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턴사원제도가 조직사회화와 개인-조직가치일치 및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나명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국문 초록) 인턴사원제도가 국내에 처음 도입된지 30년이 지났지만 인턴사원제도가 가지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한가지 예외가 있다면 김경수 등(1998)이 13년전에 행한 연구로, 현시점에서 인턴사원제도가 가지는 효과를 다시 한번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턴사원제도가 가지는 효과에 대해 인턴사원제도를 통해 입사한 직원이 정규모집을 통해 입사한 직원보다 조직사회화와 개인-조직가치 일치에서 높은 수준을 보일 것이란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조직사회화(사회적통합, 업무숙달, 역할명확화)와 개인-조직가치의 일치가 성과(직무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와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란 가설을 제시하였다. 본문에서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1년 10월 25일~2011년 11월7일까지 광주에 본점을 둔 3개 기업과 중앙의 300인 이상 대기업 및 공공기관, 중소기업 등 4기관 모두 7개처(공공,금융,제조,통신,써비스업종)를 대상으로 총 455명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35명의 응답이 회수 되었다. 이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과 모집직군이 표시되지 않은 13명를 제외한 422명의 응답자를 분석하였으며, 인턴사원 모집도 아니고 정시사원 모집도 아닌 기타 방법으로 입사한 23명을 제외한, 399명의 자료분석이 이루어졌다. 이중 인턴사원 입사자는 185명, 정규집 모집 입사자는 214명이고, 이중 인턴출신 사원 185명중 10년 미만의 단기 근속사원은 81명, 10년 이상 장기 근속사원은 104명 이었다. 또한 정규직 214명중 10년 미만 단기 근속사원은 133명이었고 10년이상 장기 근속사원은 81명 이었다. 본 연구의 설문을 검증하기 위하여 변수요인별로 Window SPSS 18.0을 이용, 신뢰도를 측정하고, Cronbach 계수 신뢰도 통계량을 얻었다. 변수들의 구성개념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for window 18.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 간 상관관계분석과 함께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기법으로 다중 회귀분석( (Multiple-regression analysis)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가설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만, 가설1의 예측과 달리 조직사회화의 모든 차원(업무숙달, 역활명확화, 사회적통합)에서 정규직모집을 통하여 입사한 사원들의 조직사회화 정도가 인턴사원제도를 통하여 입사한 사원들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가설1 “인턴사원제도를 통하여 입사한 사원들은 정시모집을 통하여 입사한 사원들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조직사회화를 보일 것이다”는 가설은 기각 되었다. 가설2 또한 개인과 조직가치일치가 정규직으로 입사한 사원들이 인턴사원제도 입사자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 되었다. 가설3은 “조직사회화와 성과는 정(+)의 관계를 보일 것이다”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고, 조직사회화와 성과와의 관계는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가설 3-1의 업무숙달은 성과와 정(+)의 관계를 보였고, 가설 3-2의 역할명확화는 성과의 일부분인 이직의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아서 부분적으로 채택되었고, 가설 3-3의 사회적 통합과 성과와 관계는 정(+)의 관계를 보여, 가설 3-2의 부분 채택을 제외하고는 모두 채택 되었다. 가설4의 “개인과 조직가치일치와 성과(조직몰입, 이직의도, 직무성과)간의 관계에서 정(+)의 관계를 보일 것이다”는 개인과 조직가치일치와 성과간의 관계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는데, 가설 4-1의 개인과 조직가치의 일치와 조직몰입간 관계만 정(+)의 관계를 보였고, 가설 4-2와 4-3의 이직의도와 직무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조직가치의 일치와 조직사회화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분야 즉 사회적통합과 역할명확화, 업무숙달과 성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으로 채용제도와 근속년수에 따른 개인-조직가치의 일치는 인턴 입사사원보다 정규 입사사원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근속부분은 인턴에서는 장기가 정규에서는 단기가 더 높게 나타났다. 조직사회화를 하부변수 별로 적용 각각의 차이를 비교한 바, 사회적통합을 제외한 역할명확화와 업무숙달에서는 정규입사자가 더 높고, 단기근속자보다 장기근속자가 인턴 및 정규직 입사자들 모두 더 높았다. 또한 공ㆍ사기업간의 개인-조직가치일치와 조직사회화 정도 차이분석에서는 사기업이 높았으며, 채용제도와 공ㆍ사기업간의 개인-조직가치일치와 사회화정도 차이를 분석하여 본 결과 채용제도에서는 정규모집을 통한 입사사원이 인턴 입사사원들 보다 더 높았고, 공기업보다 사기업이 각각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가지는 이론적 의미와 실무적 의미가 토론 부분에서 논의 되었으며 본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 역시 제시 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internship program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s, job performance).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employees recruited through an internship program would show a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person-organization fit than those recruited through the regular recruiting. In addition,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person organization fit would positively relate to performance. To test these hypotheses, data collected from 185 employees hired from an internship program and 214 employees hired from regular recruiting procedure in 7 firm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employees hired from regular procedure showed a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an those hired from an internship program.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ositively related to performanc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person-organization fit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 commitment. Additional analysis showed that employees hired from regular recruiting showed a higher level of person-organization fit than those hired from an internship program. And employees in private firms have shown a higher level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an those in public firms. Based on the these finding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key word : Internship Program,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Person- Organization Fit, Performance, Social Integration, Role Clarity, Task Mastery,Turnover Intentions,Organizational Commitment,Job Performance

      •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의 검증: 개인과 집단분석수준을 중심으로

        조용석 전남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논문에서는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의 VDL모형을 개인과 집단 분석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로써 이철우와 김경수(2020)는 Klein & House(1995)의 주장에 기초하여, 카리스마적 리더가 동일 집단에 속한 부하들을 리더가 제시하는 새로운 방식과 질서 또는 기존의 낡은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선호 여부에 따라 내집단과 외집단으로 구분할 것이란 가정을 하고 연구를 하였으나, 이러한 가정의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연구하지 않았다. 그뿐만 아니라 기존의 카리스마적 리더십 연구들은 부하 개인들의 지각에 기초하여 개인 분석 수준에서도 성립하는 이론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을 개인 분석 수준에서 예측하고 검증함은 물론 Klein & House(1995)의 주장을 토대로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를 하나의 변수로 추가하여 집단 분석 수준에서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분석 수준 관점에서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혁신 행동의 관계가 개인 분석 수준에서 성립할 것이란 예측을 하였다. 즉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와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과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과 혁신 행동은 개인 분석 수준에서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란 예측을 하였다. 또한, 이러한 예측에 기초하여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이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와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란 예측과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이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과 부하의 혁신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란 예측을 하였다. 둘째, 집단 분석 수준 관점에서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혁신 행동의 관계가 집단 간의 차이보다는 집단 내의 차이에 기초하여 성립할 것이란 예측을 하였다. 즉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와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과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과 혁신 행동은 집단 내의 차이에 기초하여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란 예측을 하였다. 이와 더불어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이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와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간의 관계를 집단 내의 차이에 기초하여 매개할 것이란 예측과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이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과 부하의 혁신 행동 간의 관계를 집단 내 차이에 기초하여 매개할 것이란 예측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5개 기관(금융, 제조, 대학, 공공기관, 기타), 86개 집단에 속한 463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가설이 다음과 같이 검증되었다. 개인 분석 수준에서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와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과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과 혁신 행동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이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와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이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과 부하의 혁신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가설이 검증되었다. 집단 분석 수준에서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부하의 혁신 행동이 집단 간의 차이보다는 집단 내의 차이에 기초하여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이 새로운 방식과 질서에 대한 부하의 태도와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 간의 관계를 집단 내의 차이에 기초하여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리더에 대한 부하의 자발적 수용이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과 부하의 혁신 행동 간의 관계를 집단 내 차이에 기초하여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논문에서 제시한 가설이 검증되었다. 결론 부분에서는 본 논문의 분석 결과가 가지는 의미를 이론적인 관점과 실무적인 관점에서 논의하였으며, 본 논문이 가지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역시 이루어졌다.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on examining a charismatic leadership theory as a VDL(vertical dyad linkage) model argued by Lee & Kim(2020). Based on Klein & House(1995), Lee & Kim(2020) had studied and hypothesized that charismatic leader distinguishes in-group and out-group members from his(or her) subordinates with their preference to old or new way and order which suggested by their charismatic leader. This study re-examined charismatic leadership theory focusing on the Individual and Group-level analysis with adding variables that followers' attitudes to new way and order which suggested by their charismatic leader.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below. In the view of relation of variables, this paper predicted each variables have positive relations between followers' attitudes to new way and order and charismatic leader behavior, between charismatic leader behavior and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to their leader, between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to their leader and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 And this study predicted that charismatic leader behavior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followers' attitudes to new way and order and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to their leader. And also this study predicted that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to their leader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charismatic leader behavior and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 In the issue on the level of analysis, this study predicted that each variables positively related between followers' attitudes to new way and order and charismatic leader behavior, between charismatic leader behavior and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to their leader, between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to their leader and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differences within groups. This study predicted that charismatic leader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followers' attitudes to new way and order and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to their leader, based on the differences within groups. This study also predicted that followers' voluntary acceptance to their leader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charismatic leader behavior and follower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differences within groups. To test the hypotheses, data that collected from 463 members of 86 teams in 5 organizations(banks, plant, college, public agency)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 9 of hypotheses in this study were verified as follows. Hypothesis 1 to 5 were support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and also hypothesis 6 to 9 were supportive in the Group-level. Throughou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meaning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presented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방사선 병용기술을 이용한 한국형 우주김치 개발

        김관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s of additives (A), N₂-packaging (N₂), mild heating at 60℃ (HT) and gamma irradiation of 25 kGy (IR) at frozen state (F) on the shelf stability and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at 35℃ for 30 days. 1. Kimchi treated with heat and gamma irradi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 of heat and gamma-irradiation on the shelf-stability and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at 35℃.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heat treatment of kimchi was considered at 60℃ for 30 min. Irradiation after heat treatment was effective to inhibi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prevent the quality change of kimchi during storage. Specially, microorganisms of kimchi co-treated with heat and 25 kGy-irradiation were not detected and sensory scores of that were the highest after storage at 35℃ for 14 days. Therefore, combination treatment of heat and irradiation was considered as the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shelf-stability of kimchi in the accelerated condition. 2. Kimchi treated with N₂-packaging, mild heating, and gamma irradi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bined effects of N₂-packaging (N₂), mild heating at 60℃ (HT) and gamma irradiation of 25 kGy (IR) on the shelf stability and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at 35℃ for 30 days. Total microbes including lactic acid bacteria were sterilized perfectly by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HT-IR or N₂-HT-IR, and the acidity of Kimchi was not changed during storage. Irradiation softened textural property of Kimchi. However, combination of N₂-packaging with heating and irradiation retarded this softening of Kimchi by high dose irradiation. Organoleptic qualities were improved by the combination treatm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3. Kimchi treated with N₂-packaging, mild heating, and gamma irradiation under freezing temperatu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irradiation temperature on the shelf stability and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at 35℃ for 30 days. Kimchi samples were N₂-packaged and heated at 60℃ and then gamma irradiated at 25 kGy under various temperatures (room temperature, ice, dry ice, and liquid nitrogen). In the results of microbial, pH and acidity analysis, combination treatment of heating and irradiation was able to sterilize microbes in Kimchi regardless of irradiation temperature. When Kimchi was irradiated under frozen temperatures, especially dry ice, the softening of texture and the deterioration of sensory quality of Kimchi were reduced. Also, ESR signal intensities were weakened as the decrease of irradiation dose and temperature. 4. Kimchi treated with additives, N₂-packaging, mild heating, and gamma irradiation under freezing temperature 4.1. Effect of calcium products treatment The effect of calcium products treatment on the inhibition softening of irradiated Kimchi by 25 kGy was investigated. The optimal addition rate of calcium products (calcium lactate: C.L, calcium acetate: C.A, calcium chloride: C.C, calcium: C) were determined to 0.01% after sensory evaluation, respectively. The texture of irradiated (25 kGy) Kimchi samples added with all calcium products were ranked as follows: C.L Kimchi > C.C Kimchi > C Kimchi > C.A Kimchi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f P < 0.05. 4.2. Effect of vitamin C and calcium lactate addition The effect of vitamin C and calcium lactate addition on the softening inhibition of high dose irradiated Kimchi was investigated. Optimal addition rate of vitamin-c and all calcium products (calcium lactate: C.L, calcium acetate: C.A, calcium chloride: C.C, calcium: C) weredetermined to 0.3% and 0.01%, respectively. The texture,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nce of irradiated (25 kGy) Kimchi samples added with all calcium products were ranked as follows: C.L Kimchi > C.C Kimchi > C.A Kimchi > C Kimchi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f P < 0.05. The hardness of irradiated (25 kGy) Kimchi samples added with vitamin C or C.L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nd unadded during stroage. The hardness of vitamin C+C.L (ADD), N₂-packaging (N₂), mild heating at 60℃ (HT), Freezing at -70℃ (F) and gamma irradiation of 25 kGy (IR) treated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nd unadded combined treatment during storage 30 days at 35℃. 4.3. Effect of paprika color and Kimchi flavo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mbination effects of paprika color and Kimchi flavor on the improvement of sensory quality of irradiated sterilization Kimchi during storage at 35℃ for 30 days. In our previous results, the total microbes, lactic acid bacteria contents of N₂-HT (60℃)-F (-70℃)-IR (25 kGy) treated with Kimchi was perfectly sterilized. Also, sensory quality of N₂-HT-F-IR treated with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all treatments (Control, HT, HT-IR, N₂-HT-IR). However, color and taste acceptance of Kimchi was still decreased by irradiation. Meanwhile, at this study, total microbes, lactic acid bacteria contents of A (paprika color, Kimchi flavor)-N₂-HT-F-IR (25 kGy) treated with Kimchi was not detectable, decrease of color, taste, overall acceptance on irradiated Kimchi could effectively controll during all storage times.

      •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시각연출 형식 분석법 개발 연구 : 프로덕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김기범 전남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최근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은 게임, VR, AR, 홀로그램, 4D 체험 등 첨단 영상콘텐츠의 부분, 혹은 융·복합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또한 3D 미디어아트나 CM 홍보영상 등의 장르에서 단독 작품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것은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이 영상콘텐츠의 부분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작품으로서 무한한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은 컴퓨터의 3D 디지털 기술만을 이용하여 완성한 작품을 일컫는다. 주로 PC 환경에서 3D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작되며, 이때 모델링, 맵핑, 라이팅, 모션, 카메라 등의 프로덕션 전 과정을 애니메이터가 직접 연출한다. 따라서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은 시각적인 면에서 새로운 시도와 기술을 통해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며, 청각보다 시각적인 연출에 집중된다는 특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3D 애니메이터를 위한, 또는 비교 분석 평가를 위한 시각연출의 분석 방법이 없었다. 이에 연구자는 3D 컴퓨터애니메이션에서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각연출 분석법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분석법은 프로덕션 프로세스인 모델링, 맵핑, 모션, 카메라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3D 공간 시각연출과 3D 시간 시각연출로 개념을 분류하고,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전문가의 전자우편 설문을 통해 형식적 시각요소들을 추출하였다. 3D 공간 시각연출에서 시각요소는 총 10가지이다. 구성 단계에서 시각요소는 모델링의 캐릭터와 백그라운드 타입, 맵핑의 캐릭터와 백그라운드 타입, 컬러 타입 등 5가지이고, 동작 단계에서는 모션의 키프레임과 프로시듀얼, 퍼포먼스 타입, 카메라의 샷과 앵글 타입 등 5가지이다. 3D 시간 시각연출의 시각요소는 총 14가지이다. 구성 단계에서 시각요소는 모델링의 캐릭터 폼과 캐릭터 어마운트, 캐릭터 사이즈 알트, 백그라운드 폼 알트, 맵핑의 캐릭터와 맵핑의 텍스처, 컬러 알트 등 8가지이고, 동작 단계에서는 모션의 디렉션, 스피드, 레인지 알트, 카메라의 샷과 앵글, 워크 알트 등 6가지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이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시각연출 형식을 프로덕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시각연출의 3D 공간과 3D 시간으로 구분하고, 총 24가지의 시각요소 추출을 통해 체계적인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적 토대는 영상의 형식 분석법(Form Analysis Method) 이론이다. 형식 분석법은 영상의 구조에서 이미지 특성과 변화, 연관성, 특징 등을 심층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분석법을 실행하는 도구는 영상의 물리적인 계층 구조로 분절하는 데쿠파주 도구와 개별 이미지의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영상이미지 분석 도구이다. 위와 같은 절차에 의해 개발된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시각연출 형식 분석법이 실재 사례 분석에서는 어떻게 적용되는지, 어떠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작품 사례를 조사하였다. 분석 대상은 컴퓨터애니메이션 부문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는 프릭스 아르스일렉트로니카의 2000년대 이후 3D 컴퓨터애니메이션 1위 골든니카(Golden Nica) 수상작품으로 2014년 1위 작품 <Walking City>와 2016년 1위 작품 <Rhizome>, 2017년 1위 작품 <Everything> 등 3개의 작품(n=3)을 샘플로 선정하였다. 3개의 작품을 대상으로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3D 프로세스별 분석 결과에서는 3D 공간과 시간에서 시각요소의 우선순위가 다르며, 작품별 시각연출도 각각 다르게 조사되었다. 3D 공간의 시각연출 분석에서는 시각요소 타입의 수량 순위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공통점은 구성 단계에서 모델링과 맵핑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구성 단계에서 여러 개가 아닌 하나의 캐릭터나 오브젝트 타입의 시각요소에 집중한 것이다. 3D 시간의 시각연출에서는 시각요소 변화의 횟수 순위가 각각 다르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시각요소 변화의 순위는 작품마다 개성이 뚜렷하며, 작품별로 특정한 시각요소에 집중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3D 시간의 시각연출에서 공통점은 구성 단계와 동작 단계에서 특정한 시각요소에 집중화, 다변화하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양적 증가, 질적 고조 등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제작 규모가 큰 3D 애니메이션이 다양한 시각요소의 창작과 변화를 줄 수 있는 반면, 규모가 작은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은 인적, 기술적, 시간적 한계에 따라 특정 동작 등의 시각요소를 반복 또는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의 3D 공간과 3D 시간을 동시에 비교하는 집중분석 결과에서는 3D 공간의 개수가 많을수록 3D 시간의 횟수가 함께 증가하고, 3D 공간과 시간 각각의 구성 단계에서 시각요소가 많을수록 동작 단계의 시각요소가 많은 변화를 보이는 비례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3D 공간과 시간에서 구성 단계와 동작 단계의 분리가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와 같이 정량적인 수치의 시각연출 형식 분석법을 통해 3D 컴퓨터애니메이션 경진대회의 특성 또는 거시적인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 위 분석법의 적용 결과는 전문가의 설문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링과 맵핑 등 구성 단계의 기술에 강점이 있는 애니메이터들은 주로 3D 공간 시각연출 관점에서 전략을 수립하고, 모션과 카메라의 동작 단계에 노하우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 애니메이터들은 3D 시간 시각연출 관점의 전략을 수립한다는 결과이다. 그리고 이 두 가지 모두의 시각연출을 사용하는 애니메이터의 경우, 3D 공간과 시간을 비교적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시각연출을 추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로 1인 또는 소수의 애니메이터가 수많은 시각요소들을 직접 연출해야 하는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의 특성상, 기술과 시간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3D 공간을 창조하는 구성 단계와 3D 시간을 재창조하는 동작 단계에서 시각요소의 우선순위 지정과 순서의 배치, 자신만의 기술 등의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들 모두의 공통적인 시각연출 전략은 구체화보다 단순화의 시각요소들을 찾는 것이다. 단순화의 시각연출은 구체화의 시각연출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고, 시각요소의 단순화를 통해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3D의 기술적 단점을 극복하고 자신만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각연출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3개의 작품을 대상으로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시각연출 형식 분석법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첫째, 분석법을 통해 프로세스 단계별 구성 단계의 모델링과 맵핑, 동작 단계의 모션과 카메라) 시각요소의 타입과 알트 등의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함으로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며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둘째, 3D 공간 시각연출 프로세스의 구성 단계와 동작 단계, 그리고 3D 공간 시각요소 전체의 순위를 나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3D 공간의 구체화와 단순화의 시각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것은 분석법을 통해 3D 공간의 시각연출에서 어느 시각요소를 생략하고 집중했는지 비교 분석이 가능하다는 검증이다. 셋째, 3D 시간 시각연출 프로세스의 구성 단계와 동작 단계, 그리고 3D 시간 시각요소 전체의 순위를 나열할 수 있고, 3D 시간의 구체화와 단순화의 시각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것은 분석법을 통해 3D 시간의 시각연출에서 어느 시각요소를 생략하고 집중했는지를 분석이 가능하다는 검증이다. 넷째, 개인이 선호하는 대회나 애니메이터의 작품, 그리고 분석이 필요한 연구자가 특정한 여러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3D 공간과 3D 시간 각각의 시각요소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진대회의 지역적 특성 및 시대별 경향을 예측할 수 있다. 다섯째, 3D 공간과 시간 시각연출의 집중 분석을 통해 3D 공간과 3D 시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작품의 전략과 애니메이터의 의도 및 특정 기술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3D 공간과 시간 시각요소를 각각 체크하거나 분리 또는 합체하여 새로운 분석틀의 재수립에 따른 목적별 평가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3D 컴퓨터애니메이션 시각연출 형식 분석법은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특정 작품의 시각요소를 집중분석 또는 비교분석 할 수 있다. 특히, 1인 제작 환경의 애니메이터가 선호하는 작품의 자유로운 분석을 통해 실무적인 시각연출 방안을 마련하고, 제작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임으로서 애니메이터의 작업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하며, 애니메이터의 기술적 단점을 커버하고 장점을 극대화하는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서 본 연구의 분석법이 VR, AR, 홀로그램 등의 첨단영상 분야의 인력 양성을 위한 후속 연구와 다양한 파트의 3D 융·복합 영상물과 미디어파사드 등 단독 작품의 기획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D computer animation recently has been used extensive in the field of cutting-edge video content such as games, VR, AR, hologram, and 4D experience, or the convergence field. It is also receiving attention as a single work in genres such as 3D media arts or CM promotion video. It suggests that 3D computer animation has unlimited potential as an independent work and a part of video contents. 3D computer animation refers to work completed by only 3D digital technology of computers. It is mainly produced by 3D software in PC environment and the animator directly directs all production processes such as modeling, mapping, lighting, motion, and camera. Therefore, 3D computer animation can produce creative expression through new attempts and techniques from the visual point of view. It is focused on visual presentation rather than audition.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method of analyzing visual presentation for 3D animators or comparative analysis evaluation until now. In this study, researchers focused on development of visualization method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3D computer animation. We classified the concept into 3D space visualization and 3D time visualization focusing on the production process such as modeling, mapping, motion, and camera processes. Also, we extracted formal visual elements through questionnaire on 3D computer animation experts. There are 10 visual elements in 3D space visualization. In the construction phase, visual elements include five types of elements: modeling character, background type, mapping character background type and color type. And in the operation phase, visual elements include five types of elements; key frames of motion, procedure, performance type, camera shot and angle type. 3D time visualization has a total of 14 kinds. In the construction phase, visual elements include eight types: character forms, character amount alteration, character size alteration, background form alteration, character texture of mapping, color alteration, background texture and color alteration. In the operation phase, visual elements include six types: motion direction, speed, range alteration, camera shot, angle and work alteration. In this way, we divided the 3D computer animation visualization format into 3D space and 3D time of production centered on the production process and suggested a systematic analysis framework through extraction of 24 kinds of visual elements. The theoretical basis supporting the above is Form Analysis Method which is a method of in-depth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changes, associ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images in the visual structure. The tool of this method is a video image analysis tool that analyze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decoupage tool that are segmented into physical hierarchical layers of images. We investigated the case studies to examine how 3D computer animation visualization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the above procedure is applied to the case study and verify the analysis method. For the subject of the analysis, we selected 3 kinds of works (n=3) as sample: the Grand prize <Golden Nica> of 3D computer animation field which is called as Oscar for Computer Animation is given to works the 2014 grand work <Walking City>, the 2016 grand work <Rhizome> and the 2017 grand work <Everything>. We applied the analytical method to the three works above. And as a result, we foun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In analysis results of 3D process, priority of visual elements in 3D space and time were different and visualization was also different. In visualization analysis of 3D space, the amount ranking of the visual element types were different. We found the common point: the number of modeling and mapping is relatively large in the construction stage and is focused on visual elements of character or object type rather than several types. In 3D visualization, the ranking of visual element changes was analyzed differently. The ranking of these visual element changes showed that each work has a unique character and focused on specific visual elements. However, in the 3D time visualization, we found the common point: it is concentrated and diversified to specific visual elements in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phases therefo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While 3D animation of a large production scale can create and change various visual elements, small 3D computer animation repeats or emphasizes visual elements such as specific motion according to human, technical, and time limit. In the focused analysis result comparing 3D space and 3D time of computer animation, we found that the more the number of 3D space, the more the number of 3D time increases and the visual elements of the operating phase showed a lot of changes as the number of visual elements increased in each phase of 3D space and time which was proportional. This is a result showing that there is an organic correlation in the 3D space and time but not the separation.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phases. As such,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r macroscopic trends of the 3D computer animation contest through quantitative numerical visualization format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method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conducted by experts. Animators who have a strong technical skill in the construction phase such as modeling and mapping mainly develop strategies from the point of 3D space visualization. In addition, the animators who have know-how and differentiation in motion and camera operation phase mainly develop 3D time visualization strategy. In the case of an animator using both of these visualization, it pursues visualization that can deal with 3D space and time freely. The characteristic of 3D computer animation is that one person or a small number of animators have to direct many visual elements directly.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chnology and time, it reflects the realization of prioritization of visual elements, arrangement of order, and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phase of creating 3D space and time. A common visualization strategy for all of them is to find visual elements that are simpler than materialization. The visualization of simplification can make the visualization of materialization more visible and save working time by simplifying the visual elements. It is because of visualization that can overcome the technical shortcomings of 3D and maximize its own merits. As a result of applying 3D computer animation visualization analysis method to the three works, we verified that the following analysis is possible. First, we can conduct quantitative analysis by providing specific numerical values such as type and alteration of visual elements through process phases (modeling and mapping of composition phases, motion and camera of operation phases). Through this, we proved that it is possible to conduct systematical and objective analysis. Secondly, it is possible to list the construction phase and operation phase of the 3D spatial visual production process and the order of the 3D spatial visual elements. Therefore, we can extract the visual elements of the 3D space materialization and simplification. This shows we can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concerning which visual elements are skipped and concentrated in the 3D space visualization through analysis method. Thirdly, it is possible to list the construction phase and operation phase of the 3D time visualization process and the overall ranking of the 3D time visual elements. Also, we can extract the visual elements of the 3D time materialization and simplification. It proves that we can analyze which visual elements are skipped and concentrated in the visualization of the 3D time through analysis method. Fourth, the researcher can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elements of the 3D space and the 3D tim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several works such as competition preferred by individuals or animators’ works. Through this, we can predict local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ontest events. Fifth, we can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3D space and 3D time through intensive analysis of the 3D space and time visualization. Also, we can understand the strategy of the work, the intention of the animator and the specific technology. In addition, we can conduct evaluation with the purposes according to re-establishment of new analysis frame by checking each element of the 3D space and time, or separating and combining them. As such, we can conduct intensive analysis or comparative analysis on visual elements of specific works through the 3D computer animation visualization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purpose of researchers. Especially, we can reduce the work time and labor of the animator by reducing the trial and error in the production process by practical visual production plan and free analysis of the work preferred by the animator in a single-person production environment. And i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to cover the technical shortcomings of animators and maximize the benefit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tical method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s for follow-up studies for manpower cultivation in cutting-edge image field such as VR, AR and hologram and the basic materials for a single-work plan such as various parts of 3D convergence media and media facade.

      • 방사선 조사 주요 농산품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와 식품포장재의 방사선 유도산물에 관한 연구

        심성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effect of γ-irradiation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gricultural products and food packaging materials which have been consumed. I.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gricultural products ●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dried red pepper, carrot, Welsh onion and chinese pepper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method and identified by GC and GC/MS analysis. ● Sixty on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dried red pepper, including 21 hydrocarbons (46.14%), 13 aldehydes (28.94%), 7 ketones (7.45%), 2 esters (4.65%), 4 N-containing compounds (3.65%), 6 alcohols (3.40%), 6 furans (3.05%) and 2 miscellaneous (2.72%). Major compounds were furfural, benzaldehyde, nerolidol, α-curcumene and 4-hydroxy-β-ionone. ● Forty seven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dried carrot and the major compounds were identified β-caryophyllene, α-patchoulene, α-selinene, α-humulene, caryophyllene oxide and eugenol. Terpenoids contributed on characteristic flavor of dried carrot. ● Twenty six compounds were identified and 17 S-containing compounds (87.93%) were detected as a major constituents of dried Welsh onion. The major compounds were dipropyl trisulfide and 1-propanethiol. (E)-Propenyl propyl d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 (Z)-propenyl propyl disulfide, propylene sulfide and methly propyl trisulfide were also identified. ● Sixty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dried Chinese pepper, including 4 acids (36.50%), 2 ether (35.69%), 13 aldehydes (10.74%), 13 alcohols (5.82%), 13 hydrocarbons (5.05%), 4 esters (3.13%), 6 ketones (2.45%) and 4 miscellaneous (0.62%). The major compounds were estragole, hexanoic acid, heptanoic acid, octanoic acid and nonanoic acid. Among them, estragole was found as the predominantly abundant component of dreid Chinese pepper. II. Analysis of change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gricultural products by γ- irradiation ●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non- and irradiated agricultural products with doses of 3, 5, 10 and 20 kGy using 60Co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method, and identified with GC/MS analysis. ● In dried red pepper, the typ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rradiated samples were similar to those of non- irradiated sample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se compounds differed between treatments. 1,3-Bis [1,1-dimethylethyl]-benzene was identified only in irradiated samples. The concentration of this compound increased with increase of irradiation dose level. ● In dried carrot, sesquiterpene hydrocarbons were detected as a major constituent of dried carrot. The type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irradiated dried carrot were similar to those of non-irradiated sample, but the concentrations of these compounds differed between treatments. Interestingly, 1,3-bis [1,1-dimethylethyl]-benzene, a characteristic compound, was detected in only irradiated samples. ● In dried Welsh onion, the several S-containing compounds (methyl propyl disulfide, (Z)-propenyl methyl disulfide, (E)-propenyl meth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methyl propyl trisulfide and 2,4-dimethyl thiophene) were highly induced at 20 kGy of irradi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application of γ-irradiation at 20 kGy did not bring any significant lose in total cont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dried Welsh onion. ● In dried chinese pepper, ether (estragole) constituted one of the main functional groups i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sancho. Some of compounds were highly increased at low doses and started to decrease as irradiation doses increased, while some were highly increased at high irradiation doses. The response of compounds to irradiation was found to be variable. ● In this part, effects of γ-irradiation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gricultural products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changes of volatil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little changed, but few specific compounds induced by γ-irradiation were identified. Also, 1,3-bis[1,1-dimethylethyl]-benzene was identified only in irradiated samples (red pepper, carrot and Welsh onion). The variations of concentration in irradiated samples identified in this study could be due to the radiation sensitivity of compounds with the dose used. III.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irradiated food packaging materials ● Several research results about the effect of food irradiation have been reported, but any research about the irradiation of the food packaging materials has not been conducted in Korea. Therefore, we need to study about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irradiated food packaging materials (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ropylene and polystyrene) ● In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1,3-bis[1,1-dimethylethyl]-benzene (1,3-DBB) was identifed only in irradiated samples. Levels of 1,3-DBB increased with increasing irradiation doses. Polymer stabilizers such as antioxidants used in polyethylene were found to be degraded by ionising radiation. ●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1,4-diphenyl-2-butene was increased after irradtiation. The variations of concentration in irradiated samples identified in this study may be related to the radiation sensitivity of compounds with irradiation doses. ● In polystyrene, most compounds identified were styrene monomer. The composi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were little changed. ● These results suggest may be useful in evaluation of γ-irradiation effects on food packaging materials.

      • Capsicum annuum종 고추류의 향미성분 특성비교

        전삼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요 약 본 연구는 건강한 식생활 문화를 위해 한국음식의 조리에 주로 사용되는 향신채소인 고추에 대한 다양하고 과학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고추류의 종별 일반성분 및 향미적 특성을 분석 비교하여 향후 각각의 조리 특성에 맞는 활용가치 제고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국식생활에서의 고추의 위치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종은 대부분 Capsicum annuum으로 우리나라 국민 1인당 고추 소비량은 대략 2 kg정도로 높은 편이다. 현재 우리나라 음식에는 김치, 고추장, 젓갈 등에서 고추를 빼고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고추가 한국음식의 맛을 내는 아주 중요한 신선채소 및 향신료로 자리 잡고 있다. 고추에서 특징적인 성분 특성으로는 매운맛을 내는 capsaicin과 붉은 색을 나타내는 capsanthin이 있으며, vitamin C 등의 항산화성분의 함량도 높은 편이다. 고추의 형태적 특성 및 종의 분류 고추의 주요 재배종은 C. annuum, C. baccatum, C. chinense, C. frutescens, C. pubescens이며, 그 중 C. annuum의 재배율이 가장 높다. 맵지 않은 단고추에서부터 매운 ‘jalapeno’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고추들이 C. annuum에 속하며, C. baccatum은 볼리비아가 원산지로 ‘aji'가 대표적이다. C. chinense는 가장 매운 종으로 ‘habanero'가 대표적이다. C. frutescens는 ’tabasco'가 대표적이며, C. pubescens는 재배율이 가장 낮으며 ‘rocoto’가 대표적이다.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 파프리카와 오이고추에서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대적으로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은 일반홍고추류나 칠리류와 비교하여 낮은 함량으로 확인되었다. 칠리류의 수분함량이 가장 낮은 반면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은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고추의 지방산은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로 구성되어 있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모든 시료에서 전반적으로 다량 분포함에 따라 주요 지방산임을 확인하였다. 항산화성분 고추에서 확인된 총 flavonoid의 함량은 21.7~170 mg/100 g의 범위로 존재하였으며, 매운홍고추와 멕시코 칠리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오이고추와 파프리카류는 21.7~56.4 mg/100 g 대체로 낮은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파프리카의 경우 색상별 함량차이는 크지 않았다. 총 phenol성 화합물의 함량은 80~263 mg/100 g의 범위로 존재하였으며 매운홍고추, 적색 및 황색파프리카에서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이고추 및 녹색파프리카와 같은 푸른색 고추의 경우 각각 80과 95 mg/100 g으로 대체로 낮은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Vitamin C는 파프리카류에서 가장 많은 양이 확인되었으며, 오이고추에서도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그러나 칠리류를 비롯한 매운홍고추와 일반홍고추에서의 vitamin C 함량은 2~17 mg/100 g로 매우 낮게 확인되었다. 향미성분 유리당의 함량은 파프리카류가 높게 확인되었으며 그중 적색의 파프리카는 54.03%로 유리당이 존재하여 시료중 가장 높은 함량을 확인하였다. 칠리고추의 경우 고추류 중 가장 적은 유리당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대체로 유리당 함량이 높게 확인된 파프리카류와 비교하여 1/7~1/10배 가량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대체로 매운 맛이 있는 종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매운 맛이 없거나 덜한 파프리카류와 오이고추에서 높게 확인되었다. 고추류에는 대체로 proline, alanine, serine, arginine등 단맛과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들이 주요아미노산으로 존재하였으며,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파프리카류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다. 고추류의 총 carotenoid의 함량은 일반홍고추(250 mg/100 g), 중국칠리(239 mg/100 g), 멕시코칠리(172 mg/100 g), 매운홍고추(135 mg/100 g) 순으로 높게 확인되었으며, 적색파프리카(59 mg/100 g), 오이고추(47 mg/100 g), 황색파프리카(35 mg/100 g) 그리고 녹색파프리카(31 mg/100 g)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함량이 확인되었다. 고춧가루의 붉은 색상을 표현하며 품질척도로 사용되는 ASTA 색상값 역시 일반홍고추와 칠리류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capasaicin과 dihydrocapsaicin은 파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고추류에 존재하였으며, 매운홍고추와 칠리류에서 높게 나타났다. Capsaicin은 매운홍고추에서 그 함량이 72.68 mg/100 g으로 가장 많은 양이 확인되었으며, dihydrocapsicin은 멕시코와 중국칠리가 매운홍고추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량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매운맛의 지표인 SHU는 칠리류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으며 매운홍고추가 그 뒤를 이었다. 고추에서 확인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총 함량은 174.4~1837.79 mg/kg의 범위로 확인되었다. 고추의 향기성분은 대체로 ester류와 terpenoid류와 같은 방향성 휘발성분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공통적 특징으로 확인되었으며, pyrazine류와 pyridine 등의 질소화합물도 고추에서 확인되는 향미적 특징으로 나타났다. 녹색파프리카와 오이고추의 경우 nonano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nonanoic acid가 그 특유의 풋내에 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국내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고추류의 종류별 일반성분, 항산화성분, 향미성분 등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흔히 고추는 vitamin C의 함량이 다른 과일이나 채소보다 월등히 높다고 한다. 실질적인 연구 결과에서도 파프리카의 vitamin C 함량이 887~1,142 mg/100 g으로 레몬(2.6 mg/100g), 무(15 mg/100 g) 및 딸기(71 mg/100 g)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단맛에 대한 결과는 우리가 달다고 느끼는 고추류인 오이고추나 파프리카에서 유리당의 함량이 매운맛이 강한 홍고추, 매운홍고추, 칠리에 비해 1.8~10.4배 높은 함량을 보이고 있어 이를 입증하였다. 고춧가루의 품질척도로 사용되는 붉은색의 정도인 ASTA 색상값나, 매운맛 성분인 capasaicin과 dihydrocapsaicin 및 매운맛의 지표인 SHU는 우리가 인식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일반홍고추, 매운홍고추 그리고 칠리류에서 높게 확인되었다. 이로써 일반소비자가 인식하고 있는 여러 고추류에 대한 기본적인 사실과 실질적인 과학적 결과가 서로 부합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몇 종류의 고추류에 대한 결과로 동일한 품종의 고추라 하더라도 수많은 종류가 있기 때문에 전체를 대표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며, 따라서 더 정확하고 체계적인 결과의 도출을 위해서는 각각의 종들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Characteristics of General Chemical Properties and Flavor Components in Capsicum annuum Sp. Red Peppers Jeon, Sam-Nyeo Advisor : Prof. Kim, Kyong-Su, Ph.D.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Red pepper has been used as the one of the most famous spices in Korean fo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approach and analyzed not only the proximate compositions but also the flav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cultivar variety, which are capsaicinoid, carotenoid, volatile flavor compounds, and so on. Red pepper in Korean food culture Most cultivated pepper variety in Korea is Capsicum annuum, and red pepper consumption amounts per person is very high as 2 kg. Characteristic compounds of Capsicum are capsaicin (smell of pungency) and capsanthin (red color), and the content of vitamin C is also high. Classification of Capsicum cultivar Major Capsicum cultivars included C. annuum, Capsicum baccatum, Capsicum chinense, Capsicum frutescens and Capsicum pubescens, and among them, C. annuum is cultivated most highly. Various cultivars such as bell pepper and jalapeno, are included in C. annuum, and 'aji' is representative of C. baccatum which has been originated from Bolivia. C. chinense is most hot cultivar as 'habanero', and 'tabasco' is representative of C. frutescens. C. pubescens, representative as ‘rocoto’, is cultivated in the small amount. Proximate and fatty acids composition Paprikas and improved green pepper had higher moisture content, and ash,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were detected at lower concentration compared to red pepper and chilies. The fatty acids in Capsicum sp. were consisted of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the major fatty acids in Capsaicum sp.. Anti-oxidant compounds Total flavonoid content ranged from 21.7 to 170 mg/100 g, and it confirmed a high content from the red hot pepper and mexican chili. The contents of flavonoid in improved green pepper and paprika were 21.7 and 56.4 mg/100 g, respectively, and the contents of flavonoid in paprika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colo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ranged from 80 to 263 mg/100 g, and it was confirmed high contents in the hot red pepper and the red and the yellow paprikas. Green color fruits, such as improved green pepper and green paprikahad lower contents of 80 and 95 mg/100 g, respectively. Vitamin C were detected at the high contents in paprika and improved green pepper. However, red color peppers such as chili and hot red pepper, had low contents ranging from 2 to 17 mg/100 g. Flavor compounds The free sugar contents were high in the all paprika s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 paprika had the highest sugar content of 54.03%, and chilies are lowest. Proline, alanine, serine and arginine were major amino acids in Capsicum sp.,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paprika.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were 250 mg/100 g in red pepper, 239 mg/100 g in chinese chili, 172 mg/100 g in mexican chili, 135 mg/100 g in hot red pepper, 59 mg/100 g in red paprika, 47 mg/100 g in improved green pepper, 35 mg/100 g in yellow paprika, and 31 mg/100 g in green paprika, respectively. Red pepper and chili have also high ASTA color value showing the reddest. Capsaicin and dihidrocapsaicin which were pungenct compounds in Capsicum sp. were detected in all sample, except paprika. The ceoncentration of capsaicin was the highest level (72.68 mg/100 g) in hot red pepper, and dihydrocapsicin was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chilies. SHU values, showing hot taste, was the highest in chilies. Total volatile flavor compounds ranged from 174.4 to 1837.79 mg/kg. Esters and terpenoids were detected as the major compounds, and pyrazines and nitro compounds were also detected indicating the characteristic compounds. The flavor character of green paprika and improved green pepper had high content of nonanoic acid, that was concerned with the grassy odor.

      •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성격의 조절효과 검증

        배현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국내 A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서비스 종사원들이 수행하는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성격특성 5요인이 어떻게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이와 더불어 서비스 제공자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는 서비스 제공자의 태도와 행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서비스 제공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국내 항공사 객실승무원을 201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연구 결과 감정노동의 표면행위에 의한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있어서 성격특성(Big5)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가설 검증 이외의 추가적인 결과물들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성격특성 5요인의 모든 변수는 심층행위와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특히 친화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심층행위는 직무만족과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면행위는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과는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편상관 분석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통제한 후의 표면행위는 직무만족과 무관함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있어 성격특성(Big5)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격특성 5요인과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는 심층행위를 더욱 촉진함으로서 감정노동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를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음을 나타냈다.

      • 쇠고기 분쇄육의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에 의해 유도된 Hydrocarbon류 분석

        황인민 조선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he possibility of identification by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analysis from irradiated ground beef. This experiment is comparison of vacuum and N2 gas packing methods and gamma ray and electron beam. When triglycerides are irradiated, hydrocarbons formed from each fatty acid.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of ground beef was determined sequential procedure of lipid extraction by hexane, hydrocarbon isolation by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and quantitative analysis by gas chromatography. As a result,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of ground beef was detected two types. First hydrocarbon type is one carbon less than parent fatty acid. Second hydrocarbon type is two carbon less than parent fatty acid and additional formed double bond at first carbon position. The major hydrocarbons in the irradiated ground beef was 8-heptadecene(C17:1) and 1,7-hexadecadiene(C16:2) from oleic acid. These hydrocarbons were high concentration but not detected in non-irradiated ground beef. Also, Radiation induced hydrocarbons are linear increase when the increase in the irradiation absorbed doses. And effects of gamma ray and electron beam radiation were similar at the same absorbed doses. But a higher level of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in gamma-rays has been confirmed than electron beam. Also, regression(R2) is gamma ray closer than electron beam to the 1. Because gamma ray is strong illuminate than electron beam. And effects of vacuum package and N2 gas package were similar at the same radiation absorbed doses. But a higher level of radiation-induced hydrocarbons in vacuum package has been confirmed than N2 gas package. Also, regression(R2) is vacuum package closer than N2 gas package to the 1. This is the meaning of investigation was well vacuum package than N2 gas package.

      • FATIGUE INDICATOR를 이용한 잔존 피로수명 예측기법에 관한 연구

        부승환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is impossible to predict accurately the fatigue life of the ship structure in the seagoing state because of load uncertainty and load redistribution at the ship structure members. As one of studies for accurate evaluation and prediction of fatigue life, it is a promising way to detect the crack previously by attaching the fatigue indicator at the crack prediction region. In this study, the stress distribution phase at the pre-notch tip and SCF (stress concentration factor) of various pre-notch shapes were obtained through FE analysi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rack propagation according to the pre-notch shapes were obtained through comparison of the fatigue test and the FE analysis results. Consequently, the pre-notch sha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rough crack propagation characteristic: Long life, Medium life and Short life pre-notch shape. And, fatigue indicator was produced with the determined pre-notch shapes. Through the research for SCF of crack prediction region, the mother specimen having SCF similar to that of crack prediction region was produced. Fatigue indicator was attached on the mother specimen using metal epoxy adhesive bond. Before the HCF (high cycle fatigue) test, the load transfer rate test was conducted in variable stress level. Loading procedure of HCF test was calculated by equivalence stress considering the various loading condition in the seagoing state. As a result of test, prediction technique of remaining fatigue life was propose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N curve of mother specimen and fatigue life of indicator as the certain crack length was generated. 운항 중인 선박 구조물의 피로수명은 하중의 불확실성 및 구조부재에서의 하중 재분배로 인해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피로수명의 정확한 평가 및 예측을 위한 연구로서는 fatigue indicator를 균열이 예상되는 부위에 부착하여 미리 균열을 감지하는 방법이 유용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FEM 해석을 통해 여러 형상의 균열에 대하여 균열 선단에서의 응력 분포 양상과 응력집중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균열진전 실험 및 FEM 해석을 통해 균열 형상에 따른 응력확대계수를 구하여 균열진전특성의 차이를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fatigue indicator를 long life, medium life, short life indicator 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선박 내 주요 균열 발생 부위들의 응력집중 정도를 파악하여 이와 비슷한 응력집중계수를 갖는 mother specimen을 제작하였다. fatigue indicator는 mother specimen 위에 금속 에폭시 수지 접착제로 접착되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피로 실험에 앞서 fatigue indicator 와 mother specimen 이 같은 피로 하중을 경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피로 하중 하에서 하중 전달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고 주기 피로 실험 시, 실제 선박에 작용하는 변동 하중을 고려한 Weibull 분포 함수를 이용하여 등가응력을 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피로 실험 하중을 산정하였다. 또한, 피로 실험 결과의 타당성 확인을 위해 mother specimen의 피로 수명을 공칭 응력 기반으로 치환된 DNV Ib Curve 와 비교하였다. 최종적으로, 공칭 응력 기반으로 치환된 DNV Ib Curve 와 fatigue indicator 에서 일정 길이의 균열 발생 시 피로 수명을 비교하여 잔존 피로수명 예측기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