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현당대 (1949-2008) 포스터 연구

        최명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In1950, the term 'Propaganda Painting' in modern China was first introduced inthe Propaganda Painting Referencepublished by the Chinese People's Fine Arts Publishing House. In the early 20thcentury, under the influence of art design trends and practices such as theWestern Art Decoratifs and Art Nouveau movements, commercial propaganda workswith high artistic value that originated in Shanghai, together with the anti-war propaganda works that inspired people's morale through the use of printmaking and color painting in China's War of Resistance against Japanese Aggression, fusing and developing the original traditional New Year paintings and Chinese paintings . Since then, propaganda painting began its unique development in the modern social history of China. In1951, the Sino-Soviet Friendship Association, the Chinese Art Association andthe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held an exhibition of Soviet propaganda andsatirical paintings in Beijing. In the year 1954, the Zhaohua Art PublishingHouse published On Political PropagandaPainting written by Soviet art theorist Ivan Zhov (Иванов). The theories onpropaganda painting in modern China were mainly obtained from this book. As itis known to all, the modern propaganda style of Nazi Germany is highly typicalaround the world, and the influence of the German Bauhaus modernist designconcept continues to this day. The Bauhaus Academy design philosophy was deeplyinfluenced by Russian Constructivism (Конструктивизм). It should be noted thatRussian art and design has a significant place in the world of modern design.The Soviet Union inherited the Russian art and design philosophy and influencedChina comprehensively in politics, economy and artistic creation through itsprevious assistance to China in all aspects. After the normal development stageof integration with traditional culture and commerce, Chinese propagandapainting rapidly alienated and developed into a political propaganda paintingcategory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during the ensuing Cultural Revolutionmovement. Due to the cruelty of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depth of damageto human nature, Cultural Revolution propaganda paintings have deeplyinfluenced several gener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art, fromthe graphic forms, colors, and composition of the images. Somescholars believe that the glorious era of modern Chinese propaganda paintinghas passed. This kind of art form, which once influenced generations, willpermanently remain as a symbol of its time in the depths of people's distantmemories, and it would no longer be influential and meaningful to modern China.Holders of this view clearly lack an understanding of the complexity anddiversity of modern Chinese society. Basedon a systematic review and analysis of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propaganda paintings at various stages since the founding of New China in 1949and the causes from humanistic and artistic perspectives; as well as the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Chinese propaganda paintings andthe realistic background of social life,Using research methods such asethnography and grand history,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and study of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various typical images in propaganda paintings inthe Cultural Revolution in China. At the same time, its influence oncontemporary painting art is also highlighted in the study. On this basis, thispaper attempts to analyze and prospect the role and value of modern Chinesepropaganda painting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Chinese national social artand culture.In order to give some enlightenment and effect to the laterresearchers of Chinese propaganda posters, and then influence the creators ofChinese modern art. Keywords: Modern Chinese PropagandaPainting; German Soviet propaganda painting;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modernChinese Arts 현대 중국 포스터에 대한 연구는 중국 국내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20세기 초기, 장식예술운동(Art Decoratifs)과 신예술운동(Art nouveau)등 예술 디자인 사조와 예술 실천의 영향으로 상하이(上海)에서 예술 가치가 높은 상업 포스터 작품이 나타났다. 항일 전쟁시기에는 판화(版画)와 색채화(色彩画) 수단으로 인민 대중의 사기를 북돋아 주는 포스터작품이 기존의 전통 연화(年画) 및 중국화 등 포스터와 융합하였다. 1949년 신중국 성립 이후, 현대 사회에서 독특한 발전 과정을 겪기 시작했다. 각 역사 시기의 포스터에 대한 연구는 연구자가 각 중국 포스터의 계승과 발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 논문 첫 부분에서 중국 현대 포스터의 기원과 각 단계별 국외 포스터의 영향을 논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1949년 신중국 성립 이후, 포스터의 각 단계별 예술 디자인 특징, 인문 및 예술 사회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또한 중국 현대 포스터의 형성, 발전 과정 및 사회적 현실을 배경으로 하여 중국 문화대혁명시기 포스터 속 여러 전형적인 이미지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세 번째 부분에서 두 개의 사례로 통해 현대 예술에 대한 중국 현대 포스터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 현대 포스터가 중국 사회 예술 문화 영역에서의 향후 발전 방향과 가치를 전망했다. 신중국 성립 초기, 중국은 소련과 전면적인 우호 관계를 수립하였다. 현대 중국 국내 포스터 관련 이론은 주로 소련의 영향을 받았다. 신중국 포스터는 1949년 무렵 일정 기간의 전통문화와 상업이 융합하는 단계를 거친 후 문화대혁명 시기에 이르러 중국 특색을 지닌 정치 포스터 장르로 변모하였다. 문화대혁명 시기 포스터 작품은 정치성, 기능성 및 시대성을 갖추었다. 예술 창작 측면에서 보면 정치성이 예술성을 압도하는 경향을 보였다. 개혁 개방 이후 대중 매체의 발전으로 인해 포스터는 점차 비주류로 밀려났다. 1949년 이전의 포스터는 아직 태동단계였다. 만화, 소품 형식으로 신문과 잡지, 벽면을 장식하면서 애국적 선전과 행동을 호소하였다. 1949년 이후 사람들은 사회 개조에 참여하였다. 이 시기 화가들은 투박한 전통 목각화와 판화들 대신 포스터 창작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민국시대(1912-1949) 월분패(月份牌) 연화(年畵)의 채색 표현을 계승하였다. 색채가 선명하고 이미지가 곱고 세밀한 특점을 살리면서 삶의 사실적 표현을 모방하였다. 1949-1966년 과도기 및 건설기 포스터는 표현성 면에서 다양했고 화가들은 포스터의 이론과 스타일을 적극적으로 연구했다. 문화대혁명시기의 포스터는 세계적으로 주목 받았다. 소련과 나치 독일의 전형적인 정치 포스터의 영향을 받았고, 혁명 지도자를 포스터의 유일한 주제로 삼았다. 극단적인 정치화의 결과로 형식이 단일하고 주제가 무미건조했다.다른 시각에서 보면 이 시기의 포스터는 특수한 이데올로기화로 인해 이질적이고 변태적이었다. 1980년대에 이르러 중국은 낭만주의와 이상주의가 팽배한 시대였으며, 개혁개방으로 국가상이 새롭게 변하였다. 포스터의 소재는 경제건설, 과학기술발전, 교육교습, 환경보호, 패션소비, 상업광고 등을 망라했다. 더 이상 문화대혁명의 시대 붉은색 테마가 지배적 지위에 놓이지 않았다. 1989-2008년은 개혁개방의 시대로서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룩하였다. 중국은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긴밀하게 하는 한편 빈부, 고용, 환경보호, 체제개혁, 국제간 협력과 교류 강화 등을 화두로 삼았다. 따라서 당시 포스터는 정치 색채가 크게 약해졌다. 2008년 이후 도시화 전략이 강화되면서 포스터는 부흥하는 추세에 있다. 포스터가 도시에서 공공예술과의 융합하여 재질부터 기법까지 혁신을 이루어지고 있고, 농촌에서는 전통문화, 종교벽화, 장식화와 융합하고 있다. 중국 지식인의 사회 공공성에 대한 재건과 미학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성은 중국 5.4 계몽운동을 이어가는 길이고, 미학 열정과 신계몽 사상 이념은 새로운 시기 대중들을 대상으로 공공 예술 작품을 통해 계승하고 재건하는 일이다. 일부 학자들은 중국 현대 포스터의 절정기는 더 이상 오지 않을 것이며, 영원히 사람들의 기억 속에 남아 있을 뿐, 이상 현대 중국에 영향을 일으키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현대 중국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에서 기인한 것이다. 중국 현대 포스터 예술은 사회학적 속성을 띠고 대중들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있다. 향후 포스터는 공공 예술 영역에서 더 이상 선전적 포스터 형식으로 대중들의 시야에 나타나지 않을 것이지만 현대 중국 사회의 사상 계몽 심화, 애국주의 열정, 민족주의 등과 융합하여 더욱 복잡한 역사적 양상을 띠면 변모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 사조는 또 사회 공공 예술의 방식으로, 포스터 및 파생 예술 형식은 중국 사회에서 장기적으로 존재하고 독특한 매력을 보일 것이다. 끝으로 신중국 현대 포스터에 대한 연구가 향후 중국 현대 공공 예술의 발전을 전망하고 앞으로의 연구 초석이 되길 바란다. 키워드: 중국 현당대 포스터, 정치적 특징, 집단주의, 공공성, 정치이데올로기, 문화대혁명, 선전

      • 한국 민화 전승 메커니즘 연구

        양영봉 한국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한국 민화는 한국 민간신앙과 풍속을 주제로 하며, 한국 대중의 정신과 소망을 표현하는 그림으로, 한국 민족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한국은 민화를 발굴하고 보호하는 동시에 전통문화의 자체적 특징을 다양하게 전승하고, 점차 새로운 시기의 사회 문명과 경제 문명의 새로운 형태로 발전시키고 널리 전파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민화의 전승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이론적으로 정리 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민화 관련 현장을 찾아 한국 민화 전승 기관의 분포, 규모 및 운영상황을 파악하고, 현지 인터뷰, 구두 조사, 관찰, 촬영 등 형식으로 전승 기관의 규모, 목표정책, 소장품 수량, 진열전시, 사회활동, 사회교육, 교육 인원, 참관 인원, 전승과 보호 메커니즘 및 정책 제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한국 고서, 논문, 연구보고서, 기록, 정책, 문서 등 자료를 통해 한국 민화 전승의 발전 상황, 민화 전승 발전의 핵심 법칙성을 분석하고 민화 전승 메커니즘을 고찰하였다. 서론에서는 한국 민화전승에 대한 연구배경, 연구 목적, 내용과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문장 중의 키워드에 대해 개념을 설명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민화전승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문제를 제기하였다. 선행 연구를 정밀하게 정리하여, 그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문제를 제기하였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문화 생태학 이론을 가지고 한국 민화 전승 생태계의 구조적 패턴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고, 민화 전승 메커니즘의 내부적 영향 요인과 외부적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네 번째 부분에서는 민화 전승 메커니즘의 구조를 분류하여 정책중심, 교육전승, 전시체험, 창작, 문화관광, 시장운영, 해외 전파 메커니즘 등의 구조를 파악하고 문화체육관광부, 박물관, 학교, 예술마을, 문화상점 등 기관의 기능을 추적하였다. 다섯 번째 부분에서는 초기에 수집한 민화 기관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문화 생태계의 이론과 전승 기관의 기능적 관점에서 다양한 유형의 민화 전승의 상태와 운영 효과를 살펴보는 데 중점을 두었고, 다원화 교육, 과학기술 융합, 연구 창작, 시장 경영, 관광 융합, 해외 전파 등 일련의 전승 메커니즘을 통해 민화 전승 메커니즘의 특징 비교, 민화 전승의 성공 사례를 비교하였다. 한편 메커니즘의 시스템적 원리를 분석하여 민화 전승의 메커니즘의 특징과 원리를 근본적으로 파악하여 운영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기본 원리와 일반 법칙을 발견하였다. 여섯 번째 부분은 비교 귀납을 통하여 유사 학문 분야인 발전윤리학, 문화생태학, 문화 경영학으로부터 이론적 방법을 추출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는 한국 민화의 전승 메커니즘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한국 민화의 전승 메커니즘 특징 중 첫 번째는 문화발전윤리학의 법칙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①한국의 민화 교육은 유교 철학의 ‘仁義禮智’의 정신 신앙을 부각시켜 현대인의 전통문화에 대한 도덕적, 미적, 과학적, 신앙적, 문화적 요구를 반영하였다. 이런 차원에서 민화의 보급을 강조하고 있다. ②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부는 민화와 인문 정신을 결합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및 다양한 문화 학교에서 전통문화 교육을 광범위하게 추진하고 있다. 학교, 박물관, 학원 등 민화에 대한 다양한 교육 수요자를 확대했다. 결과적으로 민간 예술은 대중에게 돌아가고 하고, 문화 전승 발전의 인문학 이념을 구현하였다. ③ 체육문화관광부는 국가 민화 공모전을 통해 민화 창작자들의 참여를 끌어냈고, 대학은 민화학과와 연구소를 개설하여 민화 예술 연구를 가속화하고 새로운 민화를 창작하고 민화 학습자를 양성하였다. ④현대의 민화 예술가들이 창작한 민화 작품은 현대인의 미적 세계관과 예술관을 표현하였으며, 작품의 내용, 재료, 기법, 창작이념 등에서 현대인의 새로운 문화양식을 나타냈다. 두 번째 특징은 문화 생태학의 법칙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①강진의 한국민화박물관, 강원도의 한국 조선민화박물관은 한국의 자연을 숭상하고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동양적 우주관을 구현하고 있다. ②한국의 전통문화의 급속한 발전 과정에서 민화는 한국 문화산업의 일부분이 되었다. ③한국의 민화에 대한 디지털 문서화, 디지털 전파, 디지털 전시 및 멀티미디어, VR 기술은 민화 전파의 효율을 높이고 있다. ④민화박물관, 민화마을은 주변의 문화역사, 자연풍경 등과 결합하여 한국의 관광사업 발전을 구현하였다. ⑤한국 민화 상가, 장터, 화랑, 작업실, 커피숍 등 다양한 경영형태 및 민화 맞춤형, 서적, 문구, 의상, 액세서리 등의 디자인과 개발, 가상 체험품, 교육 서비스, 앱 등은 모두 시장수요와 시장 경영 법칙을 보여주었다. ⑥세계 각국의 한국문화원과 한국민화학회가 주축이 되어 진행한 민화의 해외 전시, 해외 체험, 해외 컬렉션 등은 한국 문화의 외교 및 해외 전파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세 번째 특징은 문화 경영학의 법칙을 따르고 있다는 점이다. 민화 전승의 경영 과정에는 민화가, 민화 작품, 민화 문화콘텐츠상품, 민화 소비자, 민화 기관, 민화 서비스, 정부와 민화 소개 기관의 관계뿐만 아니라 시장 경제 체제에서 문화경제 전반을 구성하는 다양한 상업적 성분과 각종 산업 형태 및 그 상호관계도 포함하고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현대 한국의 전통문화 예술에 대한 보호 태도와 과학적 방법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한국 현대사회의 물질문명과 정신문명의 구축상황을 알 수 있었다. 이 글을 통해 한중 양국의 민화를 포함한 예술문화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고 오래도록 지속하기를 기원한다.

      • 21세기(2000-2020)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에 관한 연구

        진묵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 현황에 대한 연구이다. 언론학의 ‘5W’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 영화가 중국 시장에 전파한 역사 과정을 정리하고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의 주체, 내용, 방법, 관중 수용도 효과 및 장애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은 5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 과정을 정리하고, 지난 20년간의 과정을 시기적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한중 영화 교류 상황과 ‘한한령’(限韩令) 이후 시기의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 변화 및 지난 20년간의 전파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에서의 미디어 플랫폼을 영화관, TV, 인터넷, 불법 사이트 등 4가지로 분류하고 각 플랫폼에서의 한국 영화 수량과 영화 수준 및 각 플랫폼들의 차이점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정치, 경제, 문화의 측면에서 한국 영화의 중국 시장 진출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정치의 측면에서는 지난 20년간 중국 정치 및 정책 변화의 영향을 고찰하였고 경제의 측면에서는 중국 경제발전이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문화의 측면에서는 한중 문화 교류가 한중 영화 협력의 촉진과 발전에 주는 영향을 서술하였다. 넷째, 한국 영화의 내용과 주제에 대하여 정리 및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대상은 한국 영화 원작과 중국 리메이크판이다. 영화뿐만 아니라 중국에 진출한 한국 감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한국 감독들의 중국과의 교류 협력 상황과 연출 스타일을 정리하였다. 다섯째,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 대한 중국 관객들의 피드백과 수용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화 리뷰 사이트‘Douban 영화’를 데이터 베이스로 사용하여 지난 20년간 한국 영화의 중국 시장 전파 성과에 대하여 분석하고 중국 관중들이 선호하는 한국 영화 및 한국 영화에 대한 수용의 변화와 발전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기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 과정을 초창기, 협력기, 침체기 등 3 개의 시기로 구분하였다. 2005년은 한중 양국이 기술과 자금 협력을 진행했던 시기이고, 2016년은 한한령이 발령된 시점이다. 이에 근거해 한국 영화의 홍콩 전파, 다시 홍콩으로부터 중국 대륙 전파한 2000년~2004년을 초창기로, 한국 영화가 대량으로 중국 전파하고, 중국과의 공동 제작 영화가 많아지며, 중국의 공식적인 채널을 통해 한국 영화가 상영된 2005년~2016년을 협력기로, 중국 공식 채널에서 더 이상 한국 영화를 방영하지 않지만, 한중 양국이 영화 영역에서 여전히 교류를 유지하는 2017년~2020년을 침체기로 구분하였다. 둘째, 한국 영화의 중국 유포의 합법적 및 불법 채널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불법 사이트의 개선책이 연구 대상과 결과에 부합하고 적절하였다. 셋째, 전파 내용에서는 한중 리메이크 영화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한국 원작과 중국 리메이크판의 유사점과 차이점 및 우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 중국 리메이크판의 수준이 한국 원작에 비해 훨씬 떨어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넷째, 전파의 장애 요인을 놓고 볼 때, 중국의 영화 정책 변화와 중국 경제 발전 변화가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의 영화 정책은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중국의 영화 정책 변화는 즉각적으로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에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정책 요인 이외, 중국의 경제 발전도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경제 발전 초기에는 열악한 문화로 인해 한국 영화의 유입이 크게 필요했지만 중국의 경제가 급격하게 부상된 이후에는 중국의 문화가 더욱 풍부해지면서 한국 영화의 전파가 저조해졌다. 다섯째, 중국과 긴밀한 협력을 유지한 한국 감독은 약 20여 명 정도였다. 최초로 중국과 합작을 시작한 감독은 곽재용과 허진호였고 중국 영화관에서 다수의 상영 작품을 보유한 감독은 안병기였으며 영향력이 비교적 큰 감독은 봉준호였다. 제6장에서는 위에 언급된 4명의 한국 감독들의 중국과의 교류 상황과 그들의 감독 스타일을 비교 분석하였다. 여섯째, 관객의 수용도 측면에서는 중국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화 리뷰 사이트에 대한 분석을 통해, 2000년부터 2020년 기간 동안 중국 관중에게 가장 인기 있는 영화 장르가 코미디, 로맨스, 범죄 영화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기에 따른 관객들의 선호도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2000년 초반에는 로맨스와 코미디 장르가 가장 인기가 있었다면 2010년 이후에는 범죄 영화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 영화의 중국 전파를 분석함으로써 중국에서 한국 영화의 발전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한중 영화의 장기적인 협력과 발전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되길 바란다.

      • 박물관 관람 체험에 관한 연구 : 한중 박물관을 중심으로

        손염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과학 기술의 발전은 사람들의 생활수준을 끌어올렸고 이로 인해 박물관 관람은 점차 사람들의 여가생활 방식에서 하나의 선택지가 되어가고 있다. 박물관이 ‘물질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관람객이다. 따라서 관람객과 박물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박물관 연구에서 간과할 수 없는 과제이다. 체험디자인은 문제를 연구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본 논문의 제2장에서는 연구의 기초적인 이론에 관해 설명하였다. (체험 디자인 EEI 모형과 U-L-T-C 포지션 이론) 본 연구에서는 이 이론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체험단계 구분을 결합하여 관람객의 관람 체험을 관람 전의 기대, 관람 중의 협동서사, 관람 후의 확장체험 등 3단계로 구분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여정 지도를 그리는 방법으로 전문가 인터뷰에 대한 사전 분석과 인터뷰 요지를 완성하였다. 구조적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3단계의 영향 요인을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본 논문의 3, 4, 5장에서는 단계별 영향 요인과 각 요인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해 기술하고, 박물관 관람 체험은 관람객의 관람 전의 기대, 관람 중의 협동서사, 관람 후의 확장체험 등 세 단계를 거쳐 기억이 형성되기까지 그 경험 과정을 완성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험 순환모형과 문화구축 과정을 정리하였다. 1. EEI 모형체험을 통해 박물관 관람객 관람 체험을 관람 전, 관람 중, 관람 후 3단계로 나눠 분석한다. 연구대상은 관람객의 관람 전 기대, 관람 중 협동 서사, 관람 후 확장체험, 기억 누적까지의 전 과정이며 각 단계는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관람객의 관람 동기는 외부 동기와 내적 동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만들어진다. 박물관 문턱이 낮아지고 관람객의 해독 능력이 향상되면서 관람객의 박물관 관람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관람객은 관람 동기와 관람 능력이 전제되면 관람 전 기대감이 생겨 관람행위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감정·정황 등 관련된 조건이 충족되면 2단계인 관람행위로 진입하게 되는데 즉 관람 중 협동 서사 단계로 접어든다. 관람 중 단계는 전체 관람 체험의 핵심 과정으로 관람객이 신체 서사 언어나 행동 서사 언어를 통해 박물관과 협동 서사하는 과정이며 관람객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여정이다. 과정은 건축 형태와 전시 분위기 등 환경 여건에도 영향을 받는다. 관람객이 박물관 전시장을 나와 관람 중인 단계에서 관람 후 확장체험 단계에 들어가게 되는데 관람 후 행동의 확장과 감정의 확장 두 가지로 나뉜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해당 관람 경험은 관람객의 기억으로 남게 되며 관람객의 관람은 완성된 셈이다. 2.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 체험 순환모형을 얻는다. 관람객의 박물관 관람 경험에 대한 기억과 관람객이 박물관 외에서 참여한 활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박물관에 대한 총체적인 기억으로 각인되고 관람객들의 관람 전 기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관람객이 새로운 경험을 하고 기억을 수정하고 관람 전 기대에 영향을 주는 것은 그 순환의 과정이다. 3. 체험문화의 구축. 체험 U-T-L-C 포지션 분석을 통해 개인별 관람 체험의 영향 범위와 영향 효과를 분석했다. 개인의 경험은 끊임없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데 박물관 관람이 하나의 유행으로 되면 결국 하나의 문화가 구축될 수 있다. 이는 일종의 공유문화이고 그 본질은 참여 문화이다. 본 연구는 박물관 관람객의 관람 체험을 체험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기존 연구의 관점을 넓히고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박물관 관람 체험 평가와 박물관 경영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과정과 임용시험 1차 문항의 연계성 연구

        송미희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1992년 한중수교가 맺어진 이후 20년 동안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단순 우호협력관계로부터 출발하여 2008년 양국관계는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다. 이와 함께 중국의 경제가 급부상함에 따라 중국어의 수요자 역시 급증하여 국내 중국어 교육 관련 사업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중국어 관련 도서는 한 대형 서점의 검색창에서‘중국어’라는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약 3,500여건이 나오며, 한 중국어 교육기관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중국어강좌 수강생이 2011년을 기준으로 전년보다 53%로 증가하고 2009년과 비교하면 224%나 늘어난 수치를 보여 중국어 열풍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중국어와 관련된 시험도 HSK(중국한어수평고시), BCT(비즈니스 중국어시험), CPT(중국어실용능력시험), YCT(청소년중국어시험)등 그 종류와 응시율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중국어의 대표적인 시험 HSK를 주관하는 중국국가한반(中國國家漢班)에 따르면, 2011년 HSK를 응시한 외국인이 13만 1500명 가운데 한국인 응시자는 6만 5767명에 달한다고 한다. 이런 중국어 교육에 대한 변화는 사교육 뿐만 아니라 공교육 내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서울 지역 자율형 사립고(자율고) 13곳에서 동양문화권 제2외국어(일본어, 중국어)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을 반영한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계획안을 내놓고 있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의 자료에 따르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도 제2외국어로 일본어와 중국어를 선택한 학생의 비중이 전체의 90%를 넘었다. 특히 중국어는 2009년 27.2%에서 2010년에는 28.4%로 증가해 2년이 지난 지금은 그 비율이 더욱더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러한 변화들을 살펴 볼 때 중국어 교육의 전문성 제고와 발전이 시급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공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 교육은 우리나라 국가의 중요한 국제 경쟁력이 되므로 이에 따라 공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중국어 교사의 역할도 더불어 중요해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현재 중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일반대학의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과정이 있다. 두 과정 모두 임용시험이라는 제도를 통해 교사가 선발된다. 그러므로 우수한 교사를 양성하고 선발 하는데 있어, 각 교육양성기관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은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육대학원은 교사양성 뿐만 아니라 교사의 재교육 역할도 하고 있어 그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둘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서로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현재 중국어 교육과정과 임용시험에 관한 연구는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만이 대부분이다. 특히 임용시험에 관한 분석은 임용시험 자체에 대한 문항 분석이 대부분이고, 교육과정과 시험간의 연계성에 관한 분석도 일반대학교 교직과정에 한해서만 연구되었다. 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과 임용시험 양자 간의 연계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중국어 교사 양성기관과 그 시험제도의 현 상황을 파악해보고, 우수한 교사의 배출을 위한 앞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모바일 매체의 대중적 심미성 비교 연구 :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주형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재 한국이나 중국 외에도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인터넷 전자 매체심미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사람들은 휴대전화를 통해 소셜네트워크, 뉴미디어 정보, 모바일 전자상거래,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등의 콘텐츠를 경험하고 있다. 모바일 매체 사용 빈도가 높아지면서 한국과 중국의 심미적변화를 촉진하였고, 이것은 특히 엔터테인먼트 방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전자매체의 메타포 상황 속에서 이러한 심미적 변화가 생겨나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닐 포스트만이 제시한 ‘미디어는 메타포이다'라는 관점을 근거로 삼았다. 지금까지 한·중 양국의 전자매체 심미에 관한 이론적 연구가 빈약하고, 관련 자료도 불완전하며 체계적인 해석도 부족한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모바일 매체의 4가지 유형의 앱을 정리 비교하였고, 그 심미적 콘텐츠, 심미적 구조, 미디어와 심미 관계 등 3가지측면에서 메타포 역할에 관해 비교 분석하였다. 전자매체는 전통적인 엘리트주의와 엄숙함을 와해시켰다. 한·중 양국은 모두 ‘죽도록 즐기기[娛樂至死]’라는 심미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현실생활, 전통문화, 정신적 영역 등 세 가지 측면을 포함한다. 미디어기술의 발전으로 모바일심미, 몰입적 심미, 무경계 심미 등의 현상이 생겨났다. 한국과 중국의 문화적인 유사성은 매체의 사용과 심미적인 방식에 있어 비슷한 점이 많지만 차이점도 존재한다. 한국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보급된 빠른 국가로서 미디어 활용에 있어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단일민족국가로서 전통적인 풍류 문화의 영향을 받아 초기부터 집단적이고 무의식적으로 대중화된 사회 풍습과윤리 관념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토착 민족정신은 국가의 전통적 정서를촉진하였고, 국가에 대한 열정과 사회적 책임감을 고취시켰다. 따라서 한국 사회 문화를 배경으로 미디어 활용의 변화, 국제화의 방향을 분석하였다. 미디어의 역할은 개인의 심미적 표현이고 삶의 이상적인 사교 수단이며, 문화 브랜드를 홍보의 수단으로 삼아 품질과 서비스를 더욱 중시하게 만들었다. 한국인의 미디어 참여와 표현이 다양해지고, 더욱 이해하기 쉽고 유행할 수 있게 만들었다. 중국은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인구가 많고 문화가 복잡하며 다양하다. 때문에 중국인의 전자매체의 사용은 가정과 사회 및 시장경제의 영향을 받아 오락 또는 정신적 측면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전자매체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심미 감각은 아직 조화로운 통일을 이루지 못했다. 주로 개인의 감정표현이나 이미지 가치를 강조하며 일종의 정신적 의존과 카타르시스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시장경제의 발전으로 인하여 부정적인 영향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한·중 양국의 모바일 매체 심미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모바일은 사용이 편리하기 때문에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알고 싶은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보고 싶은 동영상과 정보를 빠르게 열람할 수 있으므로 대중들은 점차 인터넷과 모바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짧은 시간 동안 인간관계, 감정교류, 업무교류, 오락 등을 모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매체에 대해 과잉 의존은 한중 인터넷 이용자에게 모두 나타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각각 인터넷 사용과 보급에 있어서 가장 광범위한 사용자와 커버리지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의 동원성 및 모바일 앱의 유사 사용 상황의 빅데이터 비교 분석하면 한국과중국의 문화 분야, 사회 구조와 심미적 측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말하자면, 한국과 중국은‘미디어는 메타포이다'라는 관점 아래서 각자의 역할을 발휘했고 같은 분야에서 나름대로 발전해 왔다. 한국은 개인의 소셜네트워크를 발전시킴과 동시에 한국의 대중문화를 위주로 한 콘텐츠를 세계적으로 보급하고 있고, 중국은 개인의 감정과 경제효과의 현지화 발전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매체는 기술혁명의 시대적 산물로서 한국과 중국 대중의 심미적 방식과 구조를 변화시켰으며, 심미적 기술화, 세밀화, 직관화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중 양국 매체 심미에 대한 연구는 현재 한·중 양국 대중들의 삶과 심미적 방식을 제시해 주는 동시에 현실적인 참고가치도 있다.

      • 중국 지방 소재 국립박물관 문화창의 상품 개발전략 연구

        손총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Since economic globalization and fast-growing green industries continue to gain momentum,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attach greater importance to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a new economic mainstay. At the same tim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has become a new way to upgrade the economic structure, improve the current status and meet the public's cultural needs. Therefore, museums are often very much sought after by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for their comprehensive resources, which contain historic interest, cultural memory, and special significance, and have become important institutions for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The museum is not only a place for the collection, protection, restoration and display of cultural relics but also an important bridge connecting the history and the future.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useology, museums, as the fundamental public cultural institutions, undertake more social services and responsibilities by implementing a series of social policies.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admission policy in 2008 mean less revenue for museums, and coupled with rising operating costs, museums are facing many problems in ensuring basic social service while still achieving rapid development. Against such a backdrop, the development and marketing of cultural and creative goods in museums can not only alleviate some of the financial pressure on museums but also facilitate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s to a certain extent and let cultural and creative goods become “cultural relics” that can be brought home. Museums are rich in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hich can serve as superior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goods. As an important vehicle for the dissemination of history and culture, museum-developed creative products take design as a means to materialize, activate, aestheticize, functionalize and digitize cultural relics and cultural resources and make them more accessible to the masses, to meet the needs of the public for diversified cultural consumption at the current stage. Based on the above background, taking the local museums and their cultural creative products as the scope and object of research, constructing the development system and strategy of museum-developed cultural creative products is an issue that has not been thoroughly explored in both current academic research and concrete practice. Thus, this paper starts by untangling the concept and types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defining the difference between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and other derivatives, and furth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Further,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creative goods and museums, the interplay between the changing public demand and cultural and creative goods, and the vital catalytic role science and technology played in promoting the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goods are analyzed, so as to effectively study the dynamic mechanism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 development of museums under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cology. By and large, the design and marketing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of museums in most places in China are still inadequate, facing various bottlenecks. In terms of products themselves,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the museum's cultural creative products, such as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the homogenization of products, insufficient talent pool, and inadequate product category. In term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 are problems such as an imbalance between the urgent needs of museum development and the actual development, disconnection between the design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and their production and marketing, and imperfect art licensing and marketing models. These problems seriously restrict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of the museums and hinder the further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so there is an urgent need to study feasible strategies. To this end, through the study of the design and development system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corresponding solutions are proposed to address the problems at the present stage, which mainly focus on how to reconstruct its development system and strategies. Specifically, the OSMU (One-Source Multi-Use) resources of museums are analyzed and integrated from four aspects: cultural relics resources, heritage resources,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nd museum branding, and a total of five design principles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are proposed: the principle of practicality, the principle of cultural identity, the principle of popularization, the principle of branding and the principle of narrative. This paper discusses the materialization of cultural symbols from three perspectives: the analysis of cultural resources, the extrac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elements, and the application of cultural symbols in product design. It also puts forward the diversified development strategies which include customization, digitalization and branding, and then forms a new development system for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This paper tries to solve the development dilemma and construct a reasonable and differentiated development system by improving government guidance, building a multi-dimensional collaborative development model, presenting cultural resources authorization strategy and commodity marketing strategy. First, the government need to issue detailed policy, set a clear direction, find sources of finance and establish corresponding assessment and evaluation mechanisms. At the social level, a special fund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the opening of OSUM resources to the public and the development of museums. And it should be continuously upgraded. National competition for cultural and creative designs should be encouraged. At the museum level,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museums should be innovated to expand the exchange and communication among various departments within the museum. An innovative operation mechanism should be built to fully utilize the advantages of the museum itself and build a platform for sharing and developing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Second, cooperation among museums, universities and enterprises should be strengthened in three aspects: education, talent evaluation and management, and faculty development. To establish an integrated development mode by developing and digitizing a platform for industry alliances. A multi-dimensional development model will eventually be formed through the synergy of multi-cultural industries, technology-driven industrial crossover, and the integration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with the education industry. Third, integrating and evaluating museum cultural authorization resources, strengthening the awareness of authorization, standardizing museum cultural authorization channels and development methods, and establishing a mechanism that guarantees the authorization system. Fourth, promoting online and offline multichannel marketing, content-based marketing, sticky marketing, leveraging and cross-border marketing. Through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system of museum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it is hoped that it can provid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creative products of local state-owned museums in china. And to further promote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museum, and finally maximize the social educational value, cultural value and economic value of the museum and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museum. 경제가 글로벌화 되고 친환경 산업이 크게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문화창의산업은 국가 경제 발전의 새로운 버팀목으로서 세계 각국의 중시를 받고 있다. 아울러, 문화창의산업을 발전시키는 것 역시 경제 구조를 조정하고, 산업 현황을 개선하며, 대중의 문화 수요를 충족시키는 새로운 길이 되고 있다. 박물관은 역사적 회귀, 문화적 기억, 체계적 완정, 의미의 특수성을 지닌 자원으로 인해 문화창의산업의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중요한 기구가 되었다. 박물관은 유물 자원의 소장, 보호, 복원, 전시의 장소이자 역사와 미래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량이다. 새로운 박물관학이 발전함에 따라 박물관은 기초적인 공공문화 기구로서 더 많은 사회적 서비스와 책임을 지기 위해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일련의 정책을 실시했다. 2008년 중국 박물관의 무료개방 정책의 실시로 박물관의 일부 재원 수입이 줄어든 데다 운영비 상승으로 인해 박물관은 기본적인 사회 서비스 기능을 보장하면서 빠른 발전을 이루어야 하는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 문화창의산업 발전이라는 큰 배경 아래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의 개발과 마케팅은 박물관의 재원 측면의 일부 압력 해소는 물론 박물관의 문화 교육 기능도 일정 정도 확장시켜 문화창의 상품을 집으로 가져갈 수 있는 ‘유물’이 될 수 있게 했다. 박물관은 풍부한 역사문화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문화창의 상품의 개발에 많은 강점이 있는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은 역사 문화 전파의 물질적 운반체로서 디자인을 수단으로 하여 유물 문화 자원을 실체화, 활성화, 심미화, 생활화, 기능화, 디지털화함으로써 현 단계에서 문화 소비에 대한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상술한 배경을 바탕으로 지역 소재 박물관과 그 문화창의 상품을 연구 범위 및 대상으로 하여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 개발 체계 및 발전 전략을 구축하는 것은 현재 학술 연구와 개발 실천에서 아직 깊이 검토되지 않은 문제이다.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는 데서 시작해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과 다른 파생어의 차이점을 구분하고, 나아가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의 특징과 가치 구성을 분석하고 확인한다. 더 나아가 문화창의 상품과 박물관의 경제적 공생 관계, 대중 수요의 변화와 문화창의 상품의 교체 관계, 과학기술 발전과 문화창의 상품 혁신 개발의 추진 관계를 분석 차원으로 하여 문화생태학적 관점에서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 개발의 동력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분석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중국 대부분 지방에 소재한 박물관의 문화창의 상품의 디자인과 마케팅 수준은 아직 높지 않아 다양한 난관에 직면해 있다. 제품 자체의 관점에서 보면,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에는 피상적인 문화 요소 추출, 상품의 유사성, 부족한 인재풀, 다양하지 못한 상품 등의 문제가 존재한다. 외부 환경의 관점에서 보면, 박물관 발전의 시급한 수요와 실제 발전 사이의 불균형, 박물관의 문화창의 상품 디자인과 생산, 마케팅 간의 괴리, 예술 라이선스와 마케팅 홍보 모델 미비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지방 소재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의 발전을 심각하게 제약하고 동시에 문화창의산업의 깊이 있는 발전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실현 가능한 전략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의 디자인과 개발 체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주로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 개발 체계의 재구성과 발전 전략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현 단계의 개발 문제에 대해 상응하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 개발과 디자인상의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유물 자원, 유적지 유산 자원, 지역 문화 자원, 박물관 브랜드 자원의 네 가지 측면에서 박물관의 원소스 자원을 분석하고 통합하였으며, 실용성 원칙, 문화성 원칙, 대중화 원칙, 브랜드화 원칙, 서사성 원칙의 총 5개 항목의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문화 자원 해석, 문화 요소의 추출과 분석, 문화 기호의 제품 디자인에서의 응용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문화 기호의 물질의 물질적 전환 방식에 대해 논술하였다. 또한, 맞춤형, 디지털화, 브랜드화 등의 다원화된 문화창의 상품의 개발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새로운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 개발 체계를 형성하였다. 박물관 발전 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정부 정책 가이드 보완, 다차원 협력 발전 모델, 문화 자원 라이선스 전략, 상품 마케팅의 네 가지 측면에서 난관을 타개하고, 합리적이고 차별화된 발전 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첫째, 국가 차원에서 각 부처의 정책 문서를 세분화하여 개발 방향과 개발 재원의 출처를 명확히 하고, 검증 및 평가 메커니즘을 구축할 것을 제언하였다. 사회 차원에서 박물관 OSMU 자원을 사회 대중에게 개방하고, 박물관의 건설적인 발전을 위한 특별 기금을 설치하며, 박물관 재단의 운영 방식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전국적인 문화창의 디자인 대회를 개최해야 한다. 박물관 차원에서 조직적 관리 구축과 자기개발의 관점에서 박물관의 조직 구조를 혁신하고, 박물관 내부 각 부서간의 교류와 소통을 확대하며, 혁신적인 운영 메커니즘을 구축하고, 박물관 자체의 강점을 살리며, 문화창의 공유 개발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협력 교육 체계, 인재 평가 및 관리 체계, 교수진 구축 체계의 세 가지 측면에서 박물관, 대학, 기업 사이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박물관 문화산업 연맹 플랫폼과 디지털 박물관 연맹 플랫폼의 구축을 통해 박물관의 통합 발전 모델을 구현해야 한다. 다원적 문화 산업의 협력, 과학기술을 통한 산업 크로스오버, 문화창의산업과 교육산업의 융합을 경로로 하여 최종적으로 박물관의 다차원 협력 발전 모델을 형성해야 한다. 셋째, 박물관 문화 라이선스 자원의 통합과 평가, 박물관 문화 라이선스 주체 의식 강화, 박물관 문화 라이선스 채널과 개발 방식의 규범화, 라이선스 시스템의 운영 및 보장 메커니즘 구축의 네 가지 측면에서 박물관 문화 라이선스 실시 전략을 세분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온ㆍ오프라인 혼합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 상호작용을 통한 사용자 점착성 소비 촉진, 기회 및 크로스오버 마케팅의 네 가지 측면에서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의 개발과 발전 체계의 연구를 통해 중국의 지역 소재 박물관 문화창의 상품의 개발에 귀감이 되는 가치를 제공하고, 박물관 문화창의산업 발전에 부응함과 동시에 박물관의 양성적 발전을 더욱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박물관의 사회교육적 가치, 문화적 가치, 경제적 가치를 극대화해 박물관의 지속적인 발전이라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명대(明代) 수륙화(水陸畫)와 조선시대(朝鮮時代) 감로탱(甘露幀) 연구

        진천화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명대(明代) 수륙화(水陸畫)와 조선시대(朝鮮時代) 감로탱(甘露幀) 연구 벽화는 벽에 그린 예술 작품으로 수천 년 동안 인류 역사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화려하고 웅장한 벽화는 마치 청아한 벽옥 같아 보이기도 하는데, 특히 고대의 벽화는 유구하고 깊은 문화적 의미를 지녀 인류에게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불화는 통상적으로 장엄하고 숭배와 교화의 의미를 담는 단청채화(丹青彩繪)로서, 주로 사찰 건축물에서 그 풍격을 나타낸다. 팔상도, 지옥변, 우란분경변(盂蘭盆經變) 등의 변상도(變相圖)를 그려 경전을 해설하거나 선행을 권한다. 불교는 중국과 한국 양국에서 모두 유구한 역사와 전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불교의 수륙법회는 망령을 천도하는 중요한 법사이다, 수륙법회에서 성물의 기능을 하는 수륙화(水陸畫)를, 한국에서는 감로탱(甘露幀)으로 불린다. 명대의 수륙화와 조선의 감로탱은 중국과 한국의 사찰 특색이 선명하게 드러나는 대표적인 벽화이다. 중국의 수륙법회는 양무제(梁武帝)시기에 기원하여 송나라와 원나라 시대에 널리 성행하였다. 현존하는 수륙화는 명대의 것이 비교적 많고 주로 산시성과 하북성에 집중되어 있다. 한국 수륙법회에서의 문자 기록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시대에까지 비교적 유행했고 현존하는 감로탱 대부분 이 시기의 작품이다. 대부분의 고대 벽화가 훼손되었으나, 명대의 비로사와 법해사, 조선시대의 미타사와 무위사 등 네 개의 사찰 벽화는 상대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어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명대의 수륙화와 조선시대의 감로탱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수륙화의 기원과 발전, 형성과 연변, 감로탱의 형성과 연변에 대해 논한 후 명대의 수륙화, 주로 제재와 기법, 기능적가치 , 또한 감로탱의 역사적 상황과 특징 등을 연구 내용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더 나아가 명대의 비로사와 법해사, 조선시대의 미타사와 무위사를 중심으로 이들의 도상적 특징과 구체적인 표현 방법 등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중국 법해사와 한국 무위사의 후불벽에는 《수월관음도(水月觀音圖)》가 모셔져 있으며, 두 절에서 발견된 도상은 모셔진 장소와 기능이 일치하나 표현에서는 차이가 크다. 미타사의 《감로왕도(甘露王圖)》와 비로사 동남벽의 수륙화는 ‘상, 중, 하’세 단계의 인과 구조를 가지고 전통 양식을 따르지만, 묘사되는 장면과 인물의 구도에서 차이가 있다. 중국 수륙화에서 인로보살은 보통 단독으로 등장하고, 천녀가 시중을 드는 조합적인 구도에서는 인로보살이나 천녀가 번을 잡고 있다. 초기에 감로탱은 중국 수륙화의 영향을 받아 인로보살이 단독으로 화면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후기에 이르면서는 조합 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국 감로탱에 나오는 인로보살은 불보살 중 한 인물로 지장보살과 함께 상단에 자주 나타나는데, 형식에 있어서 중국에서 현존하는 수륙화의 경우 두루마리 수륙화, 수륙화, 수륙부조(水陸浮雕), 수륙판화 등이 있다. 반면 한국의 감로탱은 표현하고자 하는 모든 내용을 상중하 세 단락으로 나누어 한 화면에 배치하는 탱화와 병풍의 여덟 화면에 각각의 내용을 그리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수륙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세속적인 소재가 감로탱 하단에는 세분화 되어 다각도로 그려진다. 감로탱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 가장 많이 발달하였는데, 중국 전통사상의 영향에서 벗어나면서 한국의 민족성이 부각되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명대 수륙화는 당나라 시기 둔황벽화의 본질을 잘 계승하였다. 그러면서도 명대 역시 당시 유불도 사상을 결합하여 그만의 독특한 심미적 특징과 화법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조선시대는 고려 벽화의 진수를 이어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한 감로탱은 한국의 민족성을 가장 높이 지닌 불화로 자리매김했다. 수륙법회와 수륙화는 양국의 종교 발전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문화예술 교류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로써 수륙화는 중국 명대와 한국 조선시대를 거쳐 양국의 역사, 지리, 정치, 경제 등 다양한 요소와 상호 작용아래 서로 연결되어 양국의 연구 가치가 있는 중요한 불교 및 회화 자료를 형성하게 되었다. 각 국가의 신앙과 민속 특성이 수륙화와 회화 스타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륙화의 연구 내용을 보완하고 한중 불교미술의 연구와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키워드: 명대, 조선시대, 수륙화, 감로탱, 비로사, 법해사, 미타사, 무위사

      • 명대(明代) <아집도(雅集圖)>에 나타난 공간 미학 연구

        왕은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고대 중국의 아집은 문인 선비들이 시문을 읊고 학문을 논하던 일종의 모임이었다. 이러한 모임에서 화가가 기록으로 그린 아집도는 사실적인 회화이다. 아집은 고대 권력가와 문인들이 모여 벗을 사귀는 주요 방식으로 문인 선비들의 모임 횟수가 늘어나면서 아집 역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아집에 참여한 사람들은 거문고와 바둑, 책, 그림을 벗 삼아 술과 차, 향, 꽃으로 흥을 돋웠으며, 자유로우면서도 고상하고, 서화의 우아함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고대 중국의 아집 행사, 아집 소재 회화를 비롯한 수많은 문학 및 예술 작품이 탄생하였다. 아집 문화의 발전은 명대에 역사적 정점에 이르렀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면, 첫째, 명나라 시기 아집 문화에 대한 황제의 애정이 더해져 전 사대부가 아집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고, 둘째, 명나라 시기의 인구 증가와 관련이 있다. 현재 전해지거나 역사서에 기록된 아집도는 이 시대의 작품이 가장 많다. 아집은 문인화의 중요한 창작 소재가 되었고, 일부는 사실성이 강하여 명대 문인 아집 공간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근거와 참고 자료가 된다. 따라서 아집도에 나타난 문인의 삶과 활동, 건축과 원림 공간의 배치, 실내 가구의 종류 및 배치 등 아집 공간의 구성요소들은 연구적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주제는 명대 아집도의 공간 미학으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집의 기원인 위진시대부터 명나라 시기까지 아집 문화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명대 아집도와 명대 아집의 활동 내용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더불어 명대 회화와 관련된 사적과 기록을 근거로 명대 아집도 속 내용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국 고대 문헌의 고증을 통해 고대회화에서는 ‘호응’이라는 용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고대회화 호응미학의 개념을 현대적으로 정의하고 분류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중국 명나라 아집도의 호응 미학 특성을 도출하고, 이것이 중국 명나라 아집도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고찰하였다. 셋째, 명나라 건축양식을 채택한 현대 공간디자인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명나라 아집도의 공간 미학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현대 공간디자인에서는 고대 중국의 공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중국과 서양의 디자인 개념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명나라의 가구 형태를 단순 모방하는 상태에 머무르고 있었다. 따라서 아집 공간을 실외 공간과 실내공간으로 나누어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문진형의 《장물지》를 중심으로 가구와 문방용구, 아완청공(雅玩清供), 식기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아집도에 등장하는 동물, 식물, 건물 위치에 대해서도 각각 분석하였다. 공간에서 각 시설이 표현하는 미학적 특징과 함의를 분석하였다. 또한, 명나라 아집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명나라 아집도를 실내와 실외로 구분하고 호응미학의 두드러진 특징을 도면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나라의 아집도 공간을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으로 대별하여 아집도에 표현된 공간의 호응성을 규명하였다. 첫째, 아집도의 실외 공간은 위진시대 <난정수계도(蘭亭修契圖)>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역대 아집들의 실외경관 속 건축과 식물, 화자의 회화 양식 등 공간 전체의 분위기까지 큰 영향을 받았다. 둘째, 실외 공간은 ‘산림아집 공간’과 ‘정원아집 공간’으로 구분된다. <혜산다회도(惠山茶会圖)>를 산림아집의 대표 작품으로 선정하여 환경 공간에 대한 표현 특징을 도출하였다. 산/우뚝 솟은 소나무, 인간의 생명력/식물의 장엄함, 건물의 간결함/식물의 복잡한 패턴 등의 요소들이 서로 호응하였다. 또한, 그림 속 인물들의 분포 역시 전체 화면의 균형을 안정시키는 요소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원아집 공간은 높은 산 혹은 수고가 높은 나무를 중시하는 산림아집과는 달리 근경, 건축, 치석, 시설물로 시선을 집중시킨다. 정원아집의 대표적인 작품인 <행원아집도(杏園雅集圖)>에서는 석조난간/목조건축물, 석조정자/목조건축물 등 건조물의 재료를 통해 호응시켰다. 한편, 인물에 대한 묘사와 섬세한 표현을 통해 시대의 정치적·문화적 요소를 반영하였는데, 이는 정원아집의 대표적인 호응성 표현방식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외부공간의 식물과 동물에도 상징적 의미를 담아, 중국 고대인의 심미적·정신적 함의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실내공간은 ‘저택’과 ‘문재 공간’으로 구분된다. <완고도(玩古圖)>와 <양정도해:이태백필배금전기(李太白匹配金錢記)>를 분석한 결과 인물의 형태, 의상, 공간의 배치 그리고 작은 시설 하나까지도 통일성을 부여하였다. 예를 들면, <완고도>는 그림의 모든 식물, 기구, 병풍, 가구, 심지어 돌까지도 고대의 아완을 대표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집도의 호응미학의 특성을 근거로 현대에 중국 전통 경관을 개념으로 설계된 공간을 사례분석 하였다. 그 결과 고대 중국 공간의 배치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서양의 설계요소가 혼재되어 전체 공간의 균형과 안정성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분석한 <진상재도(上海博物館)(眞賞齋圖(上海博物館)>의 산과 하천의 단단함과 부드러움의 상호보완적 특징, <동원도(東園圖)>의 독립적 표현, <행원아집도(杏園雅集圖)>의 장면 간의 유사성과 대칭적 배열 기법, <완고도(玩古圖)>의 인물 배치와 시설의 조화 등의 특성을 근거로 현대 디자인의 문제점을 밝히고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명나라 아집도 공간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현대 디자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명나라 아집도 공간의 호응 미학을 현대 디자인에 적용하여 공간을 통일시키고 조화롭게 조성할 뿐만 아니라 고대 역사와 현대 설계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의의가 있다.

      •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

        갈환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국문요약 국민 경제가 발전하면서 삶의 질에 대한 사람들의 기준도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일부 노인 돌봄 환경, 특히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의 생리적, 정신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노인 돌봄 구조의 변화로 인해 일부 노인은 집에서 노후를 보내지 못하고, 실버타운에 입주하기도 한다. 사별하거나, 병환으로 고생하거나, 거동이 불편해 개인적〮사회적 스트레스를 받는 노인에게 심신 건강과 스트레스 해소 및 치유 기능이 갖춰진 돌봄 환경이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심신 건강을 치유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은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에도 중요하다. 노인 돌봄 공간에 원예치료 환경을 조성하면 시설 미관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심신 건강에 대한 노인의 수요도 만족시켜 노인이 여생을 더 즐겁게 보낼 수 있다. 관련 문헌 연구를 보면, 현재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건축 계획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노인 돌봄 환경 문제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연구는 대개 기술적 측면에 치중되어 있는데, 주로 어떻게 하면 건축과 개조를 통해 노인에게 편안한 거주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인구 고령화가 점차 심각해지고 사회 노인 돌봄 서비스 시스템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실버타운의 수요 측면의 문제점을 깊이 있게 연구하여 노인을 위한 더 나은 노인 돌봄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실버타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돌봄 산업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발달과 삶의 수준 향상 및 노인의 노후 삶에 대한 인식 변화로 인하여, 단순하고 제한적인 노인 돌봄 환경은 노인들의 정신 및 생활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동시에 치유 개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사람들은 식물이 인간의 생리적 기능 및 심리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점차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원예치료도 다시 각광받기 시작했다.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면 실버타운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노인에게 보다 다양한 노후 생활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동서양의 치유 이념과 실버타운 환경에 관한 연구를 통해 치유 개념의 기존 연구와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첫째, 중국이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연구를 뒤늦게 시작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가 적은 편이며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을 결합시킨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치유 개념을 환경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하고 종합∙귀납하여 중국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둘째, 본 논문에서는 주로 동서양 국가에서 대표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미 국가는 실버타운을 비교적 일찍 건설하기 시작하였으며 디자인도 충분히 성숙한 단계에 진입했다. 그에 반해 중국은 한 발 늦게 실버타운을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국내 성공 사례가 부족하여 실외 환경 디자인 및 무장애 디자인 등 분야에서 참고할 만한 사례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례로 제시한 중국 베이징 동방 태양성 실버타운은 주로 해외 성공 경험을 참고하여 건설한 것이며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사례 분석에서 자세히 설명) 본 논문의 환경 디자인은 실외 환경 디자인, 조명, 색채, 식물, 공간 계획 등을 포함하며 실내 환경 디자인은 제외한다. 또한 치유 개념과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관련 문헌 수집과 분석을 통해 동서양의 치유 개념 적용 및 실버타운 현황을 알아보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종합하여 본 과제의 연구 방향과 주제 의식을 확립하였다. 본 논문은 노인의 각기 다른 수요에서 출발해 실버타운 디자인에 적합한 요건을 파악하고, 치유 개념을 실버타운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분석하여 실행 가능하고 적절한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성과는 실버타운의 환경 디자인을 분석하고 치유 개념 적용 방식 결합하여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치유 개념을 합리적으로 활용한 디자인 방법과 현지 문화경관, 향토 식물자원을 활용해 편안하고 건강한 돌봄 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방법을 실버타운에 적용해 식물, 지형, 도로포장, 물, 소품 표지에 활용되는 방법을 도출하여 실버타운의 다양한 실외 환경을 위한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실버타운 환경 조성에 도움이 된다. 상기 서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의 기초적인 영향 요인을 결합하고, 노인의 수요와 선호를 참고하여 실버타운 치유환경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성과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환경 계획에 대한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실버타운 및 치유 환경 관련 이론과 동서양의 기존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연구와 관련된 개념 및 범위를 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치유 환경 디자인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했다. 노인의 실버타운 환경에 대한 수요를 근거로 일정한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노인의 신체 건강을 촉진하는 건강한 지역사회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다. (2) 노인의 행동 및 선호, 심리 및 생리적 특징 차원에서 출발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의 영향요소 및 디자인 원칙의 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실버타운 내 치유 환경 디자인은 안전성, 다양성, 현지성, 적극성, 그리고 교화 역할 등의 원칙을 기준으로 노인의 ‘즐거운 노후, 안정적 노후’에 대한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기존 연구를 통해, 실버타운의 정원 치유환경 계획의 목표를 분석하여, 실버타운의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간의 연계 및 영향을 종합하였다. 실버타운 환경의 치유 개념 적용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동서양의 비교적 대표성을 지닌 몇 가지 실버타운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중국 베이징(北京) 동방태양성(东方太阳城)의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고 상기 연구 내용과 결합하여 중국의 치유 개념에 적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이론을 도출했다. 베이징 동방태양성을 위한 실버타운 환경계획 디자인 제안 및 방법을 제시하여 향후 치유 환경을 실버타운 내에 조성할 수 있도록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이론과 참고 근거를 제공하였다. (3) 치유 환경 디자인의 역동성, 전체성, 연관성을 통해 실버타운 치유 환경에 대해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참고 문헌, 기존 연구 성과 등을 결합하여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 체계를 구축하였다. 치유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은 노인 감각기관의 충분한 자극, 자연 공간의 쾌적함 강화, 다양한 식물 선택, 활동 공간의 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식물 등 여러 조건을 충분히 활용하여 인체에 대한 자연환경의 치유 기능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노인의 신체적·심리적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실버타운 환경의 구역 요소와 지역문화 요소 등을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에 치유 개념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디자인 요구사항 및 응용 방법을 도출해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의 다양화는 노인들의 산책, 명상, 신선한 공기 호흡 등의 활동 수요를 만족시킨다.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 요소는 현지성, 적극성 및 교화 등의 원칙에 따라‘노인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즐거움을 얻는다. (老有所乐, 老有所学)’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또한 시설 내부 및 주변 공기 질, 토양 환경, 물, 교통 편의성 등의 요소도 실버타운 치유 환경 디자인에 대한 노인의 만족도와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했다. 첫째, 실버타운의 환경과 분위기. 미학적 특징의 경우, 시설의 전체적인 색의 조화, 공간의 크기와 환경의 쾌적함, 식물의 계절적 변화와 레이어 등을 중시해야 한다. 문화성의 경우, 일정한 지역 문화를 구현하고, 타운 내 문화 발전에 힘써야 한다. 생태성의 경우, 좋은 식물 군락과 합리적인 식물을 재배하고, 경관 환경 요소와 식물을 합리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식물을 선택할 때 반드시 실버타운의 입지를 고려하여 남부 식물 혹은 북부 식물을 심을 것인지 결정해야 하며, 식물의 오감기능을 중시하여 교목, 관목, 화훼, 지피류 등 다양한 식물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노인의 신체재활에 도움을 주는 식물이어야 하며, 식물 색을 배합할 때 계절감이 비교적 뚜렷한 식물을 선택해야 하지만 침엽수, 버들개지 및 독성이 있는 식물은 사용해서는 안 되며 노인의 신체 건강을 위한 식물을 선택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둘째, 실버타운의 공간 배치. 교통의 접근 용이성의 경우,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 체계를 갖춰야 한다. 공간 인식 용이성의 경우, 명확한 표지와 공간 디자인을 사용해 간결하고 명확한 공간 배치를 해야 한다. 셋째, 실버타운의 공간 조성. 공간 적응성의 경우, 노인의 다양한 활동 등 수요를 만족시켜야 한다. 참여성의 경우, 다양한 노인의 개성과 수요를 중시하고, 단순하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시설 등을 조성해야 한다. 공간 영역으로는 다층적인 공간 등을 디자인해야 한다. 넷째 실버타운의 인성화 디자인: 안전성의 경우, 완벽한 예방 보호조치를 취하여 디자인에 존재하는 안전 문제 등을 없애야 한다. 무장애 디자인의 경우, 실버타운 내 도로의 무장애 통행 등에 신경 써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연구는 미비한 점이 많으며, 앞으로의 학습 및 연구를 통해 좀 더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키워드: 치유,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