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근콘크리트 공사 표준품셈의 현황 및 개선방향

        이도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건설공사는 수많은 공종과 그에 속하는 세부 작업요소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세부 작업요소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원을 투입해야 하며, 이는 공사비용의 투입을 의미한다. 때문에 공사비를 산출하기 위해서 발주자와 시공자는 공사에 필요한 자재, 인력 및 장비의 정확한 투입량을 파악해야한다. 우리나라는 견적 기준으로서 공종별 단위수량 당 공사에 필요한 노무자의 직종과 인원 수, 재료의 규격, 소요 수량 및 해당 공사에 필요한 건설기계의 규격 및 운행시간 등을 규정하고 있는 표준품셈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준품셈의 값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정 공사비를 산정함에 있어 타당성을 입증하기가 어려우며, 공사현장의 진도관리와 같은 부분에 있어서도 투입될 노무량의 예측과 투입된 노무량의 측정을 어렵게 하여 성공적인 건설사업 수행의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현재 표준품셈의 품값은 시공부위⋅구조물의 형식⋅작업조건⋅공사규모 등의 다양한 조건들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값과 일부 조건에 대한 할증률만 제시하고 있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 공사의 대표적인 공종인 철근 콘크리트 공사의 품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품셈과 RSMeans Building Construction Cost Dat의 품 및 항목 구성 체계를 비교한다. 그리고 실사현장 자료에 기초한 실제 현장의 세부 공종 항목과 품값을 비교 분석하여 품셈체계의 현황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표준품셈에서는 각 항목에 대한 노무량을 품값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RSMeans에서는 Daily Output과 Labor hour로 제시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 물량 단위는 Metric 단위로 표준품셈의 품값은 RSMeans의 Labor hour 값으로 변환하여 비교 분석한다. This study analyzes existing condition of standard estimating s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work and suggests improvement directions of it. In order to do it, a comparison has been performed among standard estimating system, RSMeans, and real project data. Standard estimating system provides basic productivity data in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for public projects, and it shows labor quantity for each work item listed. Labor quantity is the basis for calculating construction cost and productivity in a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standard estimating system’s labor quantity shows a large difference from the actual required. Furthermore, construction project requires categorized items for many works, but standard estimating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provides them. Thus, for many items that are not on the standard estimating system list, one has to apply another rule that may not be standardiz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andard estimating system should reflect more categorized work items and realistic production rates.

      • 분양가상한제가 민간부문 주택공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강태영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분양가상한제는 대표적인 부동산 규제정책 중 하나로 주택가격 안정화를 위하여 2020년 7월 재도입하였다. 그러나 주거 선호지역에 공급확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신규주택 분양가격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정책의 주택가격 안정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아파트 분양가상한제 적용 여부에 따른 주택공급량의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분양가상한제 시행기간과 분양가 자율화 기간 동안 한국주택협회에 가입된 시공능력평가순위 상위 기업의 균형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공급 변수는 정책시행 여부에 따라 즉각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은 주택분양계획을 설정하였고, 분양계획과 분양실적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공급량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거시경제변수, 도시 및 주택시장 특성변수, 개별기업 특성변수를 설명변수로 활용하였다. 추정모형은 패널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분산성과 오차항의 자기상관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인 REAR(1), FGLS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분양가상한제 시행기간 주택공급량이 약 4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규택지 지정면적이 증가하거나, 기업의 자산이 증가할수록 주택공급이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음으로 전체 공급물량을 일반분양과 정비사업으로 구분하여 추정한 결과 공급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될 기간에 공급물량은 감소하며 그 중 정비사업 물량이 일반분양 물량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양가상한제는 공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시장에 미치는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기존의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분양가상한제 시행기간 민간부문 주택공급량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양가상한제로 인한 주택공급량의 변화를 개별 기업의 패널자료를 통하여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지역별, 규모에 따른 차별성을 고려하지 못하였고, 설명변수와 오차간에 독립성을 가정하여 변수간의 내생성 문제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Price ceil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real estate regulatory measures re-introduced in July 2020 with the goal of stabilizing housing prices. However, with the expansion of housing supply to preferred residential areas not achieved yet, the effect of the policy that artificially keeps the new house price low on stabilizing the overall home prices would be limited at bes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changes in the quantity of housing supplies from implementing the price ceiling regulation on newly built housing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balanced panel data. House sale plans were selected as the supply variable used for the analysis because they immediately reflect changes in respons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regulation and It was found tha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sale plan and the sal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chosen as explanatory variables because the housing supply quantity is affected by various factors: macroeconomic variables, urban and housing market variables, and individual company variables. For the estimate model, the models that could effectively estimate by controlling heteroscedasticity and autocorrelation of error terms with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data were used including REAR (1) and FG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housing supply quantity was reduced by approximately 44% during the period when the price ceiling regulation was in effect. In addition, it was also estimated that the housing supply increased as the area designated for new housing construction increased or the company’s assets increased. The results of estimation after categorizing the total supply volume into general sale and renovation pro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supply.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upply quantity decreased during the period when price ceiling was in effect and the number of renovation projects would decline more than that of general sale.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concluded that price ceiling did not affect supply and had a limited effect on the market,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ivate sector's housing supply has diminished during the period when price ceiling was in effect.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the change in housing supply due to the price ceiling regulation was empirically reviewed using the panel data from individual companie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because the difference between regions and scale has not been considered and the endogeneity problem between variables could not be fully explained by assuming the independence between explanatory variables and errors.

      • 컨볼루션 신경망 특성분석을 통한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대뇌활동의 시공간적 특징 규명

        허준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study, the single-trial event-related potential (ERP) during attention network test (ANT), which is triggering spatiotemporal attention,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ortical activity that reflect cognitive decline of idiopathic REM sleep behavior disorder (iRBD) patients without any researcher’s prior knowledge (temporal information or spatial information). 62 iRBD patients (66.48 ± 6.24 years old) and 24 normal controls (68.92 ± 3.73 years old)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brain waves were measured through 60-channel electrodes when ANT performed. EEG was estimated as the cortical current density after preprocessing and converted into input of classifier. The classifier learned prior knowledge through pre-training, and the individual classifier was fine-tuned using transfer learning. To find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cortical activity that reflect cognitive decline in iRBD patients,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technique, layer-wise relevance propagation (LRP)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classifier learning, the averaged accuracy for training data during pre-training was 99.31 ± 0.18%, and the averaged accuracy for validation data was 98.03 ± 1.24%. The averaged accuracy for training data during fine-tuning was 99.78 ± 0.97%, and the averaged accuracy for test data was 99.61 ± 0.86%. As a result of LRP analysis, when 200~300 ms according to target stimulus, interior frontal gyrus, occipital cortex, and superior parietal cortex were identified as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ortical activity that were important for classifying iRBD patients, and previous studies confirmed defects that could explain visuospatial function and executive control function. Finally, the analysis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ortical activity that reflected cognitive decline of iRBD patients without specifying temporal or spatial information of EEG.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 주의력 유발 과제인 Attention network test (ANT) 수행 시 기록된 단일시행 사건관련전위를 기계학습 기반 분석을 통해 뇌파의 시공간을 특정하지 않은 조건에서 특발성 렘수면행동장애(idiopathic REM sleep behavior disorder, iRBD)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를 반영하는 대뇌활동의 시공간적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에 방문한 62명의 iRBD 환자(66.48 ± 6.24 세)와 24명의 정상대조군(68.92 ± 3.73 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피험자들은 ANT 수행 시 60 채널 전극을 통해 뇌파가 측정되었다. 뇌파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대뇌피질의 전류밀도로 추정되었고 분류기 입력으로 변환되었다. 분류기는 pre-training을 통해 사전지식을 학습하였고 transfer learning을 사용하여 개인별 분류기를 fine-tuning하였다. iRBD 환자군의 인지기능 저하를 반영하는 대뇌피질 활동의 시공간적 특징을 찾기 위해 설명가능한 기계학습 기법인 layer-wise relevance propagation (LRP)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류기 학습 결과 pre-training 시 training 데이터터에 대한 평균 정확도는 99.31 ± 0.18%로 도출되었고, validation 데이터에 대한 평균 정확도는 98.03 ± 1.24%로 도출되었다. Fine-tuning 시 training 데이터에 대한 평균 정확도는 99.78 ± 0.97%로 도출되었고, test 데이터에 대한 평균 정확도는 99.61 ± 0.86%로 도출되었다. LRP 분석 결과 target 자극 기준 200~300 ms일 때 inferior frontal gyrus, occipital cortex, superior parietal cortex가 iRBD 환자군 분류에 중요했던 뇌활동의 시공간적 특징으로 확인되었고 선행연구를 통해 visuospatial function, executive control function 결함을 설명할 수 있는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 시스템을 통해 뇌파의 시간 및 공간을 특정하지 않고 iRBD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를 반영하는 대뇌활동의 시공간적 특징을 규명할 수 있었다.

      • 사건관련뇌전위의 기계학습 기반 분석을 통한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뇌인지기능 저하 특성 규명

        김민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설명가능한 기계학습을 기반 사건관련뇌전위 분석을 통해 기존 사건관련뇌전위 연구에서 발생하는 다중 비교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에서 나타나는 인지기능 저하의 원인을 대뇌 피질 차원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하지불안증후군 진단을 받은 9명의 환자와 정상인 13명을 대상으로 task 수행 중 19개의 두피전극으로 피험자의 뇌전위를 얻었다. 두피전극에서 측정한 뇌전위에 신호원 국소화 기법을 적용하여 대뇌 피질 상의 전류 밀도 시계열을 추정한 뒤, Molleweide Projection 기법을 적용하여 2차원 이미지로 데이터를 변환하여 CNN 학습에 사용하였다. 하지불안증후군과 정상 대조군의 대뇌 피질 전류 밀도를 나타내는 2D 이미지를 이용하여 환자를 분류하는 CNN 분류기를 학습하였으며, 학습한 CNN에 설명가능한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환자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 대뇌 피질 입력 데이터를 특정하였다. 분류기는 단일 시행 사건관련뇌전위로부터 얻은 데이터로 91%의 높은 분류 성능을 보였다. 설명가능한 기계학습을 통해 찾은 하지불안증후군 인지기능 저하 특성을 반영하는 대뇌 피질 영역은 좌측의 상전두엽, 상두정엽, 뇌섬엽, 측두엽, 측후두엽, 우측 상측두엽으로 관찰되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좌측 상전두엽은 이차 시각 관련 영역인 좌측 하측두엽, 측후두엽, 상두정엽과 함께 선택적 주의력, 집행 기능, 주의 할당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작업기억 회상에 있어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좌측 뇌섬엽, 우측 상측두엽은 작업기억 회상의 효율을 높이는 의미기억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하지불안증후군을 단일 시행 사건관련뇌전위기반으로 높은 일반화 성능을 보이는 분류기를 개발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조기 진단 등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설명가능한 기계학습 기법을 통해 환자군의 하지불안증후군의 작업기억 저하는 선택적 주의, 주의 할당, 의미기억 등의 기능 결함으로 인한 것임을 대뇌 피질 활동을 통해 밝힐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cortical current density of event-related potentials (ERPs) measured during work memory task based on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to clarify the cause of cognitive deficits in Restless Legs Syndrome (RLS) patients. 13 patients diagnosed with RLS and 13 normal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ERPs were obtained with 19 channel electrodes during the task. To analyze cortical activity from ERPs, the current density time series was estimated by applying the source localization technique. A analysis period was determined to 150–250 ms during memory recollection and averaged, because it is known to be important role to recall an item in working memory. Mollweide projection was applied to the average current density to convert the data into a two-dimensional image and used for input of CNN. CNN classifier was trained to discriminate RLS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and LRP was applied to the trained CNN to characterize cortical features that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outputs of CNN. The classifier provided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from single-trial ERPs, which are known to be low signal-to-noise ratio. The critical cortical regions found through LRP were left superior frontal lobe, the left superior parietal lobe, the left inferior lobe, the left inferior lobe, and the right posterior lobe.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at the left superior frontal lobe is a region involved in selective attention, executive function, and attention allocation along with the secondary visual-related areas, including left superior parietal lobe, left inferior temporal lobe, and left lateral occipital lob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eft insular lobe and right superior temporal lobe are related to semantic memory tha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working memory recall based on the knowledge they know in memory recall. The critical cortical activities found through LRP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orking memory through conscious attention allocation and information comparison in 150 to 250 ms of working memory recall, and it was inferred that the deficits in working memory of RLS was due to functional defects such as selective attention, attention allocation, and semantic memor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average cortical current density in those areas and clinical scores evaluating symptoms of RLS confirmed that cortical activity in some areas has a correlation with sleep disorders, patient symptoms, and anx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explainable machine learning was able to successfully find cortical features that reflect working memory deterioration in patients with RLS and showed the potential of being used to diagnose patients based on the single-trial ERP.

      • Two-stream U-Net for water detection on CCTV

        박현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For researches on water detection in CCTV videos, it is essential to have methods that extract various features of water and datasets that contain features of water. Existing methods for water detection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various features of water,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properly in CCTV videos.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etwork for detecting water in CCTV videos and a video dataset to include various spatio-temporal features of water. The proposed network uses U-net with the encoder transformed into a two-stream structure. Each stream encoder extracts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of water using 2D and temporal 3D convolution. The temporal 3D convolution can achieve reasonable performance with feasible computation than 3D convolution. The decoder of the proposed network receives the concatenated feature map of each stream through skip connections. Finally, the water is detected through the softmax function. In network training, we use the combined Dice loss and L1 loss to give a larger gradient for false prediction. Throughout all experiments, we use the training and testing sets of proposed datase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emporal features of water improve the water detection performance. The proposed network shows reasonable performance with less computation than the network using 3D convolution. Also, the proposed network with pre-trained model performs better than the existing semantic segmentation networks. In particular, the water is well detected even in area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surrounding objects because of water reflection and object shadow.

      • ADHD아동의 음악치료를 위한 관악합주 지도방법 연구 : 중1학년 대상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박병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Korea has various experienced in social changes, such as rapid an aging society, a low fertility, and growing multi-cultural family and one-parent family. Along with movement of this change, immoderate and indiscreet use of television, smart-phone, internet games and all that sort of things result of children's emotional·cognitive development problem come to the fore as social problem that exceed the educational problem. Recently, child with ADHD who has short attention, aggressive and impulsive tendenc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re increased, and we need to proper action ungently. Child with ADHD who has short attention since babyhood and shows hypersensitiveness has some trouble because of maladjustment in communal living and low level of self-esteem in poor performance when in school age and adolescence. Also, ADHD accompany with symptoms like learning disability,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conduct disorder. Adult with ADHD who has some problems like lack of sociality, anti-social issue, trouble in employment suffer depression and even feel guilty if these disorder is leaved without treatment. Schools and homes does not have appropriate understands and have low level of grasp about ADHD, so children could not be provided proper educational actions or cure programs from them these days. Thus, in order to have appropriate understand and improve the level of grasp about ADHD, we make an effort to study of various causes and the time-periodic patterns of behavior, disorders with complications and etc. In this paper, we bring the curative wind orchestra program with creative experience program area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at is early stage of adolescence, and we try to help their decreas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development of emotional·cognitive, and improvement of social skill through music for curative measure, which especially emphasize on seeking the more effective ensemble guidance.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give confidence by admitting their existence and feel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o child with ADHD. In wind orchestra teaching, we expect more remedial value by treating the child with love continuously and patiently rather than improving their technical skill. 우리나라는 현재 빠른 경제적 성장과 함께 저 출산, 고령화, 다문화 가정 및 한 부모 가정의 증가 등 급속한 사회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과 함께 TV, 스마트폰, 인터넷 게임 등 다양한 매체의 과도하고 무분별한 사용으로 아이들의 정서적·인지적 발달의 문제가 교육적 측면을 넘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들어 초·중·고등학교에는 주의력이 부족하고, 공격적이며 충동적인 성향의 아이들 즉, ADHD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적절한 조치가 시급한 상황이다. 유아기부터 산만하고 또래 아이들보다 과민한 행동을 보이는 ADHD아동은 학령기,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집단생활의 부적응과 학습부진으로 생기게 되는 낮은 자존감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ADHD의 문제증상은 학습장애, 적대적·반항적 장애, 품행장애 등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하게 되는데, 이를 계속해서 방치할 경우 ADHD의 성인은 사회성의 결여, 반사회적 문제, 취업상의 문제 등으로 심한 우울증과 죄의식마저 들게 된다. 하지만 학교와 가정에서는 ADHD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하여 ADHD아동들은 적절한 교육적 조치나 치료적 프로그램과 같은 환경을 제대로 제공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ADHD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ADHD의 다양한 원인과 시기별 행동유형, 장애와 동반되는 합병증 등 다양한 측면을 조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청소년기의 초기 단계인 중 1학년의 교과 외 시간인 창의적 체험활동영역을 활용하여 ADHD아동을 대상으로 한 치료적 음악활동으로 관악합주 프로그램를 도입하고, 그와 더불어 효과적인 합주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즉, ADHD아동의 치료적 수단으로서 음악을 통해 아이들의 문제행동의 감소와 정서적·인지적 발달, 사회기술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ADHD아동에게는 무엇보다 자신의 존재를 인정해주고 지속적인 성취감을 통해 자신감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관악합주를 지도함에 있어서 아이들의 연주능력을 높이기보다는 지속적이고 끈기 있는 관심과 사랑으로 그들을 대함으로써 보다 나은 치료적 효과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건축공사의 적시생산(JIT)개념 적용을 위한 양중공정표 및 양중부하 레벨링 기법

        신승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건축공사의 적시생산(JIT)개념 적용을 위한 양중공정표 및 양중부하 레벨링 기법 과거의 건설현장은 현장 규모에 비해 자재적치장소가 여유롭고 조달 및 양중량이 많지 않아 단순히 필요한 자재를 주문하고 도착순서대로 양중하는 밀어내기식 조달 및 양중 생산시스템을 적용하여도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건설업의 경향이 초고층화, 대형화되고 도심지 초고층공사가 많아짐에 따라 기존의 생산시스템은 양중작업을 실시함에 있어 많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중프로세스상의 각 단계에서 양중작업 및 조달시스템의 효율화를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양중계획 프로세스상의 각 단계에서 서로 효율적인 정보교환 및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중계획 프로세스를 3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수행된 연구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양중작업 실시를 위한 지표가 없음을 발견하였으며 현재, 최적의 양중상황에 대한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양중계획 및 실행 프로세스를 실행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가시화시키기 위해 최적의 양중상황을 표현해 줄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양중공정표를 제시한다. 양중공정표는 낭비 없이 양중을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JIT(Just In Time)개념을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공정표를 활용하여 작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공정표를 변환해야하는 리스크가 큰 작업이 필요 없게 되며, 양중공정표 자체에서 변경 가능한 작업들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작업계획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기존의 양중상황을 양중공정표로 표현하였을 때 양중부하가 허용양중부하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양중공정표 상에서 정확한 양중부하의 분배나 추가계획을 통해 합리적인 계획이 가능하게 된다. 양중공정표를 활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 본 연구는 공정표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양중공정표의 프로그램화를 위한 기초로써 양중부하 레벨링 기법을 제시한다. 양중부하 레벨링 기법을 통해 사용자는 효율적인 공사 진행을 위한 최적의 양중공정표를 작성할 수 있으며, 추가 작업의 유무뿐만 아니라 자재의 종류 및 추가 작업 기간의 파악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정량적인 데이터들은 장비선택의 시기 및 종류에 관한 계획단계에서의 의사결정에도 반영되어 전체 건축공사의 생산성 및 효율성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ABSTRACT Hoist scheduling chart and lifting loading method for applying JIT(Just In Time) in construction Shin, Seung Ha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Currently, in Korea, construction project involves lifting process that consists of three steps, which are 'planning', 'procurement' and 'accomplishment in the field'. Many studies about applying concept of Just-In-Time and developing method for efficiency are progressed in each step. However, these studies about 'accomplishment in the field' step have a problem that couldn't affect to 'planning' step because they couldn't provide numerical data exact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Hoist scheduling chart and lifting load leveling method for affecting 'planning step' by numerical data that is supplied from field step. And this study shows that how to apply and affect this result to 'planning' step by using these data. The data from this study's proposal makes possible that managing the field and lifting work efficiency. In addition to the data makes possible that recognizing the time of overtime lifting work & lifting quantity & kinds of materials. Moreover, the data makes possible that recognizing the time & cost of additional expenses. In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can develop construction productivity & efficiency by upgrading process management skill & recognizing time of jointing and disjointing lifting machine because those data can be recognized the status of the field correctly.

      • 실험적 췌장염에서 IL-1β 발현에 대한 JAK/STAT의 역할

        이종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Acute pancreatitis is characterized by initial pancreatic injury resulting from the activation of digestive enzymes and later widespread inflammation to distant organs. Cerulein-induced pancreatitis is similar to human edematous pancreatitis with dysregulation of the digestive enzyme production, cytoplasmic vacuolization, death of acinar cells, edema formation,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to the pancreas. Cytokines are up-regulated in pancreatic acinar cells stimulated with cerulein. In various cells and tissues, Janus kinase/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JAK/STAT) pathway mediates inflammatory processe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activation of JAK/STAT signaling mediates Il-1β expression in pancreatic acinar AR42J cells stimulated with cerulein in vitro as well as the rats with cerulein-induced pancreatitis in vivo using AG490, the JAK2 inhibitor. Activation of JAK2 and STAT3 were monitor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for phosphorylation of JAK2 and STAT3. The mRNA expression and protein level of IL-1β were deter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nd enzym-linked immunosorbant assay(ELISA). Serum IL-1β levels of the rats were determined by ELISA. As a result, cerulein induced activation of JAK2 and STAT3 as well as IL-1β expression, which were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AG490 in AR42J cells. In cerulein-induced pancreatitis of the rats, increased serum levels of IL-1β were suppressed by AG490 treatment. In conclusion, JAK2/STAT3 pathway inducing cytokines such as IL-1β might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pancreatitis, and JAK2 inhibitor might be a therapeutic candidate for acute pancreatitis. 췌장염은 췌장 소화효소의 활성화로부터 일어나 췌장의 손상을 시작으로 다장기부전(multiple organ failure)으로 이르는 질병이다. 실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cerulein에 의한 췌장염 모델은 소화효소 생성의 조절장애, 세포질 내의 공포화, 부종형성, 췌장 선세포의 죽음, 췌장으로 염증세포의 침윤 등의 인간의 임상적인 부종성 췌장염 특징과 생화학적, 형태학적, 병리학적으로 유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Celurein에 의해 췌장 선세포는 여러 염증성 cytokine을 발현한다. Janus kinase/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JAK/STAT)경로는 여러 세포와 조직에서 다양한 염증반응을 매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cerulein 처리에 의해 췌장 선세포주인 AR42J와 흰쥐에서 JAK/STAT 신호를 활성화하는 것을 측정하였으며, cerulein이 염증성 cytokine인 IL-1β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JAK2 억제물질인 AG490을 사용하여 JAK/STAT 신호경로가 cerulein에 의한 IL-1β의 발현을 매개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AR42J 세포와 흰쥐에 cerulein 처리에 의한 JAK/STAT의 활성화를 Western blotting 분석법을 통해 인산화된 JAK2와 STAT3를 측정해 보았다. AR42J 세포와 흰쥐의 혈청에서 IL-1β의 mRNA 발현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법으로 측정하며 단백 수준을 ELISA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AR42J 세포에서 cerulein에 의해 JAK2와 STAT3의 활성화와 IL-1β의 발현이 유도되어지며 JAK2 억제물질인 AG490의 처리로 이들의 활성화와 발현을 막을 수 있었다. 흰쥐에서도 AG490이 cerulein에 유도된 STAT3의 활성화와 IL-1β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JAK2, STAT3 경로는 IL-1β와 같은 염증성 cytokine을 유도하여 췌장염 발생 기전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하며 JAK2 억제물질은 췌장염의 증상을 완화시켜 주는 물질로 응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지방재정과 도시경제에 관한 실증분석

        박광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mpirical analysis on three topics concerning local finance and urban economy. The three topics are local allocation tax, autonomous district adjustment grant, home ownership and unemployment rate respectively. The government will test the fiscal equalization of the local allocation tax on metropolitan cities and analyze the impact on non-tax revenue. Next, the effect of the fiscal equalization of the adjustment grants transferred to the autonomous region is tested and the effect on the financial expansion efforts of the autonomous region is analyzed empirically.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ownership and unemployment rate is analyzed by the macro-data of Korea.. First, the fiscal equalization of local allocation tax and its impact on non-tax revenue. The fiscal equalization of the local allocation tax was analyzed for metropolitan cities using the Gini coefficient decompos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general grant tax had the effect of mitigating the fiscal gap in metropolitan c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ystem could be used to attract the expansion of non-tax revenue. However, the default on non-tax revenue was found to be related to general grant taxes and negative. Second, the effect of mitigating the fiscal inequality between the autonomous districts' adjustment grants and the impact of their own efforts. The fiscal inequality between the autonomous districts of metropolitan cities was found to exist, and the fiscal equalization effect of the adjustment grant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e test were the same on a per-population basis. In particular, the results of the breakdown of the Gini coefficient for metropolitan autonomous regions showed that the fiscal inequality widened after the grant of adjustment grants. The empirical analysis of adjusted grants and non-tax revenue show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pansion of non-tax revenue and the amount was positive. On the other hand, Incheon, Daejeon and Ulsan were derived from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justment grants and nonpayment loss. Third, the impact of home ownership on unemployment. Oswald argued that the high unemployment rate in the U.S. and Europe in 1996 was linked to home ownership rates. Later in 1999, he argued that in order to lower Europe's high unemployment rate, the home ownership rate should be lowered. And this argument is also related to the shrinking private rental housing market. Chapter 4 is purpose of empirical analysis of Oswald's hypothesis using Korean macro-data. The empirical analysis did not clearly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the home ownership rate and the unemployment rate.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empiric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market and the labor market,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urban economy. The lack of sufficient empirical access due to the constraints of micro-data that can be used in empirical analysis can be pointed out as the limitation of research. 이 논문은 지방재정과 도시경제에 관한 세 가지 주제를 실증분석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세 주제는 각각 지방교부세, 자치구 조정교부금, 자가보유율과 실업률이다. 광역시를 대상으로 지방교부세의 재정형평화 효과를 검정하고 세외수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다. 다음으로 자치구에 이전되는 조정교부금의 재정형평화 효과를 검정하고 자치구의 재정확충 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자가보유률과 실업률의 상관관계를 우리나라 거시자료로 실증 분석한다. 첫째, 지방교부세의 재정형평화 효과와 세외수입에 미치는 영향. 광역시를 대상으로 지방교부세 보통교부세의 재정형평화 효과를 지니계수 분해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통교부세는 광역시의 재정격차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세외수입 확충을 유인하는 제도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그러나 세외수입에 대한 불납결손은 보통교부세와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자치구 조정교부금의 재정격차 완화효과와 자체노력의 영향. 광역시 자치구 간 재정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정교부금의 재정형평화 효과가 미진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주민 1인당 기준으로 검정한 결과도 동일했다. 특히 광역시 자치구를 대상으로 한 지니계수 분해결과는 조정교부금 교부 후 재정격차과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교부금과 세외수입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 세외수입 확충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반면 인천, 대전, 울산은 조정교부금과 불납결손이 음(-)의 상관관계로 도출되었다. 셋째, 자가보유가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 오스왈드는 1996년 미국과 유럽의 높은 실업률은 자가보유율과 연관돼 있다는 주장을 했다. 이후 1999년에는 유럽의 높은 실업률을 하락시키기 위해서는 자가보유율을 낮추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그리고 이런 주장은 민간 임대주택시장의 축소와도 관련되어 있다. 제4장은 우리나라 거시자료를 사용하여 오스왈드의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증분석 결과 자가보유율과 실업률의 상관관계가 명확하게 도출되지 않았다. 도시경제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주택시장과 노동시장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실증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미시자료의 제약으로 실증적 접근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점은 연구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 W. A. Mozart의 『Oboe Quartet in F major K.370』의 1악장 Oboe연주기법 비교연구 : Articulation을 중심으로

        김지혜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Mozart는 Haydn, Beethoven과 함께 고전주의 시대 작곡가의 대표주자라 할 수 있다. 그의 음악은 다양하면서도 과중하지 않고, 우아하며 표정이 풍부하고 세련되면서 동시에 소박하기도 하다. Mozart의 <Oboe Quartet in F major K.370>은 유일한 oboe 4중주곡으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6명 oboe 연주자들의 articulation을 중심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Articulation은 악상에 따라 각 음표를 음악적으로 발음하고 연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말한다. 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자신이 의도한 바를 사람에게 올바로 전달할 수 있듯, articulation은 악기 연주에 있어서 곡의 흐름과 분위기를 좌우하게 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 논문의 연구자는 <Oboe Quartet in F major K.370>의 연주자를 바꾸어서 들을 때마다 음악의 표현이 약간씩 다르게 느껴지는 것에 의문을 갖게 되어 articulation을 중심으로 여러 oboe 연주자들의 연주 기법을 비교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을 통해 고전주의 시대 음악의 역사적 배경과 그 시대의 실내악, oboe의 유래와 Mozart 시대를 전후(前後)로 한 oboe의 역사적 위치, 그리고 Mozart의 생애와 음악에 대해 연구하였고, 그 다음으로 악곡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Mozart <Oboe Quartet in F major K.370>의 작품 배경과 곡의 해설 및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연주 기법을 비교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유명 연주자 6명을 선정 한 후 CD와 음원을 수집 한 후 반복하여 들으며 articulation을 중심으로 한 연주기법 dynamics, trill에 대해 비교 연구해 보았다. Articulation은 연주자들마다 해석을 통해서 다르게 여러 가지로 표현하였는데. 특히 slur와 staccato를 다르게 표현하여 많은 차이점을 나타냈다. Dynamics는 Mozart의 연주법에 있어서 거의 p와 f만으로 표현하였는데, 대부분의 연주자들은 세분화되고 대조적인 dynamics를 연주한 반면, Schellenberger(Hansjo¨rg Schellenberger, 1948~ )는 dynamics의 큰 변화 없이 앞으로 진행한다는 느낌으로 연주하고 있다. Trill은 Black(Neil Black, 1932~ )만이 고전주의 시대의 연주형태인 본음의 한음 위에서 시작하고 있고, 나머지 연주자들은 아래에서 위로 향하고 있다. 이 외에 Black과 Hunt(Gordon Hunt, 1950~ )는 기보된 음들과 달리 이들의 연주해석과 음들에 맞게 음의 변화를 주어 원곡과 다른 색다른 느낌을 표현해 주었다. Mozart can be called a perfect representative of Classical era composers along with Haydn and Beethoven. His works are diverse yet not overweight, elegant, abundantly expressive, polished and simple at the same time. Focusing on the articulation of 6 oboe performers with worldwide recognition,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Mozart’s <Oboe Quartet in F major K.370>, the only oboe quartet. Articulation is the various ways one can musically vocalizes and relates each musical note according to its theme. As the way one speaks can correctly convey to listeners what was intended, articulation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factors that govern the flow and atmosphere of piece in performing instrument.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ame to think that it would be meaningful to compare the performance techniques of various oboe performers, centering on articulation. This is because the researcher had questions regarding the discrepancies he felt when listening to differing performers’ performances of <Oboe Quartet in F major K.370>. Accordingly, the researcher studi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music and chamber music in the Classical era, the origin and historical position of the oboe surrounding Mozart’s lifetime, and the life and music of Mozart based on the literatures. Then, the musical background, explanation, and characteristics of <Oboe Quartet in F major K.370> by Mozart were examined to correctly understand the piece itself. Moreover, CDs and sound sources were collected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performance techniques after selecting 6 performers with worldwide recognition. Through repeated listening of the performances, the dynamic and trill performance techniques were comparatively studied focusing on articulation. Articulation was expressed in various different ways by the differing performers’ individual interpretations especially with slur and staccato, and this made grea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dynamics was expressed only with p and f in the performance techniques of Mozart; however, most performers performed a specific and contrasting dynamics while Schellenberger (Hansjo¨rg Schellenberger, 1948~ ), among 5 performers, played it with progressing feelings without big changes to the dynamic. Regarding Trill, only Black(Neil Black, 1932~ ) starts one note higher than the original one following the performance style of the Classical era; while other performers are heading upward at a lower note. Besides these, Black and Hunt(Gordon Hunt, 1950~ ) showed extraordinary differences in feeling from the original music in their changes to the notes according to their own performance interpretations and s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