활용하여 언어문제에 대처해 감’이고, 하위주제는 ‘독일어 포켓북을 제작하여 학습함’,‘비언어적인 몸짓을 이용함’,‘번역기를 최대한 활용함’이었다. 세 번째 주제는‘실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도록 지지를 받음’이며, 하위주제는‘학생을 대하는 환자들이 호의적인 반응을 보임’,‘간호사가 간호를 제공할 때마다 상세한 설명을 제시해 줌’,‘간호사로부터 학생을 신뢰한다는 인상을 받음’이었다. 네 번째 주제는‘환자에게 수행하는 기본간호의 중요성을 깨달음’이며,‘간호사는 환자들의 기본간호에 모두 참여함’,‘환자와의 라포형성에 기본간호가 바탕이 된다고 느낌’이었다. 다섯 번째 주제는‘병동 분위기가 여유롭고 편안한 분위기여서 부러움’이며, 하위주제는‘의료진, 환자, 보호자들 간에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편안해 보임’,‘실습 동안 몸의 여유로움을 느꼈음’이었다. 여섯 번째 주제는‘한국의 실습 상황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됨’이며, 하위주제는‘실습에 직접 참여하면서 그동안 느꼈던 실습에서의 두려움이 없어짐’,‘ 환자에게 간호 제공 이전의 편안한 관계의 의미를 새겨봄’,‘한국간호실습과의 차이점을 통해 배울 수 있었음’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대학생들은 독일간호실습에 참여하면서 실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도록 지지를 받았다. 이러한 지지에는 간호대학생이 직접적으로 실습에 참여하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독일간호사의 친절한 지지와 환자들의 호응을 들 수 있다. 또한 모든 간호사가 참여하는 기본간호가 환자와의 신뢰 관계를 유지하는 바탕을 이룬다는 것을 깨닫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무엇보다 독일간호 실습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은 여유롭고 편안한 병원 분위기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및 보호자 간의 편안한 대화가 한국의 간호실습 환경과 상당히 다른 경험이었음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독일간호를 이해할 수 있는 지평을 넓히고 간호대학생의 지속적인 해외실습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초자료로 기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혈액투석환자가 경험한 '좋은 간호'

        염은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Hemodialysis patients have been known to have a low quality of life because of extreme physical, psychological distress, social isolation and financial difficulties. Thus, nurses who interact the most closely with hemodialysis patients are in important position to provide high-quality nursing to promote patients’ health level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good nursing experience of hemodialysis patients, an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develop strategies and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for hemodialysis patients. This study employ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five hemodialysis patients who have been dialyzed for one year or longe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012 to January, 2013 through in-depth interviews until it was satura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four concrete steps suggested by Giorgi. Meaning unit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points in which the transition of meanings happens from the nursing science perspective. Then, The given meaning units were transformed into the disciplinary expression. The meaning units which were thought to be the essence of experience of all the participants in common were combined. Finally, 13 sub-constituents and 6 constituents were extracted First constituent of good nursing that hemodialysis patients experienced was ‘Rapid and skillful response to mitigate distress’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nurses’ rapid resolution about complaints of symptoms relieved pain’ and ‘experienced nurses’ skillful fistula needing made patient feel relieved’. Second constituent was ‘Meticulous attention to feel relieved’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nurses’ frequent check on the change of condition reduced fear’ and ‘nurses’ care of patients’ demand and inconvenience in advance made patient feel at ease’. Third constituent was ‘Education targeting at individual status to help self-management’ and its sub-constituent included ‘nurses’ specialized and repetitive information made patient being dependent on’ and ‘nurses’ education targeting at individual has changed patient behavior’. Fourth constituent was ‘An intimate relationship to regain isolated ego’ and its sub-constituents were ‘nurses’ friendly attitude like a family to feel being recognized’, ‘nurses’ bridging role between patients helped patient to maintain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fellow patients’. Fifth constituent was ‘Warmhearted support to encourage strength to live in a exhausting life’ and its sub-constituents included ‘nurses’ kind embracement of patients’ unreasonable demands and inappropriate word and behavior made patient feel thankful’, ‘humor and conversation felt interest released stress’ and ‘nurses’ genuine concern in patients’ body and soul encouraged patient’. Sixth constituent was ‘Providing of comfortable environment to maintain stability’ and among its sub-constituents were ‘controlling bed and room temperature warm made patient feel comfortable’ and ‘maintaining quiet environment made patient take a rest during hemodialysis’. In conclusion, meaning structure of good nursing that hemodialysis patients experienced was ‘Relying body and soul and gaining the positive strength by emotional caring with professionalism in an intimate relationship’. These findings can broaden the scope of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nursing for hemodialysis patients by suggesting general meaning structure of good nursing from the viewpoint of hemodialysis pati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hat enhances hemodialysis patients’ satisfaction. It can als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in dialysis nursing education for nurse practitioners. 혈액투석환자는 신체적, 정신적 고통이 극심하며 사회적 소외감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등 삶의 질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혈액투석환자와 가장 밀접하게 상호작용을 하는 간호사는 환자의 건강수준과 삶의 질을 증진하기 위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해야 할 중요한 위치에 있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가 경험한 좋은 간호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여 혈액투석환자의 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전략과 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혈액투석치료를 받은 지 1년 이상이 경과한 5명이었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2년 9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 (2003)의 자료분석 절차에 따라 의미단위를 나누고 이를 학문적 용어로 전환하여 기술하였고 유사한 기술을 묶어 구성요소적인 진술로 범주화하였다. 도출된 진술들 중 유사한 진술을 묶어 13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6개의 구성요소로 도출하였다. 혈액투석환자가 경험한 좋은 간호의 첫 번째 구성요소는 ‘고통을 완화시켜 주는 신속하고 숙련된 대응’으로 하위 구성요소에는 ‘증상 호소를 신속하게 해결하여 고통이 덜어짐’, ‘경력 간호사의 능숙한 주사 처치에 안심이 됨’이 있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안도감을 주는 세심한 보살핌’이며 하위 구성요소에는 ‘상태 변화를 수시로 확인해 주어 두려움이 사라짐’, ‘요구와 불편함을 미리 살펴 주어 마음이 놓임’이 있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자가 관리에 도움이 되는 맞춤식 교육’이며 하위 구성요소에는 ‘전문적이며 반복적인 정보제공을 의지함’, ‘개인에게 맞춰진 교육으로 행동이 변화함’이 있다. 네 번째 구성요소는 ‘고립된 자아를 회복시키는 친밀한 관계’이며 하위 구성요소에는 ‘친근한 가족처럼 대해 주어 인정받고 있다고 느낌’, ‘환자간의 가교 역할로 동료환자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함’이 있다. 다섯 번째 구성요소는 ‘지친 투병과정에 살아갈 힘을 실어 주는 따뜻한 지지’로 하위 구성요소에는 ‘불합리한 요구와 부적절한 언행을 감싸 주어 고마움’, ‘유머와 관심이 느껴지는 대화로 스트레스를 해소함’, ‘심신의 고단함을 위로해 주어 용기가 생김’이 있다. 여섯 번째 구성요소는 ‘안정을 취할 수 있는 편안한 환경 제공’이며 하위 구성요소에는 ‘침상과 실내 온도를 따듯하게 조절해 주어 안락함’, ‘조용한 공간이 유지되어 휴식을 취하게 됨’이 있다. 결론적으로 혈액투석환자가 체험한 좋은 간호의 본질적 의미 구조는 ‘친밀한 관계 속에서 전문성을 갖춘 감성적 돌봄으로 몸과 마음을 의지하고 긍정적인 힘을 얻음’이었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시각에서 좋은 간호가 의미하는 일반적인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간호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폭을 넓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혈액투석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간호중재 개발과 임상 간호사를 위한 투석간호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병원 간호조직문화 현장연구

        김윤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최근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국민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국민이 자신의 요구에 맞는 의료기관을 선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고객중심적인 환경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병원을 둘러싼 의료 환경의 변화로 병원의 경쟁이 가열되고 있어 병원조직은 고객만족을 위한 전략에 주력하고 있다. 외부 고객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내부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중요한 이슈로 병원조직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조직문화를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일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조직문화에 대해 탐색하였다. 간호사가 공유하고 있는 가치와 신념, 행동규칙과 업무수행 방식, 그리고 업무 수행과정에서 간호사들이 경험하고 느끼는 구조적· 관리적· 관계적 문제들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장기적으로 바람직한 간호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Spradley(1980)의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장소는 S시 소재의 800병상 규모의 상급종합병원의 내·외과 병동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011년 8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4 개월 동안 참여관찰, 개별면담 및 집단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radley(1980)가 제시한 네 가지 유형의 분석 방법에 따라 영역분석, 분류분석, 성분 분석, 주제 분석으로 시행하였다. 광범위한 서술적 관찰과 초기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간호사의 공유가치, 간호사의 업무, 업무처리 방식, 인간관계망, 의사소통, 조직의 구조, 조직의 관리시스템이라는 7개의 간호조직문화 영역이 도출되었다. 7개의 간호조직문화 영역을 중심으로 집중관찰과 성분분석을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유사성과 차별성을 분석하고, 발견된 문화적 영역에서 암묵적으로 발생하는 문화적 의미를 통합하여 7개의 문화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문화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화적 주제는 ‘간호사로서의 투철한 사명감’ 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투철한 사명감에는 환자중심간호를 위한 최선의 노력, 담당 환자에 대한 책임감, 그리고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자긍심이라는 문화적 특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사명감은 간호사가 버거운 간호업무를 견디게 하는 힘이 되었다. 두 번째 문화적 주제는 ‘실수가 용납되지 않는 완벽주의 지향’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자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항상 의료사고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며 안전간호를 위해 철저히 대비하는 완벽주의 지향적 특성을 보였다. 세 번째 문화적 주제는 ‘병동중심의 내부 지향적 결속력’으로 나타났다. 간호조직은 동료의 지지와 수간호사의 포용력을 기반으로 내부적으로 강한 결속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속력은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를 줄이고 조직만족도를 증가시켜 이직 의도를 줄여 간호조직을 유지하는 힘이 되고 있었다. 네 번째 문화적 주제는 ‘병동 외 조직에 대한 배타성’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자신의 조직을 병동으로 국한시켜 인식하고 타 부서와의 관계형성에 제한적인 문화적 특성을 보였다. 환자의 치료에 있어 다양한 전문가 조직의 유기적인 협업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병동조직으로 국한된 인식은 간호조직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다섯 번째 문화적 주제는 ‘위계질서를 기반 한 업무수행’으로 나타났다. 간호조직은 위계적 질서를 기반으로 역할과 책임이 서열화 되어 있어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처하는 강한 팀워크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위계적 질서는 인간관계 갈등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섯 번째 문화적 주제는 ‘지속적 교육을 위한 추구’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전문직으로 성장하고자 지속적 교육을 추구하는 문화적 특성을 나타냈다. 간호사는 새로운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의 마련과 더 많은 교육 기회의 제공을 희망하였다. 일곱 번째 문화적 주제는 ‘변화에 대한 소극적 대응’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치밀하게 짜여진 간호업무 패턴의 변화를 꺼리고 새로운 시도에 대한 수동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또한 의사와의 갈등에 있어 문제 제기를 포기하고 갈등을 피하기 위해 순응하는 문화적 특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도출된 7가지 문화적 주제를 통해 간호조직문화의 변화된 특성을 살펴보면, 간호조직은 팀제를 기반으로 팀간호 수행, 프리셉터제도 도입과 수간호사를 대상으로 리더십 강화 교육 등으로 간호업무가 개인 차원에서 팀 중심의 간호로 변화하고 있으며, 팀워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하는 문화적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전문간호사 제도의 도입으로 간호사는 전문직으로 성장⋅발전하고자 지속적인 교육을 추구하는 등 전문직으로서의 책임감을 강화해 나갔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간호사로서의 투철한 사명감과 완벽주의 지향, 수동적인 태도 등의 전통적인 간호조직문화 특성과 아울러 팀워크의 활성화와 전문직으로의 확대된 발전을 지향하며 역동적인 간호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간호조직문화의 발전적 전망을 제시하였고 바람직한 간호조직문화 창출을 위한 간호조직의 정책 수립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Recently, As the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hospital, hospital organizations have focused on strategies for customer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had a broad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and is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ursing organization in hospital was the department that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nd was associated with the performance of hospital. Therefore, Nursing organization should understand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for adapting to environmental change and improve the productivity of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d by clinical nurses in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1 by mean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using ethnographic methodology of Spradely. The participants of interview were 18 nurses and 5 head nurses who were working and worked at general ward in the hospita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radely’s method.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First cultural theme was 'the full commitment to the mission as a nurse'. It was strength that could endure the ungovernability of the work. The sense of mission as a nurse was consist of the patient-centered care, the sense of responsibility for patient, and the professional pride. The second cultural theme was 'the perfectionism-oriented culture that did not tolerate mistakes'. Despite of their effort, accidents could happen in hospital. So, Nurses felt the burden on medical accidents and were prepared for safety nursing care thoroughly. The third cultural theme was 'inner-directed bond which is centered ward'. Ward-centered bond was based on the support of colleagues and the magnanimousness of the head nurse. This bond was the strength that reduced the nurse’s stress and increased the organizational satisfaction. The fourth cultural theme was 'the exclusiveness for outside organizations'. Nurses were recognized that their own organization was limited to the ward and maintained limited relationships with other departments. The fifth cultural theme was 'the job performance based on hierarchical order'. In Nursing organization, becaus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nurses were sequenced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order, nurses could respond quickly in an emergency situation. But hierarchical order would interfere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ixth cultural theme was 'pursuance for continuing education of nurses'. Nurses pursued continuing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as a professional nurse. The seventh cultural theme was 'the passive cope with changes'. Nurses did not actively solve the problems and then acclimatized themselves to situation to avoid conflicts. Because of introduction of preceptorship in teaching novice nurse and changes of head nurse's leadership,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s in hospital setting were characterized by the ward centered bond. The ward centered bond and horizontal hierarchy have made effective teamwork.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ing organizations could develop strategies an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s.

      • 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하근찬의 <수난이대>를 중심으로

        유진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들어 한국어 교육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의 하나는 한국문화 교육이다. ‘언어를 배우는 것은 문화를 배우는 것이다’는 말처럼 외국어 교육의 최종목적은 자신의 문화와 상이한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언어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 문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대상 언어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반드시 그 사회의 문화적인 상황을 알아야만 한다. ‘언어’는 그 나라의 문화를 총체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므로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교육하고자 하는 데 있어서도 그 속에 담긴 문화적 요소를 소홀히 할 수 없다. 언어란 단순히 의사전달의 수단이 아닌 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나타내는 결정체이다. 모든 언어에는 문화가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언어 속에 담겨 있는 문화적 배경과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언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은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한 지식 없이는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외국인에게 한국문화 교육을 위한 소설 활용 방안을 보여주고 실제적으로 교실 학습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논의들을 살펴보는 서지분석 방식을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의 문화교육의 정의, 범위, 현황, 문제점, 한국 각 대학기관의 한국 현대 소설 교육현황을 분석하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문화교육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설 교육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한다.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문화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알아본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문화교육과 언어교육이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3장에서는 소설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과 언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소설텍스트의 선정에는 어떠한 조건이 있는지 살펴보겠다. 또한 소설텍스트를 활용한 교육모형에 대해 탐구하여 고급과정에 있는 학습자중심의 단계적 교수 학습 방법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다. 4장에서는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정한 하근찬의 단편 소설 <수난이대>를 중심으로 실제 수업방안을 구성한다. 마지막 5장에서는 본 연구를 종합적으로 정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실제로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하는지, 소설을 활용한 모델설계 제시로 본고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는데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