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政府單位間 行政機能配分에 關한 硏究 : 地方自治團體의 行政機能을 中心으로

        박성연 忠南大學校 行政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grasp the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 in the Executive. These contents analyzed to establish the democracy of local administration and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function in the local administration. This study is to try the analysis of general theory and the principle or a standard in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 There-fore, the dissertation was an attempt to improve Administrative Function by doing more local autonomy than central government in korea in a sence, the assumptions i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bout the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s in Government Unit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chapter in a dissert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1. The problem statement A. The purpose of this study. B. The methods and scope of this study.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A. The concept and nature of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1) Concept of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2) Nature of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B. The need of administrative function redistribution. 1) Change of local autonomy pattern. 2) Trial of regional administration pattern. 3) Change of quality and extension in local administration. 4) Phenomena of urbanization. C. The principle of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1) Principle of a Japan Shaup Mission 2) Principle of an investigation Committee of Japan supervisory administration. 3) Two Kim’s principle. D. The variable of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1) Leg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2) Empirical local autonomy. 3) Pursuit of efficiency and democracy. 4) Environment of local autonomy. 5)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traffic and communication. Chapter 3. Division and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 A. Divis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 1) Standard of interest concern. 2) Division of local and central affairs (or delegated affairs). B. Distribution of administrative function. 1) Division of legal affairs. 2) Division of estimated expenditure in local autonomous entity. 3) Situation of central affairs (or delegated affairs). C. The problem of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1) Absolute centralism. 2) Increment of central affairs. Chapter 4. Coordinate altenative of local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A. Emphasis on local decentralization. B. Rational coordin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1) Coordination of central affairs (or delegated affairs) in legal regulation. 2) Improvement of delegated pattern in administrative affairs. 3) Establishment of priciple of administrative function distribution. 4) Practice in parallel with manpower and budeget. 5) Sublation of unnecessary in tervention and control. 6) Rationalization of distribution of financial resources. C. Developmental direc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y (or local autonomy local system). 1) Coordination of local autonomy area. 2) Coordination and expansion of local affairs. 3) Security of local finances. 4) Expansion of residents election. Chapter 5. The conclusions. From these contents, this study emphasize upon the administrative function betterment in government. In conclusion, local autonomy in administration can be adapted to democratic pattern in order to contribute national development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 administrative efficiency.

      • 수원화성 공공(公共)공간(空間) 활성화 계획 : 공공디자인요소 적용

        강태경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crater phenomenon in urban center has declined the quality of urban residents’ life as it led to the slumism. The decline in urban center occurred due to a transfer of urban functions in commerce, administration, and residence; regardless of domestic or foreign, many cities went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and the population of the neighboring cities has swollen. This phenomenon caused city’s decline in residential function, and went on to the slumism by stultified commercial supremacy. There were several attempts to resolve such matter, and a typical example is the revival of urban functions by utilizing the public spaces. Up to recently, roads and plazas have been used merely for vehicle traffic and parking, and this built the traffic oriented cities which worsened the urban environments. Many cities have tried hard to revive the urban environments by expanding vehicle free spaces, and conducting numerous events at those places to create new culture and invigorate the economy. The Hwaseong castle which is located in Suwon city, was constructed in 18th century and served as acentrality in Suwon area for long time, but many facilities had been damaged since it went through the harsh Korean War and Japanese Colonialera. Moreover, developments in Dongsuwon, Buksuwon, and Yeongtong-gu after 1980s kicked off the crate phenomenon at urban center and the Hwaseong castle is currently losing its vitality. After being registered as a UNESCO heritage property in 1997, many tourists visited in every year. However, because of boundaries drawn by castle fortress, interior appearances of the Hwaseong castle contrasts with exterior appearances, and it is struggling to gain the vitality.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s to promote urban vitalization and re-store Hwaseong’s identity as a historical city by turning exemplary public spaces such as paldalro and a plaza front of Hwaseong castle into the cultural spaces. In the first chapter of the progress, background and objectives of the research were mentioned as well as the scop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In the 2nd chapter, notion and scope of the public spaces were defined, and requirements to be great public space fulfilling its role in the change of city paradigm were analyzed through th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data. In the 3rd chapter, public space vitalizing cases at home and overseas were analyzed by looking into relevant websites and preceding research data, to clearly understand flows and methods of the vitalization policy, and put that knowledge to practical use for this research. The information on domestic cases was earned through actual visitation to the cities. In the 4th chapter, background of the Hwaseong Castle’s construction with its facility outlines was reviewed. Also, Hwaseong castle’s identity along with its historicity and internal geographical/environmental status were verified, and then numbers of population, buildings, cultural assets, tourists, and cultural events in addition to district unit and city planning were analyzed with Suwon city’s statistical data to suggest supportive grounds for this study’s reasonableness. In the 5th chapter, specific suggestion of vitalizing the public spaces contained construction planning of rebuilding paldalro and a plaza front of the castle into the cultural spaces in order to create cultural contents within the castle and firmly imprint a Suwon Hwaseong’s image as Historical place to the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도심의 공동화는 슬럼화로 이어지면서 도시민의 삶의 질을 저하 시킨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많은 도시들이 산업화를 거치면서 인근지역으로의 도시팽창이 발생 했고 행정, 상업, 주거 등의 주요 도시기능의 이전에 의해 도심공동화가 일어났다. 이는 주거기능의 악화와 상권의 쇠락에 의한 슬럼화로 이어졌고 이를 해결하기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으며 그중 대표적인 사례가 공공공간 활성화에 의한 도시기능의 활성화이다. 최근까지 도로나 광장 등 도심의 대표적 공공공간은 단순히 차량의 통행이나 주차를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어져왔고 이로 인해 차량중심의 도시가 만들어지면서 도시환경은 열악해졌다. 많은 도시들이 이렇게 열악해진 도시환경을 재생시키기 위해 보행자위주의 공공공간을 확장하고 보행자들이 그 공간에서 문화를 만들고 이벤트를 진행하도록 하여 도시의 기능을 되살리고 경제를 활성화 하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수원화성은 18세기에 축성되어 오랜 시간을 수원지역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해왔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많은 시설들이 훼손되었고 1980년대 이후 시작된 동수원, 북수원, 영통지구 등 인근지역의 개발로 도시가 팽창되면서 도심공동화가 시작 되었고 현재도 활력을 잃고 있다. 1997년 유네스코문화유산 등록 후 해마다 많은 관광객들이 다녀가고 있으나 성곽으로 경계 지어진 화성성내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성 외부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좀처럼 활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화성성내의 대표적 공공공간인 팔달로와 화성행궁앞 광장을 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도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이를 통해 화성이 갖는 정체성을 되살리며 화성이 역사도시로서의 거듭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은 제1장에서 연구의 배경과 목적, 또 연구의 방법 및 범위에 대해 논하였다. 제2장은 공공공간에 대한 개념과 범위를 파악하고 현대 도시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공공공간의 역할과 좋은 공공공간이 가져야 할 요건에 대해 여러 국내외의 자료를 통해 연구 분석 하였다. 제3장은 선행 연구된 자료와 관련 웹사이트 방문 등을 통해 국내 및 국외에서 진행된 공공 공간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공공 공간 활성화 정책의 흐름 및 활성화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도록 하였는데 국내의 사례 도시는 직접 답사를 통한 자료수집에 치중 하였다. 제4장은 화성의 축성 배경과 화성의 시설개요 등 화성의 역사적 내용 등을 되짚어보고 화성이 갖는 정체성 및 역사성을 확인하고 성내의 지형적 현황 등 자연 현황을 분석 하였으며 인구현황, 건축물 현황, 문화재 현황, 관광객 현황, 문화행사 현황 등 현재 성내현황을 수원시의 통계자료 등을 통해 분석하고 도시계획 및 지구단위계획 사항 등을 조사 분석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에 대한 근거로 제시 하였다. 제5장은 공공 공간 활성화 방안의 구체적 제시로 건축 계획안을 담았는데 화성성내의 대표적 공공공간인 팔달로와 행궁 앞 광장을 문화공간으로 탄생시켜 성내의 문화 컨텐츠를 담아내고 화성을 찾는 국내외 방문객들에게 역사문화 도시로서 수원화성을 확실하게 이미지 메이킹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고속도로 휴게소 수면 시설 계획 : 화물차 운전자 중심으로

        송무석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과학 문명의 발전에 따라 국민소득과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물류수송이 많아짐에 따라 생활 운전자들의 피로로 인한 졸음운전으로 고속도로 교통사고가 증가하고 운전자들의 휴식, 샤워, 수면 할 수 있는 충분한 휴식과 여유의 시간을 가지고 운전 할 수 있도록 생활 운전자들만의 공간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최근 들어 고속도로와 항만 및 거점 휴게소를 새로 건설 하거나 시설의 보완과 제도의 정비 등 교통 여건의 개선에 힘입어 조금이나마 나아지고 있고, 더 쾌적한 환경이 될 수 있도록 화물차 운전자들의 휴식 공간을 계획 하게 되었다. 6년 연속 세계 5대 자동차 생산국의 반열에 우뚝 지킴을 하고 있고, 2010년 한 해 동안 역대 최고치인 427만2000대를 생산하여 전 세계 자동차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5%다. 2030년에 GDP 규모 2만4천6십억 불, 1인당 GDP 4만9천 불, 국가 경쟁력 10위, 삶의 질 순위는 10위로 제시 (비전2030), OECD가입국 영국,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핀란드, 아일랜드와 룩셈부르크의 경우 1980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스페인, 포루투칼과 터키 등은 1990년대 후반까지 증가하다가 그후부터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 1980년에 우리나라는 자료가 파악된 26개국 중 8번째로 많이 발생 했으며, 1990년에는 26개국 중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다음으로 많이 발생 했다. 2000년에는 29개국 중 미국, 일본, 다음으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했고, 2008년에는 29개국 중 미국, 일본, 독일, 이탈리아 다음으로 많이 발생 했다.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 높은 사고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고, 이로 인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은 국민이 수용할 수 는 수준을 크게 초과함으로써 심각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고속도로는 빠른 주행속도로 대량의 차량이 속도를 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피로, 졸음 운전으로 교통사고가 많은 인명 피해와 물적, 인명 피해를 초래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고속도로에 대한 교통사고를 줄이고 물적, 인적, 금전적인 손해를 줄이고자 화물차 운전들의 휴식, 샤워,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휴게소 대상 위치와 주차 대수에 따른 표준 설계 대안을 제시하고 교통사고의 예방과 안전 운전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기업의 매출이 증가하고 비용 절감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공공적인 목적에 도움이 되고자 고속도로 휴게소의 휴식, 샤워, 수면 시설을 계획 하고자 한다. As the transportation for physical distribution is becoming larger through the improvement in people's income and the standard of people's living by virtue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on the highway are on the increase due to drowsy driving from day job drivers' tiredness. However, such an adverse situation seems to get a little better since the authorities concerned, based on their judgement that there is a shortage of the exclusive space for day job drivers in which they can take a full rest, shower, and sleep for their safer driving with freer time, built a new highway, port and base rest-stop on the highway, together with their effort to improve the traffic conditions such as supplementation of facilitie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 etc. Accordingly, this study came to make plans for resting space for truck drivers and for more pleasant environment. Korea is taking up its position as one of the world's top 5 auto makers for 6 years in a row, and during the year 2010, Korea produced 4.272 million units of vehicles marking the highest record in history, covering 5.5% weight in the world auto production. According to Vision 2030 suggested by Korea, it is estimated that its GDP will be 2 trillion and 406 billion dollar, per capital GDP 49 thousand dollars, and Korea will be on the 10th rank i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10th rank in life quality in the world (Vision 2030). Among the OECD countries, Great Britain, France, Belgium, the Netherlands, Switzerland, Finland, Ireland and Luxemburg have shown a steady decline in traffic accidents since 1980 while the traffic accidents in Spain, Portugal, and Turkey including Korea were increasing until the late 1990s, and since then, the traffic accidents have been gradually on a downward trend. In 1980, Korea was ranked 8th in the cases of traffic accidents among the 26 countries whose data on traffic accidents were identified. In 1990, Korea had a lot of traffic accidents after the US, Japan, Germany, Great Britain. In 2000, there occurred a lot of traffic accidents in Korea after the US, and Japan among 29 countries, and in 2008, Korea had a lot of traffic accidents after the US, Japan, Germany and Italy among 29 countries. Still, Korea is actually showing a high accident rate in comparison with industrial countries, and its subsequent human victims and economic losses greatly exceed the level which the people can afford, so the traffic problem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issue. Particularly, on the highway, lots of vehicles are running at breakneck speed, and its subsequent drowsy driving and tiredness cause traffic accidents frequently accompanied by physical damage and human victims.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the standard design alternative consequent upon target site for a rest-stop and number of vehicles for parking in order for truck drivers to take a rest, shower, and sleep with the aim of reducing traffic accidents on the highway, and physical, personal, financial losses; further, this study is intending to make a plan for the resting, shower, sleeping facilities at a rest-stop on the highway with a view to being helpful to prevention of traffic accidents and safe driving, aggressively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corporate sales, reduction in costs, and also being helpful to public purposes.

      •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한국관광안내센터 계획에 관한 연구 : 명동지역을 중심으로

        김진환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는 다양한 변화와 급속도로 빨라지는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삶의 질과 목표가 높아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그런 배경은 국내외 관광객들의 관광 형태를 변화시켰으며 ‘보는 여행’에서 그 지역의 문화를 체험하고 먹거리를 즐기는 이른바 ‘체험 여행’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런 관광 형태의 변화와 한류 열풍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 관광객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관광산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한국을 알리고 다양한 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관광지가 늘고 있으며 관광객에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관광안내센터도 그 수 가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찾은 관광객들은 주요 인기 관광지에만 체류하고 돌아가고 있으며 관광안내에 대한 불만도 계속되고 있다. 이는 외국 관광객의 꾸준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재방문율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오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차원적인 안내에 머무르는 관광안내센터가 아닌 관광객에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개인 맞춤형 정보와 문화 체험, 식음 등 다목적 공간을 제공하고 폐쇄적이지 않은 언제나 열린 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으며, 급변하는 사회의 변화에 맞춰 인터랙티브 디지털미디어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관광안내 센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기존 관광안내센터의 매뉴얼과 현황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 앞으로 발전해가야 할 비전을 제시하며, 디지털미디어의 특성 및 분류를 통해 적용하고자 하는 요소를 정리한다. 최근에 설립되거나 리뉴얼된 국내의 주요 관광안내센터를 조사·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외의 관광지에 건립된 관광안내센터 중 이용 빈도가 높고 평가가 좋은 곳과 비교한 후,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국내외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공간 중 시대의 흐름에 맞춰 최신의 콘텐츠를 적용하여 관람객과 상호작용 하며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사·분석한 후 관광안내센터에 활용 가능한 요소를 추출하여 적용하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해줄 수 있고 지역적 특색을 잘 표현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공간에 디지털미디어 콘텐츠를 적용하여 한국관광안내 센터를 계획하고 그 방향을 논하고자 한다. The quality and the goal of life are getting higher and diversified as modern society changes rapidly in various way facing digital era. These circumstances also transform a type of tourism for domestic tourists as well as foreign visitors. Whereas the traditional form of tourism is characterized by "sightseeing tour", new form of tourism is considered to be "experiencing tour", in which the tourists can experience local culture and enjoy local food.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has increased owing to these changes in types of tourism and hallyu, the Korean Wave. Corresponding to this trend, considerable money and time have been invested in the tourism industry. The various tour programs have been created with a focus on introducing Korea to the foreign tourists and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interesting cultural activities by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ourism information centers has increased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to the tourists. Nevertheless, it is likely that the places crowded by foreign visitors are limited to some of popular places and their complaints caused by insufficient tourism information still occur. As a result, it is reported that revisit rate of visitors has decreased in spite of a gradual increment of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nhanced tourism information center which provides an individually customized information suitable for visitors and becomes a multi-purpose space supplying culture and food experience, in stead of giving only one-dimensional tour guide. In other words, it serves as an open space where the tourists can feel free to visit and obtain what they want.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s to make advantage of an interactive digital media technology coping with rapidly changing society's needs when implementing the enhanced tourism information center. In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manuals and current status on existing tourism information centers were examined and several problem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view, this paper suggests the vision that should be fulfilled in the future. Using the characteristics and categories of digital media, this paper identifies the components which need to be applied. For comparing domestic information centers to foreign centers, the first step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major domestic tourism information centers which are recently built or renewed. The second step was to compare them to other countries' tourism information centers mainly with high usage frequency and good reputation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future direction for making better tourism information center. Moreover,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way to utilize an advantage of digital media achieving better interaction with visitors. For doing this, domestic and foreign sites using digital media to enhance interaction with visitors were identified first. Among them, with the focus on the sites applying recent digital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emporal flow, the elements feasibly applicable to tourism information center were extracted.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lan and future direction on building Korean tourism information center which is based on the identity design space to express local characteristics and uniqueness, applying digital media contents to satisfy tourists' diverse demands.

      • 푸드 마일리지 개념을 적용한 도심형 마켓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우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s advanced research dealing with the local food system and suggests the design plan for urban park-type local food system centers located in urban parks so as to reduce food mileage and also practice local food in everyday life. Local food movement can be said to be the social activity to improve problems resulted from the world food system by reducing both spatial and social distanc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lanning and designing and also applicability of the urban local food market as a way to activate local food based on advanced literature review. About research procedures, Chapter 1 discusses the study background and purpose, and also study methods and range. Chapter 2 deals with the local food system and food mileage that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urban market design and also studies and analyzes both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s about how to apply it to the local food market. Chapter 3 considers how to apply the local food system. As what have been currently realizing the local food system, the paper examines the farmer’s marketplace,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CSA), Community Business (CB), and urban architecture. Chapter 4 introduces and analyzes local food activities or such that are actually conducting local food in Korea and also foreign countries and then draws implications and agreements regarding the designing of the urban local food market. Chapter 5 designs and analyzes the urban local food market in the urban park based on advanced research. If we practice local food in our lives to reduce food mileage and carbon emission and also improve the distribution structure so as to sell local food in the region where it has been produced, we can expect following advantages: First, reducing the distribution phases of agricultural products will allow producers to gain higher profits. And consumers can buy fresh and safe, in-season agricultural products at a low price. Second, it is possible to realize information exchanges and communica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and mutual confidence will be formed. This will lead to the keener interest in the region. Third, it will activate regional economy and also create jobs. Lastly, it will lower expenses, simplify the packing, and decrease food mileage which leads to less carbon emission. Also, this will result in slower global warming. And through the urban local food market, we can learn how producers and consumers exchange with one another and how they sell and buy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goods made from them. To secure interest in in-season food and also food safety, first, we need to change our recognition as thinking that we have to use local food, that is, the agricultural products of our region. For the change of recogn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and educational programs about local food that can be used by citizens not just remaining in selling it in the local food market. If people come to see the stores selling local food in family units, it will let children have more interest i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hey may come to have intention to cultivate vegetables in person, and this process also can possibly lead to the activity for personality education or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Also, as we can see from the slow food movement, too, using in-season local food produced in the very region does help in transmitting our food culture tradition.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 시스템에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여 푸드마일리지를 줄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로컬푸드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도심공원에 위치한 도심공원형 로컬푸드시스템센터의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로컬푸드운동은 공간적·사회적 거리를 줄여 세계식량시스템으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사회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로컬푸드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도심형 로컬푸드마켓의 계획·설계 및 활용가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의 진행은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범위에 대해서 논의를 하였다. 제2장은 도심형 마켓디자인에 있어서의 이론적 기초가 되는 로컬푸드시스템과 푸드마일리지에 대해서 논의하고 로컬푸드마켓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국내외의 자료를 통하여 연구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로컬푸드시스템의 적용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현재 로컬푸드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농민장터, 공동체지원농업(CSA), 커뮤니티비즈니스(CB), 도시농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로컬푸드를 국내와 해외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로컬푸드 활동에 대해서 소개하고 분석한 후 도심형 로컬푸드마켓의 설계에 있어서의 시사점 및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제5장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심형 로컬푸드마켓을 도심 공원에 설계하고 분석하였다. 푸드마일리지와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도록 로컬푸드를 생활화하고, 그 지역에서 생산된 로컬푸드를 판매할 수 있도록 유통구조가 개선된다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생각할 수 있다. 첫째, 농산물 유통단계의 축소로 생산자는 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소비자는 신선하고 안전한 제철 농산물을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다. 둘째,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교환 및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고 상호신뢰가 형성되며, 지역에 대한 관심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셋째, 지역경제가 활성화되며 고용을 창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용, 포장의 간소화 및 푸드마일리지가 저감되어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구온난화의 속도도 늦출 수 있으며, 도심형 로컬푸드마켓을 통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어떻게 교류를 하며 농산물과 이를 이용한 가공품을 사고파는지를 알 수 있다. 제철식품에 대한 관심과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지역의 농산물인 로컬푸드를 이용해야 한다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인식의 변화를 위해서는 로컬푸드마켓에서의 판매에 그치지 않고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로컬푸드에 대한 다양한 체험 및 교육프로그램의 실시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가족단위로 로컬푸드를 판매하는 매장에 와서 둘러보면 아이들의 지역농산물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며 이러한 채소들을 직접 재배해보고 싶다는 마음도 생겨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인성교육 및 식생활을 개선할 수 있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슬로푸드운동에서도 알 수 있듯이 지역에서 생산된 제철의 로컬푸드를 이용하는 것은 곧 우리 음식문화 전통을 이어가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 재생개념을 도입한 귀금속 판매장 계획에 관한 연구

        박기영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Jewelry sales distribution market has develope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general market. In successful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s jewelry franchise stores, it shows the growth of the field of jewelry business while GMS, GMS (General Merchandise Store) General Merchandise Store is a type of retailer tha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Ideally it is under management of big corporations and as conduct operations to seek higher management efficiency. This sales operation is equipped with excellent product development capabilities. department stores and discount stores have been prosperous. By introducing a new way of distribution to the domestic jewelry market, this research focuses on strengthening the consumer's psychological change on purchasing precious items and developing systematic strategies in which will enable to correspond quickly to rapidly changing consumer market. The unique business form of Geumeunbang, a traditional Korean jewelry distribution method, is disappearing ever since many of small businesses have become affiliated franchise stores under the management of large corporations. Other small commercial type jewelry retail outlets where have decided not to go with big corporations are pioneering a market by sharing innovational business models Jewelry shop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ontemporary economic trends. Before the financial crisis, Geumeunbang mainly concentrated on displaying merchandises in a muted-colored showcase to stand out products. However jewelry industry-jewelry design and showcasing space-has developed significantly after the tough economy, and the fast growing franchises and fashion jewelry have changed the meaning of possession of valuable items. The weakened meaning of possession allowed the size change of the space, the layout of the sales floor, the wider space between jewelry items and also as well as combination of various colors. Because of the recent sales strategies for the jewelry section in the department stores where pursue the high-end market consumption, it becomes the result of conventional low-cost jewelry being pushed away to discount stores. The marketplace should utilize this new consumerism and revive the recession of jewelry market. However, this will not change the big framework of the pre-existed jewelry market that has been established for a long time. There are good marketing methods to reach out to consumers by enhancing the brand awareness of advanced distribution system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To do so, it requires a large investment and time to earn satisfaction of the merchandise from the current customers who have more confidence of buying products in the famous department stores or retailers where their acquaintances had good previous experiences. In order to affect consumer's purchasing sentiment,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ranks on expensive gems like colored stones and diamonds. This sales approach of subdividing is to mend the market gap between wedding gift market this only happens in Korea. It is a Korean wedding tradition to give gifts to spouse non-gift market. The middle market sales should work as multi-functional and bridging the gap between high-end and low-end jewelry markets. This research is about establishing a new type of niche marketing place for jewelry business. With the theme of “upcycling”, creating interior designs of the space and organizing placement of product will go with the regenerated jewelry items that have been added value and higher functionality. This is a future-oriented opportunity for markets and consumers that benefits both. 귀금속 판매 유통시장은 일반 유통시장의 발전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미국과 일본의 경우 GMS GMS(General Merchandise Store) ① General Merchandise Store 종합소매업. 미국에서 발달한 소매업의 한 형태이다. 가장 자본효율이 높은 경영을 추구하기 위하여 경영적으로는 체인 오퍼레이션을 실시하고, 상품 면에서는 우수한 상품개발력을 갖추고 있다. <매일경제> <경제용어사전> http://dic.mk.co.kr/cp/pop/desc.php 과 백화점, 할인점 성장과 더불어 많은 귀금속 체인 업체들이 함께 발전했다. 이에 국내시장에 새로운 유통 형태의 판매장을 통하여, 정체기의 귀금속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구매력을 강화하는 소비자의 심리 변화와 소비 시장의 발전 방향 및 전략 등. 이 연구를 통하여 변화에 좀 더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이에 따른 귀금속 판매장의 향후 변화 방향에 대한 연구를 해보기로 한다. 국내시장의 재래적 유통 매체인 금은방은 유통 개방화와 대형화를 통하여 점차 축소되거나 지역적, 상품적 틈새를 활용한 전문화 된 대형 체인 업체와의 상호 윈-윈 차원의 가맹 점화되어가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도 포함되지 못한 기존의 소규모 상가형 판매점의 경우 자생적 체인화를 통하여 판로를 개척해 가고 있다. 귀금속 판매장은 시대적 경제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기존의 금은방이 단순 배경색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전시, 진열만을 하는 상품 위주의 공간이었다면, 금융 위기 이후 주얼리 산업의 발전으로 가맹점사업의 급성장과 패션주얼리의 유행으로 상재가치(재물)의 의미가 약화하면서 판매장의 공간과 배치에 따른 크기 변화가 폭넓어지고 다양한 색의 조합이 증가 되었다. 최근 백화점의 경우 소비 전략 고급화로 귀금속(주얼리)판매 소비형태가 저가형 할인점으로 이동 중에 있으며, 기존의 귀금속 판매시장은 이와 같은 변화를 하나의 새로운 시장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는 기존시장이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 틀 안에서의 작은 변화에 속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변화된 의식을 고찰하여 이를 판매에 적용하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과는 거리를 두고 있다. 상품의 신뢰도를 위한 선진화된 유통 체제와 브랜드의 인지도를 강화하는 방법도 소비자에게 접근하기 위한 좋은 판매방법이기는 하나, 고객들이 브랜드 상품에 대한 충성도보다 지인의 소개와 유명백화점의 구매를 더 신뢰하는 현재 상황에서는 많은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다. 기존 판매 프로그램 안에 움직이고 있는 귀금속(주얼리)소비시장에서 벗어날 수 있는 소비유도 방향 중 유채 보석과 다이아몬드 같은 고가의 보석을 등급별로 세분화하여 변화된 소비자의 구매 심리에 적용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세분된 판매 방식은 예물시장과 비 예물시장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연결고리 시장이며 이러한 중간 연결판매시장은 다 각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소비시장 내에서 한 부분을 형성하는 새로운 영역의 판매시장을 구현하는 것으로 판매 성격에 따른 공간의 배치와 의미를 판매 상품의 개념과 같게 “재생성“의 주제를 가지고 풀어가려 하며, 이는 귀금속 시장의 디자인 부가가치 창출의 기회와 미래지향적인 판매. 소비시장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 아파트 주민공동시설 활성화 계획에 관한 연구 : 시티팜을 적용하여

        복미라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근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도시가 경제활동의 핵심으로 부상하면서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으로 도시에서의 주택의 양적 공급을 위한 대책으로 도시의 대표 주거유형으로 아파트가 자리 잡았다. 아파트 단지 내 공동시설은 2000년대 이후 아파트 브랜드화와 맞물려 다양한 공간과 시설들이 계획되면서 진화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아파트 주민시설은 경로당이나 놀이터에 불과했다. 하지만 수요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해지면서 독서실, 카페테리아, 코인세탁실, 휘트니스센터, 사우나, 수영장 등이 단지 내 들어서는가 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지들도 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아파트 주민시설은 경로당이나 놀이터에 불과했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해서 정리할 수 있다. 아파트 주민공동시설의 공간의 변화가 거듭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주민공동설이 수요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주민공동시설의 개념을 확대하여 시티 팜까지를 포함한 시티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파트공동시설의 사례지역의 분석을 통해서 기타 옥외시설물 보다도 조경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다른 옥외시설물과 달리 조경의 경우 법적 기준을 초과하여 적게는 3배, 많게는 10배 이상 법적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이러한 기준은 많은 아파트주민들이 옥외시설보다는 조경에 많은 관심을 갖는 결과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에 비추어볼 때 아파트 공동시설 활성화 방안으로서 시티팜의 적용은 충분히 가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가능성을 근거로 아파트 옥외공간을 시티팜을 적용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계획을 수립해 보았다. 그러나 공공 아파트단지에서 민원발생의 위협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시티팜을 통한 사회적 측면의 가치를 추구하기 위한 텃밭 공간은 보다 아파트단지 내 입주자 전체의 이익에 부합하도록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Rapid urbanization has been progressed around the world as cities have risen to the center of economic activities during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Due to this rapidly progressed urbanization, apartment has become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mode to provide housing in quantity. Public faciliti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have evolved in conjunction with the advent of brand apartments since the 2000s since those brands offer various spaces and facilities. Yet, it was only a few years ago when facilities for residents were either senior citizens' center or playgrounds. But increasing numbers of apartments have a reading room, a cafeteria, a coin laundry, a fitness center, a sauna, and a swimming pool within the complex and offer services as the lifestyles of consumers have been divers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public facilities of apartments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time. For public facilities to meet the desires of consumers according to these trends, a paradigm shift is needed. The concept of public facilities needs to be expanded to city farms and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such city farms should be conducted. By analyzing cases of target areas with regard to public facilities of apartment, it has been discovered that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landscaping than outdoor facilities. Unlike other outdoor facilities, there are cases that exceeded the regal limit when it comes to landscaping by 3 at the minimum or even 10 times at the most. This seems to be the interests of people who are more concerned about landscaping than outdoor facilities. In this regard, the applications of city farms as a way to vitalize public facilities of apartments seem to be highly likely. Based on this, the author established a design plan applying city farms. But spaces for city gardens that could minimize the complaints within apartments and pursue social values through city farms should be designed so as to meet the interests of the entire residents.

      • VMD 요소가 리테일 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아웃도어 패션샵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건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re had been many changes in consumer lifestyles since the five (5) day work week was introduced in 2005. As they became to have more free time due to an increase in days off, people have invested a lot of money and time in enjoying leisure time during non-work time. Moreover, they had strongly desired to lead a balanced life mentally and physically, having a good time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nature. As there was a rising interest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camping and leisure activities, many different types of cultural activities had spread and the new and colorful culture that many things were accepted and experienced has developed. In this context, the consumer leisure activity is now established as one part of a healthy lifestyle. As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such as camping, tracking, cycling, jogging and glamping had developed, the culture that some manias enjoyed was changed into one that general consumers shared and enjoy. As a result, outdoor brands for outdoor activities had rapidly increased. For example outdoor brands had kept a high growth rate in 2012 in spite of the prolonged and uncertain global economic downturn. Its high growth led Korean large companies to join in the fashion market and global brands to enter in the Korean market. The number of companies running outdoor businesses was 77 in 2013. 14 of these companies sold outdoor supplies. About 90 companies sold outdoor brands in Korea. Like this, brand competition in the market had already been overheated. It was also expected to be much more intensified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this study classified the key factors of the spatial composition at the outdoor brand fashion retail shop, presented a space in a suitable form through a case study and a survey, and drew the guidelines for a spatial plan. In Chapter 1,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ology, and scope of the study, the effects of VMD elements on the retail shop, are described. In Chapter 2,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tail shop are examined. Change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the consumer lifestyle, the consumption pattern, and the company are explained as the change process in the domestic environment; second, the change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outdoor brands in Korea are described as well as the concept of outdoor brands ; thir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necessity of VMD are reviewed. The display, the stock keeping unit (SKU), and their effects on the fashion retail shop a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components of the shop are divided into the morphological elements and the directing elements of the space to present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components of the shop The morphological elements are divided into the placeness of the spatial composition (a commerce-centered regional form, a town form, an outlet form, and a peripheral form of a city), and the components of the external form (classification by open form and by form). Moreover, the directing elements are divided into the directing space, the interior space, and the customer space. The directing space is subdivided into a main display, a window display, a visual graphic, a specialized product display, and a column display. The interior space is morphologically subdivided into an image wall zone, a shoes zone, a wear zone, an accessories zone, a bag zone, a cap zone, and hangers. The customer space is subdivided into a fitting room, a mirror zone, and a waiting zone. In Chapter 4, a case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components of the shop i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spatial flow of the shop, one of spatial components, is examined by brand. The areas of the shop and the warehouse are calculated. The distribution, and the height of furniture to the area of the shop and the warehouse, and the height of the ceiling are analyzed; second, the open form of the window and the form of the flat surface are examined as the classification by the external form. The proportion of the facade and the location of the door are identified and the elements of the plane form are analyzed; third, the components of the directing space and the interior space are analyzed using the evaluation method made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display and direction as the components of the directing space along with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In Chapter 5, the conclusion and the subjects for further research are presented as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analysis criteria for the componen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quired to direct and display, using VMD elements to connect consumers, the shop and the company, and increase effective brand values with visual tools. When the concept of the design is established, an interior designer, VMD, and a sales representative shall provide the environment needed to increase sales and improve employees' work capabilities. The plan with these spatial characteristics will be connected to customer services to increase sales. Second, the placeness of the spatial composition is the density of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The spatial flow of the shop is the process that an uptown or outlet town is formed and developed. The proportion of the warehouse to the area of the shop was about 36.43% and was closely related to SKU in proportionate to the size of the shop. The long vertical type took up the most in the distribu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external form. The long horizontal type appeared to occupy less in proportionate to the area of the shop. Therefore, it seemed to be required to seek the diversity in spatial planning. Moreover, as for the proportion of the facade, according to the open form of one or two side of the window, the horizontal length changed, but the vertical length, namely the height, did not change. Third, as for an analysis on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on components, Kolonsports and Merrel respectively expressed and delivered visual images clearly in the directing space and the interior space. Women could recognize components better than men in the sex-specific classification. In the age-specific classification, Kolonsports was judged to have the customer base with high royalty due to its high recognition regardless of age. In the occupation-specific classification, experts recognized the directing space better than non-experts. In case of Merrell and Columbia, experts and non-experts similarly recognized the interior space. Fourth, for the directing element of Wildroses, formativeness and harmony were insufficient, but the purpose of selling goods was clear. In the window display, there was a striking diversity in the direction for the delivery of visualization with action mannequins. In case of Merrell, a stable form was shown with excellent harmony, functionality, and purpose even if the formativeness for specialized goods was insufficient. As for Kolonsports, the components of the directing space were stable, whereas the formativeness showing the brand identity was insufficient. In case of Columbia, formativeness was excellent, while the directing elements to deliver the visualization of VMD elements were not diverse. Like this, in the spatial plan for the retail shop, the formativeness for the visual delivery of the brand and the purpose for sales shall be clear, and the diversity in the direction shall be sought to improve the overall environment of the shop and increase brand aware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the connectivity between VMD factors and the retail shop, and data related to a brand spatial plan.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objectivity in a case analysis because a case selection was classified in a form of corporate entranc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cases in the suitable form will be classified from a marketing aspect in future research. 2005년 이후 주 5일 근무 제도가 시행되면서 소비자들의 생활패턴에 많은 변화가 찾아왔다. 휴일의 증가로 인해 시간적 여유가 생기면서 업무시간 외 여가를 즐기는데 많은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게 되고 가족과 자연 속에 함께 하며 정신적, 육체적으로 균형 있는 삶에 대한 열망이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캠핑과 레저 등 야외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문화적 형태의 활동으로까지 확산되었고 그것을 통해서 많은 것을 수용하고 경험하는 새롭고 다채로운 문화로 발전되는 등 소비자의 여가활동은 이제 라이프 스타일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캠핑뿐 아니라 트래킹, 사이클, 조깅, 글램핑 등 다양한 형태의 여가활동으로 변화, 발전되면서 일부 마니아층만이 즐기는 문화에서 일반적인 소비자들이 공감하고 즐기는 문화로 변화된 만큼 당연히 야외활동을 위한 아웃도어의 성장세도 가파르게 변화하게 되었다. 단편적인 예로서 2012년 세계 경기 침체의 장기화 및 불확실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웃도어는 현재까지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높은 성장은 국내 대기업의 패션시장 참여로 확대되었고 글로벌 브랜드의 국내 진출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런 아웃도어의 영업형태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2013년 기준으로 77개 브랜드이며 아웃도어 용품을 판매하는 곳은 14개 기업으로서 국내에서 아웃도어를 판매하는 기업은 약 90여 개로 조사되었으며 브랜드의 시장경쟁은 과열되어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 패션 리테일 샵 매장 공간구성 요체를 분류하고 사례 조사와 설문조사로 적합한 형태의 공간을 제시하여 공간계획의 지침적 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1장에서 VMD 요소가 리테일 샵 공간에 관한 배경 및 목적으로 방법과 범위를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로 첫째, 리테일 샵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국내 환경의 변화 과정으로 유통산업의 변화,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소비행태의 변화 및 기업의 변화 과정을 알아본다. 둘째, 아웃도어의 개념과 국내 아웃도어의 변화 과정과 발전과정에 대하여 알아본다. 셋째, VMD의 시대적 배경과 필요성을 연구하며 Display 및 SKU(Stock Keeping Unit)에 대하여 연구하여 패션 리테일 샵의 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매장의 구성요소로 공간의 형태적 요소와 공간의 연출적 요소로 구분하여 형태적 요소는 공간구성의 장소성으로 상업중심 지역 형태, 타운 형태, 아웃렛 형태, 시 외곽 형태를 외부형태의 구성요소는 개방 형태에 따른 분류와 형태에 따른 분류로 구분하여 정립한다. 또한 연출적 요소로는 연출공간, 내부 공간, 고객 공간으로 구분하여 연출공간은 Main Display, Window Display, Visual Graphic, 특화상품 Display, 기둥 Display로 분류하고 내부 공간은 Image Wall Zone, Shoes Zone, Wear Zone, Accessories Zone, Bag Zone, Cap Zone, Hanger로 형태적 분류를 한다. 또한 고객 공간은 Fitting Room, Mirror Zone, Waiting Zone으로 구분하여 매장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분석 기준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매장 구성요소의 분석 기준을 통한 사례 조사로 첫째, 각 브랜드별 공간 구성요소 중 매장 공간의 장소적 흐름을 알아보고 매장 및 창고의 면적을 산정하여 분포를 분석하며 브랜드별 매장 면적과 창고의 면적, 천정 높이에 따른 가구 높이를 분석한다. 둘째, 외부 형태에 따른 분류로 윈도우의 개방 형태 및 평면의 형태를 조사하고 파사드의 비율과 도어의 위치를 파악하며 평면의 형태에 따른 요소를 분석한다. 셋째, 연출 공간 및 내부 공간의 구성요소는 형태적 분류와 함께 연출공간의 구성 요소로서 진열과 연출의 분류로 평가 방법을 마련하여 사례 조사와 설문조사로 분석하고 고객 공간의 분류로 매장 내 고객의 편의성에 대하여 분석한다. 제5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과 구성요소의 분석 기준으로 결론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첫째, 소비자와 매장, 기업을 연결하는 것으로 VMD 요소를 활용하여 Display로 연출과 진열을 다양화하고 시각적 도구로 이용하여 효과적인 브랜드 가치를 증가시켜야 하며 Design Concept 수립 시 인테리어 디자이너와 VMD, 영업 관계자는 상호 협력하여 판매 증진을 함과 동시에 직원의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살린 계획은 고객에게의 서비스로 이어져 판매를 증대 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업의 변화로 이어져 문화 콘텐츠로 발전되어 감성적 체험을 느낄 수 있는 형태로 디자인 개발의 지속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간적 특성에서 형태적 요소인 장소성은 중심상업지역의 밀도로 매장의 장소적 흐름은 시 외곽이나 아웃렛 타운을 형성하여 발전되는 과정이며 매장 면적에서 창고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36.43%이며 이는 매장 크기에 대비한 SKU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외부형태의 구성요소 중 세로긴 형이 가장 많은 분포를 가지고 있었으며 가로긴 형은 매장면적 대비 정적 착장 수량이 적어 공간계획의 다양성을 모색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파사드는 주목성과 브랜드의 정체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출적 구성요소의 분석 결과는 연출 공간 Kolonsports, 내부 공간은 Merrell이 시각적 이미지 전달을 명확히 표현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분류는 구성요소 모두 남성보다 여성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령별 분류는 Kolonsports가 연령에 구분 없이 높은 인식으로 충성도가 높은 고객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직업별 구분은 연출공간은 비전문가 보다 전문가가 높은 인식을 나타냈으며 내부 공간은 Merrell, Columbia의 경우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설문조사를 통해 넷째, 연출적 요소는 Wildroses의 경우 기능성, 가변성은 미흡하나 시각적 이미지 전달을 위한 조형성은 명확하였다. 액션 마네킹을 이용하여 시각화 전달을 위한 연출의 다양화가 돋보였다. Merrell의 경우는 가변성이 미흡하지만 조화성, 조형성, 기능성이 우수하여 안정적 형태를 보였고 내부 공간의 표현 요소로 브랜드의 정체성이 명확하였다. Kolonsports는 목적성, 조화성, 조형성, 기능성이 매우 균일하게 표현되어 안정감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Columbia는 조형성과 기능성이 우수하였고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를 정확히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리테일 샵의 공간계획은 브랜드의 시각적 전달을 위한 조형성과 판매를 위한 목적성이 뚜렷해야 하며 연출의 다양성을 모색하여 매장의 전반적인 환경을 개선하고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공간계획을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VMD 요소와 리테일 샵의 연계성을 찾아 제시하였고 브랜드 공간계획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의미를 두었다. 또한 사례 선정은 기업이 진출한 형태로만 분류되어 사례 분석의 객관성이 부족함이 있었다. 향후 연구에는 다양한 사례로 마케팅적 측면에서의 적합한 형태를 찾아 분류하고자 한다.

      • Study Cafe & Community 복합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 학업, 취업, 창업자들을 위한 모임 공간 중심으로

        정태봉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ogeth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more and more gatherings and meetings are being held including club events of university students, study groups, on-line/off-line communities, seminars, and training sessions. However, there is a huge shortage in the number of available space where people can get together to carry out activities. Classrooms and coffee shop study rooms can be used as a study space for students or off-site meetings, but there is time constraint in using classrooms and there are just not enough cafes with study rooms.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intended purpose when business meetings and English study sessions are held in restaurants, drinking establishments and coffee shops. Against this backdrop, it was decided to conduct a study on planning a study café and special space dedicated to meetings/gatherings that fully understands such needs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is ideal for people to achieve their purpose and deliver value. In reality, there are not enough establishments that provide space dedicated specifically to studying, working, and meetings, whil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uch special purpose places. This is why a space that can satisfy the need and demand of consumers was planned. A special space tailored to meetings/gatherings is defined as space that can serve a wide spectrum of events - space necessary for companies to hold seminars, lectures, workshop, give presentations, down to smaller sized gatherings such as community or study group meetings, school reunions. Of course a single individual may rent out space just for oneself. Fixed line/wireless internet and beverages can be used, and the space is equipped with various OA equipments such as fax machines and printers. It provides a space to truly concentrate on work for someone who may want to do so in a quiet place. Moreover, it provides space for lectures or sp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gather together. It is for people who would like an independent space, mostly the new generation. In terms of demographics, the users are mostly in their 20s and 30s. There are increasingly more club, study group meetings and external activities by students, meeting and gatherings by office workers, and gatherings by housewives in the area of foreign language, photography, film and education. Space for such needs is provided by cafes, study rooms, multi-purpose rooms, room cafes and cultural centers. Although consumes of all age groups would have a need to rent out such space, in reality the main segment is those in their 20s and 30s. The demand for such spaces to meet the diverse demand of people is on the rise. The end users for the dedicated space has been chosen to be people in their 20s and 30s, early in their adulthood, as teenagers mainly study at school, library, private study rooms, and those in their 40s have a lower demand to rent out space. And within those aged 20s~30s, the main target are students who are studying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English and for employment, and office workers who need to hold club or community gatherings, work meetings. Geographically, the target location is Gangnam Station where many office buildings are located and is the transportation of hub of all universities in the greater Seoul area. In short, it was deemed appropriate to target an area adjacent to universities, preparatory schools, high-rise buildings, companies that all would have a high demand for renting space, and the age bracket 20s-30s. The space should provide a comfortable place that boosts appetite for knowledge through a relaxing atmosphere and interior like a café and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dry and stiff interior of exiting study rooms. The meeting space provider can build a unique design image through tight and systematic customer management and unique strengths that make it stand out from traditional coffee shops. This is a plan on study cafés and meeting spaces that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form an even larger community by facilitating exchanges between communities with common aspects, rather than each gathering focusing on studying, employment, start-ups will simply leave after using the space. 최근 대학생들의 동아리 모임, 스터디 그룹, 세미나, 교육행사, 온/오프라인의 커뮤니티와 모임이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막상 사람이 모여서 활동을 할 공간은 생각보다 부족한 현실이다. 학생들이 스터디를 하기위한 공간이나, 대외활동을 위한 회의 등을 위해 필요한 공간은 학교 내 강의실, 카페 스터디 룸 등이 있지만, 학교 강의실은 시간적 제약과 카페 스터디 룸은 그 수가 터무니없이 부족한 현실이다. 술집, 밥집, 카페에서 경영모임을 하고, 영어 스터디를 하고 하다보면, 원래 목적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 이에 목적을 이해해 주고, 우리의 목적과 가치를 실현시켜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스터디카페 및 전문 모임 공간 계획 연구를 진행 하게 되었다. 이처럼 늘어나는 전문모임공간이나 업무나 스터디를 전문으로 할 수 있는 공간은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현재의 공간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 이러한 환경과 수요자들의 니즈를 파악하여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였다. 전문모임공간 이란 기업의 세미나와 강연, 워크숍, 프레젠테이션 등에서부터 작게는 각종 커뮤니티나 스터디 모임, 동창회 등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한다. 물론 한 사람이 자신만의 공간을 빌릴 수도 있다. 유·무선 인터넷과 음료도 제공되며, 팩스와 프린터기 등 각종 OA기기가 구비돼 있다. 보다 조용한 공간에서 집중해 업무를 처리하고 싶을 때 집중업무공간을 제공한다. 더욱더 나아가 강연이나 다수의 사람들이 모임을 가질 수 있는 공간도 제공한다. 개인적인 성향이 강한 신세대를 중심으로 독립된 공간을 갖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다. 주로 20대 30대 소비자 들이 주 이용층이다. 학생들의 동아리, 대외활동과 스터디 모임의 장소, 회사원들의 미팅, 모임 장소와 최근 외국어·사진·영화·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주부들의 학습 모임도 늘고 있다. 이런 공간을 제공하는 곳은 카페, 스터디룸, 멀티방, 룸 카페, 문화센터 등이 있다. 물론 다른 연령층의 소비자들도 공간대여를 필요로 하고 원하지만, 20, 30대의 수요층 보다는 아주 작은 현실이다. 현재의 공간들은 사람들의 다양한 수요를 만족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10대는 학교나 독서실, 도서관 위주로 공부를 하고 40대 이후로는 따로 시간을 내서 공간을 필요로 하는 수요가 적기 때문에 주로 공간을 필요로 하는 청장년층인 20-30대를 실수요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20~30대 중에서 취업이나 영어 등 다양한 스터디를 하는 학생들과, 동아리나 대외활동 모임, 회의나 모임이 필요한 직장인들을 주 타겟으로 정하였다. 지역적인 면에서 오피스가가 밀집되어 있고 모든 수도권 대학들의 교통 중심지인 강남역을 사이트로 정하였다. 즉 공간대여에 대한 수요가 많을 것이라 예상되는 대학가, 학원가, 고층빌딩, 회사 등의 20-30대를 대상으로 한 targeting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다. 기존의 스터디룸의 딱딱한 인테리어에서 벗어나며 감성적인 카페같이 편안한 인테리어를 통해 동호회, 스터디, 모임 등에 편안하며 지적욕구를 채울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한다. 또한 철저하고 계획적인 고객관리와 보통의 커피전문점 과는 다르게 차별화된 강점들로 감성적 디자인 이미지를 구축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학업, 취업, 창업을 준비하고 있는 하나하나의 모임이 공간을 쓰고 떠나가는 것이 아닌 공통분모가 있는 모임들 간의 교류를 통해 하나의 더 큰 커뮤니티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스터디카페 모임전문공간 계획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