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테이퍼링된 병렬 커패시터를 이용한 10W급 광대역 GaN 비균일 분산 전력증폭기 MMIC의 설계 및 제작

        배경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this thesis, a wideband GaN power amplifier MMIC i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tapered drain shunt capacitors. An output matching technique using tapered drain shunt capacitors enables the nonuniform distributed power amplifier to simultaneously obtain optimum load impedance for maximum output power of each transistor and phase velocity balance between gate and drain artificial transmission lines as well as length reduction of the transmission lines. To improve its linear gain, the nonuniform distributed power amplifier is configured in a two stage in which a uniform distributed drive amplifier is used in the first stage. Also RC parallel circuits are inserted at the gate nodes of the GaN HEMTs for circuit stabilization and the capacitance values are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transistor at the RF input node to the transistor at the termination load to compensate the line loss of the gate artificial transmission line. The 10 W wideband GaN two-stage power amplifier MMIC is fabricated using a 0.25 μm GaN HEMT foundry process of Win Semiconductors Corp. and its size is 4.0 mm × 3.2 mm. Its measured results show a flat linear gain of about 23 dB and input return loss of larger than 10 dB. Under a saturated power mode, it shows output power of 41.2-43.1 dBm and a power-added efficiency of 17.9-22.0 % in 2 to 6 GHz. The measured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simulation results and fully achieves the target specifications. The developed power amplifier MMIC could be used in the electric warfare system, and various wideband transceivers.

      •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패치 안테나와 시분할 2중 송수신부를 이용한 2차원 근거리 FMCW 레이더 모듈 설계 및 제작

        서원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presents design and fabrication of a two-dimensional short range FMCW radar module with microstrip array patch antennas and dual time division transceivers. It calculates the distance of a target from a transmitting antenna using the beat frequency that is extracted from the Doppler frequency shift, and determines the two-dimensional target position by the trilateration that uses the range information from each transmitting antenna in the radar with dual transceivers. The designed FMCW radar module uses a bistatic configuration to alleviate the coupling effect of transmitted and received signals and consists of transceivers with CMOS radar chips, microstrip patch antennas with the Dolph-Chebyshev array pattern and a Labview-based signal processing part. To meet the specifications of the short range FMCW radar, its link budget is calculated and then the detail block diagram of the system is determined. The block diagram is simulated using a Keysight ADS software and passive components such as side-coupled filters and array patch antennas are designed with electromagnetic field simulators such as Momentum and CST. The measurement of the fabricated two-dimensional short range FMCW radar module shows that it has the output power of 15.7 dBm and frequency-modulation bandwidth of 24~24.25 GHz. The fabricated array patch antenna has the gain of 16 dBi and HPBW of 9°(E-plane)/72°(H-plane). The two-dimensional short range FMCW radar module is measured in an outdoor environment and its performance i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developed two-dimensional short range FMCW radar module could be widely used in the applications such as short-range automotive sensors and active protection systems of tanks.

      • 쿳시의 『포』와 『수치』에 드러난 침묵의 의미 연구

        송윤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silence while examining the meaning of silence in the literary works of John Maxwell Coetzee. As a Nobel prize winner and unusually two-time Booker prize winning author, Coetzee has expressed the great pains of writing in his works. What is peculiar is that he has continued to refer to silence in his essays and novels, which can be understood as his giving special meaning to the concept. For this reason,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silence in his works, Foe and Disgrace. For Coetzee, silence does not serve solely as a tool for resistance nor as a device to admit the failure of representation. While the image of silence has been traditionally deemed in a negative light, silence in Coetzee’s works at least does not have a negative meaning; it rather means something positive due to its resistant potentiality. Coetzee’s silence has a broader meaning than that in the existing discourse, where silence has been regarded as an exclusive property of the weak and oppressed, while it served as a tool for resistance. In order to differentiate his understanding of silenc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ocial position of the characters in Coetzee’s novels and the nature of their silence. Friday in Foe is a socially weak character, and he is forced to remain silent because his tongue is cut off. Since he has no power to break his own silence, which could be considered the passive one. Meanwhile, in Disgrace, when David Lurie, a white university professor, remains silent in front of the committee, resisting confessing his sins, which could be seen as active silence. Analyzing the passive/active silence of these two characters will lead to reveal a broader meaning of silence which this thesis aims to study. However, the final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to emphasize the difference between passive and active silence but to examine the potentiality embedded in silence that is found in both cases. There is ‘pure potentiality’ to say or not to say at the moment of silence. In his writings, Coetzee tries to assess the value of silence, which has ‘the potential not to say,’ and considers its fundamental possibilities. Such ‘writing towards silence’ is important because during the quest for silence, one may perceive that silence exists in absence. The weight of its existence is far from light because of its infinite potential. Based on this perception, the Other who keeps silence cannot be reduced to a single meaning, and a cautious attitude is needed in representing it. The gap or hole inherent in silence brings a moment of delay and pause to the established system, which consequently enables new interpretations. Thus, a silent subject has the potential to change or start afresh. The same is true of an author. Through ‘writing towards silence’, an author can break stereotypes by embracing new perceptions and possibilities of change, and keep writing over and over again. These arguments would provide a perspective that allows us to see Coetzee’s works in a broader spectrum and shed light on the traces of his struggle regarding literature and writing.

      • 샬롯 브론테의 『빌레트』에 나타나는 침묵에 대한 연구

        김우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forms, roles, and meanings of blanks as the locus of silence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atriarchal society of 19th century Britain in Charlotte Brontë’s last novel Villette. It also traces the link between the blank of the ending and the silence of Lucy's narrative. The open ending of Villette is different from the ending of Charlotte’s other works that end in marriage. This huge blank provides a fresh opportunity to revisit the book for readers who expect the marriage of Lucy Snow and Emmanuel Paul. It is also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uncertainty of blank. Wolfgang Iser argues that unfamiliarity and dissonance characteristic of this blank does not disrupt the expected course of the book, but rather serves as a catalyst for helping the interaction between reader and the text which invites the reader into the work. Therefore, through this huge blank, readers can see the work again from different angles, which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view they have had before. In silence, Lucy not only reveals the psychology of herself but also leads readers to peep into the inner mind of various characters, using a first or third-person perspective, which is one of the prominent features of this work. All along, Lucy remains an observer and gives readers information about the people around her. Although her "self-hiding" can be uncomfortable to some readers and gives them the impression she is passive, she in fact comes to prominence as a narrator empowered by silent observation. Above all, through her observation of a patriarchal character, such as John and Paul, she offers readers good opportunities to identify the contemporary biases and unjust oppression of women. Contrary to readers’ expectation that Lucy will protest against consistent surveillance, she remains silent and narrates ambivalently, which entails the effect of, in Iser’s terms, "negation." Negation comes to the surface when the reader’s former interpretation collides with newly emerging meanings that her unexpected attitude or narrative assumes. Silence is a significant way by means of which Lucy not only expresses her anger toward Madame Beck's surveillance but also confesses that she “enjoys” watching her. Lucy’s silence also manifests itself in self-control and self-encouragement. Because of this multiple function of Lucy’s silence, readers may be unsettled and see the text lacking in stable meaning. However, it is through this silence that Lucy becomes an emotionally mature person who at the end can have the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such as Paul, Vashti and Paulina. Villette also addresses the issues of women's education and profession that were at the centre of debate before and after this book was published. In this book, Charlotte claims that women must be equally educated with men and have economic independence. After Paul's departure, running her own school, Lucy becomes economically independent. Needless to say, Paul's absence makes her a lovelorn figure, but despite his care for her, Paul repeatedly oppressed Lucy, who argues against regarding knowledge as man's possession. Lucy resists this oppression in silence, sometimes speaking out her mind. So if he comes back alive and marries Lucy, one can anticipate that he will oppress her just as he used to. But without him around her, there would be no more oppression; further achieving economic independence, she finally can live freely. Studying silence in Villette, the reader can explore the power dynamics between Lucy and the patriarchal society. Blank of the end of the book doesn’t have monolithic meaning but a collection of scattered clues. Reader can sum up that clues with their own way of understanding the text which enhances Villette’s literary value. Among the variety of interpretations, this thesis suggests Lucy's being alone in this open-ended scene doesn’t show her lonely but shows how she becomes economically independent and equally respected person.

      • Ludwig van Beethoven Violin Sonata Op. 12 No. 1 에 대한 연구

        김민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Ludwig van Beethoven is one of the best-known composers of the First Viennese School as well as Classical School and a crucial figure in the transition between the classical and romantic eras in classical music. Beethoven’s early works demonstrate profound characteristics of Classicism while his later works incorporate more Romantic musical gestures which exhibit his heightened emotional style. Op. 12 No. 1 is the first Violin Sonata that he wrote followed by 9 other violin sonatas produced in the early and middle period of his career. This piece, subtitled “A piano sonata with violin accompaniment”, is prominently marked by classical sonata form in which piano plays a leading rol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Violin Sonata Op. 12 No. 1 based on the research of Beethoven’s life, change in composition style, and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10 violin sonatas he produced. The focus is on all features in this violin sonata such as musical structure, form, melody, rhythm and harmony with closer examination of each movement of the piece.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빈 고전파 음악과 고전 주의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동시에 고전주의 음악과 낭만주의 음악의 과도기에 중요 한 역할을 한 작곡가이다. 그의 초기음악은 고전주의 음악의 전통적인 양식을 따르면서 발전시켰고 중기부터는 그만의 개성을 뚜렷하게 표현하여 낭만주의적 경향이 많이 나타 난다. 베토벤은 초기와 중기에 걸쳐 총 10곡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하였고 그 중 Op. 12 No. 1은 처음으로 작곡된 바이올린 소나타이다. 이 작품은 '바이올린을 반주로 하는 피아노 소나타' 라는 부제가 붙어있는 작품으로 피아노가 중점적인 역할을 하는 고전주 의 소나타의 음악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있다. 본 연구에서는 베토벤의 생애와 시기별 음악적 특성, 10곡의 바이올린 소나타의 특징 에 대해 알아보고 그의 Violin Sonata Op. 12, No. 1 작품을 각 악장별로 나누어 구조 와 형식, 선율, 리듬, 화성 등을 분석하여 연구한다.

      • Ludwig van Beethoven Violin Sonata Op.12 No.1에 대한 분석연구

        김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루트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프란츠 요제프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와 더불어 고전주의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인 동시에 낭만주의의 문을 연 작곡가이다. 또한 그는 소나타 형식을 발전시키고 완성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베토벤의 작품 시기는 크게 제 1기, 제 2기, 제 3기로 구분된다. 베토벤은 제 1기와 2기에 걸쳐 총 10곡의 바이올린 소나타를 작곡하였다. 그 중 바이올린 소나타 Op.12 No.1은 제 1기에 작곡된 것이다. 이 작품은 ‘바이올린을 반주로 하는 피아노 소나타’라는 부제가 붙어있는 곡으로, 바이올린의 역할이 크지 않고 피아노의 역할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이 작품은 고전주의 소나타의 전통적인 양식을 따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동시에 이 작품에는 베토벤만의 개성도 잘 드러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토벤의 생애와 시기별 작품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바이올린 소나타 10곡의 특징에 대해 연구한다. 특히 그 중 바이올린 소나타 Op.12 No.1의 악장별 특징과 형식, 화성, 리듬 등의 음악요소들에 대해 세밀하게 분석하고 연구한다.

      • (A) hauntological reading of Wuthering heights by Emily Brontë

        나정은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에서는 먼저 『폭풍의 언덕』의 선행 연구, 그중에서도 해체주의적 관점에서의 비평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기존의 비평가들이 『폭풍의 언덕』의 해석의 다양성을 어떻게 바라보았는지를 분석하면서, 이 작품의 해석의 다양성이 문학비평사에서 가지는 의미를 파악한다. 이 작품에 대한 기존의 해체주의적 비평을 토대로,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가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제시한‘유령론(Hauntology)’의 개념을 통해 이 작품을 읽고자 한다.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데리다는 존재와 시간에 유령의 개념을 접목해 인간의 삶에서 구조적 열림으로서 유령이 삶에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지를 전개한다. 이와 관련해 유령 이야기가 가진 유령성(spectrality)은 독자가 자신이 불완전한 존재임을 자각하는 단서이며, 타인의 타자성을 인지하고, 자신의 삶을 덜 무책임하게 살 가능성을 암시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폭풍의 언덕』이 유령과 가장 밀접한 위치에 있는 목격자/화자가 가지는 인식의 한계를 어떻게 드러내는지를 살펴본다. 넬리 딘(Nelly Dean)은 락우드(Lockwood) 앞에서 도덕적으로 올바른 하녀의 모습을 보이고자 하며, 스스로가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해석을 하고 있는 것을 인지하는 화자이다. 그리고 작품은 락우드를 자신의 고정된 사고를 흔들 가능성을 가진 무언가를 배제하는 인물이며, 결말까지 자신의 태도를 바꾸지 못하는 인물로 표현한다. 목격자의 인식 한계와 화자의 해석 한계를 보여주면서 작품은 그들이 보지 못하고 알지 못하는 결여가 있다는 것을 암시하며, 락우드가 무덤 앞에 서서 고립된 채 정체된 모습을 통해 자신의 불완전성을 인지하지 못하는 자의 모습을 죽은 자와 대비한다. 화자를 다룬 후에는 캐서린(Catherine)이 그녀가 남긴 캐서린 히스클리프(Catherine Heahcliff)라는 이름을 통해 무엇을 욕망했는지 분석하고, 그녀의 죽음 이후 히스클리프(Heathcliff)가 자신의 상실을 대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저자는 그녀가 남긴 ‘캐서린 언쇼(Catherine Earnshaw) – 캐서린 히스클리프(Catherine Heathcliff) – 캐서린 린튼(Catherine Linton)’의 문장에서 캐서린 히스클리프라는 이름을 그녀가 사회 질서 및 가부장적 질서가 요구하는 이름이 아닌 오로지 자기 자신으로서 실존하고자 작품 내 모든 질서의 경계선에 있는 이름인 히스클리프를 스스로 취한 선택으로 해석한다. 이를 토대로 ‘내가 히스클리프다(I am Heathcliff)’라고 발화하는 행위는 그녀가 히스클리프를 자신을 완성할 존재로서 그의 타자성을 지우고자 하는 폭력적인 행위가 되고, 외려 그녀와 히스클리프가 분리되는 결과를 초래해 그녀의 죽음에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된다. 캐서린의 사망 이후에 히스클리프는 그녀의 죽음을 수용하지 못하고, 애도에 실패하며 그녀의 죽음을 자기 안에 보존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가 넬리 딘에게 헤어튼(Hareton)이 ‘내 불멸의 사랑의 유령(the ghost of my immortal love)’라고 발화하는 장면에서, 캐서린의 죽음 이후 히스클리프의 삶의 궤적이 그와 캐서린의 죽음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이었던 것을 암시한다. 이는 히스클리프가 자신이 욕망하는 바가 필연적으로 실패할 것을 알았음에도 자행한 일이다. 본고에서는 이 둘의 실패가 락우드가 악몽에서 목격한 캐서린의 유령으로 돌아와, 1세대의 실패한 욕망이『폭풍의 언덕』의 현재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문 3에서는 먼저 린튼(Linton), 헤어튼, 그리고 캐시(Cathy)가 자신이 처한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들이 인지한 결여를 채우고자 하는 시도들을 먼저 분석한다. 『폭풍의 언덕』은 2세대의 서사를 통해 소설 세계 속 질서가 재확립되는 과정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 질서의 불완전성을 유령을 통해 폭로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이 소설은 캐시와 헤어튼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음으로써, 사랑과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 산 자에게 필요한 행위이며, 이 때문에 유령을 보지 못하는 시간인 것은 필연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자신의 불완전성을 보지 않는 무책임한 시간이 덜 무책임하기 위해서는, 이 과정이 가진 불완전성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말에서 유령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언급하면서 드러낸다. 다시 말하면, 『폭풍의 언덕』은 결말부에 유령이 인간과 인간이 살아가는 과정 안에 내재한 삶과 죽음 간의 이분법적 구도를 해체하며, 동시에 우리가 자신의 불완전성을 인지할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지금까지 『폭풍의 언덕』을 데리다의 유령론을 통해 읽으면서, 이 작품의 유령성이 인간과 인간이 구축한 질서의 불완전성을 살피는 창구의 역할을 하는 과정을 살폈다. 더 나아가 독자는 죽음과 타자의 사유를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을 알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이 과정은 익숙한 삶을 낯설게 만드는 유령의 존재가 우리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며, 또한 타인의 죽음을 수용하고, 혹은 애도에 실패하는 과정은 자신과 타자의 죽음이 각각 가지는 고유성을 인지하게 한다. 이는 곧 유령 이야기가 우리의 삶이 고유하고, 대체 불가능하며 유한한 과정이며, 나아가 삶의 유한성을 대할 용기를 찾게 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폭풍의 언덕』의 독자가 타자/죽음을 통해 삶을 삶으로 여길 수 있는지 질문하는 이야기로 읽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