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델지도자의 지도신념, 직업만족도, 지도효능감에 관한 연구

        양송희 동덕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국내 모델 지도자의 지도신념, 직업만족도, 지도효능감를 살펴보기 위해 양적연구를 실시한 [연구 Ⅰ], 질적연구를 실시한 [연구 Ⅱ]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Ⅰ]에서는 모델지도자의 배경변인에 따라 지도신념, 직업만족, 지도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와 지도신념이 직업만족도와 지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는 전국 대학 및 아카데미에서 근무하고 있는 모델 지도자 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지도신념(조인진, 2008), 직업만족도(김태수, 2013), 지도효능감(황은영, 2005)에 관한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독립 t-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지도신념은 모델지도자의 학력, 모델지도자격증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직업만족도는 모델지도자의 학력에 따라 유의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도효능감은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델지도자의 지도신념은 직업만족, 지도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모델 지도자의 올바른 지도신념 인식 전환이 개인의 직업만족도와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결과이다. [연구 Ⅱ]에서는 [연구 Ⅰ]에서 나타난 지도신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모델지도자의 올바른 지도신념의 고찰과 개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모델지도자 1세대인 김동수 교수의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는 모델 지도자의 올바른 지도신념으로 첫째, 사회적 유동성, 둘째, 지도자적 배려, 셋째, 동기부여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종합적 결론은 연구 참여자가 제시한 올바른 지도신념 지향점이 투영된 직업관은 지도효능감, 직업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사료되며, 결국 올바른 지도신념은 학습의 질과 지도자 자신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study has been proceeded with [research 1] that conducted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research II] that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teacher belief, satisfaction of the job, and teaching efficiency. In the [research I], it has been studied as to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eacher belief, satisfaction of the job, and teaching efficiency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of the model instructors and also the influence of teacher belief on the satisfaction of the job and teaching efficienc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41 model instructors working at colleges and academies in the nation. As for measuring tools, survey copies in regard of teacher belief (Injin Cho, 2008), satisfaction of the job (Taesoo Kim, 2013), and teaching efficiency (Eunyoung Hwang, 2005) were used. As for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by using SPSS 21.0. First of all,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 belief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of model instructors and whether they had model instructor certificates. As for the satisfaction of the job,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del instructors. In addition, as for teaching efficiency,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cademic background. Secondly, teacher belief of the model instructor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job and teaching efficiency. This is a result that correct changes in understanding of model instructors were judg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job and quality of education of individuals. In the [research II], importance of teacher belief shown in the [research I} was recognized while analyzing the interview conducted with the Professor Dongsoo Kim as the first generation to consider the correct teacher belief and identify the concept. As a result, as for the correct teacher belief of model instructors, first of all, social flexibility been suggested. Secondly and thirdly, consideration as a teacher and motivation have been suggested, respectively. As for comprehensive conclusion of this study, occupational view reflected with the directing point of correct teacher belief that was suggest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is anticipated to influence on the teaching efficienc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job. In the end, it is expected that correct teacher belief will positively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earning and self-satisfaction.

      • 정보시스템 운영감리의 효과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주양근 건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최근 정보시스템은 경영전략 도구로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IT기술의 융복합화 현상 등 복잡화되고 다양화됨에 따라서 정보시스템 감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정보시스템의 구축 목적에 비추어 볼때 정보시스템은 제대로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스템을 구축한 이후에 그 시스템을 비즈니스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수행한 ‘2010년도 정보시스템 감리 실태조사서에 따르면 국내 행정기관 등이 실시한 총 감리 건수 중 운영감리 건수는 3%에 불과하다. 이는 운영감리에 대한 중요성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제도적인 문제에도 원인이 있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운영감리의 활성화를 위하여 운영감리의 대한 효과성 검증을 시도하였다. 먼저 정보시스템의 운영감리가 정보시스템 품질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를 측정하고, 운영감리를 통한 정보시스템의 품질은 사용자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시스템 운영감리를 통한 정보시스템 품질이 사용자 만족에 기여하는 영향도가 입증이 되었으며, 효과가 큰 부문은 장애 및 문제관리, 서비스 연속성관리, 지속적 서비스 개선부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시스템의 운영감리체계에 대한 제도적 개선은 장애 및 문제관리 프로세스별 점검항목의 구체화 및 점검항목별 지표관리 체계 수립, 시스템의 가용성과 연속성에 대한 점검활동의 구체화,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을 위한 IT서비스의 관리체계(조직, 프로세스, 시스템)의 구축 및 확산 적용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보완하여야 할 부분은 운영감리에 대한 점검항목 연구 및 최신 기술 적용, 운영환경에 맞도록 점검항목별 운영점검표 작성, ITIL 기반 서비스 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정량화된 점검항목을 운영감리에 접목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경영 전략의 도구로 활용되는 정보시스템의 완성도와 직결되는 운영감리의 효과를 분석하여 운영감리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이 정보시스템 운영 감리 관련 정책 자료와 정보시스템 운영 감리의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지역 맛집의 이용동기가 SNS 신뢰, 지역이미지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김규태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지역 맛집의 이용동기와 SNS 신뢰, 지역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계를 이론적 고찰하고 앞서서 고찰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과 설계 그리고 실증분석을 구성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맛집의 이용동기와 SNS신뢰, 지역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지역 외식업소에 마케팅 수립 시에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려고 한다.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2021년 7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45일간 강원지역의 외식업소를 이용한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인구학적 통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 1의 가설대로 지역 맛집 이용동기는 SNS 신뢰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검증한 결과 체험성 요인과 독특성 요인들이 SNS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분전환성 요인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맛집에 대한 체험성과 독특성은 SNS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둘째, 지역 맛집 이용동기는 지역이미지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2를 검증한 결과, 기분전환성, 체험성, 독특성 요인이 전부 지역이미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역 맛집의 이용동기가 높을수록 지역이미지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SNS신뢰는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3을 검증한 결과 SNS 신뢰는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SNS 신뢰가 높다면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이미지와 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에서 지역이미지는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지역이미지가 좋으면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역 맛집을 이용하고자 할 때 SNS를 활용한 맛집 탐색에서 체험에 대한 부분과 독특한 경험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역 맛집 이용에 있어서 고려하는 사항이 기분전환보다는 지역 맛집에 대한 독특한 체험이 주를 이룬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지역 맛집 이용동기가 높을수록 지역이미지도 높아진다는 것은 지역 맛집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많을수록 지역의 이미지도 좋아진다는 것으료 사료된다. 지역의 이미지가 높아진다면 그만큼 더 많은 소비자가 방문 할 것이고 지역의 경제활성화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 맛집의 이용동기로 인한 SNS 신뢰, 지역이미지가 높아지면 고객의 만족도가 높아지게 되므로 외식업소에서는 SNS를 통한 홍보에 있어서 독특한 체험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마케팅에 적용한다면 외식업소의 활성화와 나아가 지역경제의 활성화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개인 맞춤형 상품 리뷰 정보 시각화 방법론 연구

        김주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개방, 참여, 공유의 특징을 가진 웹 2.0 시대가 시작된 이후, 정보 수요자였던 인터넷 사용자들의 데이터 생산 및 공유가 쉬워졌다. 이런 편의성으로 인해 데이터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인터넷에 존재하는 디지털 정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형식인 비정형 데이터(Unstructured Data)의 양도 증가하고 있다. 비정형 데이터란 정해진 형식 없이 자연어 형태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뜻한다. 인터넷에 생성된 비정형 데이터 중, 상품에 대해 소비자가 평가한 리뷰들은 잠재적 고객과 해당 상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준다. 잠재적 고객에게는 상품의 특징을 파악하여 구매에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정보를 주고, 생산 기업에게는 자사의 상품에 대해 고객들이 생각하는 의견을 파악하여 제품을 개편할 때 사용하기 때문이다. 많은 양의 리뷰 데이터에서 해당 상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리뷰 데이터 수집, 저장, 전처리, 분석 및 결론 도출의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R을 이용하여 앞에서 언급한 전 과정을 처리하였다. 본 연구는 R을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텍스트로 이루어진 비정형 데이터에서 자연어 처리 기술 및 문서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정형화된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그 후, 도출된 정형화 리뷰 정보에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필요한 목적에 맞춤화된 시각적 정보를 도출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e era of the Web 2.0, characterized by the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it is easy for Internet users who were information consumers to produce and share the data. According to this convenience, not only the amount of the Internet data, but also the amount of the unstructured data which occupies most of the digital world's data has increased exponentially. The unstructured data means the data which is composed of natural language without a set of format. One of the kinds of the unstructured data called personal product review is necessary for both the potential consumer and the company that produces those products. In the point of potential consumers' view, they understand the product's characteristic and decide whether buy or not. In the point of company's view, they apprehend the customer's opinion and reflect the opinion in the renewal product. In order to extract useful information from lots of scattered review data,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storing preprocessing, analyzing and drawing a conclusion is needed. Therefore, we introduce the text mining methodology for applying the natural language process technology to the text format data like product review in order to carry out extracting structured data by using R programming. Also, we introduce the data mining to derive the purpose-specific customized information from the structured review information drawn by the text mining.

      • Area properties associated with strictly convex curves

        김인천 전남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this thesis, we study various centroids of quadrangles, some chord properties and area properties of ellipses and area properties of strictly convex curves in the plane R2. For a quadrilateral P, we consider the centroid G0 of the vertices of P, the perime- ter centroid G1 of the edges of P and the centroid G2 of the interior of P, respectively. It is well known that P satises G0 = G1 or G0 = G2 if and only if it is a paral- lelogram. In Chapter 1, we investigate various quadrilaterals satisfying G1 = G2. As a result, we establish some characterization theorems. One of them asserts the existence of convex quadrilaterals satisfying G1 = G2 without symmetry ([28]). Ellipses have a lot of interesting geometric properties. It is quite natural to ask whether such properties of ellipses and some related ones characterize ellipses. In Chapter 2, we study some chord properties and area properties of ellipses. As a result, using the curvature and the support function of a strictly convex curve, we establish four characterization theorems of ellipses and hyperbolas centered at the origin ([15]). Archimedes proved that for a point P on a parabola X and a chord AB of X parallel to the tangent of X at P, the area of the region bounded by the parabola X and chord AB is four thirds of the area of triangle 4ABP. This property was proved to be a characteristic of parabolas, so called the Archimedean characterization of parabolas. In Chapter 3, we study strictly convex curves in the plane R2. As a result, rst using a functional equation we establish a characterization theorem for quadrics. With the help of this characterization we give another proof of the Archimedean characterization of parabolas. Finally, we present two related conditions which are necessary and sucient for a strictly convex curve in the plane to be an open arc of a parabola ([2]). 이 논문에서는, 먼저 1장에서 평면 사각형의 세 가지 무게중심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둘레 중심(G1)과 판의 중심(G2)이 같지만 대칭성이 없는 사각형이 존재함을 보였다 ([28]). 2장에서는 타원과 쌍곡선의 현의 성질과 절단부의 넓이 성질을 연구하여 이 성질들이 원점 이 중심인 타원과 쌍곡선의 특성임을 증명하였다 ([15]).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포물선에 대한 아르키메데스 특성을, 함수방정식을 이용하여 새로운 방법으로 증명하고 이와 관련된 포물선의 몇 가지 특성을 제시하였다 ([2]).

      • PC보안 강화를 위한 취약점 점검항목 개선연구

        김상현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PC보안 강화를 위한 취약점 점검항목 개선연구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언제 어디서든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다. 금융, 공공기관, 교통, 학교 등 모든 시설의 정보통기술 및 서비스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이들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개인정보침해, 해킹, 바이러스, 스팸, 피싱 등의 사이버침해도 매년 증가하였다. 기업 및 기관은 이러한 침해사고를 방지 및 예방을 위해 백신, 방화벽, DLP, DRM 등 다양한 보안솔루션을 도입 운영하고 있으나 사이버 공격의 변화 다양한 서비스, S/W를 대상으로 침해 활동으로 인해 보안솔루션 만으로의 방어는 쉽지 않다.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되는 서버, 네트워크 장비, 보안장비, PC 등을 정보통신기반보호법, ISMS 등 제도에 의해 취약점 점검을 하여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취약점 점검은 서버, 네트워크 장비, 보안장비, PC 등의 설정 값을 위주로 점검한다. 외부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PC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사이버침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의 PC취약점 점검항목으로는 다양한 위협에 대응하기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PC취약점 점검항목 기준을 분석하고 부족한 점을 도출하여 신규 PC취약점 점검항목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 PC취약점 점검항목과 신규 PC취약점 점검항목을 이용하여 특정 기업에 취약점 점검을 수행 및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신규 PC취약점 점검항목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Vulnerability Checklist for Enhanced PC Security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we can connect to the Internet at any place and time. As the facilities of financial, public, traffic organizations and schools increase the dependence on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ts services, people can get the services conveniently at any place and time. While the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mproved, vulnerability such as individual information violation, hacking, virus infection, spams and phishing, have also increased every year. Companies and organizations operate security solutions such as vaccines, firewalls, DLP and DRM to prevent any infections. But it isn’t easy to protect their systems just with security solutions because of diversity of cyberattack and activities of infecting S/W. They try to remove vulnerability by checking vulnerability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protection law and ISMS system for servers, network equipment, security equipment and PC that are targets of cyberattack. But they usually check the set values of servers, network equipment, security equipment and PC when they check the vulnerability. It isn’t enough to correspond to variety of threats with the current checking items for PC vulnerability, as PCs which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are exposed to many cyberattack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C users. This paper suggests checking items for new PC vulnerability by analyzing the domestic PC vulnerability checking item standard and extracting lacking points. It also uses PC vulnerability item and new PC vulnerability checking item to compare and analyze performance and result of vulnerability checking for specific companies and prove the efficiency of new PC vulnerability checking items.

      • 온라인 몰 혼례음식의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백봉란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한 혼례음식의 기능과 특이성을 토대로 이론적 정립을 온라인 몰 혼례음식을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제안 모형을 설정하여 이들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온라인 몰 혼례음식에 고객들의 선택속성 및 다양한 요구와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변수들의 개념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들이 구조적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고찰하였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조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온라인 몰 혼례음식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단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2021년 7월 15일부터 2021년 8월 30일까지 약 45일 간에 거쳐 총 2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의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몰 혼례음식 선택속성은 지각된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1을 검증한 결과 쇼핑편리성과 트렌드 요소들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품질, 판촉서비스, 정보성 요소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몰의 특성에서 나타나는데, 온라인 몰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특성상 편리성을 추구할 것이고, 트렌드 또한 같은 맥락이다. 직접 보고 구매하는 것이 아니다보니 품질이나 판촉서비스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온라인 몰을 이용함에 있어 정보성이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사료된다. 온라인 몰을 이용한 혼례음식 구매에 있어서 소비자가 느끼는 가치에 편리함과 트렌드가 반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온라인 몰을 통한 혼례음식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을 하는 마케팅에는 편리성과 현재의 트렌드를 접목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2를 검증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온라인 몰 혼례음식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가 높을수록 고객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온라인 몰 혼례음식 선택속성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 3을 검증한 결과 품질과 쇼핑편리성, 트렌드 요소들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판촉서비스, 정보성 요소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몰에서 혼례음식을 구매할 때 품질이 만족스러웠으며, 편리함이 좋았고, 온라인 몰이 트렌드를 잘 맞춰 상품을 구성하여 만족스러웠음을 나타낸다. 판촉서비스의 경우 현장에서 직접 대면을 하지 않다보니 체감적으로 느끼지 못한 부분도 있을 것이고, 온라인 몰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정보성이 영향을 미치지 못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지난 50년간 과학기술 논문을 통해 본 수산 동물 유전육종연구 동향

        서윤기 부경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analyzed tendencies and technologies in the 50,543 papers published related to genetic breeding of marine animals in 9 major academic journals for the last 5 decad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policies to improve productivity by introducing genetic breeding technologies for the breeding industries in Korea which is facing various obstacles. For this, the published papers which includes induced spawning/breading, sex reversal, hybridization, chromosome engineering, and selective breeding technologies were chosen by 5 years period. From this data, major technologies in each period were found through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papers. The successful cases in each period were studied by the technologies in each species of fish, shellfish and crustacean. Additionally, the information on the species that are bred recently using each technology was analyzed. In particular,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was enhanced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 using the “Orange” program to the abstracts from the papers which studied Grouper species which are used widely for the breeding in recent years. As a result, the percentage of publications on induction of artificial spawning has reached 25% of the total number of published papers at its highest which has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early 1970’s until the late 1980’s, and decreased until today. This also underlines that the diversity of species for culture has increased globally from the early 1970’s to late 1980’s. The success cases of sex reversal were only reported among fish. In the 1990’s, approximately 40% of the reports have been made. It seems that significant growth in productivity through sex reversal of various species was accelerated by the stabilization of spawning induction. Hybridization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1980’s when the induced spawning was introduced. There has been 777 reports in the last 50 years. It has the most number of reports among the 11 breeding technologies in this study. Prior to the 1990’s, less than 10% of the papers were reported on the induction of gynogenesis diploid. However, the reports were increased by 25 and 35% constantly which is noted as the newest significant breeding technology. Only one paper was reported in the 1970’s on androgenesis diploid. For 35 years since 1985, 18 papers were published. This technology not only increases the homozygosity but also crucial in producing clones along with the above mentioned gynogenesis diploid induction. It is proj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methods to efficiently inhibit the first cleavage of the species would be a very important technology in the future. Excluding the 5 papers reported in the 1970’s, 346 papers have been reported in the last 50 years on triploids. They were all published after 1980’s.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have been increased constantly with time which became a very important genetic breeding technology of marine animals. 47 reports on the production of tetraploid was published since 1980’s with average of one published paper each year. This is a very low number of papers considering the importance in the industry. This maybe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inhibiting the first cleavage. However it is necessary to have further studies for the 100% sterility to prevent pollutions from transformed marine animals. Since 1985, the number of papers on induction of tetraploid of hybrids was more than 25. This small number might have been because of the small necessity in the industry.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this because it is a technology that is used to overcome the low survival rates of hybrids, and that could realize a 100% sterility. Only 5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the induction of tetraploid of hybrids which was on the introduction of chromosome engineering using the tetraploid Cyprindae. The selective breeding technology to stabilize the new breeds by cross breeding the valid characters is one of the oldest breeding technologies. It was increased constantly from the 1970’s and rapidly increased after 1985 with 56 reports. Most of the reports were on the use in the industry by breeding fast growing species. However, no reports has been published on their industrial use. In conclusion, First, as the proportion of breeding industry is growing globally,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marine animals breeding journals has also increased. Seco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pers in genetic breeding was apparent which proved that the genetic breeding technologies are also developed as it is needed in the industry. Third, the biota and its main species which were chosen for the genetic breeding are the species that are actively bred in the industry.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breeding technologies plays grea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reeding industry by productivity enhancement. Fourth,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 in measuring the similarities of literatures, and writing the results using a software that creates various word clouds, the possibility of objective analysis eliminating possible subjective judgment was proved. This study provided insights on marine animal breeding technologies and industries globally. Further studies on the trend of Korean marine animal breeding industries are suggested to establish policies for Korean industry.

      • 전자문서유통시스템 운영감리 지침 연구

        이상철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의 비즈니스 환경은 IT기술발전으로 대부부의 문서는 이미 전자적인 형태로 생성되어 관리·유통되고 있으나, 업무방식에서 종이문서와 전자문서가 혼재되어 이용 되면서 관리 및 보안의 비효율성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전자문서는 법적으로 종이문서를 대체할 수 있는 효력이 부인되지 않지만, 복제와 수정, 위·변조가 용이하여 원본과의 동일성 확인과 본인확인 및 의사표현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전자문서의 진본성·보안성 문제는 전자문서의 법적 증거력 부재에 이어져 활성화를 저해하는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IT시스템을 통해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자문서의 안전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한 업무 효율성 및 법적 증거력 확보가 있어야 한다. 특히 이를 위해서는 현재 전자문서를 유통하는 기업 및 기관에서는 반드시 전자문서의 무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자문서 보안관리 가이드라인 등을 바탕으로 전자문서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여러 방법을 감리의 기본점검 항목으로 제시함으로써 전자문서의 무결성 확보를 위한 객관적 점검 기준을 마련하고 전자문서 이용의 활성화를 유도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운영감리에 대한 연구로 보다 실효성 있는 운영감리 영역으로서 발전하길 바란다. I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are generated in electronic form already, documents of large couple, are managed and dis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but it is used electronic documents and paper documents are mixed in the way of work, inefficiency of management and security has occurred. Also, the electronic document, the effect can be replaced paper documents legally is not denied, but modifications and duplication, forgery and falsification is easy, making representation and identification and identity confirmed by the source and to verify the difficult problem exists. Problems of the nature and safe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has such has become the main factor inhibiting activation led to forensic force member of the electronic document. In situations where most companies are processing business on the basis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rough the IT system, ensuring the legal strength of evidence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management and systematic safety of electronic documents is required. The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for distributing electronic documents current integr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must be ensured always for that particular. In this study, by presenting the basic checks items supervision several methods based on the security management guidelines such as the electronic document, to verify the integr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the objective in order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by providing inspection criteria, the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induce the activation of the use of the electronic document. In addition, I want you to develop as a management supervision areas of more effective, in the study of management supervision continu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