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니어 프로골프선수의 대회참가제약과 제약극복노력 및 참가만족의 관계

        곽규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시니어 프로골프선수를 대상으로 대회참가제약과 제약극복노력 및 참가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한국프로골프협회에서 주관하는 챔피언스 대회에 참가하는 시니어 골프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전수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18부의 자료가 수집되어 연구에 활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의 정규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1.0을 활용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정규성 검증 후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를 규명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SPSS 21.0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통해 측정도구의 요인구조를 탐색한 다음 탐색된 요인구조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1.0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 후 시니어 프로골프선수들의 특성에 따른 대회참가제약과 제약극복노력 및 참가만족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SPSS 21.0을 이용한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회참가제약과 제약극복노력 및 참가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SPSS 21.0을 활용한 상관분석과 AMOS 21.0을 활용한 공분산구조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시니어 프로골프선수들의 특성에 따른 대회참가제약과 제약극복노력 및 참가만족의 차이에서는 학력에 따라 대회참가제약과 제약극복노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회참가제약에서는 고졸학력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제약극복노력에서는 대졸, 대학원 졸업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에 따른 차이에서는 소득에 따라 대회참가제약, 제약극복노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회참가제약에서는 400만원 미만 집단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제약극복노력에서는 600만원 미만 집단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경기경력에 따른 차이에서는 대회참가제약과 제약극복노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회참가제약에서는 경기경력이 21년 이상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제약극복노력에서는 경기경력 5년 이하의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승경험에 따른 차이에서는 제약극복노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우승경험이 없는 집단이 제약극복노력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의식에 따른 차이에서는 참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가참가를 목적으로 참가하는 집단이 참가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니어 프로골프선수의 대회참가제약과 제약극복노력의 관계에서는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니어 프로골프선수의 대회참가제약과 참가만족의 관계에서는 대회참가제약은 참가만족과 부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니어 프로골프선수의 제약극복노력과 참가만족의 관계에서는 제약극복노력과 참가만족은 정적 인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시니어 프로골프선수의 제약극복노력은 대회참가제약과 참가만족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ow participation constraint of the senior golf player had influences on overcome effort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population among a senior golf player was sele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f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tal 218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all data were utilized in data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 and the analysis of construct validation and reliability on the questionnaire of each factor was carried out prior to the verification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ach factor. The construct validations of each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ith SPSS 18.0 program. And the relevance of abstracted factor structure was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MOS 18.0.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constraint, overcome effort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senior golf player was analyzed by using of each factors abstracted from the analysi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for the difference among participation constraint, overcome effort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a senior golf player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ith SPSS 18.0 program,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elated factors were analyzed by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rough AMO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difference among academic ability, income, career, win experience,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ticipation constraint, overcome effort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Seco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constraint and overcome efforts of senior golf player, the participation constraint of senior golf player had negative effect on overcome efforts.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constraint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senior golf player, the participation constraint of senior golf player had negative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Fourth,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come effort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senior golf player, the overcome efforts of senior golf player had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Fifth, the efforts to overcome the constraints have mediates between participation restric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other words, constraints on competition participation indirectly affect participation satisfaction by overcoming constraints.

      • 골프장 고객 서비스품질이 고객 충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판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갈수록 현대인들의 가치지향적인 삶, 웰빙문화의 확산, 주 5일근무제로 인하여 최근 골프에 대한 여가활동이 매우 크게 대중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골프장의 경쟁력은 재구매 및 재방문을 위한 고객유치에 있다. 그러나 이보다 이용고객에 대한 서비스품질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비스품질의 제공이 고객충성도에 얼마나 기여를 하게 되고, 고객 충성도는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전라도에 소재하고 있는 5개의 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고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응답자가 직접 기입하는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350부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사용된 사례 수는 총 307을 대상으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WIN 16.0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comparison analysis), 경로분석(path for analysis)등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5인 변인에 대하여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고객 서비스품질, 고객 충성도, 재방문의도는 집단간 차이가 있다. 고객 서비스품질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응답성 및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응답성 및 확신성’, ‘공감성’,은 20-29세미만 집단이 가장 높고, 40-49세미만 집단이 가장 낮으며, ‘공감성’은 20-29세미만 집단이 가장 높고, 50세 이상 집단이 가장 낮다.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에서는, ‘응답성 및 확신성’, ‘유형성’은 2년 대졸 집단이 가장 높고, 고졸집단이 가장 낮다. 연간총수입에 따른 차이에서는, ‘응답성 및 확신성’, ‘공감성’, ‘신뢰성’은 2천만원-3천만원미만 집단이 가장 높고, 2천만원미만 집단이 가장 낮다. 골프경력에 따른 차이에서는, ‘응답성 및 확신성’은 3-5년 미만 집단이 가장 높고, 10년 이상 집단이 가장 낮다. 그리고, ‘신뢰성’, ‘유형성’은 1-3년미만 집단이 가장 높고, 10년 이상 집단이 가장 낮다. 라운딩횟수에 따른 차이에서는, ‘응답성 및 확신성’은 월1-2회 집단에서 가장 높은 반면, 주3회이상 집단이 가장 낮다. 고객 충성도에서는 성별에 따라, ‘재이용의도’, ‘구전의도’요인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 ‘재이용의도’는 20-29세 집단이 가장 높고, 40-49미만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전의도’는 20-29세 집단이 가장 높고, 20세미만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총수입에 따른 차이에서는, ‘재이용의도’, ‘구전의도’요인 모두 5000만원이상 집단이 고객 충성도가 가장 높고, 2000-3000만원미만 집단이 가장 낮다. 라운딩횟수에 따른 차이에서는 ‘재이용의도’, ‘구전의도’요인 모두 월 3회이상 집단이 가장 높고, 월1-2회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방문의도에서는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간총수입에 따른 차이에서는, 2천만원-3천만원미만 집단이 가장 높고, 2천만원미만 집단이 가장 낮다. 라운딩횟수에 따라, 월1-2회 집단이 가장 높고, 월3회이상 집단이 가장 낮다. 둘째, 고객 서비스품질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응답성 및 확신성·공감성․신뢰성은 재이용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 서비스품질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공감성·신뢰성은 구전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 서비스품질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응답성 및 확신성’․‘공감성’․‘신뢰성’은 재방문의도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유형성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 충성도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재이용의도’·‘구전의도’는 재방문의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골프장 고객 서비스품질이 고객 충성도 및 재방문의도 간에 인과적 영향에 있어서는 고객 서비스품질은 재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고객 충성도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은정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부터 2021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사학위, 박사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 중 한국화 매체를 종속변인으로 집단미술치료를 독립변인으로 실험연구 한 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하였다. 총 41편 중 실험집단, 통제집단이 존재하고 사전, 사후검사가 진행되어 메타분석이 가능한 19편의 논문을 선별하여 전체평균 효과크기, 연구목적별 효과크기, 처치특성별 효과크기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학위 논문 11편, 학술지 논문이 8편으로 2014년에 4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해마다 꾸준히 발표가 이어지고 있다. 연구대상은 아동·청소년 인구가 가장 많았고 실험 집단원수는 6명 이하와 7∼9명의 인원이 동일한 수치로 많았으며, 16회기 이상, 주 1.1회기 이상, 60분 이하, 비병리/비장애인 대상이 많았으며 연구설계는 실험조사설계와 유사실험조사설계의 수가 동일하였다. 둘째,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논문의 전체 평균효과 크기(ES)는 1.695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Cohen(1997)의 해석기준으로 보면 큰 효과 크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한국화를 활용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할 경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연구목적별 효과 크기는 연구목적을 자기표현/자아성장, 정서안정/발달과 사회성, 스트레스, 기능발달 관련으로 나누었고 그에 따른 평균 효과크기를 Cohen의 기준에 따라 살펴보면 자기표현/자아성장(ES=1.924)이 가장 높았고, 기능발달(ES=1.405)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처치특성별 효과크기는 출간유형, 대상유형, 연령, 총 회기 수, 주당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집단크기로 분류하여 이들의 평균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출간유형에 따른 효과 크기를 보면, 학술논문(ES=1.818), 학위논문(ES=1.615)로 학술논문의 효과 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유형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보면, 비병리(ES=1.801), 병리(ES=1.518)로 비병리가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연령 별 효과 크기를 살펴보면 아동·청소년(ES=1.866)으로 높았으며, 노인(ES=1.838) 성인(ES=1.304)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총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에서는 13-15회 이하(ES=2.148), 16회 이상(ES=1.727), 12회 이하(ES=1.348)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당 회기 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주 1회(ES=1.819), 주 1.1회 이상(ES=1.529)로 주 1회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회기당 시간 효과크기는 60분이하(ES=1.637), 70분 이상(ES=1.827)으로 70분 이상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크기별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10명 이상의 효과크기는 1.741로 가장 높았고, 그다음으로 7명-9명의 효과크기는 1.723, 6명 이하의 효과크기는 1.673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그러나 출간유형, 대상유형, 연령, 총 회기 수, 주당 회기 수, 회기당 시간, 집단크기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미술치료는 비장애/비병리군에게 자기표현/자아성장 영역에서 실시한 경우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총 회기 수 13-15회로, 주 1회, 70분 이상 실시한 경우 가장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연구논문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종합하여 효과성에 대해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결론을 이끌어내 향후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는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using Korean media, this study collected and meta-analyzed papers on group art therap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mong master's and doctorate paper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3 to February 2021. Out of a total of 41 papers, 19 papers that exist in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and can be meta-analyzed through pre- and post-test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effect size by research purpose, and effect size by treatment characteristic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overall trend of collective art therapy papers using Korean media, 11 dissertations and 8 academic journal papers were the most common with 4 papers in 2014, and presentations are steadily continuing every yea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largest popu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number of experimental groups was less than 6 and 7 to 9 with the same number of subjects, more than 16 sessions, more than 1.1 sessions a week, less than 60 minutes, and the number of non-pathological/non-disabled research designs was the same. Secon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ES) of collective art therapy papers using Korean media was 1.695, which can be said to be a large effect size in terms of Cohen (1997)'s interpretation criteria. From these results,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helpful to conduc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Korean painting. Third, the effect size of each research purpose was divided into self-expression/self-growth, emotional stability/development and sociality, stress, and functional development, and the average effect size according to Cohen's criteria is self-expression/self-growth (ES=1.924)was the highest, and functional development (ES=1.405) was the lowest. Fourth, the effect size by treatment characteristics was classified into publication type, target type, age, total number of sessions,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ime per session, and group size to examine their average effect size. Looking at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 of academic papers was larger with academic papers (ES=1.818) and degree papers (ES=1.615).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effect according to the target type, the non-pathology showed a high effect size due to non-pathology (ES=1.801) and pathology (ES=1.518). Looking at the effect size by age, children and adolescents (ES=1.866)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the elderly (ES=1.838) and adults (ES=1.304). In terms of the effect size in accordance with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the effect size was shown in the order of 13-15 times or less (ES=2.148), 16 times or more (ES=1.727), and 12 times or less (ES=1.348). Next, looking at the effect size of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 was larger once a week (ES=1.819) and more than 1.1 times a week (ES=1.529). The time effect size per session was less than 60 minutes (ES=1.637) and more than 70 minutes (ES=1.827), indicating that the effect size was larger than 70 minutes. Looking at the average effect size by group size, the effect size of 10-12 people was the highest at 1.741, followed by the effect size of 7-9 people at 1.723, and the effect size of 4-6 people at 1.673.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publication type, target type, age, total number of sessions,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ime per session, and group size. Taken together, art therapy using Koreanized media was the most efficient in the area of self-expression/self-growth for non-disabled/non-pathological groups, and the greatest effect can be expected if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is 13-15 and more than 70 minutes a week.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meta-analysis on group art therapy research papers using Korean media, objectively evaluated and synthesized to draw reliable and valid conclusions on effectiveness, and presented data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group art therapy programs using Korean media in the future.

      •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유하나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와 석·박사학위 논문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의 종합하여 메타분석 하였고, 분석대상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를 알아보고, 특성별로 효과크기의 차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연구논문 총 97편을 수집하였고, 그 중 메타분석이 가능한 연구논문 79편을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분석대상 논문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출간유형은 석·박사 학위 논문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출판연도는 2011년에 출판된 논문의 편수가 많았으며 2010년 이후부터 비교적 일정하게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연구설계 유형은 RCT의 논문의 편수가 많았으며, 성별은 혼성으로 이루어진 집단의 비율이 높았다. 연구대상자 연령으로는 초등학생∼성인의 논문이 대다수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연구대상자 유형은 비병리·비장애군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집단원 수는 8명∼10명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총 시행회기 수는 12회∼14회, 1회기 당 시행시간은 81분∼100분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당 시행회기 수는 주 2회와 주 1회가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426으로 Cohen의 기준에 따라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며, 백분위 지수(U3)는 약 92%에 해당하였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특성(출간유형, 연구대상자 연령, 연구대상자 유형, 집단원 수, 총 시행 회기 수, 1회기 당 시행시간, 주당 시행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위 논문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성인집단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병리·장애군 집단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집단원 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8명∼10명의 집단에서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원의 수가 많아질수록 효과의 크기가 감소하였는데, 메타회기 분석 결과 집단원의 수가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총 시행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16회기 이상이 효과의 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회기 당 시행시간의 효과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61분∼90분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시행회기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주 1회의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집단미술치료가 자기효능감 향상에 큰 효과성이 있음을 입증하였고, 총 시행회기 수를 16회기 이상, 61분∼90분, 주 1회로 구성하여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메타회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집단미술치료로 프로그램 진행시 집단원 수는 8명∼10명으로 구성하는 것이 조금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of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in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1999 to 2020. saw.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and to compare how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varies by characteristics. For this study, a total of 97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79 research papers that could be meta-analyzed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 pap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trend of the thesis analysis related to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the majority of publication types were master's and doctoral thesis. In the year of publication,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2011 was large, and papers have been published relatively consistently since 2010. As for the type of research design, the number of RCT papers was large, and the ratio of the group consisting of mixed sex was high. As for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the majority of papers were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dults, and the non-pathological group and non-disabled group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the study subject types. The number of group members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8 to 10, and the total number of trial sessions was 12 to 14, and the duration of each session was 81 to 100 minutes, accounting for the highest ratio. As for the number of trial sessions per week, twice a week and once a week accounted for a similar ratio,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as 1.426,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according to Cohen's criteria, and the percentile index (U3) was about 92%.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was high.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fficacy (type of publication, age of study subjects, type of study subjects, number of group members, total number of trials, time per session, number of sessions per week) The effect size of the dissertation was found to be larger,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size of the adult group was found to be hig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y subjects, the effect size of the pathological/disabled group was larg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t was found that the size of the effect was high in the group of 8 to 10 people. As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ncreased, the size of the effect decreased. As a result of meta-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group memb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size.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otal number of trial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bu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size was high after 16 trials. The effect size of the trial time per s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size of 61 to 90 minutes was found to be high. The effect size of the weekly trial sess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once-weekly effect size was found to be high. Therefore, taking the above results together, it was proved that group art therapy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It is consider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analysis, it is considered that when the program is conducted with group art therapy, a slightly higher effect can be obtained if the number of group members is 8 to 10.

      •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은주 경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well-dying should influence on senior’s attitude toward leisure and quality of their lives. The following research points were formulated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first point was whether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s an effect on the attitudes of the old senior citizens toward their leisure activities. And the second point was whether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s an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senior’s lives. In order to collect the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problems, we have started to fulfill educational program sessionson death preparation were provided to the seniors over the age of 60 at four different community welfare center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250 seniors participated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100 participants and 150 non-participants. The education program was a modified version of the similar programs being used in other facilities, and was consisted of two 90-minute sessions per week and sper training which is in total of 8 times in a month for this study. In this research, LAS from Beard & Ragheb (1982) was employed for collecting data for the present research. As the scale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we have used the new version of the ‘Senior Life Satisfaction Scale’ modified by Sang Sik Shin (2010) and revised by Song Ja Lim (2012) was utilized. SPSS 18.0 Version of statistical program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or the frequency, mean, and standard and deviation,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is, and multiple return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fter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 afte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erms of attitude toward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educational standard, an income leve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ex, educational level and an income level. In cognitive domain, one of the lower rank factors in attitude toward leisu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sex, educational level and an income level, while in affective domain, gender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and the educational level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conductive domain. Seco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age, educational standard and income level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ex,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The past, one of lower rank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make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one’s gender. The present was found make th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one’s age, educational standard, and income level, while the futur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 generating differences depending on one’s sex,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Third, analysis of the attitudinal difference among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oward leisure activities afte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revealed positive result within the group of participants in the lower ranking factor in cognitive and conductive domains. Fourth, analysis of the attitudinal difference among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oward life satisfaction afte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revealed positive result within the group of participants in terms of the lower ranking factor in the past and the future domains. Fifth,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the seniors’ attitude toward leisure on the life satisfaction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level. Close examination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past in terms of lower ranking factors in cognitive domains and conductive domain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ne’s attitude toward leisure activities, showing the positive (+) result.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present in terms of lower ranking factors in cognitive domains and conductive domain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one’s attitude toward leisure activities, showing the positive (+) result. The research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future in terms of its influence on one’s attitude toward leisu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cognitive, affective, and conductive domains with the positive (+) resul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eniors’ attitudes toward leisure and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Therefor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s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consisting of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death, the necessity of taking the educational programs in preparation for death, fostering the right attitude to live for the duration of the remaining life, and teaching the practical ways to prepare for one’s death, and so on,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seniors through developing positive understanding of death and meaningful life as well as actively taking advantage of their leisure tim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여가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 연구 문제의 결과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네 곳의 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100명과 비참여자 150명, 모두 250명을 선정하였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된 죽음준비교육 내용을 참고하여 재구성하고 주2회, 회기 당 90분씩, 8회기에 걸쳐서 본 연구자의 교육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Beard와 Ragheb(1982)가 개발한 여가태도척도(LAS)를 사용하였고, 삶의 질 척도는 최성재(1986)에 의해 개발된 ‘노인생활만족도 척도‘를 신상식(2010)이 재구성하고 임송자(2012)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량,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여가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가태도에 대해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가태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높게 나타나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여가태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영역에서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행동적 영역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여가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삶의 만족에 대해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에서는 성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는데 남자보다 여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현재차원만족도에 대해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래차원만족도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전체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가 삶의 만족도가 높았고 연령이 많을수록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여가태도에 대해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여가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여가태도의 하위영역으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죽음준비교육에 참여 여부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하위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와 미래차원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여가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과거차원만족도, 현재차원만족도, 미래차원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인 영역으로 살펴보면 과거차원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보면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차원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차원의 만족도에 대한 여가태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는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행동적 영역에서 유의하였고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의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남은 삶의 대부분이 여가시간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치료적 접근의 여가교육으로 삶의 연장선에서 죽음을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과거의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시켜 남은 인생을 설계함에 있어 여가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여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제안할 수 있다.

      • 스키리조트 공유가치창출과 브랜드 신뢰, 브랜드 이미지 및 고객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 이타성의 조절효과

        류지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이용객들이 지각하는 스키리조트 공유가치창출의 하위개념인 경제적 가치창출 및 사회적 가치창출이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를 통한 고객충성도 제고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이러한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인식과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이미지의 관계에 있어 이타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와 강원도에 위치한 스키리조트 2개소를 방문한 스키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26일∼2020년 1월 20일까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400명을 표집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으로 인하여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21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79부(94.7%)의 자료가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과 자료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연구모형의 적합성과 변인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이타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다중집단분석(multiple-group analysis)을 실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키리조트 이용객이 지각하는 스키리조트 공유가치창출의 하위개념인 경제적 가치창출과 사회적 가치창출은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이들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키리조트 이용객들이 지각하는 스키리조트 공유가치창출은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행변수이며, 또한 공유가치창출과 고객충성도 제고의 관계에 있어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스키리조트 이용객이 지각하는 스키리조트 공유가치창출이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인 이타성은 공유가치창출의 하위개념인 경제적 가치창출이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인을 돕고자 하는 성향이 높은 이타적 스키리조트 이용자 집단에 있어 상대적으로 낮은 이타성을 지닌 이용자 집단에 비해 공유가치창출이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스키리조트 이용자의 스키리조트 공유가치창출의 인식에서부터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를 거치는 고객충성도 형성의 전반적인 과정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기존 관련 선행연구들이 제시하는 브랜드태도, 브랜드 전환의도 등의 다양한 결과변수와 더불어 브랜드-소비자 동일시, 공유가치창출의 진정성(authenticity) 등의 조절효과와 관련된 후속연구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스키리조트 이용객이 지각하는 스키리조트 공유가치창출과 브랜드 신뢰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관계에 있어 기존 관련연구들이 간과하고 있는 이타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국내 스키리조트 기업들에 타켓 소비 집단이 지니는 심리적 특성인 이타성을 고려한 보다 세분화되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urrent study purported to provide a fundamental basis for efficient and segmented marketing strategies with Korean ski resort organization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erceived creating shared value on brand trust, brand image, and customer loyalt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ltruism i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creating shared value, brand trust, and brand imag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the consumers at one of two ski resorts located in Kyonggi and Kangwon provinces from December 26th, 2019 to January 20th, 2020 by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fter excluding responses with excessive missing data, a total of 379(94.7%)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a descriptive analysi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and a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performe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5.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1. Perceived economic value creation and social value creation,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creating shared value, by ski resort consumers had direct impacts on brand trust and brand image and, in turn, brand trust and brand imag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loyalty.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at perceived creating shared value by ski resort consumers is an important predictor of brand trust and brand image, which are significant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ng shared value and customer loyalty. 2. Ski resort consumers embedded altruism acted as a salient moder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economic value creation and brand trust among ski resort consumers. Consequently, an altruistic ski resort consumer group perceived the economic shared value of ski resorts more favorably and build higher brand trust compared to low altruistic consumers.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extend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creating shared value and provide empirical support for the effects of perceived creating shared value on brand trust, brand image and customer loyalty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altruism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ng shared value and brand trust and image. Besides,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the moderating effect of altruism, which extant relevant studies have overlook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creating shared value and brand trust and image and is expected to provide ski resort marketers with segmented and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 필라테스 선택속성과 서비스품질이 필라테스회원의 고객만족도 및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현수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필라테스의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서비스품질이 필라테스회원의 고객만족도 및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필라테스 수련하는 회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경기지역의 필라테스센타에서 운동을 하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편의표집표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220부를 배포하여 120부가 수거되었으며, 그중 답변이 불성실한 응답 설문을 제외한 101부의 설문지를 최종 실증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설문문항에 대해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분석목적에 따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라테스의 선택속성과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서비스만족도는 선택속성의 편의성, 운동코스, 서비스가 유의했으며, 직원만족도는 운동코스만 유의했고, 시설만족도에서는 편의성 및 비용이 유의했으며, 비용만족도는 선택속성의 비용만 유의하였다. 둘째, 필라테스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서비스만족도에는 서비스품질의 유형성, 공감성이 유의했으며, 직원만족도에서는 응답성, 신뢰성, 확신성이 유의했고, 시설만족도과 비용만족도에서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도가 필라테스회원들의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직원만족도와 비용만족도에서 유의함을 나타났고, 서비스만족도, 시설만족도는 재등록의도에 유의하지 않음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결과를 보면, 필라테스회원의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속성은 편의성, 운동코스, 비용, 서비스가 각 고객만족의 하위변수에 각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고, 서비스품질은 서비스만족도 및 직원만족도에 대해서 유형성, 공감성 및 응답성, 신뢰성, 확신성이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등록의도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직원 및 비용만족도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ilates selection attribut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registration intention of Pilates member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elect members who practice Pilates as a population and use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for members who exercise at the Pilates center in Gyeonggi Province. A total of 22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20 copies were collected, of which 10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the answer questionnaire with poor answers.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analysis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for questionnaire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effect of Pilates on the selection attribut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convenience of the optional attribute, exercise course, and service were significant for service satisfaction, only the exercise course was significant for employee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and cost were significant for the facility satisfaction, and cost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only the cost of the optional attribute.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 of Pilates 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tangibility and empathy of service quality were significant in service satisfaction, and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certainty were significant in employee satisfaction, and both in facility satisfaction and cost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did not appear. Third, looking at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re-registration intention of Pilates members,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employee satisfaction and cost 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and facility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in re-registration intention. Looking at the results as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optional attributes that affect the customer satisfaction of Pilates members affect the convenience, exercise course, cost, and service respectively on the sub-variable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service quality is service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angibility, empathy and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certainty had an effect on employee satisfac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re-registration inten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employee and cost satisfaction.

      • 중국 대학 무술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천루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and exercise commitment of Chinese university martial arts athletes. Specifically, it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stress on exercise persistence and exercise commitment, and furthermore,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set martial arts athle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as a population and sampled a total of 350 people using the significance sampling method. However, excluding data with poor response, the number of samples used in the final analysis was 310.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4 question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35 questions on exercise stress, 11 questions on exercise commitment, and 10 questions on exercise persistence doctors as questionnaires.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found to be exercise stress α=0.78-0.91, exercise immersion α=0.736-0.743, and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α=.815-.915. The SPSSWIN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techniqu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conclusions deriv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tress, self-efficacy, and exercise exhaus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university martial arts players. The stress of exercise according to gender is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and for women for exercise immersion, it is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grade is high in the third-grade group, and exercise immersion is high in the first grade. Exercise duration is high in the first-year group.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the athlete's class is high in the second-class athletic group.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player experience is high in the 9-10 year group, exercise commitment is high in the 3 year group, and exercise duration is high in the 6-8 year group. Second, exercise stress affects exercise immersion. In other words, human relationship stress, personal problem stress, and exercise injury stress affect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Third, exercise stress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Game failure, human relations, environmental factors, and exercise injury stress negatively affect exercise possibility and exercise tendency. Fourth, exercise immersion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In other words,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affect exercise tendency and exercise reinforcement. Fifth, the exercise stress of a Chinese university martial arts player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but also indirectly affects through exercise immersion. Exercise immersion is an important parameter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persistence doctor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manage the exercise stress of Chinese university martial arts players, and at the same time, it is judged that efforts to manage the exercise doctor should be accompanie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lead to internal strengthening of individuals through the support of friends and famil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presented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Chinese university martial arts players as an appropriate athletic persistence doctor.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무술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의사 및 운동몰입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운동스트레스가 운동지속의사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지속의사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나아가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의사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무술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총 35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응답이 부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표본수는 310명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로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항목 4개 문항, 운동스트레스에 대한 35개 문항, 운동몰입에 대한 11개 문항, 운동지속의사에 대한 1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는 운동 스트레스 α=0.78-0.91, 운동몰입 α=0.736-0.743, 운동지속의사 α=.815-.915로 나타났다. 자료처리는 SPSSWIN 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 무술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운동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운동탈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고, 운동몰입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다. 학년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3학년 집단에서 높고, 운동몰입은 1학년이 높다. 운동지속은 1학년 집단에서 높다. 선수등급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2급 운동원 집단에서 높다. 선수경력에 따른 운동스트레스는 9-10년 집단에서, 운동몰입은 3년 이하 집단에서, 그리고 운동지속은 6-8년 집단에서 높다. 둘째, 운동스트레스는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인간관계 스트레스, 개인문제 스트레스, 운동부상 스트레스는 인지몰입과 행동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운동스트레스는 운동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친다. 경기실패, 인간관계, 환경요소, 운동부상 스트레스는 운동 가능성 및 운동 경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운동몰입은 운동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운동경향성과 운동강화성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중국 대학 무술선수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지속의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운동몰입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운동몰입은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의사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따라서 중국 대학 무술선수의 운동스트레스를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동시에 운동지속의사를 관리할 수 있는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친구와 가족의 지지를 통해 개인의 내적강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노력이 필요성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운동지속의사로 중국 대학 무술선수의 심리적 컨트롤을 위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 것이라 사료된다.

      • 12주간의 FIFA 11+ 적용에 따른 중국 대학축구선수의 기능적 움직임과 동적균형감각의 변화

        천량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study looked at how Chinese university footballers conducted 12 weeks of FIFA 11+ comprehensive warm-up training, and how it affected Chinese university players' sense of lower extremity and balance of body movement. Investigations and research have shown that damage to the knees and ankles of soccer players is closely related to their strength, body sense, and balance. The risk of injury can be reduced through scientific and rational warm-up. Studies have shown that FIFA 11+ training, currently created by the FIFA Medical Research Center (F-Marc), can reduce the risk of injury to footballers by 20%–50% due to good soccer warm-ups. Twenty-one high-level footballers from Henan Province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21 players were divided into 3 teams, 18 years, 20 years, and 22 years old, depending on their age. The three team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weight and athletic performance (P>0.05). Twenty-one athletes were surveyed for FMS testing and motor damage, and FIFA 11+ practice sessions included three main exercises: basic exercise, power and augmented practice, and speed running practice, with a 12-week and 20-minute participation cycle. Indicators such as FMS scores and homeostatic balance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round 12 weeks of subjects. According to the study, the main damaged areas in the statistics were ankle joints and knee joints, followed by calves and thighs. In addition, the type of damage is mainly caused by pulmonary synthetic soft tissue damage. ②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FMS score and dynamic balance capability indicators before testing (P<0.01). After 12 weeks of FIFA11+ training, the quantitative score of the FMS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its involvement (P<0.01), and the dynamic balance indicators all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the experimen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same period (p<0.05). In conclusion, some players are potentially at high risk of damage due to soccer players' concentration on the lower body, flexibility of the back and outer muscles of the thighs and mild imbalance in both muscles of the spine. FIFA 11+ practice significantly improves motor impairment and improves motor balance in college high-level footballers, thus improving knee joint muscle expression and gas balance, and helps prevent and reduce the risk of motor damage. 본 연구는 중국 대학 축구선수들이 12주간 FIFA11+ 종합 워밍업 훈련을 한 뒤 중국 대학의 수준급 축구선수들의 하지관절 운동 감각과 신체 동태 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조사와 연구를 통해 축구선수들의 무릎과 발목 손상은 무릎의 근력, 본체 감각, 균형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워밍업을 통해 부상 위험을 낮출 수 있다. 현재 FIFA 메디컬리서치센터(F-Marc)가 만든 FIFA 11+ 훈련이 세계적으로 좋은 축구 워밍업으로 축구선수의 부상 위험을 20%-50%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허난성(河南省) 대학의 하이 레벨 축구 선수 21명을 본 과제 연구 대상으로 선발하였다. 이 21명의 선수는 연령에 따라 18세, 20세, 22세 3 팀으로 나뉘었다. 3개의 팀은 키와 몸무게, 운동등급 쪽에 모두 현격한 차이가 없다(P>0.05). 선수 21명을 대상으로 FMS 테스트 및 운동손상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며 FIFA11+ 연습관여를 통한 관여 주기는 12주, 매회 20분으로 기본 운동연습, 파워 및 증강식 연습, 스피드 러닝 연습 등 크게 세 가지 연습이 포함되어 있다. 피험 대상자의 12주 전후 FMS 점수, 동태균형 등의 지표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① 통계에서 손상된 주요 부위는 발목관절과 무릎관절, 그 다음이 종아리, 허벅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손상의 유형도 폐합성 연조직 손상이 주를 이룬다. ② 테스트 전 FMS 득점, 동적 균형 능력 지표가 모두 현저한 차이가 없다(P<0.01). 12주의 FIFA11+ 훈련이 거쳐 FMS의 계량적 득점은 관여 전보다 현저히 증가하였고(P<0.01), 동적 균형 지표는 실험 전보다 모두 현저히 증가하며, 같은 기간 대조 그룹과 현격한 차이가 있다(p<0.05). 결론적으로 축구선수의 손상 부위가 하체에 집중되고, 허벅지 뒤쪽 근육과 바깥쪽 근육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척추 양쪽 근육에 가벼운 불균형이 생겨 '척추측만증'의 증상을 일으켜 일부 선수는 잠재적으로 높은 손상 위험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FIFA11+ 연습은 대학 하이 레벨 축구선수의 운동 손상과 관련된 기능적 결함을 현저히 개선하고 운동선수의 동적 균형 능력을 향상시켜 무릎관절 근육표현 개선과 기체의 균형 기능에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또한 축구선수의 신경근육 기능 개선, 동적 균형에 강점이 있어 운동 손상 위험 예방 및 감소에 도움이 된다.

      •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및 운동탈진에 미치는 영향

        맹서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stress on self-efficacy and exercise exhaustion of high-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tools,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data processing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or this purpose, high ranking athletes from 21 universities including Henan University, Zhengzhou University, Henan Normal University, Beijing Sports University, Shanghai Sports University, and Huanan Normal Un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s for the sampling method of the survey target,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urvey was 550, and 516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34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unfaithful or unreliable, and Path Effects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with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members using the SPSS PC 22.0 program for Windows, As a result of conducting batch variance analysi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tress, self-efficacy, and exercise exhaus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igh 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high-level athletes who had exercised for more than 7 years experienced higher exercise stress in the environmental and personal areas and were prone to exercise exhaus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thletic stress of high-level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the athletic stress of high 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exhaustion. The effects of high level athletes' athletic stress in Chinese universities on mental/physical exhaustion and exercise deterioration during exercise exhaustion were high in overall exercise stress.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exhaustion of high 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exercise stress of high ranking Chinese university athletes reduced self-efficacy, exercise stress caused exercise exhaustion, and self-efficacy caused exercise exhaus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exercise exhaustion of high ranking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to block exercise stress and increase self-efficacy are necessary. Therefore, through this study result, it is considered to have suggested important implications for psychological counseling of high-ranking Chinese university athletes with an appropriate sense of self-efficacy. 본 연구는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및 운동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중국 하남대학, 정주대학, 하남사범대학, 북경체육대학, 상해체육대학, 화남사범대학 등 총 21개 대학에 재학중인 고수평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집법을 활용하여 550명을 표집하였다.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34부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표본수는 516명이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Window용 SPSS PC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 회귀분석을 통한 경로효과 분석과 Bootstrapping, Sobel test 통계기법이 적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운동탈진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성별에 따른 인간관계, 운동부상, 경기실패, 환경요소, 개인요소 운동스트레스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경기효능감과 훈련효능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성취감 저하, 정신 및 신체 소진, 운동폄하 운동탈진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른 운동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운동폄하 운동탈진은 22세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등급에 따른 인간관계 운동스트레스는 국가 2급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등급에 따른 경기효능감과 훈련효능감은 국가대표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등급에 따른 정신 및 신체 소진 운동탈진은 국가대표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기간에 따른 환경요소 및 개인요소 운동스트레스와 운동폄하 운동탈진은 7년이상 집단에서 가장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운동시간에 따른 운동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운동탈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둘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즉, 개인요소, 운동부상, 경기실패, 환경요소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경기효능감은 감소한다. 환경요소, 인간관계, 개인요소, 경기실패, 운동부상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훈련효능감은 감소한다. 셋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탈진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환경요소, 경기실패, 운동부상, 개인요소, 인간관계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성취감은 감소한다. 환경요소, 경기실패, 개인요소, 운동부상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정신 및 신체 소진은 심화된다. 경기실패, 환경요소, 개인요소, 인간관계 운동스트레스 순으로 높을수록 운동폄하는 심화된다. 넷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자기효능감은 운동탈진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 즉, 경기효능감, 훈련효능감 순으로 높을수록 성취감은 저하되고 운동폄하는 심화된다. 훈련효능감, 경기효능감 순으로 높을수록 정신 및 신체 소진은 심화된다. 다섯째,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는 운동탈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운동탈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기효능감은 운동스트레스와 운동탈진 사이를 완충시키는 중요한 매개역할을 담당한다. 종합하면 중국대학 고수평선수의 운동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을 감소시키고, 운동탈진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운동스트레스에 의한 자기효능감은 운동탈진을 예방하는 중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중국대학의 고수평 선수의 운동탈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