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 비교

        조미선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 비교 조 미 선 유아특수교육전공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을 비교함으로써 환경적 장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다문화가정 유아에게 보다 안정적인 발달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전라북도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한국인 어머니 85명과 결혼이주 어머니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태도는 연령, 학력,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가족소득, 양육지원,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국인 어머니와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기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은 연령,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력, 가족소득, 양육지원, 결혼이주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다문화가정 유아의 안정적인 발달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결혼이주 어머니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시사되었으며 향후 결혼이주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맞춤형 지원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 Comparison of Parenting Attitudes & Parenting Behavio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between Korean Mothers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Jo Mi-seon Major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re suitabl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classified as environmental disabilities risk group by comparison of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ing behavio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between Korean mothers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For this purpose a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Korean mothers 85 people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92 people who both of their early children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North Jeolla Province.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itude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between Korean mothers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Korea residence period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but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s income, parenting support and the level of Korean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Second, parenting behavio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between Korean mothers and married immigrant moth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Korea residence period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but th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al background, family's income, parenting support and the level of Korean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From these results the necessity of support for married immigrant mothers to provide a suitabl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the early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s suggested, and a needed basic data was suggested for providing future custom support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of married immigrant mothers.

      •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이 아동의 수학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미숙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이 아동의 수학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전주시, 익산시, 완주군에 소재한 6개 지역아동센터를 편의군집 표집하여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40명씩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수학학습역량은 아동의 수학 학습능력과 수학 학습태도로 구분되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은 아동의 수학 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을 실시했던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또한 수학 학습능력 5개 하위영역에서도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가 제시되었다. 둘째,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은 아동의 수학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 실시 후 아동의 수학학습태도 점수는 실시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학학습태도 6개 하위영역 중 자신감, 흥미, 목적의식, 성취동기 4개 영역에서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 실시 후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은 교사가 인지한 아동의 수학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 실시 후 교사는 아동의 수학 학습태도 점수가 실시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뿐 만 아니라 교사는 수학 학습태도 6개 하위영역 중 흥미, 목적의식, 주의집중 영역에 있어서 논리 기반 스토리텔링 실시 후 아동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The influence of logic-based storytelling on mathematics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Lee, Mi-Suk Major in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Academic Advisor: Koo, Hyo-jin Ph. D.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learn how the logic-based storytelling affects mathematics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For the research, the children who are 3rd to 4th grade students at six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Jeon-ju, Ik-san, and Wan-ju city of Jeonllabuk-do Province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controlled group and experiment group. Each group has 40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is divided into two fields, which are mathemataics learning performance and mathematics study attitud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the logic-based storytel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athematics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The experiment group that was given the logic-based storytelling made a better grade than the controlled group that was not given it. Besides, among 5 subordinate scopes in mathematics learning performance, the result shows that the experiment group also made a better grade than the controlled group. Second, the logic-based storytell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It is reported that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score of children largely improved after carrying out the logic-based storytelling. Moreover, among 6 subordinate scopes i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the significant change appears in four fields of self-confidence, interest, a sense of purpose, and motive of accomplishment after the logic-based storytelling. Lastly, the logic-based storytelling has a positive impact on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who teachers recognized.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score of children rises to a higher level after the logic-based storytelling. Besides,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hildren showed a higher score after taking the logic-based storytelling in the fields of interest, a sense of purpose, and attention concerntration among 6 subordinate scopes of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

      • 발달적 근거기반 부모 상담이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임정남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발달적 근거기반 부모 상담이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콘텐츠개발전공 임 정 남 본 연구는 발달적 근거기반 부모 상담이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전반적 자아개념, 전반적 공격성, 전반적 정서지능)을 파악하고, 관계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어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총 65쌍으로 연구대상자 유아 65명과 그들의 주 양육자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부모 상담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아개념, 공격성, 정서지능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t검증, F검증, scheffe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 상담 유형(발달적 근거기반 상담, 일반적 부모 상담, 부모 상담 미 제공)에 따른 정서 및 사회성 분석에서 첫째, 발달적 근거기반 상담은 전반적 자아개념, 전반적 공격성, 전반적 정서지능의 사후검사가 사전검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부모 상담은 전반적 공격성의 사후검사가 사전검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만 전반적 자아개념, 전반적 공격성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 상담 미 제공 집단은 전반적 자아개념, 전반적 공격성, 전반적 정서지능 모두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 상담 유형(발달적 근거기반 상담, 일반적 부모 상담, 부모 상담 미 제공)에 따른 집단 간 정서 및 사회성 분석에서 첫째, 전반적 자아개념은 발달적 근거기반 상담 집단과 일반적 부모 상담 집단이 부모 상담 미 제공 집단 보다 전반적 자아개념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 공격성은 부모 상담 미 제공 집단이 발달적 근거기반 상담 집단, 일반적 부모 상담 집단 보다 전반적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반적 정서지능은 발달적 근거기반 상담 집단이 부모 상담 미 제공 집단 보다 전반적 정서지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발달적 근거기반 부모 상담은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발달적 근거기반 부모 상담에 따른 유아의 정서 및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Abstract Effects of Developmental Evidence-Based Parent Counseling on Advancement of Emotion and Sociality of Infants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Jung-nam Im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ims to figure out effects of developmental evidence-based parent counseling on advancement of emotion and sociality of infants (general self-concept, general aggression and general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to their relationships. Subjects to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65 couples composed of 65 subject infants and their 65 fosterers. In an effort to analyze differences in infants’ self-concept, aggress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by parent counseling, SPSS 22.0 was used to conduct t-test, F-test and Scheffe test, a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Analyses on emotion and sociality by type of parent counseling (developmental evidence-based counseling, general parent counseling and an absence of provision of parent counseling) genera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developmental evidence-based counseling, general self-concept, general aggression and general emotional intelligence turned out to be higher in after-the-fact tests than in pretests. Second, as for general parent counseling, general aggression turned out to be higher in after-the-fact tests than in pretes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self-concept and general aggression. Third, as for groups with an absence of parent counsel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self-concept, general aggression and general emotional intelligence. Analyses on emotion and sociality among groups by type of parent counseling (developmental evidence-based counseling, general parent counseling and an absence of provision of parent counseling) genera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eneral self-concept was higher in a developmental evidence-based counseling group and a general parent counseling group than in a group with an absence of parent counseling. Second, general aggression turned out to be higher in a group with an absence of parent counseling than in a developmental evidence-based counseling group and a general parent counseling group. Third, general emotional intelligence turned out to be higher in a developmental evidence-based counseling group than in a group with an absence of parent counseling. The study found out that developmental evidence-based parent counseling turned out to affect infants’ development of emotion and sociality. Accordingly, the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subsequent qualitative research aimed to figure out specific factors that influence infants’ development of emotion and sociality according to developmental evidence-based parent counseling Key words : General aggression, General self-concept, General emotional, intelligence & emotion and sociality

      • 성인시범단의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범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성인시범단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운동만족도에 관한 요인을 분석해보고,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시범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성인시범단의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운동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하고, 성인시범단의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아 성인시범단의 운동만족도의 필요요인을 알아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검증하기 위해 측정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 특성,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운동만족도의 4가지 항목에 걸쳐 총 5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2019년 현재 태권도시범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성인들을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으나, 이중응답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58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42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최종분석에 선정된 342부의 설문지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검증, 상관관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및 운동만족도의 결과는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배경변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의 차이는 성별, 학력, 소속시범단, 시범경력, 보수여부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배경변인 특성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성별, 학력, 소속시범단, 시범경력, 보수여부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배경변인 특성에 따른 운동만족도의 차이는 선수생활만족에서 성별, 소속, 해외시범경력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시범단의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지지 변인 중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 요인이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변인 중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물질적지지 요인이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시범단의 사회적 지지가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지지 변인 중 정서적지지 요인이 외부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변인 중 평가적지지 요인이 선수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시범단의 자아존중감이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 변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 요인이 외부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 변인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 요인이 운동만족도의 선수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을 국내 20세 이상 태권도시범단원으로 하였으나 전국의 태권도시범단원 전체를 모집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일반화시키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국 시범단원들로 대상을 확대하여 연구의 일반화를 위한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국내 성인시범단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운동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태권도시범단 운영과 발전에 있어 요구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었으나, 태권도와 태권도 시범의 발전을 위해 타 요인들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otor satisfaction of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nd to find out whether social support has an influence on self-esteem and moto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self-respect, and athletic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group, and b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group's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athletic satisfaction, we want to provide basic data to identify the necessary factors of the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group's athletic satisfaction. To ve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measurement tool and consisted of a total of 56 questions across four categories: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motor satisfaction. It selected adults who are active in taekwondo demonstration teams in 2019 and us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ut 342 were used for this study, except for 58 that were deemed to have received double or unfaithful responses. The questionnaire of part 342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 23.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one-way vari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social support, self-respect, and motor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variable were found to be partly different. The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based on the nature of the background variable was found to b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gender, academic background, affiliation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demonstration experience and remuneration. Next, The difference in self-esteem based on the nature of the background variable was found to be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gender, academic background, affiliation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demonstration experience and remuneration. Finally, the difference in athletic satisfac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ckground variable is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groups depending on gender, affiliation and overseas demonstration experience in player life satisfaction. Second, a study of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adult teakwondo demonstration team on self-esteem showed tha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factors among social support variables affect positive self-esteem, while emotional support, evaluation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actors influence negative self-esteem among social support variables. Third, a study of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adult teakwondo demonstration team on sports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at the factors of emotional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transformers affect externa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of evaluated support among social support transformers affect player life satisfaction. Fourth, a study of the effects of tekwondo demonstration team self-esteem on sports satisfaction of self-esteem showed that positive self-esteem factors among self-respecting variables affect external environment satisfaction, while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factors among self-esteem variables affect athlete satisfaction of sports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study as a whole because although they were selected as members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ged 20 or older in Korea, they did not recruit all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nationwide. Therefore, future research requires an attempt to generalize the study by expanding the target to national demonstration team members. Second, the purpose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in the operation and development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athletic satisfaction of the domestic adult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but it is believ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other factors should be conducted to develop taekwondo and taekwondo demonstrations.

      •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업성취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미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업성취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이 미 숙 본 연구는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업성취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이 1년 이상인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55명과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의 하위영역인 학습준비에 대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학습이해와 학습태도에서는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아동이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또래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보고 되었다. 넷째, 또래관계의 하위영역인 또래 선호도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또래 협동심과 정서적 공감에서는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아동이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유아기 통합교육 경험의 장기적 효과성이 시사되었으며 향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마련에 필요한 다양한 이론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 통합교육 경험이 비장애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이진경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통합교육 경험이 비장애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통합교육 경험이 비장애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1년 이상의 전일제 통합경험이 있는 비장애 유아 35명과 해당 경험이 없는 비장애 유아 40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비장애 유아는 통합교육이 없는 비장애 유아에 비해 긍정적인 자기효능감을 나타냈다. 둘째,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비장애 유아의 자존감이 해당 경험이 없는 비장애 유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통합교육 경험이 비장애 유아의 심리기반이 되는 자기효능감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장·단기적으로 심도있게 살펴볼 필요성이 제시되었으며 향후 양질의 통합교육 제공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과 함께 구체적인 교수전략 지원방법이 제시되어 질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 직무와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오인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A Study on Burn-out and Resil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Job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Oh In ji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burn-out and resil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according to job variables and personal variables, and to know its relationship.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for research were total 2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In order to analyze the burn-out and resilience, t-test, F-test, scheffe pos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job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he task of office and administrative related showed higher than the task of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ment and evaluation in burn-out, but showed lower in resilience. Second, in relation to the ag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20s teachers showed higher than 40s teachers in burn-out, but showed lower in resilience. Third, in relation to the career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a lot of career experience showed lower in burn-out, but showed higher in resilience. Fourth, in relation to the type of work institu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day care center for childhood showed higher in burn-out, and showed lower in resilience than teachers working in special school. Fifth, in marria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he unmarried teachers showed higher burn-out than the married teachers. Sixth, in relation to the age of the infants in charg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3-year-old infants showed higher in resilience tha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4-year-old infants. Finally, in the correlation of the sub-factors related between the burn-out and the resil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e burn-ou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job, age, career, institution type, marriage. And in relation to the resilience, there were differences in job, age, career, institution type, and age of the infants in charge. Therefore, the necessity of future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specific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affecting burn-out and resilience according to various variable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early childhood was suggested. 직무와 개인변인에 따른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오인지 지도교수 구 효 진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직무변인과 개인변인에 따른 심리적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파악하고, 관계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어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특수교사 총218명 이었다. 이들의 심리적소진과 회복탄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여 t검증, F검증, scheffe 사후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 직무와 관련해서는 사무 및 행정관련 업무가 교수학습 개발 및 평가 업무보다 심리적 소진이 높았으며 회복탄력성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특수교사의 연령과 관련해서는 20대 유아특수교사가 40대 이상 유아특수교사보다 심리적소진이 높았으며 회복탄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특수교사 경력과 관련해서는 경력이 많은 교사가 심리적 소진이 낮았으며 회복탄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특수교사의 근무 기관 유형과 관련해서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가 특수학교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보다 높은 심리적 소진과 낮은 회복탄력성을 나타났다. 넷째, 유아특수교사의 결혼 여부에서는 미혼자가 기혼자보다 높은 심리적 소진을 나타냈다. 다섯째, 유아특수교사의 담당 유아의 연령과 관련해서는 만3세반 유아특수교사가 만4세반 유아특수교사 보다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 관련 하위요인들의 상관관계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직무, 연령, 경력, 기관 유형, 결혼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관련해서는 직무, 연령, 경력, 기관 유형, 담당 유아의 연령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유아특수교사의 다양한 변인에 따른 심리적소진과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이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

        조연정 신한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학의 핵심 교양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을 적용하여, 대학생에게 중요시되고 있는 창의 역량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사례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교양교육에서의 창의 역량에 대한 인식 및 수업 만족도에 대한 연구,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핵심 요소(자율성, 자기 계발, 자기 성찰, 상호존중, 개방성)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편의 군집 표집 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4년제 S대학교에서 핵심교양 과목으로 개설된 ‘발상의 표현 기법’수업의 수강생 8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에 기반한 학습 방법이 대학생의 창의 역량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문헌 연구 및 설계, 개발, 사례를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총 12주 동안 진행하였다. 매 차시별 학생 창작 결과물과 자신의 작품에 대한 분석 및 평가의 사례를 통해 예술적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창작활동을 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성찰일지와 면담을 통해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마인드 맵의 사전, 사후 작업을 통해 단어의 수와 가지의 변화에서 사고 과정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마인드 맵을 평가하는 세부 영역별 점수 차이에서도 사후 검사에서 평균 점수가 높고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개인 특성에 따른 창의 역량에 대한 인식 결과에서는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의 개인 특성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결과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전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다. 여섯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선호도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학생 스스로 창의력 발상에 관련된 표현 기법을 배우고 싶어서 수업을 수강한 것으로 보아 평소 창의 예술 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 기반 핵심 요소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학년에 따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 기반 핵심 요소들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과 자기 계발, 자기 성찰, 개방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전공에 따른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의 핵심 요소들의 차이 역시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과 자율성, 자기 계발, 자기 성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 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자기 설계 중심 예술 교육은 학습자 스스로가 이론 수업을 학습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창작활동을 자율적으로 진행하여 사고하는 과정을 통해,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직접 평가함으로써 창의 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사례를 통해 증명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추후 연구에서는 객관화된 정보를 얻기 위해 전국 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서의 접근 분석이 필요하며, 각 지역의 대학에서 요구하는 창의 역량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교양교육으로서 예술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대학생의 창의 역량 함양을 위해 한 학기 동안의 단기간 사례 연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대학의 창의 역량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창의적 예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인 방안 마련에 대한 추가적인 제언이 필요하다. This study applied self-design-focused art education, a core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ies, and analyzed the effect on the change in creative competency, which is important to undergraduate students, through a case study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addition, I tried to find out whether it was effective for students' creativ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core elements of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openness, autonomy, self-development, self-reflection, and mutual respect) in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5 students in the "Idea Expression Technique" class, which was opened as a core liberal arts course at 4-year S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methods based on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on the creative competence of undergraduate students, an educational program applied with pre-literature research, design, development, and cases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weeks. It was proved that artistic competence was improved through the case of analysis and evaluation of student creative results and their works at each time. Second, the learner confirmed that the change was made due to art education focused on self-design through self-reflection diaries and interviews written based on the contents of creative activitie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nking process was expanded in the number of words and changes in branches through the pre- and post-work of mind map, and the average score was high in the post-te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Fourth,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i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e competency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Fifth,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the results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creativity edu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ported in grades and majors. Sixth, looking at the results of self-designed focused art education, it was found that most students took classes because they wanted to learn expression techniques related to creativity ideas.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re elements based on self-design art education,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reported according to gender, b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core elements based on self-design art education, self-reflection, and openness.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e elements of self-design-oriented art education according to major were also reported in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and autonomy, self-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Summarizing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d through examples that self-designed-focused art education improved creative abilities by creatively solving problems and directly evaluating them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theory and autonomously conducting creative activities. Therefore,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studies need to analyze various demographic aspects of undergraduate students nationwide to obtain objectified inform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re abilities required by universities in each region can be analyz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rt education to students. In addition, in order to cultivate undergraduate students' creative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reative art education that can promote the university's creative capabilities through long-term follow-up studies rather than short-term case studies for a semester.

      • IR 4.0 시대 핵심 역량 및 생애주기별 지원을 위한 대학의 교양교육 개선 방향 연구

        오충현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있는 대학이 양성해야 하는 인재의 모습과 함양시켜야 하는 미래역량을 분석하여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데이터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상 및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재점검을 위하여 두 개의 연구로 구성하였다. 연구1은 산업체, 대학생, 대학이 인식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새로은 인재상 및 역량 분석에 대한 연구, 연구2는 대학의 핵심역량을 반영한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 및 교원의 인식과 개선 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1은 산업체(N=335), 대학(N=152), 학생(N=195)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2는 대학생(N=288), 교원(N=114)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1과 연구2의 분석에 활용된 설문 결과는 부호화 과정(coding)과 오류 검토 작업(data cleaning)을 거쳤으며, 자료처리를 위하여 SPSS 24.0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및 인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1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변인 및 주체별 변인에 따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지와 핵심역량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 변화에 따라 인재상과 필수역량이 변화되었으며 전문적 지식을 중시하던 과거에서 의사소통 및 창의성 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2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교양교육의 방향과 생애주기별 지원을 위한 방향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원과 대학생이 생각하는 교양교육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뉘는 것을 보아 교육 제공자와 수요자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앞으로의 교양교육은 생애주기별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의 대학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에 따른 조직에서 추구하는 인재상과 핵심역량이 변화함에 따라, 이를 반영하기 위한 교양 교육과정 개편 기준을 마련하고 조직 및 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elementary data necessary to find innovative ways to improve liberal arts education by analyzing future competences which must be possessed by ideal college graduates who can lead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consists of two sub-researches to re-examine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ideal person and his/her core competencies in the era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Study 1 is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ideal person and his/her core competencies that the corporate sector, college students, and universities recognize. Study 2 is a survey of how college students and academic employees think regarding the perception and direction of competency based liberal arts education. The subjects of Study 1 consist of corporates (N=335), universities(N=152), and students(N=195) and for Study 2, students(N=288) and academic employees(N=114) are chosen as the subjects.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study subjects, and the survey results used in the analysis of Study 1 and Study 2 went through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SPSS 24.0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univariable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overall study are as follows. Through Study 1 of this stud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ed with respect to recogn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re competencies throughout demographic variables and variables by subject. In addition, the ideal person and core competencies have changed according to industrial changes, and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competencies have been found to be more important than professional knowledge which was taken to be important in the past. Study 2 presen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necessa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gree of support for each life cycle. Furthermore, see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oughts on liberal arts education of teachers and college students was clearly presented,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providers and consum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needs supp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ividual life across life cycle. Therefore, as the future ideals and core competencies pursued by the organization in the era of 4th revolution are changing, universities should prepare standards for reforming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reflect these changes and operate in a way that improves the organization and its policies.

      • 대학생 세계시민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성 연구

        조경아 신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갈 대학생 학습자들의 특성 및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 세계시민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세계시민교육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의 세계시민교육과 현재 국내 대학의 세계시민교육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식과 이해, 기술과 능력, 가치와 태도, 참여와 실천으로 구분되는 역량의 총체적 발달을 강조하는 국제사회의 요구와 달리 전반적인 국내 대학의 세계시민교육은 지식과 이해, 가치와 태도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 대학생 132명을 편의 표집 방법으로 선정하여 전반적인 세계시민의식을 측정하고 유사한 연구에서 본 연구의 변인과 문항의 내용에 적합한 영국 대학생 220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세계시민의식 수준에서는 한국과 영국 대학생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를 하위요인별로 구분해본 결과, 지식과 태도의 경우 한국 대학생의 평균이, 스킬과 실천의 경우 영국 대학생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의 표집 방법으로 선정된 대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및 세계시민교육 관련 경험을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의 연구 대상자들이 교내외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강의나 프로그램 또는 활동에 대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및 4차 산업혁명 시대 세계시민의식의 중요도 인식 수준은 각각 평균 3.93점, 4.13점이었으며, 세계시민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의식의 증진 기대 수준은 평균 3.72점, 필요 인식 수준은 3.79점, 교내 교과목 또는 프로그램 개설 희망 수준은 3.64점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생 학습자의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실제 참여 의향은 잘 모르겠음이 52.3%로 가장 많았으며, 추천 의향은 있음이 65.9%로 가장 많았다. 세계시민교육의 구체적인 운영 방안, 학습 목적 및 목표, 주제 및 내용,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총 회기의 경우, 8회기(39.4%), 기간의 경우에는 일주일(36.4%), 참여 인원의 경우 10명~19명(43.2%)에 대한 선호가 제일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세계시민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시민의식의 함양, 세계시민 양성 등의 보편적 차원의 목표가 아닌 지식, 기술, 태도, 실천의지와 같은 세계시민의식의 요인 및 하위요인 차원에서 구체적인 학습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둘째, 단기간의 교육을 선호하는 학습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콘텐츠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과목의 경우 이론 위주의 강의 시간을 비교적 짧게 구성하고 경험적 활동 관련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으며, 비교과 프로그램의 경우 학습자들의 요구에 따라 단기간 프로그램을 구성하되 기존 교과와 연계된 현장실습 위주의 콘텐츠로 구성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세계시민교육에서 주로 다뤄왔던 주제 외에 경제성장과 일자리, 물과 위생설비 새로운 학습 주제에 대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이 제고해야 한다. 넷째,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추구하는 세계시민교육에서는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o are going to live in the post-COVID-19 er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to analyze their perceptions and needs about global citizenship to find the directions of content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y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mphasized the overall development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s and ability, values and attitudes, and participation and practice. However, most Korean colleges tended to focus on onl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values and attitud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overal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the U.K.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 and the average level of skills and practi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K. Third,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learners about global citizenship were analyzed. As a result, more than half of them had no experience in lectures, programs, or activitie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nd out of college. The perception level of importance of global citizenship in the post-COVID-19 er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as 3.93 and 4.13. The average level of expectation to promote global citizenship by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3.72, the average perception level of needs was 3.29, and the level of hope for lectures or programs in their college was 3.64. For the actual intention to participat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answer “I don’t know” was 52.3%, and for the intention to recommend, the answer “Yes” was 65.9%. Regarding the specific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8 sessions(39.4%), 1 week course(36.4%), and 10 to 19 students in a class(43.2%) was preferr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exploring the directions of the contents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is as follows: First, more specific learning purposes and goals need to be set at the level of factors and sub-factor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contents reflecting the learner’s needs who prefer short-term education are necessary. Third, the contents with more new and various topics need to be developed. Fourth, becaus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ursues learner-centered education, it is needed to apply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