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진핑시기 중국 국가안전위원회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연구

        정혜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expansion of China's international status and influence, Xi Jinping has established the National Security Commission (NSC), a new command tower of the Communist Party and the state's internal security-related systems based on Xi’s ‘Overall National Security Outlook.’ With the new NSC, China aims to strategically cope with the complex and dynamic domestic and foreign security environment and threats. It differentiates itself apart from NSCs in other countries because it is installed within the party, not in the government, as a veiled ‘Black Box’ to oversee domestic and foreign security affairs.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the roles and status of National Security Commission by examining its background, purpose, functions and features, and analyze the NSC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ccording to the historical context, the National Security Commission was established as a ‘Commission’, which is a form developed from Leading Small Groups (領導小組). The LSGs are coordinating bodies that have existed in China’s party-state political system since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CPC) was created. Unlike Small Groups (小組), which has a temporary, unofficial nature and only perform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the commission is a permanent body that oversees various ministries and small groups within China’s party-state system as the ‘Second official system.’ The commission also has decision-making as well as coordination authorities, and it serves to strengthen the party’s unified leadership through the top-level design. In addition, external factors such as evolving U.S.-China relations and domestic security challenges combined with Xi Jinping's awareness of vulnerabilities in the current national security system have affected the Supreme Leader’s actions and interest to setup a new national security commission. Through this system, Xi Jinping aims to modernize national defense and military to realize China’s dream, consolidate the rule of the Communist Party, and finally concentrate the power in Xi Jinping alone. 중국의 국제적위상과 영향력이 제고됨에 따라 복잡하고 다양한 대내외 안보환경과 위협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진핑은 총체국가안보관을 기반으로 당-국가 내의 안보관련 기구들을 통솔하는 사령탑인 국가안전위원회를 신설하였다. 중국의 국가안전위원회는 베일에 싸여있는 암상자(Black Box)로 정부가 아닌 당내에 설치되어 국내외 안보업무를 총괄한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들의 NSC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국가안전위원회의 신설배경과 목적, 기능, 특징 등을 살펴봄으로써 국가안전위원회의 역할과 위상을 파악하고, 종합적으로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국가안전위원회를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국가안전위원회는 역사적 맥락에 따라 중국 공산당 창당시기부터 중국의 당-국가 정치체제 내에 존속해온 비공식기구인 영도소조에서 발전된 형태인 ‘위원회’로 신설되었다. 임시적이고 비공식적인 성격을 띠며 의사협조 기능만을 수행하는 영도소조와는 달리 위원회는 ‘제2의 정식제도’로서 당-국가 내의 여러 부처와 소조들을 총괄하는 상설기구로 의사협조는 물론 의사결정의 기능도 가지고 있으며 정층설계를 통해 당의 통일적 영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미중관계의 변화, 다양한 국내 안보적 도전이라는 거시적 구조와 시진핑의 국가안보인식이 결합되어 기존 국가안보체제의 취약성을 보완하고 안보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위해 신설된 국가안전위원회라는 제도가 이 기구의 최고책임자인 시진핑의 이익과 행위에도 영향을 미쳤다. 시진핑은 이 제도를 통해 중국몽 실현을 위한 국방·군대의 현대화 건설을 추진하고 공산당의 집권을 공고히 하며, 최종적으로는 시진핑 1인으로 권력을 집중시키는 제도적 보장책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 중국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 연구 : 경제확장 전략인가? 해양안보 전략인가?

        정태요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How would the Chinese dream of 'the great renascence of the Zhonghua minzu' presented by Xi Jinping(習近平) Chinese president be realized? What proposals would China suggest to the neighbors and the world to secure international voice, at this important point when China is emerging? "China's Belt and Road Policy" may be regarded as the answer to the above questions.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Central Diplomatic Work Conference as the supreme policy decision making body in Chinese diplomacy announced 10 diplomatic thoughts of Xi Jinping at the conference held in Beijing on June 22. Here, the proceeding of the "China's Belt and Road Policy" was included. This shows the weight of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China's Maritime Silk Road Initiative) as one axle of the "China's Belt and Road Policy", within the Chinese diplomacy. Then, is the "Chines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a strategy for economic expansion, or the strategy to establish marine security? This may be regarded as the query in this thesis. The precedent studies have focused on whether "Chines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is the response to the Asia rebalancing policy of U.S. or to the Trans-Pacific economic partnership (TPP). Also, the studies queried on whether China is challenging on the hegemonic position of U.S. in Asia Pacific region, and whether the aim of "21st Century Marine Silk Road Strategy" is political or economic.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presented by China is in fact the strategy to establish Chinese marine security. China intends to proceed the project to purchase ports to secure energy transportation path and construction of ocean Naval base, under th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Even though there are opinions that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is a strategy for economic expansion, the view that it is the strategy to establish marine security is more persuasive. In other words, China proceeds "Maritime Silk Road Strategy" to secure energy transportation path and construction of ocean Naval base with survival of the country as the supreme objective. Securing rights and military interest at the sea is the core factor in emergence of China. Recently China is endeavoring on development of North pole sea route as well, calling herself as a North pole country. Through North pole sea route, China would be able to secure natural gas. If the sea route connecting Europe-Bering Strait-Dalien port in East Sea, the North pole natural gas could be transported to China within 10 days. In comparison to 20 days in total in case of transportation from Europe to Strait of Malacca, this shall be acknowledged as an astounding development. However, the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has limitations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ly, within China, the conflict among the Navy, Air Force and the Army is continuing. Even though the role of Chinese Navy is getting further important and the necessity to protect Chinese marine interest is further imminent, still there are arguments that the power of Army shall be further enhanced. Representatively, Qiao Liang argues that China still need to strengthen the power of Army than Navy. Secondly, in comparison of comprehensive national power of U.S. and China in Asia Pacific region, still comprehensive national power of U.S is in advance to that of China, in both aspects of economy and military. In case Chinese Navy expands assignment of forces in the Indian and Pacific Ocean under "21st Century Maritime Silk Road Strategy", U.S. Navy is anticipated to respond under the following way. Firstly, U.S. Navy will often appear within the air defense identification zone and nine dash line within East China Sea to confuse the Chinese. Secondly, U.S. is anticipated to enhance joint marine maneuvering exercise with alliances in the Asia Pacific region. Thirdly, U.S. is expected to assign more troops in this region. There are numerous problems occurring in the course of proceeding Chinese strategy. First is i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omestic policies. The emergence of "Maritime Silk Road Strategy" attracted attention from many domestic and international specialists. As interpretation by each country differs, it is not easy to derive any unified opinio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situation, each province of the mainland is endeavoring not to be alienated in the process of "Maritime Silk Road Strategy" and secure benefits therefrom. Secondly, limitation comes out of insufficient confidence between some countries and China. Some countries, though active in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cooperation areas with China, still are suspicious on the project to establish Chinese marine security. And there are many countries that are in alliance with U.S. along the lines of "marine silk road", often these countries had to study the face of U.S. to see if U.S. feels uncomfortable. Thirdly, there are risks in investment and financing in the course of proceeding "Maritime Silk Road Strategy". Fourth, there are problems that could emerge in the course of corporate's advancement overseas. Corporate would have to confront the issue of unfair competition and subsidy in overseas market, and they have resolve the problems emerging in the course of such issues. Also, corporate shall be mindful to avoid any conflict with local resident, in the course of proceeding overseas business.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제시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이라는 중국의 꿈은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까? 중국이 부상하는 이 중대한 시기에 국제적인 발언권을 확보하기 위해 주변과 세계에 어떤 제안을 내어놓을 수 있을까?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라고도 할 수 있다. 중국 외교의 최고 정책결정기구인 중국공산당 중앙외사공작회의는 지난 6월 22일 베이징에서 열린 회의에서 시진핑 외교사상 10가지를 발표하였는데, 여기에는 “일대일로 전략”의 추진도 포함되었다. 이는 “일대일로 전략”의 한 축이 되는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이 중국 외교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중국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은 경제 확장을 위한 전략인가? 아니면 해양안보 구축을 위한 전략인가? 이것이 이 논문의 질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중국의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이 미국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에 대한 대응인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대한 대응인지에 대해 집중되고 있다. 또 중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패권적 지위에 대한 도전을 하는 것인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의 목표가 정치적인 것인지, 경제적인지 것인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있다.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이 제시한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은 사실상 중국의 해양안보 구축을 위한 전략이다. 중국은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하에 에너지 수송로 사업과 원양해군 기지 건설을 위한 항구 매입 사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이 경제 확장을 위한 전략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이보다는 해양안보 구축을 위한 전략이라는 시각이 더 설득력이 있다. 다시 말해, 중국은 국가의 생존과 이를 위한 에너지 수송로 확보, 원양 해군기지 건설을 위해 “해상 실크로드 전략”을 추진한다. 해양에서의 권리 확보와 군사적 이익 확보는 중국의 부상에 핵심적인 요인에 해당한다. 중국은 최근에는 자신을 북극국가라고 칭하면서, 북극항로 개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북극항로를 통해 천연가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데, 유럽-베링해협-동해-다롄(大连)항으로 이어지는 노선을 이용하면 열흘안에 이 지역의 천연가스를 중국까지 운송할 수 있게 된다. 유럽에서 말라카해협까지 총 20일이 걸렸던 것에 비하면 이는 굉장한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첫째, 먼저 중국내부에서는 해군과 공군, 육군간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비록 중국 해군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해상에서 이익을 보호해야할 필요성이 강해졌지만, 여전히 육군의 세력을 더 증강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대표적으로 차오량은 중국은 아직 해군력보다는 육군의 세력을 더 증강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째,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 미국과 중국의 종합국력을 비교했을 때, 아직까지 미국의 종합국력은 경제, 군사 방면에서 모두 중국을 앞서고 있다. 중국 해군이 “21세기 해상 실크로드 전략”을 통해 인도양과 태평양 지역에서 해군 배치를 원활화하게 되면, 미국 해군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미국 해군은 동중국해 방공식별 구역과 구단선내에 종종 나타남으로써 중국을 혼란스럽게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미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동맹국들과 해상에서의 합동 훈련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미국은 이 지역에서 더 많은 군사를 배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진과정에서도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첫째, 국내정책 설계와 실행의 문제점이 있다. “해상 실크로드 전략”이 제기되자 국내외 많은 이목이 집중되었다. 각국의 해석도 모두 달라서 국내외적으로 통일된 의견을 만든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둘째, 몇몇 국가들과 중국간의 신뢰부족으로 인한 한계가 존재한다. 몇몇 국가들이 중국과의 경제협력 분야에서는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면서도 중국의 해양안보 구축을 위한 사업에는 여전히 의구심을 지니고 있다. 셋째, “해상 실크로드 전략” 추진과정에서 투자 및 자금조달의 위험이 있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해상 실크로드 전략"은 성공하기 힘들것으로 보인다.

      • (A) study on the stabilization of Chinese nationalism : drawing on the analysis of PRC’s political system

        김희엽 韓國外國語大學敎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offers a useful analysis of PRC’s nationalism related to its political system. The concept of Chinese nationalism as a political principle is produced to show nation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omparing with other generalized concepts of nationalism. According Ernest Gellner, the origin of nationalism as a political ideology is drawn from nation’s industrialization. In contrast, nationalism was introduced into China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by means of resisting imperialist invaders. Ernest Gellner indicates the two aspects of nationalism: first, nationalism is a political principle and movement; second, nationalism is the functional product of industrialization. However, Anthony D. Smith indicates that Gellner’s view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sm and industrial society is too functionalist. The thesis, thus, is given heavy emphasis to two aspects as for the concept of nationalism: the first is nationalism as not the functional product of industrialization but each nation’s political principle based on its member’s consensus; the second is nationalism as each nation’s ideological nativism which has been adopted since its modernization. First, the thesis tries approach to political system in order to achieve objective validity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nationalism. Second, the author also traces the historical process of Chinese pro-nationalism movements from the Opium War to the present. We may get more specific concept of Chinese nationalism as a political behavior through the analysis of Chinese nationalism drawing on political system. According to Robert A. Dahl and Hannah Arendt, power is based on conflict and authority is based on a rule; however, both depend on consensus drawn from the people. A nation humiliated by heterogeneous invaders could not preserve its people’s security; thus, the people would not support the existing government. Finally, a new-born nation is established through a revolution led by political elites. The government would try to achieve the nation’s goal, escape political turmoil, and reach national consensus; thus the new-born nation is getting more stabilized than before. 본 논문은 당대 중국 민족주의를 정치시스템이론에 맞춰 분석한다. 또한 민족주의의 일반론적인 개념과 중국 민족주의의 실제적 정치활동을 비교함으로써 중국 민족주의가 갖는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민족주의는 원래 서구의 근대국가 건설 개념으로써 봉건 국가에서 근대국가로 넘어가는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였다. 반면 중국의 민족주의는 외세에 대항하는 저항 민족주의적 색채가 강하다. 민족주의의 일반적인 개념으로써는 어네스트 겔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이론에 대해 수용과 비판을 한다. 겔너는 민족주의의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여 민족주의가 산업화 사회의 정치적 부산물임을 주장하는데 이를 비판하기 위하여 민족주의의 역사와 문화적 측면을 강조한 안소니 스미스의 주장을 예로 든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는 정치적 주의로서의 민족주의 개념과 더불어 중국 민족주의의 특수한 역사와 문화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한다. 즉, 본 논문은 중국 민족주의를 분석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개념을 전제로 한다. 첫째, 민족주의는 정치적 주의며, 정치적 운동이다. 둘째 민족주의는 해당 민족이 공유하는 문화와 역사를 기반으로 한다. 위의 두 가지 전제로 중국 민족주의를 분석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민족주의의 일반론적 개념을 정치시스템이론으로 분석한다. ‘민족주의는 정치적 주의이다’라는 겔너의 지적은 정치적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민족주의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근대의 중국의 정치적 목적은 무엇인지,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중국 민족주의를 정치시스템적으로 분석해 보면, 중국 민족주의는 힘과 권위를 기반으로 하는 정치적 행위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한 근거로는 로버트 달과 한나 아렌트의 이론을 들 수가 있다. 정치시스템에 있어서 힘과 권위에 대한 그들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민족주의에 있어서 정치적 힘은 충돌적 성격이 있는 반면에 정치적 권위는 통치적 성격이 강하다. 그리고 힘과 권위는 모두 국민적 합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개념을 전제로 중국 민족주의의 발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편전쟁 이후로, 청 정부는 제국주의에 대항할 통치기반이 약화되었다. 이에 새로운 국가를 세우고자 하는 혁명가와 지식인들에 의해 반전통적이며 반제국주의적인 성격을 지닌 중국 민족주의가 발생하였다. 즉, 서구 열강에 대항하여 실추된 국가의 권위를 회복하고 낡고 무능한 청 정부를 대신 할, 보다 부강하고 자주적인 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중국 민족주의가 발생한 것이다. 한편, 1990년 이후로 중국은 그 급속한 경제 발전과 이로 인한 국력신장에 힘입어 또 다시 민족주의적 색채를 띠며 국제정치무대에서 부상하였다. 이로 인하여, 또한 세계 정치 학계는 중국이 머지 않아 세계적 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하게 되었다. 이렇게 중국에서 민족주의가 부상하게 된 원인을 분석해 보면, 중국 민족주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중국 민족주의는 현재 안정화 단계에 있다. 둘째, 중국 민족주의는 계속적이며 안정적 성장을 이끌어야 하는 공산당의 주도의 정치적 주의이며, 정치적 운동이다. 셋째, 중국 정부는 이미 국제적으로 퇴조한 사회주의 이념에 대한 대체 이데올로기로써 그리고 계속적으로 중국 정부를 괴롭혀 왔던 소수 민족의 분리주의운동에 대한 대응 방편으로써 정치이데올로기로써의 민족주의운동을 주도하고 있다. 현재 이와 같은 정부 주도형의 중국 민족주의는 본토주의와 애국주의로 표출 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중국 지도부는 민족주의의 안정화를 통해서 자신들의 정치체제를 본토주의적으로 고수할 것이며, 더불어 이러한 당 주도적인 정치시스템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정부주도의 애국주의운동은 중국 정치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남아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 关于中国工会“具有中国特色的合作主义"出现可能性的硏究 : 以中国劳动法制的发展历程为考量

        강경수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government and Chinese labor union through the Labor Contract Law launched on January 1st, 2008.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most of all, it is considered that corportism analysis approach is the way to analyze a social structure. With the generalized analysis approaches, it could be recognized that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labor union, corporatism is a very useful analysis approach. Especially, Prof. Kim Young-jin in his previous research on corporatism took advantage of the concept of corporatism in order to analyze Chinese labor union. The most important fact in his study is the labor law system. His previous research analyzes Chinese social structure based on Labor Law and Labor Union Law. In addition, depending on a historical approach, this thesis not only explains the development of Chinese labor union but also analizes the implications for Chinese labor uninon. Based on his previous research, this thesis analyzes Chinese social structure in terms of corporatism. Especially, designating the labor law system to an independent variable; the thesis untake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government and labor union. His previous research focuses much attention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before the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However, heavy emphasis is given in this thesis to the Chinese Labor Contract Law launched in 2008 as important elements. Especially, the overall argument of this thesis is sufficiently broad and interesting to recommend it to the enactment of law which has been intensified by the Chinese government since 2000s. This thesis explains the two statuses: the first is about labor-related legislation occurring after the Tiananmen Square protests of 1989; the second is about recent legislation and revision of labor law. At this point of view, the recent apects of Chinese labor-related policies are examined in this thesis; thus, heavy emphasis in this thesis is given to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se changes is labor union. Chinese labor union is different from European labor unions: from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to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their labor unions. The most important point of the comparison between Western labor unions and Chinese labor union is that Chinese labor union has the nativsitic labor union syste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It could be more difficult to search for the the specification of Chinese labor union with the Western approaches rather than Chinese characteristics. The previous approaches on corporatism, however, seem imperfect because they have passed over Chinese characteristics in Chinese labor union. The author considers Chinese characteristics as important elelments and the key point in this thesis doing this research. Based on these series of researches, this thesis analyzes Chinese characteristics of corporatism: function and role. Hence, this thesis thinks of labor union with Chinese characteristic as "Chinese corporatism". In particular; it is obvious that the theories and methodologies which China adopts from Western have become native. The nativism is the most important basis of Chinese corporatism which this thesis presents. This thesis is worth complementing the previous researches on specific Chinese social structures. In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of Chinese social structure,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new prerequisites of "Chinese corporatism”. 본 논문은 2008년 1월 1일에 시행 된 노동계약법의 내용분석을 통해, 지금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관계에 대한 구조를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해 본다. 특별히 중국의 사회구조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일반론인 조합주의 관점을 분석방법으로 활용하여 중국의 사회구조를 분석한다. 이러한 조합주의적 분석방법을 통해, 중국의 사회구조 중, 특별히 국가와 노동조합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조합주의 이론은 아주 유용한 분석 방법으로 인식된다. 특히 선행연구(김영진)에서도 조합주의적 시각으로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의 구조관계를 분석하는 접근 방식을 활용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바로 노동법제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도 중국의 노동법과 노동조합법 등을 통해,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의 관계를 조합주의적 시각에서 분석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접근 방법(Historical approach)에 따라 중국 노동조합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설명하고, 중국의 노동조합에서의 조합주의적 함의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도 중국의 사회구조(국가와 노동조합)를 조합주의적 관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특별히 노동법제를 변수하여, 중국 노동법제의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변화하는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의 관계 구조를 분석한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천안문사태까지만 역사적 배경을 다루었다. 그럼으로, 본 논문에서는 최근 2008년에 실시된 중국의 노동계약법의 내용을 논문의 중요한 요소로 다루었다. 특별히 2000년대 이후, 현재까지 중국정부의 법제화는 심화되었으며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천안문사태이후, 중국의 입법 과정 중에서도 노동관련 입법현황을 설명하고, 이러한 노동법제의 새로운 입법과 개정의 내용을 다시 새롭게 분석해 본다. 이를 통해 최근 중국의 노동관련 정책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정책변화에 가장 두드러진 변화를 보이는 중요한 기제가 바로 중국의 노동조합이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노동조합을 유럽의 노동조합과 다르게 구별하여 설명한다. 이는 노동조합의 설립배경부터 노동조합의 기능과 역할까지 모든 측면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중국이 가지고 있는 독특함이며 중국특색인 것이다. 이러한 중국 고유의 특색을 설명하고 분석하는데, 일반화 된 조합주의 이론으로 중국의 사회구조를 분석하고, 조합주의의 요소를 찾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선행연구에서도 조합주의적 시각으로 접근하였지만,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과 특징 때문에 완벽한 조합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독특함과 중국특색을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로 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중국 노동조합의 기능과 구조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다루었다. 특별히,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특색을 인정·수용하여, 조합주의의 관점에서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의 구조관계를 연구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조합주의적 요소를 발견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중국식 조합주의"라고 의미를 정의하였다. 이는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일반론인 조합주의적 관점을 가지고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의 관계구조를 분석하면서 일부분 중국의 특색을 수용·흡수하는 중국적인 방법을 채택하였다. 특히, 중국은 기존의 서구 이론 및 방법론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중국안으로 토착화 시킨다. 이는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국식 조합주의"에 가장 중요한 근거라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식 조합주의"의 의미를 이용하여, 중국의 국가와 노동조합, 그리고 노동자의 관계 구조를 분석하면서 ‘중국식’의 요소를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지적했던 중국만의 특색을 일반론의 분석적 오류 혹은 결함이라고 정의하지 않고, 오히려 중국 지역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중국만이 가지고 있는 뚜렷한 중국적 특색이라고 정의한다. 이는 본 논문의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중국 지역 연구를 하는데 있어서, 일반론에서 추구하지 못하는 지역학의 특성과 개성을 충분히 나타내준다. 그리고 이러한 일반론의 분석방법과 연구방식을 통해, 중국의 사회구조를 분석하고, 그 결과 독특한 중국특색을 발견하여 이를 결합한 새로운 "중국식 조합주의" 요소를 발견하였다는 점이 본 논문의 연구에 주요한 결과이다.

      • 동북아 공동체 형성의 저해 요인과 해결 방안에 관한 연구 : 한, 중, 일, 3국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유창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东北亚共同体形成的阻碍因素以及解决方案研究 -以韩,中,日三国意识差异为中心 喻暢 國際關係學科 韓國外國語大學校 进入21世纪以来,国际社会朝着共同市场,地域政治及经济共同体的方向迅速发 展。欧洲共同体和北美自由贸易区登上国际舞台也证明了区域政治,经济一体化 这个铁一般的事实。随着国际潮流,东北亚地区的经济合作越来越密切,尤其是 东北亚地区主要国家,即韩国,中国和日本3国,近年来,经济已经呈现相互依 赖和共存的态势。不仅如此,其他领域,如能源合作,环境保护,文化交流等领 域也取得了极大的成就。基于国际发展趋势以及韩,中,日3国的发展现况,东 北亚共同体的促进课题可以说是刻不容缓。但是由于东北亚地区的历史和冷战的 残留问题,以及冷战结束后产生的种种矛盾使东北亚共同体成为一种无法实现的 构想。 如上所述,东北亚共同体要由理想转化为现实的话,首先必须要找出阻碍东北亚 共同体形成的绊脚石,找出行之有效的方案。本论文先从思想意识方面,安全保 障方面和经济合作方面3大角度出发,综合概括了东北亚地区的问题和矛盾。然 后结合东北亚的现状以及借鉴和总结先行研究发现克服这些问题的关键则在于建 立东北亚共同思想体系,共同安全保障体系和共同经济体系。通过3大体系的发 展和统合达到清除路障,最终实现东北亚共同体的宏伟目标。 从思想意识方面来看,韩,中,日三国都有着悠久的历史和强烈的的民族意识和 国家主义精神。由于上个世纪的两次世界大战,韩日,中韩的战后历史清算问题 以及近年来的“历史教科书”事件和韩,中, 日之间的“文化战争” 成为东北亚地 区矛盾激化的最重要的原因,正因如此,3国国民之间出现了相互排斥的现象, 排他民族主义情绪高涨。美国提出的中国威胁论,在全世界掀起轩然大波,因此 作为中国邻国的韩国和日本,对中国更加持有不信态度。3国之间互存芥蒂之 心,相互不信使得东北亚共同体停滞不前。 要促进合作和交流,首先要解决的思想意识问题。要消除长久以来的思想隔阂, 必须通过政府和民间的相互交流,对于过去的历史达成某种程度的共识。尤其在 教育方面,以事实为基础进行历史教育,除民族主义和国家主义教育外应该适当 的进行地域主义教育。对于所谓“中国威胁论”应该重新判断其正确性,现今中国 的发展现状根本不足以称霸。与此同时,各国更是应该看到中国作为负责任的大 国为世界和平所做出的努力。因此,为了促进东北亚地区的交流,我们必须建立 共同的思想体系,面对东北亚地区的军备竞争,各国应该积极的进行军事交流, 促进互访,建立军事上的彼此信赖。 冷战虽然结束但是东北亚地区冷战的残留依然存在并成为东北亚地区的不安因 素。韩半岛的统一问题,中国和台湾的两岸问题。不仅如此,韩,中,日的领土 问题也没有得到解决,韩日独岛问题,中日钓鱼岛问题一再使相互友好外交关系 冰冻化。朝鲜的核问题已经成为整个亚洲乃至全世界的不稳定因素。诸如此类, 在全世界倡导和平发展的今天,东北亚地区仍然处于不安全状态之中,更谈何共 同合作。 当今社会,地域共同安全保障已经成为一种必然的趋势,东北亚的现实情况,更 是告诉我们,单凭一,两个国家的力量根本无法消除东北亚域内的不安因素,只 有东北亚国家彼此合作建立共同安全保障体系才有望解决东北亚地区复杂的不稳 定因素。 虽然东北亚经济合作一直呈现喜人的趋势,但3国的投资不平衡,发展不平衡, 经济结构上存在着很多问题。重复投资,重复建设也层出不穷。经济受政治因素 的影响极大,例如,2005年“日本教科书事件”发生后韩日两国都有抵制日货的现 象。因此,受国民思想和政治的影响,经济合作也并非一帆风顺。 近年来3国更是积极的推进FTA, 但是在农业和关税等敏感问题上一直未能达成 协议。因此要促进韩,中,日3国的FTA可以先促进交通,环境,能源等领域的 交流及合作来促使FTA的形成。东北亚经济共同体的发展过程可以分为3个阶段 即各部门间的合作与统合作为近期目标,建立FTA作为中期目标,3国的经济合 作结构调整作为长期目标。 综上所述,东北亚地区的问题和矛盾,不仅导致了东北亚地区政局的不稳定而且 阻碍了3国本身的经济发展,因此无论是从本国自身的发展,还是从区域合作的 角度来看,3国政府和人民都应该积极的解决这些问题。建立东北亚共同体的道 路是曲折的,前途却是一片光明,通过3国政府部门和国民的不懈努力,定可实 现这一宏伟蓝图。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the whole world towards a tendency of common market and a direction of developing regional political and economic community .Appearance of the European Community and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rea have also proved that the climate of regional community in the international stage. As the international trend, in recent years the Northeast Asian countries particularly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ree countries has built a interdependent cooperation and coexistence ship in the economic area. Moreover, in other areas such us energy cooperation, environmental protection, cultural communication have also made great achievements. Because of international trends, as well as the high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showed us a request of building the Northeast Asia Community. But Northeast Asia Community concept can not be achieved due to the remnants of the World War and the cold war as well as the new problems which appeared following the post- cold war in Northeast areas. As noted above, if we want to realize the Northeast Asia Community from dream to reality, firstly, we must identifying the barriers of building Northeast Asia Community and find out effective solutions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paper has summarized the barriers of the Northeast Asia Community form three major fields which are ideology, security and economic cooperation area. Learning form the other scholars study and combining with the situation of Northeast Asia we must establish a common ideology, common security systems and common economic systems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these three major systems, we can remove roadblocks and eventually achieve the great goal of realizing the Northeast Asia Community.

      • 习近平时代的新闻控制政策研究

        문지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for China, under the structure called “Dang Guan Meiti”(党管媒体), where its Communist Party leads the media, the Party's organization “State Administration of Press, Publication, Radio, Film and Television” (国家新闻出版广电总局) is managing all the media, including press and publication.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western concept of the media, which holds state power in check and monitors it. In China's own authoritarianism political system, the media is a key political tool and a cultural means that aim ultimately to maintain its regime by propagating its leader's ideology and letting the public know its policies and by drawing the public support. That i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ts media as “the Chinese-style media” rather than with the western concept of the media, as phrases such as “Chinese-style democracy” and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emphasize being Chinese. This study gives significance in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its leader's ideology and its media policy.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se - in the basic frame of the Chinese media, the leadership of the Party, what effects do external environment changes (e.g. the leader's socialist ideology and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ve on the direction of its media policies?; How is that being implemented at the policy level?; What limitations does that implementation have? In the socialist political system, the functions of the media have been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democratic political system. In terms of that, the study of the Chinese media based on the concept “the Chinese-style media” will be a significant consideration of the socialist media system. The previous studies have a limitation when making an attempt to grasp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media policies, since the timing and scope of the media policies were limited to a certain scope. As for studies of media policies that analyze those implemented at a certain time by a certain lead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since it is difficult to compare those implemented at different times. Even when the scope of the media is limited to specific media (e.g. newspapers, the Internet), it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omprehensive media management and control policies.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Xi Jinping era's media policies and the direction of the changes of the policies in the era, by looking first at the views of the media before the era, and then by elaborating the media policies in the era. As for the scope of the media, the Internet was categorized into a subdivision of the media. By doing so, the media control policies were dealt with in a more comprehensive scope. First, in Chapter2, the concept of the socialist view of the media was looked at, and as for historical approach the views of the media adopted from the Mao Zedong era to the Hu Jintao era were dealt with. With a focus on the Xi Jinping era, Chapter3 described which media policies changed compared to the times before the Xi Jinping era, and what was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of the policies. Chapter4 analyzed the Xi Jinping era's media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a control theory, and described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in media policy between the Xi Jinping era and the times before the era and explained about the limitations of the control policies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It can be seen that the view of the media and the media policies of the Xi Jinping era originate largely from the individual Xi Jinping's securing of the ruling base, his vigilance against western thought, and his checks on spatial politics. After he seized power, he adopted the realization of “Chinese Dream” (中国梦) as his ruling ideology, and made clear that he would accomplish the modernization of socialism, presenting the specific time frame “Two Hundred Years” (两个一百).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roles of the media, which propagate the Party's ideology and take charge of giving the public ideological education to spread the core values of socialism, have become more important. Also, based on the Party's internal document "Document No. 9" including the negation of western values (e.g. freedom, democracy, human rights), he is taking strong control of thought and the media; as the online space expands gradually because of the progr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e is considering the space as space for seizing the state initiative firmly, and is particularly emphasizing Internet regulation policy. Considering such a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policies of the Xi Jinping er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olitical, legal, social, and internal and autonomous controlling factors. First, political controlling factors can include “Decision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of China on Some Major Issues Concerning Comprehensively Deepening the Reform” passed at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8th CPC Central Committee; and the establishment of leading small groups and committees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Following such a reform plan, such small leading groups were exalted to committees at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9th CPC Central Committee, which was held after the third plenary session of the 18th CPC Central Committee, and authorities were merged or established. As for legal controlling factors, the overall expansion of the scope of state control of society through the enactment of “National Security Law” and an increase in the enactment of regulations related to the Internet (e.g. Cyber Security Law, Online Opinion Control Law) can be selected as examples. Social controlling factors are characterized as having strengthened sweeping control of society based on anti-western thought and as the strengthening of thought control against those pursuing liberalism - the strengthening of thought control done by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the media) and the movie world and the art world. Last, controlling factors can include the fact that the Party's internal documents revealing its vigilance against western thought (e.g. “Document No. 9”) exist, and the media system is being maintained based on those documents. When the Xi Jinping era's media policies above are put together in terms of the 4 aspects - political, legal, social, and internal and autonomous controlling factors - it can be seen that each domain's policies are all flowing in the direction that strengthens control. That is, politically his view of the media has been reflected by reforming the government authorities, control strategies encompassing traditional media and emerging media are being implemented through the enactment of various law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hinese view of the media is being emphasized and internal censorship is being strengthened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thought control. Judging by this situation,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Xi Jinping government's future media policies also will flow in the direction that strengthens monitoring and supervision. But in the long term,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the constant strengthening of control is highly likely to act as a factor in hindering social stability, since more control policies will mean that the number of means and methods that can help to avoid them will increase in proportion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m. Also, although the roles of the media can differ by political system, its intrinsic functions make no distinction between political systems, which is also a weak point in control strengthening policies. The fact that although the control of society has been strengthened in the Xi Jinping era, the number of mass protests has increased - contrary to the expectations - shows that control, a means, cannot oppress even the "nature" of a certain group.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era's media control policies will continue to strengthen. But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forces standing against the strengthening of them also will increase constantly, which will appear as another challenge the Chinese government is to face in relation to the maintenance of social stability. 중국은 당이 언론을 이끄는 당관매체(党管媒体)의 구조 하에 당의 기구인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国家新闻出版广电总局)이 신문과 출판을 비롯한 모든 매체를 관리하고 있다. 이는 국가 권력을 견제하고 감시하는 서구식 언론 매체의 개념과는 사뭇 다르다. 중국특색의 권위주의 정치체제에서 언론은 지도자의 이념을 전파하고 정책을 홍보하며 대중의 지지를 이끌어내어 궁극적으로는 체제유지를 목표로 하는 핵심적인 정치적 도구이자 문화적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중국의 언론은 ‘중국식 민주’,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와 같이 중국식임을 강조하는 어구처럼 서구식 언론의 개념 보다는 ‘중국식 언론’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도자의 이념과 언론 정책 간 밀접한 연관성에 의의를 두며 공산당의 영도라는 중국 언론의 기본적인 틀 안에서 지도자의 집정이념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등 외부 환경의 변화가 언론 정책의 방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그것이 정책적으로 어떻게 시행되고 있으며 그 한계는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주의 정치 체제에서 언론이 서구 민주주의 정치 체제의 것과는 다르게 기능해 왔다는 점에서 ‘중국식 언론’의 개념에 따른 중국 언론 연구는 사회주의 언론 체계에 대한 유의미한 고찰이 될 것이다. 기존 연구는 언론 정책의 시기와 범위를 특정 범위에 국한시킴으로써 중국 언론 정책의 포괄적인 특징 파악에 한계가 있다. 특정 시기와 특정 지도자를 기준으로 분석한 언론 정책 연구는 시기별 비교가 어렵기 때문에 변화된 정책적 특징을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언론의 범위를 신문, 인터넷 등 특정 매체로 국한 시킨 경우에도 언론 매체에 대한 포괄적인 관리 및 통제 정책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시진핑 이전 시기의 언론관을 살펴보고 시진핑 시기의 언론 정책을 상술함으로써 시진핑 시기가 갖는 정책적 특징과 그 변화 방향을 분석하였고 언론의 범위를 인터넷을 언론의 하위 개념으로 분류함으로써 좀 더 포괄적인 범위에서의 언론 통제 정책을 다뤘다. 먼저 2장에서는 사회주의 언론관의 개념을 살펴보고 역사적 접근방법에서 마오쩌둥 시기부터 후진타오 시기까지의 언론관을 다루고 있으며 3장에서는 시진핑 시기에 초점을 맞춰 이전 시기와 달라진 언론 정책은 무엇이며 그것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서술하였다. 4장에서는 언론통제이론의 관점에서 시진핑 시기 언론 정책을 분석하고 이전 시기와의 공통점, 차이점, 그리고 시진핑 정부가 펼치고 있는 통제 정책이 갖는 한계에 관해 서술하였다. 시진핑 시기 언론관 및 언론 정책은 크게 시진핑 개인의 통치 기반 확보, 서구 사상에 대한 경계, 공간 정치 견제에 기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시진핑은 집권 이후 중국꿈(中国梦) 실현을 집정 이념으로 삼고 구체적 시간인 ‘두 개의 백년(两个一百)’을 제시하며 사회주의 현대화를 이룩할 것을 천명하였는데 이로써 사회주의 핵심 가치의 전파를 위해 당의 이념을 선전하고 대중에 대한 사상 교육을 담당하는 언론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자유·민주·인권과 같은 서구적 가치를 부정하는 내용을 담은 당 내부문건인 ‘9호 문건’을 근거로 사상과 언론을 강력히 통제하고 있으며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 공간이 점점 확대되면서 이를 국가의 주도권 확립을 위한 장소로 보고 인터넷 통제 정책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른 시진핑 시기 언론 정책의 특징은 크게 정치적, 법적, 사회적, 내적 및 자율적 통제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정치적 통제 요인으로는 중국공산당 18기 3중전회에서 통과된 ‘중공중앙의 전면 심화개혁에 관한 약간의 중대 문제 결정’과 이에 따른 영도소조와 위원회 설립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개혁 방안에 따라 이후 19기 3중전회에서 이러한 영도소조들은 위원회로 격상되었고 국가기구가 통·폐합되거나 신설되었다. 법적 통제 요인으로는 ‘신 국가안전법(National Security Law)’ 제정을 통한 국가 전반적인 사회 통제 범위 확대, 인터넷 안전법, 인터넷 여론 관리법 등 인터넷 관련 법규 제정 증가를 꼽을 수 있다. 사회적 통제 요인으로는 반서구 사상에 따른 전면적인 사회 통제가 강화되었다는 점과 언론매체를 비롯한 교육기관, 영화·예술계에서의 자유파 사상 통제 강화가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내적 통제 요인은 ‘9호 문건’ 등 서구 사상에 대한 경계를 드러낸 당 내부 문건이 존재하고 이를 기반으로 언론 체계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상 시진핑 시기 언론 정책을 정치적, 법적, 사회적, 내적 및 자율적 통제 요인 등 4가지 측면에서 종합해 볼 때 각 영역에서의 정책이 모두 통제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정치적으로는 정부 기구 개혁을 통해 시진핑의 언론관이 반영되도록 하였고 다양한 법 제정을 통해 전통매체와 신흥매체를 아우르는 통제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사상 통제를 강화하여 중국식 언론관의 확립을 강조하고 내부 검열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보았을 때 앞으로의 시진핑 정부의 언론 정책 또한 감시와 감독을 더욱 강화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인 통제 강화는 오히려 사회 안정을 저해할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통제 정책과 비례하여 이를 피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 또한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정치체제에 따라 언론의 역할은 달라질 수 있지만 그 본질적인 기능은 정치체제를 구분하지 않는다는 점도 통제 강화 정책이 갖는 맹점이다. 시진핑 시기 사회 통제가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집단 시위 건수가 증가하였다는 사실은 통제라는 수단이 어떤 집단의 ‘본질’까지 억압할 수는 없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시진핑 시기 언론 통제 정책은 지금까지처럼 앞으로도 강화되는 방향으로 갈 것은 분명하나, 이와 동시에 그에 맞서는 세력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고 이는 사회 안정 유지와 관련하여 중국 정부의 또 다른 직면 과제로 등장하게 될 것이다.

      • 中国共产党社交网络媒体使用研究 : 以双重统治法为中心

        李智艺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 Study on Social Media Opera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Focusing on Double Ruling Crafts China is not only the Internet superpower holding the world's largest number of Internet users but controling the Internet the most successfully enough to be called as a "World champion country of censorship". However,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social media made the Chinese leadership nervous. Then, does social media developed on the foundation of the Internet endanger the system maintenance of th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s using newly rising media called social media. Therefore, by approaching social media with mechanisms called double ruling crafts of tolerance and repression, this study found out why China is using double ruling crafts in the social media area and how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ystem through them. Furthermore, by expecting in which direction this study will be used and move forward in many areas of futur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ruling as well as simply the social media area,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 "Chinese ruling model". Most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arries out the control and closure policy for political issues and shows an open attitude with respect to non-political issues. These studies are intensively dealing only with physical control for the purpose of system maintenance and therefore, the answer to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flexible switch operation" until the issue is born and disappears for one issue. Also, existing theories such as technological determinism,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the dictator's dilemma and cyberocracy which are political theories on social media are not completely applied to the Chinese situation and above all, they overlook the fact that social media are thoroughly manag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refore, this researcher's study is differentiated in terms of examining the social media opera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ith double ruling crafts. In addition, this researcher studied with a focus on changes in the ruling craf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o it may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effective ruling strategies responding to various doers and complex events of in social media.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China's social media policy? Second, how doe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use social media strategically with a tool called "tolerance-repression". Third, can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dual strategy 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solidif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ystem? According to these study questions, this researcher presented an alternative model called "double ruling crafts of tolerance and repression" as an analysis framework. The basic framework of the double ruling crafts alternative model presented by this researcher is to divide double ruling crafts into tolerance and repression first and classify the degree of response of tolerance and repression into passive response and active response in order to define this concept more clearly. As a study method, this researcher studied cases by dividing them into domestic?domestic and foreign mixing?foreign cases. Tiananmen Massacre 25th year commemorative demonstration in June 2014 was selected as a domestic case and Hongkong Umbrella Revolution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as a domestic and foreign mixing case and Jasmine Revolution in Tunisia and Egypt that occurred in December 2010 as a foreign case. Also, the period of each case was classified into issue creation period?social media public opinion formation period?social media public opinion spread period?issue termination period stage and ruling crafts changes of tolerance?repression of the communist party by each stage were analyzed. Two things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First, by using a Sina Weibo deleted post restoration program called "Weiboscope", the contents and quantities of posts deleted by censorship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ere identified on a case-by-case basis. Next, ruling crafts of tolerance and repression were proved more objectively through documents containing reports in China and foreign news by period, official mention of Chinese government-ruling par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double ruling craft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the domestic case were shown as the pattern of "passive tolerance⇒passive repression⇒active repression⇒passive repression". In the domestic and foreign mixing case, it appeared as the pattern of "passive tolerance⇒passive tolerance⇒active repression⇒passive tolerance" and showed the pattern of "passive tolerance⇒passive repression⇒active repression⇒passive repression" in the foreign case. The features of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active tolerance craft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all three cases. Seco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arried out ruling crafts in the form of passive tolerance in the issue creation period of all three cases. Third, the active repression craft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ppeared in the social media public opinion spread period of all three cases. Finally, changes in double ruling craft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showed the same pattern while showing a different aspect in the domestic and foreign mixing cas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did not allow Tiananmen Massacre memorial demonstration to develop into a revolution and both Umbrella Revolution of Hong Kong and Jasmine Revolution that succeeded in the Middle East did not succeed in China. As shown above, double ruling crafts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ct effectively while changing in the form of passive tolerance?repression, active tolerance?repression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ho experienced the effect of these double ruling crafts, will firmly solidify "Chinese Socialist Democracy" very naturally and flexibly without social unrest or public agitation by using social media double ruling crafts in the future. Also, these Chinese double ruling crafts can be determined not to be limited simply to the operation of social media. That is, double ruling crafts of tolerance and repression will be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ruling model for social media operation as well as "more advanced Chinese ruling model" through which we can understand the flexible ruling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중국 공산당의 소셜 미디어 운용 연구: 이중통치술을 중심으로 중국은 세계 최대의 네티즌 수를 보유하고 있는 인터넷 강대국이자, 반대로 "검열의 세계 챔피언" 국가로 불릴 정도로 가장 성공적으로 인터넷 통제를 하고 있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의 탄생과 발전은 중국 지도부를 긴장하게 만들었다. 그렇다면 인터넷의 토대 위에 발전한 소셜 미디어로 인해 중국 공산당의 체제 유지에 빨간 불이 들어온 것인가? 본 논문의 목적은 소셜 미디어라는 신흥 미디어를 중국 공산당이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용과 억압의 이중통치술이라는 메커니즘으로 소셜 미디어에 접근하여 왜 중국이 소셜 미디어 영역에 이중통치술을 활용하고 있는지, 이를 통해 어떻게 체제 유지가 가능한지를 알아보았다. 나아가 본 연구가 비단 소셜 미디어 영역 뿐 아니라 향후 중국 공산당 통치의 다양한 영역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활용되고 나아갈 지를 조망하여 "중국식 통치모델"에 기여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들은 중국 공산당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서는 통제와 폐쇄정책을 펼치고, 비정치적인 이슈에 관해서는 개방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체제 유지를 목적으로 한 물리적인 통제만을 중점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한 가지 이슈에 대해서 그 이슈가 탄생하고 소멸하기까지 중국 공산당의 "유연한 전환술"에 대한 해답이 부족하다. 또한 소셜 미디어에 관한 정치적 학설인 기술결정론과 사회구성론, 독재자의 딜레마와 사이버체제 등의 기존 이론들은 중국 상황에 완벽하게 적용되지 않으며, 무엇보다도 소셜 미디어가 중국 공산당에 의해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인의 연구는 중국 공산당의 소셜 미디어 운용을 이중통치술로 살펴본다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 공산당의 소셜 미디어 발전에 따른 통치술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으므로, 이를 통해 소셜 미디어의 다양한 행위자와, 복잡한 사건에 대응하는 중국 공산당의 효율적인 통치전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소셜 미디어 정책은 무엇인가? 둘째, 중국 공산당은 "관용-억압"이라는 도구를 가지고 어떻게 소셜 미디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가? 셋째, 소셜 미디어의 발전에 대응한 중국 공산당의 이중전략이 중국 공산당 체제를 공고히 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 질문에 따라 본인은 "관용과 억압의 이중통치술"이라는 대안 모델을 분석틀로 제시하였다. 본인이 제시한 이중통치술 대안모델은 먼저 이중통치술을 관용과 억압으로 나누는 것을 기본 틀로 하고, 이 개념을 더욱 명확히 정의하고자 관용과 억압의 대응정도를 소극적 대응?적극적 대응으로 구분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국내?국내외 혼재?해외 사례로 나누어 사례 연구하였다. 국내 사례로는 2014년 6월 천안문사태 25주기 기념시위, 국내외 혼재 사례로는 동년 9월 홍콩 우산혁명, 해외 사례로는 2010년 12월 발생한 튀니지와 이집트에서의 자스민혁명을 선정했다. 또한 각 사례들의 시기를 이슈 생성기?소셜 미디어 여론 형성기?소셜 미디어 여론 확산기?이슈 소멸기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 공산당의 관용?억압의 통치술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먼저, "Weiboscope"라는 시나 웨이보(Sina Weibo) 삭제 글 복원 프로그램을 이용해 각 사례별로 중국 공산당의 검열에 의해 삭제된 글의 내용과 수량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시기별 중국 내 보도 및 외신 보도, 중국 당정의 공식 언급이 담긴 문건을 통해 관용과 억압의 통치술을 보다 객관적으로 증명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국내 사례에서 중국 공산당의 이중통치술은 "소극적 관용⇒소극적 억압⇒적극적 억압⇒소극적 억압"의 패턴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혼재 사례에서는 "소극적 관용⇒소극적 관용⇒적극적 억압⇒소극적 관용"의 패턴으로 나타났으며, 해외 사례에서는 "소극적 관용⇒소극적 억압⇒적극적 억압⇒소극적 억압"의 패턴을 보였다. 연구 결과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세 사례 모두 중국 공산당의 적극적 관용술은 없었다. 둘째, 세 사례 모두 이슈 생성기에는 중국 공산당이 소극적 관용 형태의 통치술을 펼쳤다. 셋째, 소셜 미디어 여론 확산기에는 세 사례에서 모두 중국 공산당의 적극적인 억압술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 사례와 해외 사례에서의 이중통치술 변화가 동일한 양상을 보인 반면, 국내외 혼재 사례에서는 다른 형태를 보였다. 중국 공산당은 매년 발생하는 천안문사태 추모 시위가 혁명으로 발전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았으며, 홍콩의 우산혁명과 중동에서 성공한 자스민혁명 모두 중국에서는 성공하지 못했다. 이처럼 중국 공산당의 이중통치술은 때에 따라 소극적 관용?억압, 적극적 관용?억압의 형태로 변모하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이중통치술의 효과를 체감한 중국 공산당은 앞으로도 소셜 미디어 이중통치술을 활용해 사회 불안이나 대중 동요 없이 매우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중국식 사회주의 민주"를 견고히 다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중국적 이중통치술은 비단 소셜 미디어의 운용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관용과 억압의 이중통치술은 소셜 미디어 운용에 대한 중국 공산당의 통치모델이자, 동시에 중국 공산당의 유연한 통치를 이해할 수 있는 "더욱 진화된 중국식 통치모델"이 될 것이다.

      • 关于中国能源安全战略的国际影响研究

        김민애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Energy is a core resource of national economy and stable supply of energ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economic growth of a nation and stable life of people. But as the international energy situations such as a speedy rising of international oil price, the deepened competition for resources, etc have been quickly changing, the importance of energy security in international relations has gradually emphasized. Especially, countries that do not secure enough energy resources cannot help relying on importing from countries which have resources because buried distribution of main resources as well as oil is significantly unbalanced according to areas-nations. The world is pouring its effort into obtaining resources. In the competition for resources by each country in the world, China also recognizes energy as the core resources of national economy and approaches its matter at national security level. China accomplished rapid economic growth since it has promoted reformation-opening in 1978. And large energy consumption is inevitable while connection with international economy has been gradually reinforced. When internal energy production did not get to satisfy its demand in the early 1990s, china was changed to the imported country and has gradually increased foreign dependence on energy resources. Today, China is a mass consumption country of energy and cannot help having big effects on demand and supply of energy and economy. In this sense, I investigated Chinese security strategy of energy and analyzed the effect and meaning on international economy and politics of Chinese energy security in this study. Summary of Chinese security strategy of energy is as follow. In 1993, China began to recognize that solution of demand and supply of main resources such as energy, etc is urgent to continue to develop economy as it was changed to pure imported country of oil. So China began to execute internal and external measures at nation level to solve demand and supply of energy. In the internal aspect, China has executed policies such as energy saving to promote energy efficiency, diversification of energy source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development of west areas and building of transport infra, construction of base to store strategic oil, reformation-opening of energy industries. And in the external aspect, it is pouring its effort into obtaining resources through the policies such as reinforcement of local diplomacy to secure foreign energy and development of foreign resources, diversification of introduction line of crude oil and transportation route, etc. The main Stream of china’s energy diplomacy is to diversify oil and gas supply countries from Middle East countries to Africa, South America and Central Asia. To secure energy, China actively involves in the bilateral and multinational negotiations related to energy and established several joint cooperative systems with the energy supplying countries, founded China-Arab Cooperation Forum, China-Africa Cooperation Forum and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to conduct inclusive multi-national energy diplomacy. One very special characteristic of China’s energy diplomacy is that both national companies and private companies are carrying out effective and consistent energy plans under the policy and guidance of the Chinese government led by its summit diplomacy. It appear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recently reinforced its strategic approach to diversify ocean energy transportation routes to land transportation routes. China accomplished many results through active strategy of energy security. But it became a new variable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n international relations of Chinese strategy of energy security at international and local levels dividing it into economical and political aspects. First, it has found that sudden increase of Chinese resource demands in the international energy market has possibility to heat the competition to secure energy internationally and intensify uneasiness about demand and supply of energy. It can deepen imbalance of international resources and act as a new variable to increase the international oil price and uneasiness. It is true that rapid consumption increase of energy by China has effect on the international energy market. But it is too early to conclude that the third energy crisis will occur due to Chin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rnational factors such as the basic supply matter of the energy market, speculative funds, weakness of the dollar, etc because increase of the oil price and energy crisis are caused by a combination of them. It is also true that China heats the competition to secure energy internationally. But it has found that China can corporate with the countries that consume energy such as U.S.A., Japan, Korea, EU, etc to secure stable and various source of energy supply, keep reasonable energy price, guarantee safety of energy transportation route and observe the climate agreements in common interests. In the political and security aspect, it has found that Security Strategies of Chinese energy visualizes alliance structure focusing on energy internationally and the process can provide causes of international dispute. And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potentially conflicts with U.S.A. As U.S.A. reorganized alliance order including energy order and Middle-East at national strategic level after 9.11, China that did not have confidence in energy order took action to secure energy independently and got to cooperate with Russia naturally. Also China played in a role in formation of alliance structure focusing on energy because it got to reinforce cooperation with oil producing countries with strong tendency against western countries. Rapid increase of international activities by China was shown as the challenge to international order by U.S.A. Furthermore, China leads to fricti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o preoccupy undeveloped lands for development of energy. For example, Chinese government does not avoid conflicts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to develop ocean energy resources such as oil and gas in East China Sea and South China Sea. Especially, Pinnacle Islands dispute between Japan and China and Spratly Islands dispute between South East countries and China are typical examples of territorial disputes related to ocean resources. In addition, China strengthens sea power to secure safe ocean transportation route. Chinese modernization of national defense has an effect on security order of East Asia that leads to arms race by stimulating Taiwan, Japan, U.S.A., etc as well as the energy matter. Like this, as Chinese strategy of energy security becomes active, it can be an important variable to influence international order in the future. It is the very important issue that can have big effects on overall international politics as well as China-USA relations. But the active measures to overcome lack of energy in China cannot be 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It’s because stable demand and supply of energy resources with oil confronts international crisis as soaring energy price speaks for it as the years go by. Especially, energy matter that explosively increased in the new power can be vital profits to China and Chinese strategy of energy security cannot help accompanying important changes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economy as well as establishment of external policy by it in any way. 에너지는 국가경제의 핵심 자원으로서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은 국가의 경제성장과 국민의 안정적 생활영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최근 국제유가가 급등하고 자원확보 경쟁이 심화되는 등 국제 에너지 정세가 급변하면서, 국제관계에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특히 석유를 비롯한 주요 에너지 자원의 매장 분포가 지역∙국가별로 상당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어 충분한 에너지 자원을 확보하지 못한 나라는 자원 보유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지금 전 세계는 자원 확보를 위해 국가의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 각국이 에너지 자원을 둘러싸고 벌이고 있는 에너지 확보 경쟁 속에서, 중국 역시 에너지를 국가경제의 핵심자원으로 인식하며 에너지 문제를 국가안보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을 추진한 이래 지금까지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어 냈으며, 점차 국제경제와 연계를 강화는 가운데 그 과정에서 대량의 에너지 소비는 필연적이었다. 중국은 90년대 초반 자국내 에너지 생산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자 에너지 수입국으로 전환하였고 점차 에너지 자원에 대한 해외 의존도는 증가하게 되었다. 오늘날 중국은 에너지 대량 소비국가로서 세계 에너지수급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클 수밖에 없다. 이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을 규명하고 중국의 에너지확보가 국제경제정치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대해 분석하였다. 우선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은 1993년 석유 순수입국으로 전환되면서 국가의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에너지 등 주요 자원의 수급문제의 해결이 시급하다는 인식을 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중국은 에너지 수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대내외적인 조치들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대내적 측면에서 중국은 에너지 효율성의 제고를 위한 에너지절약, 에너지원의 다원화와 대체에너지 개발, 서부지역 개발과 수송인프라 구축, 전략석유비축기지 건설, 에너지 산업의 개혁개방 등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해외에너지 확보를 위한 지역외교 강화와 해외자원 개발, 원유도입선 및 수송로의 다변화 등의 정책을 통해 에너지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해외에너지 확보 측면에서 중국은 적극적인 자원외교를 펼치고 있으며, 중동에 편중된 석유-가스 수입원을 아프리카, 중남미, 중앙아시아 등으로 다변화하려는 정책이 기본골격을 이루고 있다. 또한 중국은 적극적인 양-다자간 교섭을 통하여 자원보유국과의 공동협조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중국-아랍 협력포럼,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 상하이협력기구 등의 지역블록 협의체를 창설하여 포괄적 외교를 펼치고 있다. 중국 에너지 외교는 국가 정상들이 직접 참여하는 정상외교를 필두로 국영기업과 민간기업이 정부의 정책과 방침아래 일사 분란하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을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중국은 해상수송로를 통해 공급되고 있는 원유도입선을 분산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그 동안 적극적인 에너지 안보 전략을 통해 적잖은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은 국제관계에서 새로운 변수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이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경제적, 정치적으로 나누어 세계적, 지역적 차원으로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우선 국제에너지시장에서 중국의 자원수요 급증은 국제간의 에너지 확보경쟁을 가열시키고 에너지 수급에 대한 불안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자원수요 급증은 세계자원의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국제유가와 불안정성을 증가시킬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급격한 에너지 소비증가가 국제에너지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나, 제 3차 에너지 위기가 중국으로 인해 발생할 지에 대해서는 단정 지을 수 없다. 유가의 상승과 에너지 위기에는 현재 에너지 시장의 근본적인 공급문제, 투기자금, 달러의 약세 등 국제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중국으로 인한 국제간의 에너지 확보경쟁이 가열되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나, 중국은 미국, 일본, 한국 및 EU 등의 에너지 소비국들과 안정적이고 다양한 에너지 공급원의 확보, 합리적인 에너지 가격 유지, 에너지 수송로의 안전보장, 기후협약의 준수 등 공동의 이익을 갖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협력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안보적으로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은 세계적 차원에서 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동맹구조를 가시화 시키고, 그 과정에서 국제적 분쟁의 원인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미국과의 갈등이 잠재되어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9.11테러 이후 미국이 국가전략 차원에서 테러전쟁을 통해 에너지 질서와 중동을 포함한 동맹질서 재편을 가시화시키자 미국 주도의 에너지 질서를 신뢰하지 않는 중국은 독자적인 에너지 확보에 나섰으며, 자연스레 러시아와 협력하게 되었다. 또한 반 서방국가 성향이 강한 산유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하게 되어 이로써 중국은 에너지를 중심으로 하는 동맹구조 형성에 일조하게 되었다. 이러한 중국의 급속한 국제활동 증가는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에 도전적인 형국으로 비춰지고 있다. 더욱이 중국은 에너지 자원개발을 위한 미개척지를 선점하기 위해 주변국들과의 마찰도 불사하고 있다. 일례로 중국정부는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의 석유와 가스전 개발 등 해양에너지 자원개발을 위해 주변국들과의 갈등도 피하지 않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 사이에 전개되고 있는 조어도 분쟁 그리고 동남국가들과 진행되고 있는 남사군도 분쟁은 모두 해양자원을 둘러싼 영토분쟁의 대표적 사례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은 해상수송로의 안전 확보를 위해 해군력을 증강시키고 있다. 해군을 포함한 중국의 국방현대화는 에너지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주변국인 대만, 일본, 미국 등을 자극하여 군비경쟁으로 치달을 수 있어 동아시아 안보질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렇듯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은 그것이 적극화될수록 향후 국제질서를 좌우할 중요한 변수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의 에너지 안보 전략은 국제에너지시장에 대한 파급영향은 물론 중미관계를 비롯한 국제정치 전반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그러나 중국의 에너지 부족과 이를 타개하기 위한 공격적 조치들은 향후 단기간 내에 수그러들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 왜냐하면 해가 갈수록 치솟는 에너지 가격이 대변하듯 석유를 비롯한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수급은 세계적 위기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신흥 강대국으로서 폭발적으로 증대한 에너지 문제는 중국에게 물러설 수 없는 사활적 이익이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중국의 에너지 안보전략은 어떤 형식으로든 자체 대외정책 수립은 물론 국제정치경제에서 중요한 변화를 수반 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