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모델링에 따른 청주 연초제조창의 음향성능 개선 및 변화

        김경훈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청주 연초제조창은 지역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2004년 공장폐쇄 이후 별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못하고 방치되어 왔다. 따라서 청주시에서는 연초제조창내 동부창고를 새롭게 리모델링하여 지역주민들에게 공연예술연습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연초제조창을 리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공간의 용도 및 목적에 적합한 물리적 음향성능을 확보해야 하며 이에 따른 주관적 반응의 변화도 파악해야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리모델링 시 대부분 물리적 음향성능의 개선에만 그치고 있어 주관적 음향성능도 평가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청주 연초제조창 내에 있는 동부창고를 대상으로 리모델링 전·후 음향시뮬레이션과 현장실험을 통해 물리적 음향성능을 평가 하였다. 그리고 가청화 기법을 이용한 청감실험 등을 통해 리모델링 전·후 물리적 음향성능의 변화에 따른 주관적 음향성능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리모델링 전 청주 연초제조창의 음향성능은 SPL(A)는 73.9dB(A), SPL500Hz는 70dB, RT500Hz는 3.5초, D50,500Hz는 14.6%, C80,500Hz는 -5.6dB, RASTI는 36.1%로 나타났다. 따라서 리모델링 전 청주 연초제조창은 과도한 울림과 긴 잔향시간으로 인해 심각한 음향적 결함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2. 리모델링 후 소연습실1,2와 중연습실의 음향성능은 SPL(A)는 81.6∼83.7dB(A), SPL500Hz는 69.4∼72.1dB, RT500Hz는 0.21∼0.3초, D50,500Hz는 93.3∼97.4%, C80,500Hz는 17.2∼24.7dB, RASTI는 80∼86%로 나타나 무용이나 연극 등의 동작 및 대사연습에 적합한 음향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대연습실의 음향성능은 SPL(A)는 76.5dB(A), SPL500Hz는 66.7dB, RT500Hz는 1.13초, D50,500Hz는 51.7%, C80,500Hz는 3dB, RASTI는 60.8%로 나타나 다양한 공연 및 행사가 가능한 다목적 공간의 음향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3. 리모델링 전·후 공간을 4가지 Case로 유형화하였으며 가청화 기법을 이용한 청감실험 결과 리모델링 전(Case1)은 과도한 울림으로 인해 “울림”, “크기”, “확산감”에 대한 주관적 반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공간의 용도에 맞게 음향성능이 개선된 리모델링 후(Case2∼Case4)에는 “친밀감”, “명료성”, “선명함”, “포근함”, “균형”등의 어휘에 대한 주관적 반응이 증가하였다. 4. 청감실험 결과 평가어휘 중 가장 많은 감쇠량을 보인 “울림”에 대한 주관적 반응은 리모델링 전(Case1)에 비해 리모델링 후 Case2에서는 50%, Case3에서는 34.3%, Case4에서는 20% 정도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평가어휘 중 가장 많은 증가량을 보인 “명료성”은 리모델링 전(Case1)에 비해 리모델링 후 Case2에서는 47.1%, Case3에서는 34.3%, Case4에서는 20% 정도로 증가하였다. 5. 청감실험 결과 리모델링 전(Case1)에 비해 리모델링 후 Case2∼Case4에서 주관적 반응의 개선량을 파악해 보면 동작 및 대사연습 공간으로 리모델링 된 Case2에서 평가어휘별 변화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목적 홀에 적합한 공간으로 리모델링 된 Case4에서는 평가어휘별 변화폭이 가장 작았으며 Case3에서는 중간정도의 변화 폭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물리적 음향성능의 개선에 따른 주관적 반응도 공연의 용도 및 목적에 맞도록 개선되었다. The Cheongju Tobacco Center,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community, has failed to be used for a specific purpose and been neglected since the plant was closed in 2004. So Cheongju City intended to remodel the East Warehouse within the center into a performing arts practice space for local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begin to secure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ppropriate for the use and purpose of space at the stage of design and determine the resultant changes in subjective responses with the objective of remodeling a tobacco center. However, since remodeling in South Korea involves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lone in most cases, there is a need to evaluate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as well.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perform acoustic simulation and field experiment before and after remodeling in the East Warehouse within the center and evaluate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nother attempt was made to perform psycho-acoustic experiment using auralization to determine the changes in subjective acoustic performance in terms of the changes in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fter remodeling.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As for pre-remodeling acoustic performance of the Cheongju Tobacco Center, SPL(A) was 73.9 dB(A), SPL500Hz 70 dB, RT500Hz 3.5 sec, D50,500Hz 14.6%, C80,500Hz -5.6 dB, and RASTI 36.1%. Since the Cheongju Tobacco Center has serious acoustic defects due to excessive reverberation and long reverberation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2. As for post-remodeling acoustic performance of the small-sized practice rooms 1 and 2 and the medium-sized practice room, SPL(A) was 81.6-83.7 dB(A), SPL500Hz 69.4-72.1 dB, RT500Hz 0.21-0.3 sec, D50,500Hz 93.3-97.4%, C80,500Hz 17.2-24.7 dB, and RASTI 80-86%, confirming acoustic performance appropriate for movement and line practice in dances or plays. As for acoustic performance of the large-sized practice room, SPL(A) was 76.5 dB(A), SPL500Hz 66.7 dB, RT500Hz 1.13 sec, D50,500Hz 51.7%, C80,500Hz 3 dB, and RASTI 60.8%, confirming acoustic performance appropriate for multipurpose space to hold various performances and events. 3. Before and after remodeling, space was categorized into four cases;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using auralization found that the subjective responses to reverberation, loudness, and diffusion were very great due to excessive reverberation before remodeling (Case 1). The subjective responses to such vocabularies as intimacy, definition, clarity, warmth, and balance increased after remodeling with improved acoustic performance to meet the use of space (Cases 2-4). 4. The subjective responses to reverberation, which decreased most significantly among the vocabularies in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decreased to about 50% in Case 2, about 34.3% in Case 3, and about 20% in Case 4 after remodeling. Those to clarity, which increased most significantly among the vocabularies in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increased to about 47.1% in Case 2, about 34.3% in Case 3, and about 20% in Case 4 after remodeling. 5. The psycho-acoustic experiment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responses after remodeling was greatest for each vocabulary in Case 2-4 of remodeling into space for movement and line practice. The improvement was smallest for each vocabulary in Case 4 of remodeling into space appropriate for a multipurpose hall and was at an average level in Case 3.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the subjective response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coustic performance also improved to meet the use and purpose of performance.

      • 강경애 소설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주체에 대한 연구

        권리나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While currently colonial states achieved independence essentially in sovereignty, however the thought of colonial remained had sinked it into crisis and a state of cultural invasion of beyond the political oppres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emale life who was living in the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ts invasion in the novel wrote by Jiang Jingai, a Korean authoress, to understand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oppressed people and the embodiment method of female's post-colonial thoughts so then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the subjectivity of subalterns. This novel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living conditions of female migrant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Finding out the truth probably deleted in history of the subalterns' voices and their conditions , Re-examining the invasion of immigration thoughts so that the futurity would be warned. With the subaltern of the post-colonial theory as the object of the research, The paper analyzes the life conditions of subaltern raising in the novel wrote by Jiang Jingai, quoting theory of subaltern belonging to Gayatri C. Spivak . In addition, In order to get the voice and dominate position of subalterns reappeared, It also elaborates the way subalterns "speak" and the awareness of them. The contents above are mainly discussed and analyzed, and could be roughly summarized as following: Initially, The thesis mainly conducted a research on the living conditions of female folks described in "public mess", a Jiang Jingai's master work, so that we can get more and analyze deeper in the oppression of Japanese colonial capitalism. As one of represents of subalterns, female folks existed as a true portrayal of life in colonial history. Hence realizing the state of female workers' life and their resistances, analyzing the contradiction between imperialism and Laboring class as well as the views of post-colonialism. we can outline the author's unique perspectives on the problems of women in communities of the present moment. Moreover, The further analyses were mainly done from three aspects to the novel describing the subalterns' lives ignored together with their useless struggles. First of all, the paper elaborates and analyzes the subaltern realizing the exchange value. The subalterns in fiction were sold as a sort of commodities and a tool for reproduction to landlords or the wealth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women and the search for their hidden voices, the feminism reproduced. Secondly,It can be seen from analysis that there's a maternal rights standing. Under the pressure of extreme poverty and the suffering as a result of the folks' indifference, the rights of subaltern-even as a mother-were ruthless deprived.To analyze the females’ resistant consciousness through a research of maternity , sequentially put forward the possibility of female subjectification. Thirdly ,expound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hierarchy between male and female. It still exist that the invisible hierarchy of female inferiority even if the life in danger. The differences from male and female as well as the social class differences among female showed through the diet symbol in novel,therefore(thus) it showed that the female suffered double and multiple oppression and miserable life, in the same time expressed the resistant consciousness to oppressor class through diet symbol。 The thesis analyzing and generalizing the Post-Colonial Feminism and the living condition of female in novel which is written by Jiang Jingai as well as the slighting voice ,hence expound the females’ resistant consciousness and the possibility of female subjectification through the method of criticizing 오늘날에 와서 식민지국가들은 정치적으로 독립하였지만 식민사상의 잔재와 함께 식민상태의 위기는 계속되고 있으며 정치·경제적인 억압을 넘어선 문화의 종속 상태에 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비추어 본고에서는 일제 식민시기를 체험한 여성작가 강경애의 소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소설 속 서발턴 여성의 삶을 파 악하면서 탈식민주의에로의 접근 양상 분석을 통해 서발턴 여성 주체화의 필요성을 나 타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당시 일제 강점기 시대 이주 여성의 삶을 조명함으로써 숨 어 있는 서발턴 여성의 목소리를 발견하는데 유조할 것이며 작가의 저항의식과 작품 속 숨어 있는 서발턴 여성의 저항 모습을 파악한다 본고에서는 강경애 소설들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서발턴 여성인물의 양상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면서 서발턴 여성의 비참한 삶을 조명하고 나아가 탈식민주 의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소설 속 여성의 탈식민주의에로의 접근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강경애는 특유한 시각으로 일제 식민 자본주의의 모순을 여성과 계급 해방 이라는 두 문제를 결합시켜 다루려고 시도하였다. 하여 그의 대표작에서는 여성 노동 자의 삶을 그리면서 방적 공장이라는 악렬한 환경과 이에 따른 궁핍 된 생활을 생동하 게 묘사하고 있다. 그리하여 작가는 이러한 환경과 식민주의의 착취 하에 여성노동자 들이 소외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회문제를 고발하고자 하였다. 그는 착취의 원 인과 모순을 탐색하였고 이런 불합리한 식민 자본주의 제도의 비리를 폭로 비판하였으 며 여성노동자의 각성을 통해 자신의 저항의식과 의지를 표현한 작가이다. 또한 그는 여성노동자라는 특유한 계층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여성과 계급해방 문제를 다루었는 데 이는 작가 자신의 의식 체현이며 탈식민 의향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다음, 세 방면으로 소설 속 삭제되거나 숨겨진 서발턴 여성의 생활을 묘사하면서 그 속에 체현 된 저항의식을 연구 분석하였다. 첫째, 교환적 가치로서의 여성을 다루었 다. 강경애 소설 속 여성들의 섹슈얼리티는 빈곤을 벗어나는 교환가치로, 아이를 낳는 도구로 또는 성적 욕구의 배설구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여성의 모습을 통해 숨겨진 서발턴 여성의 목소리를 찾아내면서 여성 주체를 재현시켰다. 둘째, 박탈된 모성상을 다루었다. 강경애 소설에서 극도의 가난에 시달린 여성은 혹독한 현실과 궁핍으로 한 아이의 ‘어머니’로서 권리마저 박탈당한다. 이는 파괴된 모성으로 식민시대 빈궁의 극 한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러한 궁핍이 문제를 초래하는 사회 모순에 대한 작가의 저항 을 보여주었다. 셋째, 음식 매개로서 나타나는 계급 차별과 성적 차별을 다루었다. 생 명까지 위협 받고 있는 가난 속에서도 가부장제의 위계질서는 엄연하다. 이는 음식 기 호를 통해 나타나며 당시 이중, 삼중 억압을 받으며 살아가는 서발턴 여성의 참상을 보여주었다. 성적 억압으로부터 이어지는 고통, 절대적 빈곤으로 이어지는 자녀의 죽음, 그럼에도 존재하는 계급 차와 성적 차별, 이 모든 것은 여성을 삶의 궁지와 절망으로 몰아갔다. 이와 같이 강경애 소설을 통해 식민지 근대의 다중 억압 속에서 착취 당하 는 서발턴 여성의 몸부림을 조명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주로 탈식민주의 페미니즘의 비평방법을 사용하여 강경애 소설에 숨겨 진 서발턴 여성의 모습과 목소리를 모색하면서 서발턴 여성의 저항의식과 주체화로서 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 스마트디바이스 연동형 UHD급 web/app드라마 제작 및 영상 편집 프로세스 연구

        신선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인터넷 데이터 전송 속도의 고속화와 스마트 폰 및 스마트 기기의 보급화로 기존에는 TV를 통해서만 시청이 가능하던 방송 드라마 컨텐츠의 유통 경로가 다변화 되고 있다. 따라서 드라마의 시청자 및 시청시간대도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맞춰 드라마의 구성, 방영시간, 광고방식 등이 고려되어져야만 한다. 하지만 현재는 단순히 기존 지상파 방송의 드라마를 그대로 Web또는 App을 통해 재방송하는 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새롭게 Web / App을 통한 방영을 목적으로 기획되더라도 기존 드라마 제작 프로세스를 따르거나 준용하기에 드라마가 시청자에게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최근 모바일 기기 시장의 화두인 UHD급 영상화질의 Web/App 드라마를 효과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편집 프로세스를 기획 및 제안하고 이를 현실화시키기 위한 필수 과정인 영상 편집기술로 비선형 편집 기술을 소개한다. 올해 출시된 하이엔드 스마트폰들은 화면 해상도와 프로세싱 성능이 이미 UHD급 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상태이며 데이터 통신 대역폭도 한정적이긴 하지만 UHD급 영상의 전송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논문에서 제안하는 Web/App드라마 제작 프로세스와 비선형 편집 기술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Web/App드라마를 제작하고 기존 제작 방식에 비해 얻을수 있는 장점을 경제적으로 환산하여 제시하며 실제 시청자와 제작자들로부터 Web/App드라마 제작 프로세서와 비선형 편집기술에 대한 필요성을 설문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끝으로 급변하는 모바일 기기 시장과 방송 컨텐츠 제작 시장에서 컨텐츠 제작자들이 시청자들에게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Web/App드라마 제작 프로세스와 비선형 편집기술을 정리하고 향후 후속 연구가 필요한 VFX제작 기법 등에 대해 언급을 하고 본 논문을 마무리 한다.

      • 창의적 사고 중심의 ICT·디자인융합 개방형 제작공간 프레임워크 연구

        박주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consideration of recent international conditions, D.I.Y.(Do It Yourself) applied by Digital Fabrication based on ICT(Information Contents Technology)·Design Convergence is given world interest in the center of manufacturing industry. Particularly, in 2014, the President of the USA, Barack Hussein Obama, Jr. hosted Maker Faire at the White House and said, “Today’s D.I.Y. Is Tomorrow’s 'Made in America.” He announced June 18th as a National Day of Making and declared the restoration of U.S. manufacturing industry. Behind this trend, there exist various backgrounds, such as expansion of sharing economy concept through open-source and dispersion of technology-based DIY movement like Maker Movement. In 2004, Chris Anderson introduce ‘Long Tail effect,’ and said that the market estimated 20% by Pareto Principle due to fast information spread through the Internet and development of logistics management technologies lately has become larger than before and had more economic significance. On the ground of Pareto Principle, off-line bookstores with limited space and resource can’t help establishing a strategy to focus on and display best sellers. They are in the condition that the other products go into the inventory which is hard to make sales. However, Chris Anderson said books not popular or record popular only for minority can make much profits through on-line effective sales and logistics. Even if this kind of economic phenomenon shows that personal tastes give rise to emotional consumption as much as economy-oriented consumption, this type of market has a problem that in respect of production, its existing production method of mass production without variety can’t secure profitability. However, due to diverse reasons such as cultural expansion of Sharing Economy(共有經濟)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Open Source concept, its Hardware expansion, outbreak(勃發) and dispersion of Open Fabrication Space as sharing space, home(自家) manufacturing of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devices through Open Source, and price decline and sustainable technology development for universal use, the possibility of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through 1-person manufacturing framework or Micro-Factory attracts more public attention. Furthermore, culturally, Maker Movement and its related Maker Faire are held to actively spread movements for technology-applied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internationally. Along with cultural movements above, as the necessity for spaces as cultural dispersion centers emerges, Open Fabrication Space targeting a large variety of goals and objects were born in various forms. However, as time goes by, while they have positive aspects to absorb and supplement advantages of the other Open Fabrication Space, there arose a difficult problem to clarify definite goal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pen Fabrication Space model. In the case of building up new Open Fabrication Space, it takes much time to investigate the essence and the components of space, equipments, and curriculum required according to the purposes. Basic frameworks are required to select elements according to uses in respect of building up equipment and space and to clarify the division of goals through classification focusing on Maker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a definite meaning of Maker and Open Fabrication Space by analyzing the definition of Maker and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Open Fabrication Space, establish basic standards through discovery and elicitation of Maker’s way of thinking based on Maker Culture, deduce elements to compose Open Fabrication Space, and finally suggest a fundamental framework for Open Fabrication Space. 최근 국제적 정세로 봤을 때 ICT(Information Contents Technology)·디자인융합 기반의 디지털 패블리케이션(Digital Fabrication)을 활용한 D.I.Y.(Do It Yourself)가 제조업 중심의 산업에 있어서는 세계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2014년 미국의 오바마(Barack Hussein Obama, Jr.)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메이커 페어(Maker Faire)를 개최하고 ‘오늘의 DIY가 내일의 Made in America (Today’s D.I.Y. Is Tomorrow’s 'Made in America)’라는 말과 함께 6월 18일을 만들기의 국경일(a National Day of Making)로 선언하며 미국의 제조 산업의 부활을 선포했다. 이와 같은 흐름 뒤에는 오픈소스 등을 통한 공유경제의 개념의 확산과 메이커 운동과 같은 기술기반의 DIY운동의 확산 등의 다양한 배경이 존재하는데, 2004년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은 롱테일 효과(Long Tail Effect)를 소개하면서, 최근의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신속한 확산과 물류처리 기술의 발달로 파레토 법칙에서의 20%라고 생각되던 시장이 현재는 그보다 더 큰 시장이 되었으며, 더 큰 경제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기존의 파레토 법칙(Pareto Principle)을 근거로 하면, 한정된 공간과 자원을 가진 오프라인(Off Line) 서점은 베스트셀러(Best Seller)에 집중하여 전시하는 전략을 세울 수밖에 없으며, 나머지 물품은 재고가 되어 매출이 일어나기 힘든 구조를 갖게 된다. 하지만 크리스 앤더슨은 그다지 많이 팔리지 않는 책들이나 소수만이 좋아하는 분류의 음반이라도 온라인을 통한 효과적인 판매와 물류를 통해 많은 이윤을 창출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경제현상은 경제 지향적 소비만큼이나 개인의 기호에 따른 감성적 소비가 일어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생산측면에서 보면 이와 같은 시장은 기존의 생산방식인 소품종 다량생산으로는 그 경제성을 확보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오픈소스(Open Source)의 개념의 지속적인 발전과 오픈소스 개념의 하드웨어(Hardware)로의 확장, 공유공간으로서의 개방형 제작공간의 발발(勃發)과 확산, 오픈소스를 통한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기기의 자가(自家)제작 및 가격하락 등의 공유경제(共有經濟, Sharing Economy)의 문화적 확산과 보편적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개발 등의 다양한 원인들을 통해 1인 생산프레임워크 또는 마이크로 팩토리(Micro Factory)를 통한 다품종 소량생산의 가능성이 열리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문화적으로는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이나 이와 연계된 메이커 페어(Maker Faire) 등의 개최를 통해 기술을 활용한 제작과 생산을 활성화 하는 운동들이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문화적 운동과 더불어 문화적 확산의 중심이 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매우 다양한 목표와 대상을 표적으로 하는 개방형 제작공간들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다른 개방형 제작공간의 장점을 흡수하고 보완되는 긍정적인 측면을 갖는데 반해, 그 개방형 제작공간의 모델에 대한 명확한 목적과 특성을 밝히기 어려운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이에 개방형 제작공간을 새로이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그 개방형 제작공간의 목적에 따른 필요 공간이나, 장비, 교육과정 등의 구성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고 그 본질을 파악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었다. 이에 메이커 문화를 중심으로 하여 그 목적별 구분을 통해 그 구분을 명확히 하고 장비의 구성이나 공간의 구성에 있어 용도에 맞는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적인 프레임워크(Framework)이 필요하다. 그럼으로 본 논문에서는 메이커(Maker)의 정의와 개방형 제작공간(Open Fabrication Space)의 종류와 특징을 분석하여 메이커와 개방형 제작공간의 의미를 명확하게 밝히고, 메이커 문화를 기반으로 하는 메이커 적 사고방식의 발견 및 도출을 통해 그에 맞는 기본적인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개방형 제작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개방형 제작공간의 기본이 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 융합디자인전략을 통한 기업이미지 제고에 관한 연구 : 융합BI와 융합CSR을 중심으로

        공회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변화가 급격한 기업환경 하에서 디자인을 중심으로 기업이미지 제고를 연구하고 있다. 글로벌한 기업환경에서 고객은 기업이미지를 총체적으로 보고 있으며 기업의 여러 공익적 활동이 반영된 윤리적이고 건강한 기업이미지를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이미지는 디자인에서 디자인의 목표와 철학을 중시하는 디자인 경영을 통하여 융합디자인의 형태로 고객에게 제시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을 중심으로 디자인 경영의 이론과 기업의 증대된 사회적 역할을 배경으로 융합디자인을 통하여 기업이미지 제고를 연구하고 있다. 본론에서 기업이미지 제고를 위한 요소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선행연구를 참고하면서 기업의 목표와 방향성을 중시한 Mark Oakley의 디자인표준화단계를 응용하여 정체성, 차별성, 대응성, 영속성을 추출하였다. 이들 요소는 최종적으로 융합BI와 융합CSR로 구성되어 융합디자인을 통하여 기업이미지를 제고 하게 된다. 융합BI는 기업이미지를 대표하는 기업의 시각적인 이미지로 기업의 가치와 비전을 포함 하면서 기업의 이윤창출 활동의 공정성과 윤리, IT기술의 흐름을 반영한 융합디자인으로 표현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는 융합BI의 세부요소로 제품이미지통합, 따뜻한 브랜드이미지, IT기술의 활용을 구성하였는데, 제품이미지통합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되고 있다. 이들 세 요소는 융합BI의 구성요소로서 기업이미지 제고에 기여하는 요소이나 고객에게 제시되어질 때에는 따뜻한 브랜드이미지와 IT기술의 활용을 포함한 제품이미지 통합의 형태로 제시되어지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이고 있다. 융합CSR은 고객과의 교류 및 지속적인 소통을 통한 사회적 대응성을 중시하는 요소이다. 기업의 문화적인 활동 및 환경오염방지 노력들을 포함한 사회에 봉사하는 공익적인 역할을 다하는 요소이다. 실증분석에서는 기업의 사회적봉사활동, 문화활동, 친환경활동으로 구분하여 세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봉사활동이 더 고객에게 중요시 됨을 보이고 있다. 이는 문화활동 및 친환경활동도 융합CSR의 요소로 중요하고 기업이미지 제고에 기여하나 지속적이고 영속적인 느낌을 주는 사회적 봉사활동의 형태로 기업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는 융합BI와 융합CSR은 전체적으로 융합디자인을 통하여 전략적으로 기업이미지 제고에 적용되어 진다. 융합디자인은 기업의 경영환경과 디자인의 역할변화 속에서 기업의 철학 및 비전, 사회적 활동 등을 포함한 디자인을 통하여 일관되고 통합된 기업이미지를 구성하여 신뢰받고 호감을 받는 기업이미지를 구성하게 된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의 기업이미지 제고의 방향으로 디자인경영의 전략적인 측면에서 융합디자인의 관점에서 제반 요소를 포함하는 체계화된 접근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s focusing on design in the rapidly changing corporate environment today. In the global corporate environment, customers see the corporate image as a whole and prefer healthy and ethical corporate images in which various public activities are reflected. This kind of corporate images are presented to the customers in the form of convergence design through design management that puts emphasis on the goal and philosophy of design. Therefore, focusing on design, this paper researches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s through convergence design based on the theory of design management and on the background where the social role of corporate has grown. In the body of the essay, previous researches were examined to compose the elements of corporate image improvement and to draw the identity, differentiation, responsiveness, and permanence by applying the stages of design standardization claimed by Mark Oakley, who put stress on the goal and direction of corporate. These elements are finally composed into convergence BI and convergence CSR, enhancing the corporate images through convergence design. Convergence BI includes the value and vision of the corporate through visual images of corporate representing the image of corporate, being expressed as a convergence design that reflects the fairness and ethics of a corporate's profit-making activities and the flow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composed the utilization of IT, integration of corporate images, and warm brand images, putting relatively higher emphasis on the integration of corporate images. These three elements are components of convergence BI tha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s, but it is effective when they are presented to the customers in the form of product image integration that includes warm brand image and utilization of IT. Convergence CSR is the element that puts emphasis on social responsiveness through exchange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t is an element that plays a public role of serving society, including the cultural activities of corporate and effort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The empirical analysis divided a corporate's activities into social service activity, cultural activity,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ctivity and analyz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hree element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social service activity was regarded as most important to the customers. This demonstrates that even though cultural activities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ctivities are important as elements of convergence CSR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 it is more effective to compose the corporate image in the form of social service activity that gives the continuous and persistent feeling. In conclusion, convergence BI and convergence CSR are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images through convergence design as a whole. In the changed role of design and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corporate, convergence design helps a corporate to create the trusted and favored corporate image by composing the consistent and integrated corporate images through design that includes the philosophy, vision, and social activities of a corporate. As such,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a systematic approach that includes various elements in terms of convergence design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of design management to improve the corporate image.

      • 전문전시회의 정성적 평가모델 연구

        김영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A growing number of related organizations, specialists and ordinary people have developed interest in the exhibition industry, and particularly, more efforts have been made to perceive specialized trade exhibitions as a marketing means for trades and exportations among companies and countries and push for practical plans, and their importance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ever. In addition, as officials engaged in Specialized Trade Exhibition in Korea including exhibition planners, organizers, participants (participating companies), guests, visitor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strengthen their awareness about exhibitions, capital investments are being increased and realized on a partial basis. Generally speaking, the rate of exhibitions centering on B2C engaged in selling end products is high, and specialized exhibitions and trade exhibitions with strengths and competitiveness as high value-added industry account for the largest part. ‘Successful exhibitions’ can be realized when an exhibition planner, a sponsor, participants (participating companies) and visitors become the principal agents of an exhibition with a sense of ownership and the ultimate purpose of an exhibition can be achieved on the back of proactive support given by visitor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and harmonious exhibition environment elements. The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 of realizing a successful exhibition by delving into a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for effective Specialized Trade Exhibitions. A success in an exhibition can be determined by such integrated analyses conducted based on objective data as target value aimed at minimizing and objectifying subjective evaluation, quantitative participation and exhibition area in addition to evaluation index. However, such qualitative factors as a sponsor, participants (participating companies) and visitors who are classified as the principal agents of an exhibition are also very important in addition to physical quantitative data. The study suggested a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for specialized trade exhibitions based on such qualitative factors as an organizer, participants (participating companies) and visitors who are the principal agents of an exhibition, and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s concentrated on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exhibition industry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and foreign exhibition (industries), types of exhibitions, theories on Specialized Trade Exhibitions, their importance, success factors, the main principals and functions of Specialized Trade Exhibition, environmental factors and promo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focused on comprehend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xhibition evaluation models in order to design and verify qualitative evaluation models for Specialized Trade Exhibitions that can lead to a successful exhibition. In particular, the study concentrated on figuring out such three core components of evaluation as the appropriateness of an exhibition, a cognitive path of an exhibition and purposes of an exhibi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an exhibition is reconstituted as the suitability of contents and infrastructure, a cognitive path of an exhibition as a participants’ cognitive path (a participating companies’ cognitive path) and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an exhibition as the purpose of participants’ involvement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companies’ involvement), the purpose of visitors’ involvement and the purpose of a sponsor’s participation. Second, the study designed a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and designated resultant research hypotheses and questionnaires based on developed qual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Third, an initial questionnaire was established through the use of Delphi Method in order to see if the designed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is a research method that can be practically assessed with regard to the Korea’s four Specialized Trade Exhibitions that are globally certified, and Pilot Study was conducted of 30 experts based on reliability analyses on stability, consistency, predictability and accuracy of questionnaires and exploratory elements. Fourth, the final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a group of experts and 10,000 persons with KPCA and KOREA PACK, SIMTOS and COPHEX (collected 2519 questionnaires, recorded 25.19% in the rate of recovery and excluded 402 questionnaires containing insincere responses) on a total of 7 potential variables (suitability of contents and infrastructure, participants’ cognitive path (participating companies’ cognitive path), visitors’ cognitive path, the purpose of participants’ involvement (the purpose of participating companies’ involvement), the purpose of visitors’ participation and the purpose of a sponsor’s participation) on a scale of one to seven from April 20, 2016 to April 23, 2016. As for a method of analysis 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and related procedures, previously design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based on the final data on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technological statistics on research variables, substantiation of differences caus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o a questionnaire survey. In particular,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atory Factory Analysis (EFA) and internal consistency review so that the suitability of a tool aimed to measure such potential variables as the appropriateness of an exhibition, a cognitive path of an exhibition and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an exhibition can be tested. Additionally, the validity of concentration and distinction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CFA) on a measuring tool. In additio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examined through technological statistics on potential variables of subjects to research, and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Scheffe‘s method were applied to figure out the appropriateness of an exhibi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an exhibition, a cognitive path of an exhibition and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an exhibition,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were review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in order to figure out correlations among such potential variables as the suitability of an exhibition, a cognitive path of an exhibition and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in an exhibition to appl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can confirm direct effects, indirect effects and the total effects at the same time. In the stage of application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 measurement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confirmative factors of potential variables, and , TLI, CFI and RMSEA indicators were reviewed to judge the suitability of a research model. Thus, the study takes diverse indicators into account due to the fact that each suitability indicator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Toward this end, significance of changes in valu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degree of freedom was tested, and three indicators were compared to establish an optimal model. The final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 test on impact relations among research variables used in the study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designed research model is deemed to be an optimal model that can well explain causal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Hair et al., 1998), and the suitability indicator that is a basis for the judgement is 6012.761 (df=334, p<0.001), GFI=0.842, AGFI=0.808, CFI=0.817, TLI=0.793, RMSEA=0.089, NFI=0.809 and IFI=0.817. In the meantime, as a result of examination on explanatory power () of each research unit through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xogeneous variables and endogenous variables, it turned out that the suitability of contents and infrastructure explained 56.0% of participants’ cognitive path (participating companies’ cognitive path) and 37.7% of visitors’ cognitive path, 87.4% of the purpose of participants’ involvement (participating companies’ involvement), 86.8% of the purpose of visitors’ involvement and 66.4% of the purpose of a sponsor’s participant, which indicates that all hypotheses on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unit of the suitability of contents and infrastructure, participants’ cognitive path (participating companies’ cognitive path), visitors’ cognitive path, the purpose of participants’ involvement (participating companies’ involvement), the purpose of visitors’ involvement and the purpose of a sponsor’s participant have significant effects, provided that of the research hypotheses formulated with the standardization path coefficient 0.035(t=0.533, p값=0.594), only the hypothesis H3-2 (the suitability of contents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pose of visitors’ participation)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and it was rejected.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of Specialized Trade Exhibitions in the most reasonable and practical way, efforts need to be made to suggest practical methods in the field by developing a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that can objectively evaluate competitiveness of an exhibition instead of assessing competitive index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subject purposes led by the public sector including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help to more concrete exhibition industry, assessment on the current state of Specialized Trade Exhibition and follow-up studies on the strength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indicator) suggested by the study. However, the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ntangible qualitative value evaluation on exhibitions was dealt with based on insufficient overseas data and preceding theories. Since the qualitative evaluation model tends to be intrinsically inclined to subjective aspects, more efforts were made to maintain objectification, but it was not enough to resolve practical limitations. In addition, many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purpose of questionnaire survey, but Specialized Trade Exhibitions held in April were mostly concentrated on electronics industry exhibitions and packaging industry exhibitions, which presented practical difficulties. In this regard, it appears that fur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on more progressive and evolved in-depth qualitative evaluation models for Specialized Trade Exhibition, and it is desirable to conduct omni-directional comprehensive research led by the industry, the academia and research centers on the back of proactive support aimed at enhanced national competitiveness centering on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전시산업에 대한 관련 집단과 전문가, 일반인들의 관심과 인식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전문 전시회의 경우 기업 간 거래 및 국가 간 수출을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하고 그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증대되고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전문 전시회에 대한 관계자 즉, 전시기획자, 주최자, 참가자(참가업체), 참관자, 방문자, 기업 및 정부 등의 인식제고로 부분적으로나마 자본투자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현실화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최종제품(End-Product)을 판매하는 B2C를 중심으로 한 전시회의 비율이 높지만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의 장점과 경쟁력을 갖는 것은 전문전시회, 무역전시회가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성공적인 전시회’ 는 전시기획자, 주최자, 참가자(참가업체), 참관자들이 전시회의 주인인 주체가 되고 방문자, 기업 및 정부 등의 적극적인 지원과 전시환경요소들이 어울려 최종의 전시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때 가능하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전문전시회의 정성적 평가모델을 연구하여 성공적인 전시회의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성공적인 전시회의 평가는 주관적인 평가를 최소화하고 객관화하는 것을 우선하기 위한 목표치, 정량적인 참여도와 전시면적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한 통합적 분석과 평가지표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인 정량적 데이터 뿐 만이 아닌 전시회의 주체인 주최자, 참가자(참가업체), 참관자 등의 정성적 요인 또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전시회의 주체인 주최자, 참가자(참가업체), 참관자 등의 정성적 요인을 근간으로 하는 전문 전시회의 정성적 평가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한 전시산업의 이론적 배경, 국내외 전시회(산업) 현황, 전시회의 유형, 전문전시회의 이론적 배경과 중요성, 성공요인, 전문전시회의 주체와 기능, 환경요소와 홍보활동 등을 이해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전시회를 위한 전문전시회 정성적 평가모델을 설계하고 검증하기 위하여 전시회평가모델 관련 선행연구의 이해를 행하였다. 특히, 평가의 3대 핵심 구성요소 즉 전시회 적합성, 전시회 인지경로, 전시회 목적 등을 중점 고찰하였으며 전시회 적합성은 콘텐츠 적합성과 인프라 적합성으로, 전시회 인지경로는 참가자(참가업체) 인지경로와 참관자 인지경로로, 전시회 참여목적은 참가자(참가업체) 참여목적과 참관자 참여목적, 주최자 참여목적 등으로 재구성 되었다. 둘째, 이론적 고찰과 관련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정성적 평가지표를 근간으로 본 연구의 정성적 평가모델을 설계하고 이에 따른 연구가설의 설정 및 설문을 설계하였다. 셋째, 설계된 정성적 평가모델이 현실적으로도 평가 가능한 연구 방법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국제인증 전문전시회를 대상으로 전문가 합의법(Delphi Method)을 사용하여 초기 설문지를 작성하고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의 안정성, 일관성, 예측가능성, 정확성, 탐색적 요인분석 등의 신뢰도 분석을 통한 예비조사(Pilot Study)를 실시하였다. 넷째, 최종 설문조사는 전문가 집단 50명과 KPCA, KOREA PACK, SIMTOS, COPHEX 10,000명(2519부 수거, 회수율 25.19%, 불성실 응답 402부 제외)을 대상으로 총 7개의 잠재변수(콘텐츠 적합성, 인프라 적합성, 참가자(참가업체) 인지경로, 참관자 인지경로, 참가자(참가업체) 참여목적, 참관자 참여목적, 주최자 참여목적)와 7점 척도로 2016년 4월 20일부터 4월 23일에 걸쳐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방법 및 절차로는 신뢰성 분석과 타당성 분석, 연구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설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검증의 최종 데이터를 분석하여 앞서 설계된 연구모델과 가설의 검증을 행하였다. 특히, 잠재변수인 전시회 적합성, 전시회 인지경로, 전시회 참여목적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사를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FA : exploratory factory analysis)과 내적일관성 검토를 위하여 신뢰도분석(Cronbach의 )를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CFA :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을 통하여 집중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잠재변수에 대한 기술통계를 통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시회 적합성, 전시회 인지경로, 전시회 참여목적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사후검정으로는 Scheffe‘s 기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잠재변수인 전시회 적합성, 전시회 인지경로, 전시회 참여목적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을 통하여 연구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검토하여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 효과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적용단계에서는 우선, 잠재변수들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측정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연구모델이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 TLI, CFI, RMSEA 지수를 검토하였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다양한 지수를 고려하는 이유는 각각의 적합도 지수가 가지는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며 이를 위해 먼저 자유도의 변화에 따라 값의 변화가 유의한지 여부를 검정하고 세 개의 지수를 비교하여 최적의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정한 결과, 설계된 연구모델이 연구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명하는 데는 무리가 없는 최적모델인 것으로 판단되며(Hair et al., 1998). 이의 판단 근거인 적합도 지수는 6012.761(df=334, p<0.001), GFI=0.842, AGFI=0.808, CFI=0.817, TLI=0.793, RMSEA=0.089, NFI=0.809, IFI=0.817이다. 한편,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통하여 각 연구 단위들 간의 설명력()을 살펴 본 결과, 참가자(참가업체) 인지경로는 콘텐츠 적합성과 인프라 적합성에 의하여 56.0%, 참관자 인지경로는 37.7%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가자(참가업체) 참여목적 87.4%, 참관자 참여목적 86.8%, 주최자 참여목적 66.4%가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 이용된 콘텐츠 적합성, 인프라 적합성, 참가자(참가업체) 인지경로, 참관자 인지경로, 참가자(참가업체) 참여목적, 참관자 참여목적 그리고 주최자 참여목적의 연구단위 간의 관계에 대한 모든 가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지되었다. 단 가설 H3-2(콘텐츠 적합성이 참관자 참여목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표준화 경로계수 0.035(t=0.533, p값=0.594)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중 유일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맺고자 한다. 전문전시회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가장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으로는 정부나 지자체의 관 주도의 주관적인 목표달성도를 고려한 경쟁력지수를 평가하기보다는 전시회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정성적 평가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보다 더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성적 평가모델(지표)을 통하여 향후 보다 구체적인 전시산업과 전문전시회 현황에 대한 평가와 후속연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해외자료 및 선행이론이 충분하지 못한 현실 속에서 전시회의 무형의 정성적 가치평가를 다루었다는 점이 인정된다. 정성적인 평가모델 자체가 본질적으로는 주관적인 측면에 치우칠 수 있어 무엇보다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객관화가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노력하였지만 현실적인 한계점은 있었다. 또한 설문연구에서도 많은 표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지만 4월에 열리는 전문전시회에 한하여 전자산업과 포장산업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아쉬움과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보다 더 진일보되고 진화된 심층적인 전문전시회의 정성적 평가모델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 국가경쟁력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한 산학연의 전 방위적인 융합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인증마크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에너지 효율 등급 인증 마크를 중심으로

        이응진 창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a system to evaluate safety and reliability of products, certification refers to these fixed evaluation standards and examines if products have followed standards or technical regulations. As for goods of small or medium sized enterprises, they have their own story different from these goods of large companies with high brand value and, the former is hardly chosen by consumers in markets for their relatively low brand value. In order to be selected by consumers in markets, goods of small or medium sized enterprises first need to obtain certification for safety and reliability but even so, as a matter of fact, researchers have hardly discussed correlations between uncertified goods and certified ones. This study looks into how goods with certification would influence purchase attitudes of consumers and as aiming to help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with improvement of their product reliability and marketing activities, the study analyzes, first, how purchasing attributes (quality, product information, brand and price) would affect effects of a certification mark on consumers’ purchase attitudes. Second, the study discusses how a certification mark would work on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Third, how a certification mark would affect both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value is observed. As examining effects of certification on correlations between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that would produce and sell goods and consumers, the study will make a contribution to how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would use certification to increase reliability of their g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