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

        조홍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pplied 'vision' and 'self-management' among the leadership factors of 'KEDI Leadership Program' to improve elementary students' leadership. This study made efforts to help students show leadership throughout their everyday lives by developing their own missions and visions based on positive self-respect, helping them to have accurate understandings of themselves, improving self-management skills with which they can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Wit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had an aim to test the effects of the KEDI Leadership Program on the elementary students' leadership improvement.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KEDI Leadership Program was administered to elementary students and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program was tested.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Does the KEDI leadership program have effects on elementary students' leadership improvement? Research questions 2. Does gender moderate the effects of the KEDI leadership program on leadership improvement? Research question 3. Does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KEDI leadership program show highe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leadership program?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KEDI leadership program was implemented to sixty-five 3rd grade students, who were recruit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Asan city, South Choongchung province: thirty thre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the other thirty two to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roughout eight 40-minutes sessions, with the schedule of two sessions a week, and there was no special treatment to the control group. To test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program, a revised version of the standardized KEDI Leadership Inventory, of which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tested in previous research, was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original inventory was revised by the author under the consultation of the advisor, the developer of the original inventory. The revised inventory was administered twice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one was for the pretest; the other for the posttest. SPSS 13.0 was used for descriptive studie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who experienced 'KEDI Leadership Program' were higher in their scores of the balanced 'self-management'.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nding more 'vision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leadership program by gender.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self-man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KEDI Leadership Program' was significant and that the effects of 'vision'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the only two factors of 'vision' and 'self-management' in the leadership program, so different results may appear for the effects of the other factors. In addition, the treatment period was short, and th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limited to 3rd graders, so future research need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the effects of the other factors in the leadership program using a longer treatment period and the extension of the participants. 본 연구는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김미숙 외, 2007)의 리더십 요인 중 ‘비전’과 ‘자기관리’를 초등학생 리더십 향상을 위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을 바탕으로 사명과 비전을 정립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사회적으로 다른 사람과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자기관리 능력이 향상되어 생활 전반을 통하여 자신의 삶에 스스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김미숙 외, 2007)을 초등학생에게 처치하고, 처치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연구문제 1>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리더십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이 성별에 따라 리더십 향상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은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은가? 가설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충청남도 아산시 소재의 1개 초등학교 3학년 아동 65명을 연구 대상으로 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3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만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을 주2회 40분씩 8회기 동안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용된 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진이 개발한 타당성과 신뢰성이 검증된 표준화된 ‘KEDI 리더십 특성검사’(김미숙 외, 2006)로 본 연구자가 지도교수의 자문을 얻어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추어 다소 재기술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집단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의 분석에는 SPSS 13.0을 이용하였고, 방법으로는 기술통계, 독립 표본 t검증, 대응 표본 t검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균형 잡힌 ‘자기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전’을 더 발견하는 것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으로 리더십 향상 여부를 연구한 결과, 리더십의 하위 변인 중 ‘자기관리’에서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전’ 측면과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의 리더십 하위변인 중 ‘비전’과 ‘자기관리’반 효과검증을 하였으므로 그 외 다른 리더십 변인에 대한 효과검증을 통합적으로 한다면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또한 실험처치 기간이 짧고, 연구대상이 초등학교 3학년으로 제한되어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실험처치 기간을 좀 더 장기화하고 연구 대상의 확대를 통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과 리더십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

        김미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ifted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traits,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haracteristics in a bid to provide quality leadership education tailored to thei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boost the efficiency of that education. It's specifically meant to investigate the personality traits and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relationship of their gender, age and the subject in which they were selected as gifted students to those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traits and those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personality trait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Research question 3. Is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traits and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5 gifted elementary students who received gifted education in college-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s,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under the umbrella of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and gifted classe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ir personality traits was Park Bok-sik (2000)'s modified version of Lee Sang-rho, Byeon Chang-jin & Jin Wi-kyo (1990)'s Personality Traits Inventory, and the other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ir leadership characteristics was KEDI (Kim Mee-sook, et. al., 2006)'s Leadership Characteristics Inventory. After the survey was implemented, a SPSS 17.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personality traits and leadership characteristics. The reliability of the two inventories used in this study was checked, and then the personality traits and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were evaluated.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ir personality traits and leadership characteristic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the result of making a statistical analysi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 about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sociability' was identified as their strongest personality trait, and 'considerateness' was their weakest personality trait. There were no gender gaps in their personality traits, but in terms of personality traits by gr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responsibility' according to grade. The fifth graders got the best mean scores (3.86, p<.001). As the result of making a statistical analysi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2 about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tra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more distinctive than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when the primary factor analysis was made. In the secondary factor analysis, 'righteousness' was the most distinctive leadership characteristic, and 'vision and drive' were the lea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Concerning leadership characteristics by grad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righteousness' according to grade, and the fifth graders got the highest mean scores (4.40, p<.01). As the result of making a statistical analysi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3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ity traits and leadership characteristics, there was a very clos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r=.712, p<.01). 'Safety',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eness' which were personality traits, were relatively more correlated to 'intrapersonal characteristic' which was a leadership characteristic. And 'dominance,' 'sociability' and 'activity' which were personality traits, had a relatively stronger correlation to 'interpersonal characteristic' which was one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responsibility' of personality traits had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to 'intrapersonal characteristic'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and 'dominance' of personality traits had the closest positive correlation to 'interpersonal characteristic'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afety', 'dominance' and 'sociability' of personality trait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to 'interpersonal and organizing skills'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Responsibility' was the most closely correlated to 'responsibility for task performance' and 'considerateness' was the most closely correlated to 'vision and drive'. 'Activity' had the strongest correlation to 'challenging spirit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leadership education tailored to the personality traits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selection of leadership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과 리더십특성을 알아보고 이들 두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초등학생 영재의 리더십 교육을 시행하는데 있어 성격 특성에 적합한 효과적인 리더십 교육을 제공하여 리더십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초등학생 영재는 어떤 성격특성 및 리더십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특성은 학년, 성별, 선발 과목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성격특성 및 리더십특성의 하위 요소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초등학생 영재의 리더십특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과 리더십특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생 영재 1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 도구는 다음과 같다. 성격특성 검사 도구는 이상로, 변창진, 진위교(1990)가 만든 것을 박복식(2000)이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성격특성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리더십특성 검사 도구는 KEDI(김미숙 외, 2006)에서 개발한 리더십특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설문 검사 실시 후,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과 리더십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먼저 연구의 도구로 사용 된 성격특성 검사지 및 리더십특성 검사지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성격특성과 리더십특성을 알아보고, 성격특성과 리더십특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의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은 어떠한가?’에 대한 통계 검증 결과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은 ‘사회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려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격특성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년에 따른 성격특성 분석에서는 ‘책임성’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5학년의 평균값(3.86, p<.00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의 ‘초등학생 영재의 리더십특성은 어떠한가?’에 대한 통계 검증 결과 초등학생 영재의 리더십특성 1차 요인에서는 ‘개인 내 특성’이 ‘개인 간 특성’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차 요인 분석 결과는 ‘의로움’요인이 가장 높게, ‘비전과 추진’ 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리더십특성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년에 따른 성격특성 분석에서는 ‘의로움’ 요인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5학년의 평균값(4.40, p<.0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 3의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과 리더십특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에 대한 통계 검증 결과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과 리더십특성 간에는 통계적으로 매우 높은 정적 상관(r=.712, p<.01)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의 ‘안정성’, ‘책임성’, ‘사려성’의 요인은 리더십특성의 ‘개인 내 특성’과의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성격특성의 ‘지배성’, ‘사회성’, ‘활동성’의 요인은 리더십특성의 ‘개인 간 특성’과의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성격특성의 ‘책임성’은 리더십특성의 ‘개인 내 특성’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성격특성의 ‘지배성’은 리더십특성의 ‘개인 간 특성’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격특성의 ‘안정성’과 ‘지배성’, ‘사회성’은 리더십특성의 ‘대인관계와 조직능력’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으며, ‘책임성’은 ‘과제책임감’과의 상관관계가, ‘사려성’은 ‘비전과 추진’과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활동성’은 ‘도전정신’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 결과가 초등학생 영재의 성격특성을 고려한 리더십교육 및 리더십 프로그램 선정에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 학부모회 조례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 연구 :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를 중심으로

        손일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를 통해 우리 자녀들이 민주시민으로의 건전한 성장과 행복한 미래를 살아갈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학부모 학교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자치 실현을 위해 학생회․교사회․학부모회를 설치하자는 논의가 꾸준히 전개되어 2012년 대선 국면에서 그것이 선거공약으로 채택되고 정책적으로 비중있게 추진되었다. 그러나 학부모회 법제화 추진 논의는 시대상황과 교육계의 여건에 비추어 너무 급격하게 추진되었으며 교육계의 첨예한 갈등과 대립으로 큰 저항에 직면하게 되었고, 학부모들의 협조를 구하지 못해 결국 법안이 통과되지 못했다(김장중, 2010). 그러나 OECD 국가 뿐 아니라 선진국에서는 자녀 교육에 학부모들을 참여시킬 정책개발에 몰두하였고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제도화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 5월 교육과학기술부에 학부모지원부서를 설치하고 정부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학부모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학부모들의 활동이 확대되고 있으나 학부모회를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법률이 제정되지 못하여 학부모들의 활동이 소수의 학부모들의 활동으로 국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자원봉사자로서의 역할에만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경기도교육청에서는 ‘경기도 학부모회 설치․운영에 관한 조례’(이하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를 제정하여 학부모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구체적 지침을 마련하고 학부모의 의견수렴 기능을 강화하여 학부모가 교육공동체의 일원으로서 학교교육과정 운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권리와 의무를 부여하였다. 이 연구는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교육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학부모 학교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경기도 학부모들의 참여 유형과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학부모들의 학교참여 유형은 학교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학부모들이 실제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부모 유형은 학부모조직 참여유무와 관계없이 저학년 자녀들을 위한 교통지도활동과 교실청소 지원 등이 대부분이였다. 이러한 학부모 학교참여 유형은 학기 초 학교에서 강제로 정해진 순번에 의해 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학부모 참여 유형이라고 보기 어렵다. 학부모들은 현재의 학부모회 임원 선출방식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적정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일부 개선을 원하는 경우 사전조율에 의한 무투표당선이 되지 않아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들은 학부모회 활동이 학부모들의 관심이 부족해서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설문조사 결과 학부모회 참여를 하지 않는 이유로 생계유지나 직장, 자녀 양육 등 시간이 없어 참여하기가 어렵다는 응답이 57.7% 높게 나타났다. 학부모 학교 참여활동이 학생의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위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학부모 학교 참여휴가제 등 학부모의 학교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부모 학교참여 활동에 있어서 학부모회비 납부가 부담이 돼서 참여하기 어렵다는 응답수가 적은 것으로 보아 현재 불법찬조금에 대한 처벌 강화 등이 학교에 적응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여 긍정적인 현상으로 평가되었다. 시간적 여유가 없어 참여하지 못하는 학부모들은 학부모회 활동을 위한 인터넷이나 서면투표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학부모회의 문제점으로 학부모 참여활동을 하는 학부모들은 학교와의 의사소통 부재를 응답한 반면 학부모 참여활동을 하지 않은 학부모들은 학부모들이 자기 자녀만을 위한 활동을 하는 것이 문제라고 응답하고 있다. 학부모들의 의사를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의견수렴 기능 강화와 학부모 학교참여 활동이 내아이가 아닌 우리 아이들을 위한 활동이 되도록 지속적인 학부모들의 인식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에는 학부모회의 역할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학교 운영에 대한 의견제시를 제일 중요한 기능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에 추가기능으로는 학생상담 및 생활지도 부분의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들은 자녀의 학교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학부모회 활동을 위한 경비에 대하여는 학부모 조직 참여 경험이 있는 학부모들은 학교참여 활동을 위해 자체 회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비참여 학부모는 학부모회비 납부에 대하여 부정적이었다. 학부모들은 학부모회 활동을 위해 어느 정도의 경비가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회비징수가 또 다른 불법찬조금으로 나타날 수 있어 국가 지원을 원하고 있었다. 이러한 예산을 국가에서 지원하기 위해서는 학부모회가 제도화된 조직이어야 가능하며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는 건전한 학부모 학교참여 활동에 대한 예산지원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학부모회 조례 성과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에서는 학부모 조직에 미참여한 집단과 참여한 집단 모두 학부모가 교육공동체로서의 위치를 정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부모회의 활동에 대한 구체적 지침이 된다는 의견도 높게 나타났다.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에 대한 만족도 응답에서는 학부모 조직 참여 경험이 있는 학부모들이 그렇지 않은 비참여 학부모들 보다는 만족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을 하는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불만족을 응답한 학부모들은 학부모회 조례의 구체적 내용을 잘 모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여전히 참여하는 학부모만 참여하여 활성화되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학교 관리자의 적극적 홍보와 안내가 필요하며 시간적 여유가 없는 학부모들을 위하여 학부모 학교 참여 휴가제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의 한계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 제정으로 인하여 학부모회와 학교운영위원회의 갈등관계에 대한 우려가 있다. 갈등관계 원인에 대하여 두 조직의 기능과 역할이 부정확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59.8%로 높게 나타났다. 갈등 해결방법으로는 학부모회장의 당연직 학부모위원이 되는 것에 대하여 학부모 조직에 미참여 한 집단과 참여 집단 중 학부모회 활동을 하는 집단에서는 높게 응답률을 보이고 있으나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을 하는 집단에서는 반대하는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운영위원회 집단에서는 학부모회장의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위원이 되는 것을 반대한다고 볼 수 있다. 학부모들이 원하는 학부모회 개선사항은 학부모들의 의사가 대변될 수 있도록 의견수렴 기능을 개선하는 것이다.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는 학부모회의 의견수렴기능을 명시하고 있으나 학부모 의견수렴기능에 대한 구체적 절차가 생략되어 있어 세부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의견수렴에 관한 세부 기준이 마련되었다 하더라도 경기도 학부모회 조례가 초‧중등교육법의 하위 법령인 조례로 제정되었으므로 조례에 의해 선출된 학부모 대표가 학교운영위원회 참여할 수 있도록 강제하지 못한다. 또한 학부모 대표로서의 권한과 학부모 전체 의견수렴과정에 대한 내용도 강제할 수 없어 실제적인 학부모대표로서의 학교운영위원회 참여가 보장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학교운영의 자율성과 단위학교의 책임성을 가진 바람직한 학교운영을 위해서는 학부모의 대표성이 확보되고 학부모의 의견수렴기능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이다. 학부모회 법제화는 조례가 아닌 법률로 제정되어 학부모의 학교참여 활동에 대한 권리와 책임을 부여함으로써 학부모가 교육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자기효능감과 시간적 거리가 연주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지애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연구의 목적은 연주자의 자기효능감 지각에 대한 그들의 자기효능감과 연주가 제시되는 시간적 거리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또한 연주가 시행되는 시간적 거리에 따른 연주자의 인지 처리 과정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2번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시간적 거리와 자기효능감에 따른 연주 불안 지각 정도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2에서는 시간적 거리가 연주 불안 지각에 미치는 영향의 원인이 시간적 거리에 의해 발생하는 해석수준의 차이 때문임을 증명하기 위해 피험자에게 시간적 거리를 제시하는 대신 피험자의 해석수준을 직접 변화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주가 가까운 미래보다 먼 미래로 제시될 경우(F=5.053, p<.05)나 연주자의 해석수준이 저차원보다 고차원으로 점화될 경우(F=7.356, p<.01) 연주자의 연주 불안 지각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주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그들이 지각하는 연주 불안의 정도 역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study 1: F=7.353, p<.01, study 2: F=4.437, p<.05). 가장 중요한 것은 연주 불안 지각에 대한 시간적 거리와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는 점인데(study 1: F=10.555, p<.01, study 2: F=9.219, p<.01), 연주가 먼 미래로 제시될 경우 연주 불안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study 1: t=.371, p>.1, study 2: t=.608, p>.1). 하지만 연주가 가까운 미래로 제시될 경우 연주자가 지각하는 연주 불안은 자기효능감에 따라 달라졌다. 구체적으로, 연주자의 자기효능감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그들이 지각하는 연주 불안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study 1: t=4.359, p<.001, study 2: t=3.947, p<.001).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연주자가 자신의 연주를 준비함에 있어, 그리고 교육자가 자신의 학생들을 지도함에 있어 더 효율적인 지침을 제공하여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s of self-efficacy and temporal distance on performance anxiety. And,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performer's cognitive process according to the temporal distance which the performance is conducted, two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Specifically, in study 1, it examined the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according to temporal distance and self-efficacy, and in study 2, to certify that temporal distance resulted in the difference of construal level, it put forward the study by changing directly the construal level of the subjects, instead of suggesting the temporal distance to the subjects. As a result, the study showed that, when the performance is suggested to distant future(vs. near future F=5.053, p<.05), or the performer is primed to high level construal(vs. low level construal F=7.356, p<.01), the performer's perception on performance anxiety becomes low. And, it showed also that the higher the performer's self-efficacy is, the lower their perception level of performance anxiety becomes(study 1: F=7.353, p<.01, study 2: F=4.437, p<.05). The most important result is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mporal distance(construal level) and self-efficacy on perception of performance anxiety(study 1: F=10.555, p<.01, study 2: F=9.219, p<.01). When the performance was suggested to distant future(high level construal),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performance anxiety was not significant(study 1: t=.371, p>.1, study 2: t=.608, p>.1). However, when the performance was suggested to near future(low level construal), the performance anxiety that performer perceived depended upon the self-efficacy. Concretely, it showed the performance anxiety becomes lower when their self-efficacy is high rather than low(study 1: t=4.359, p<.001, study 2: t=3.947, p<.001).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the more effective guideline when performer prepares performer's own performance, and instructor directs instructor's students later.

      • 우수 이공계 인력 유인을 위한 과학중점학교 운영 실태 분석

        박학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우수한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현상을 막기 위해 설립한 과학중점학교가 우수한 학생들을 이공계로 유인하기 위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앞으로 과학중점학교 운영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비교대상학교는 일반계고등학교, 과학․수학특성화지원형 교과교실제학교, 과학고등학교이다. 우수한 학생들을 이공계로 유인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연계열 교육과정과 전국모의고사 성적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과학중점학교 운영은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중점과정의 수학과 과학교과의 이수단위는 일반계고등학교의 자연계열보다 훨씬 많은 전체 교과 이수단위의 49%를 이수하고 있었으며, 전국모의고사 성적도 일반계고등학교나 과학․수학특성화지원형 교과교실제학교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는 과학중점학교가 학생들에게 높은 인지도로 작용하면서 우수한 학생들을 과학중점학교로 유도하는 가시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과학에 대한 태도도 과학중점과정의 학생들이 가장 긍정적이어서 이공계 진학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였다. 과학중점과정의 많은 학생들(35.1%)도 의약계열로 진학하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그 이유를 경제적인 것 보다는 직업의 가치와 보람에 두고 있어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만들 수 있는 지속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수학․과학교사 부족을 과학중점학교 운영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하였으며, 과학중점학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이공계 대학 진학 시 과학중점과정 졸업자에게 혜택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 수업컨설팅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교원을 대상으로

        김태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2013년 현재 3년차를 맞이하는 수업컨설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고, 어떠한 요인이 수업컨설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수업컨설팅의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찾아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인천광역시에서 실시하는 수업컨설팅에 대해서 교원이 보이는 다양한 반응을 연구하였다. 첫째, 수업컨설팅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둘째, 수업컨설팅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수업컨설팅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문헌분석과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속 중등교원을 대상으로 학교유형별로 중학교, 일반고, 특성화고, 특목고 교원 400명을 층화무선추출법으로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현장에서는 수업전문성 신장에 대한 필요가 증가하면서 수업컨설팅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자발성의 원리에 기반을 둔 수업컨설팅은 컨설팅관리자(담당장학사)의 전문성, 절차 및 방법상의 문제, 컨설턴트와 의뢰인의 위계적 문제, 교원의 자발성 부족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응답자의 66.3%가 컨설팅장학의 핵심영역이 수업컨설팅이며, 58.5%가 수업컨설팅의 핵심원리는 자발성의 원리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33.5%가 2013년 현재 3년차를 맞이하는 새로운 방식의 수업컨설팅을 경험하였고, 편안한 관계에서 수업컨설팅을 받아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수업컨설턴트의 조언 및 자문활동을 통해서 수업전문성을 신장하고 수업을 개선하려는 의지도 높았다. 하지만 수업컨설팅이 자발성의 원리에 근거를 둔 컨설턴트의 지도․ 조언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응답자의 40.3%가 여전히 자발적인 의지 보다는 담당부장의 권유로 수업컨설팅을 받는다고 응답하였고, 수업컨설팅을 의뢰하지 않는 이유도 기존의 장학과 별 차이를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교원도 25.5%나 되었다. 수업컨설팅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자발성, 전문성, 학습성이 다른 요인에 비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컨설턴트와 의뢰인의 상호협력(79.3%), 수업관찰 및 분석에 대한 실제적 전문성(83.5%), 연구와 실제 경험을 통한 문제해결에 필요한 기술 및 경험(84.0%), 컨설팅 과정에서 상호간의 역할 및 태도에 의한 학습(75.5%)이 수업컨설팅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교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수업컨설팅의 문제점으로는 협의시간의 부족을 지적하였다. 응답자의 33.0%가 문제점을 진단하고 분석할 상호 협의시간이 부족하여 내실 있는 수업컨설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했으며, 수업관찰 및 분석에 대한 전문지식과 경험이 있는 수석교사 및 동료교사가 수업컨설턴트로 활동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학사, 교감이 수업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어서 컨설턴트와 의뢰인(교사)간 상․하 수직관계를 의식하고 있는 교원들은 수평적 관계 속의 편안한 컨설팅을 받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교원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수업컨설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및 의뢰인(교사) 교육을 통해서 교원들이 열린 마음으로 자발적으로 수업컨설팅에 참여하게 하고, 수업컨설팅을 통해서 수업전문성 신장 및 교수학습 방법이 개선된 교원에게는 수업발표대회 참여 및 수업선도교사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청에서는 수업컨설턴트가 의뢰인과의 상호협력, 지도․조언 활동, 문제 확인 및 기술적 지원을 통해서 정해진 기간에 의뢰인(교사)의 수업전문성이 자연스럽게 신장될 수 있도록 전문성 확보를 위한 워크숍 및 연수를 지속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관리자는 충분한 협의시간을 확보하여 1:1 대면 형태의 수업컨설팅이 내실 있게 이루어지도록 컨설턴트와 의뢰인(교사)이 교수학습방법 개선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넷째, 컨설턴트는 수석교사 및 동료교사 중에서 선발하여 의뢰인(교사)이 수평적 관계 속에서 편안하게 컨설팅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교육복지사업전담인력의 사기 진작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 프로젝트조정자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김승룡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교육, 문화, 복지 수준을 총체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학교가 중심이 되고 지역사회가 지원하는 교육공동사업으로 2003년 서울과 부산 8개 지역의 79개 학교 시범사업으로 출발, 2010년 10월말에는 전국 16개 시·도가 참여 100개 지역의 534개교였으나, 2011년에는 이보다 배가 넘게 증가한 1,423개의 초·중등학교가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그 동안 이 사업이 질적 및 양적으로 확대 발전 할 수 있었던 것은 사업을 수행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으나, 그 중에서 특히 사업의 핵심인력이라 할 수 있는 PC와 지전가의 숨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주체 중 광주와 전남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PC와 지전가에 대한 사기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Maslow의 욕구단계이론과 Herzberg의 2요인 이론을 중심으로 사기 결정 요인을 도출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121명의 설문 결과를 SPSS 12.0k를 사용 빈도분석과 교차분석(Fisher의 exact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의 사기진작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과제는 신분보장의 확보였다. 현재 근로계약이 1년 단위 계약직 신분으로 신분보장이 확보되지 않은 열악한 상태에서 근무하고 있어 역량을 갖춘 전문가로서 교육복지사업이 추구하고자 하는 근본목적인 교육의 본질을 살리면서 유의미한 학습여건 조성을 위해서는 신분보장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겠다. 또한, 보수면에 있어서는 최근 규정을 마련하여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며, 이에 대한 향후 성과분석이 필요하겠고, 후생복지제도적 측면에서도 공무원 수준의 복지 혜택이 주어져야겠다. 사회적 평가 정도는 보통인 수준으로 사업의 당위성과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한 홍보활동이 요구된다. 자긍심과 자아실현 측면은 긍정적으로 나타나 앞으로 사업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고, 지속적으로 능력발전과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겠다. 끝으로 이러한 사기진작 방안을 토대로 단일화된 법령을 제정하여 그 법령안에 신분보장과 보수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 마이스터고등학교 운영 사례 분석 : 강원도내 마이스터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벽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학교생활적응 요인 파악을 통하여 마이스터고등학교 운영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강원도 소재 마이스터고등학교인 원주의료고등학교 교사 55명과 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과지도, 현장과의 연계, 생활지도 분야의 전문성 신장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지도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교수·학습방법 개선 및 수업설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과의 연계를 위한 산업체 우수강사 확보 및 특정 직종에 대한 산업체 신기술 연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아가야 한다. 둘째, 마이스터고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은 과중한 업무 부담에 따라 학교와 사생활의 분리가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중한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체계적인 직무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업무분담과 교무행정사 등 교육 행정 인원을 확충하기 위한 재·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은 산학협력 및 실습기회와 다양한 체험활동 기회, 친구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학교 만족 요인으로 나타내었다. 한국형 의료분야 마이스터를 양성하기 위해 의료 관련 산업체와 학교의 협력체제 구축을 통한 실습기회 제공과 다양한 체험활동은 마이스터고 진학에 대한 자긍심을 느낄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넷째, 학생들의 입학 동기로 한국형 마이스터가 되기 위해 입학한 학생들을 위해 취업캠프, 현장체험 등 취업기능 강화 사업을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교 내 취업지원 프로그램 강화, 산학연계 활성화를 통하여 좋은 일자리에 취업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행정실무사 운영 실태 분석 : 경기도교육청소속 교무실 근무 행정실무사를 중심으로

        이수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에서 시행하고 있는 행정실무사 제도로 교원의 행정업무경감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무실 근무 행정실무사 운영실태를 분석하여 행정실무사 제도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실무사 제도 및 교원의 행정업무경감 효과에 대한 교직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행정실무사 제도 운영이 학교급간, 학교규모별 차이가 있는가? 셋째, 행정실무사 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교육청북부청사 관할 공립초, 공립중, 공립고등학교에 근무하는 137개교에서 교원 1,370명, 행정실무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교원 1,220부, 행정실무사 294부를 회수하였다. 유효 자료수 교원 1,162부, 행정실무사 279부를 분석하여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실무사 제도에 대한 도입취지 인식 및 교원의 행정업무경감 정도는 매우 높았으나, 행정실무사의 활용 효과(만족도)에 대해서는 만족한다는 의견이 교원(79.2%)보다 행정실무사(56.9%)의 만족도가 낮았다. 이러한 교직원간 행정실무사의 활용효과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무엇인지 진단하여 활용 효과(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급 및 학교 규모에 따라 행정실무사 배치 인원이 다르므로 행정실무사 제도 운영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제도운영에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홍보하고 제도 운영의 미흡한 부분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행정실무사 제도의 개선 사항으로는 행정실무사를 지도 관리하는 교원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행정실무사 처우 및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임금 제도 개선 및 고용안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교원과 행정실무사의 담당업무를 명확히하고 교무행정업무경감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행정실무사의 점진적 증원이 요구된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원의 행정업무 경감을 위하여 도입된 행정실무사 제도가 교원과 행정실무사가 함께 만족하는 제도로 운영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 행정실무사 배치 기준으로는 교원 행정업무 경감을 100% 달성 할 수는 없다. 따라서 한정된 예산으로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교원행정업무 경감의 목표치와 그에 필요한 행정실무사의 배치 기준을 재설정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가나 도교육청 차원에서 교원의 직무 분석과 그에 따른 교무행정업무량을 산정하여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둘째, 행정실무사 한·두명이 교원행정업무를 모두 담당할 수는 없다. 따라서 교직원간 합의를 통하여 교원행정업무경감이 시급한 업무부터 우선순위를 정해 행정실무사의 담당업무를 명확히 하여 교직원간 담당업무로 인한 불필요한 부담을 사전에 차단하고 담당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행정실무사 제도 시행으로 행정실무사의 업무부담은 많아진 반면, 처우 개선이 그에 합당했는가를 따져보아야 할 것이다. 처우개선 없이 업무만 과중된다면 근로 의욕 상실로 이어져 제도 운영 효과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 집행연구

        정효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을 통한 특수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정책목표를 가지고 집행되는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이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집행되는지 살펴보고, 문제점을 밝히며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기존의 정책집행이론과 특수교육관련정책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 집행연구를 위한 변수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변수는 충청남도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육보조원, 특수교사, 통합교사들에게 적용되었고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의 집행실태 및 문제점,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먼저,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의 집행실태 및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에 참여하는 특수교육보조원, 특수교사, 통합교사는 정책의 목표와 내용을 자의적으로 해석하며 정부가 정책을 통해 이룩하고자 하는 사회적 상태를 간과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정부가 본 정책을 통해 특수교육의 질 향상과 통합교육의 발전으로 안내하려고 했던 정책적 취지는 특수교육보조원의 전문성 부족, 특수교사들의 정책내용의 주관적 판단, 통합교사들과 관리자의 비협조적 태도라는 새로운 장애물을 만나고 있었다. 특수교육보조원과 특수교사, 통합교사들은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을 통해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정책집행 시 세 집단의 협조관계와 상호작용은 원활이 이뤄지지 않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정부의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처우개선제도 역시, 특수교육보조원에게는 만족을 주지 못하고 교사집단에게는 위화감을 조성하는 모습을 보이며 통합교육현장에서 긍정적으로 수용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가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에 참여하는 세 집단에게 특수교육과 관련된 심층적이고 전문화된 교육적 서비스를 실시하여 기본적인 특수교육의 이해가 마련된 뒤 본 정책의 구체적인 취지와 목표, 정책내용,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협력적 지원을 위해 학교현장은 공개적이고 협력적인 체제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며, 특히, 각 특수학급에 설치되어있는 개별화교육지원팀을 강화되어야할 것이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채용절차는 다수의 특수교육전문가들이 채용하는 구조로 수정되어야 하며, 특수교육보조원이 배치된 학교는 정기적인 평가관리를 통해 인력의 누수를 막아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교육보조원의 장애학생지원능력 향상을 위해 특수교육보조원의 채용을 학기 말로 이동시켜 역할에 대한 사전연수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의 특수교육보조원의 연수는 경력별․학급별․학교별로 세분화하여 학교상황과 밀접한 내용으로 개선해야 할 것이며, 연수 기획 단계부터 특수교육보조원을 참여시켜 연수내용의 현장감을 높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이 통합교사와 관리자의 방임적 태도에 의해 축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들에 대한 역할의 재정립과 통합교육의 바른 이해를 전제로 한 가산점 제도의 도입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 지원정책을 내용, 조직, 환경으로 구분하여 학교현장을 관찰함으로써 정책참여자들의 다양한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특수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적 실천방안을 제시한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