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팝업이 도입된 다이렉트메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신현 경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direct mail which is a means of the communication has become a database marketing recently but it is now used as one of the important advertising media being a basis of the target marketing, showing at over 90% response. However, users' interest will not be so continued due to the overloaded information.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new way to attract the user's interest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way would be difficult to make a right pace as a function for the information properly. Therefore, the direct mail advertising developed with pop-up against target consumers would be a means of communication making a difference from the plane information trend. Pop-up stands for a three-dimensional type when a plane art work is spreaded as a 3-D concept. A 2-D plane structure looking like a magic is enough to attract one's interest and it will become a point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on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for direct mail (hereinafter as DM) communicating to a certain target directly due to the light by instant.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M being selected and acknowledged by consumers, theoretically clarify the difference from the DM not applied for Pop-up through the case study of conventional DM and confirm features of DM developed with Pop-Up through the art work based on such a concept.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only some leaflet, card and small books which are easy for mailing with the DM weight less than 200g applied Pop-up technique. The present condition of Pop-up DM was analyzed through the image map from the type and structural standpoint of view based on the external image of 18 DM types at home and abroad and further the DM features using Pop-up was examined through the type analysis of production environment and expression technique. In addition, the analysis area was made for being objective in a qualitative approach through the design concept of each case, visual motif, economic condition and functional image map. As for the point to improve Pop-up DM unveiled in image map from the formative and structural standpoint, it must be developed in different ways getting over the economic condition and limitation of the expression along with the revelation of the collection that is rarely or never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DM.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production cost is higher than that of plane DM because of different printing techniques in terms of the production condition, and the card type is mostly used with different techniques for expression when it comes to the analysis of DM type. Having surveyed and analyzed DMs applied for pop-up types in order for such DMs with higher utilization as a token of marketing to use it in more efficient way for a communication means making a difference from the plane printing and processed information, it was found that the Pop-up DM has different features with the effect to make double efficiency of each DM advertising. Features and expected efficiency of the Pop-up DM that was examined based on the key word come up through the case analysis are as below: First, Pop-up DM must be formative. It must be used continuously with the display effect to be exposed for a certain time. The Pop-up DM has an effect to highlight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value by using 3-D technique in different ways. Such formation will cause the user's second action collectively to get continuous advertising effect. Second, Pop-up DM must be of peculiarity or uniqueness. The structural change describing in a limited space will make unexpected situation with the effect to recall visual stimulation on the information for long time. Third, Pop-up DM must be significant. The content of the type to communicate itself should be comprehensive stimulating the imagination with the effect to maximize the curiosity. Fourth, Pop-up DM must be of concentration, so that it can attract the consumer's interest to be focused on. The space produced with carton box structure will attract story telling by DM itself inducing visual interest. Fourth, Pop-up DM must be of amusement. As the intentional hidden information is uncovered it plays a role to fulfill the information user's expected sentiment. In conclusion, some features of Pop-up DM are used as a communication means to make a difference against the target with higher involvement, so it would work as a function that the advertising effect is maximized.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is to solve the outstanding issue of DM that is losing overall functions pushed by other media under the information flood while suggesting a plan to open the new way.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되는 다이렉트 메일(Direct Mail)광고는 최근의 데이터베이스마케팅(Data Base Marketing)이나, 표적마케팅(Target Marketing)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광고방법의 하나로 이미 90%이상의 높은 반응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과부화된 정보들 틈에서 수용자의 호기심은 그리 오래 지속될 수 없다. 기존의 보수적인 방법만으로는 정보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측면에서 수용자의 호기심을 자극 할 만 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명확한 소비대상에게 팝업(Pop-up)의 형식이 적용된 다이렉트 메일(Direct Mail)광고는 평면의 정보들 틈에서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팝업(Pop-up_이하 Pop-up이라 함)은 입체 개념의 하나로 평면의 편집물이 펼쳐졌을 때 삼차원의 형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2차원의 평면이 마술처럼 돌출되는 동적구조는 사람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며 시각적 충격이기 때문에 특정대상에게 직접 전달되는 다이렉트 메일(Direct Mail_이하 DM이라 함)의 정보 전달에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직접우송광고인 DM이 소비자에게 선택되어지고 인지되는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기존 DM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Pop-up을 적용하지 않은 DM과의 차이점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제작된 시안을 통하여 Pop-up이 도입된 DM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은 우송이 용이한 리플렛, 카드, 소책자로 유형을 제한하고 경제성을 고려하여 무게가 200g을 넘지 않는 DM으로 Pop-up적 기법이 적용된 것만을 선별하여 진행하였다. 국내외 18종의 DM을 외형적 이미지를 토대로 형태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의 이미지맵을 통하여 Pop-up DM의 현 상황을 분석하고, 제작 환경 및 표현기법의 유형 분석을 통해 Pop-up을 활용한 DM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사례의 디자인 컨셉, 비쥬얼 모티브, 경제성, 기능성의 이미지 맵을 통해 분석의 영역을 정성적 방법으로 객관화 하였다. 마케팅의 일환으로 활용도가 높은 DM이 평면적으로 인쇄, 가공된 정보들 틈에서 차별화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되게 하기 위해 Pop-up의 형식이 적용된 DM들을 조사하고 분석해 본 결과 Pop-up DM은 다양한 특징들이 있었고 그 특징들은 각기 DM광고의 효율성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었다. 첫째, Pop-up DM은 조형성이 있다. 일정기간 노출될 수 있는 전시효과는 소장적 2차 행동을 유발시켜 지속적 광고 효과가 있다. 둘째, Pop-up DM은 의외성이나 특이성이 있다. 한정된 지면에서 표현되는 구조의 변화는 뜻밖의 상황을 연출 하며 정보에 대한 시각적 자극을 오랫동안 기억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Pop-up DM은 형태만으로도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함축성이 있으며 정보 수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호기심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Pop-up DM은 주목성이 있다. Pop-up이 만들어 낸 공간 연출은 시각적인 흥미를 이끌어 내어 수용자로 하여금 정보에 집중하게 한다. 다섯째, Pop-up DM은 유희성이 있어야 한다. 의도적으로 가려진 정보가 드러나면서 정보 수용자의 기대심리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Pop-up DM이 지니고 있는 몇 가지 특성들은 관여도가 높은 타겟에게 차별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적용되어 광고효과가 극대화 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다른 미디어에 밀려 제 기능을 상실해 가고 있는 DM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활로를 여는 하나의 방안으로 제시되었으면 한다.

      • 한국과 중국의 식품 포장디자인에 나타난 캘리그래피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가림 경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consumers in societies in which digital technology bogeuphwa design a rational and cool compared to the analog feel of calligraphy that is preferred. The emotional appeal of calligraphy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will be presented by hand to visualize text, which differs from traditional calligraphy. Calligraphy, traditional norms, namely calligraphy, while you have to keep a constant mood of the comparison, there are two independent free features. The recent calligraphy print, video advertising, packaging, brand logo stands out in the design area, including food packaging design, which is written a lot of calligraphy is a trend. Orient, especially Korea and China as the country's leading cultural exchange since ancient times, began in 1992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Korea and China economy, culture and active exchanges in many areas is underway. However, with increasing number of trade of food products specifically for this market research and there is a need for thorough research. In this paper, Korea and China, food packaging design, as shown in the study of calligraphy characteristics typical of both countries the Internet shopping mall Homeplus in Korea and China's first store of the types of food products sold drinks, snacks, seasonings, noodles, ginseng, dumplings product and those chosen in the design of the packaging us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alligraphy applied and expressed its formative elements were analyzed by the country against the conditions. Korea's Hangul yuldonggam two using simple features, yet with a beauty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design, calligraphy is preferably naahganeun comprehensively developed than in China proper hamgwa excellence is shown. China's unity and uniqueness of the overall package design lacks much to the present and to be biased in one kind of detailed analysis of the elements and calligraphy in a conservative frame tied to emotion in the venture, and by pursuing innovation, creativity how the representation of Chinese character calligraphy I will be desperately needed hamyi. 오늘날 디지털 기술이 보급화 되는 사회에서 소비자는 이성적이고 차가운 디자인에 비하여 아날로그적 느낌을 주는 캘리그래피를 선호하고 있다. 캘리그래피는 감성소구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손 글씨를 시각화 시켜 표현된 것이며, 이는 전통 서예와 다르다. 서예는 전통적 규범, 즉 서법을 지켜야 하는 반면 캘리그래피는 이에 비해서 일정한 서법이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최근 캘리그래피는 인쇄물, 영상광고, 패키지, 브랜드 로고 등 다양한 디자인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데 식품 포장디자인에서 캘리그래피가 많이 쓰여 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한국과 중국은 동양을 대표하는 나라로서 고대부터 문화 교류를 시작하였고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양국의 경제, 문화 등 여러 영역에서 활발한 교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식품의 무역이 증가됨에 따라 구체적 상품의 시장 조사와 이에 대한 철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 식품 포장디자인에서 나타난 캘리그래피 특성의 연구로서 양국의 대표적인 인터넷쇼핑몰인 한국의 홈플러스와 중국의 1호점의 판매 식품 종류 중 음료, 과자, 조미료, 면류, 인삼, 만두제품을 선정하며 이들의 포장디자인에 사용된 캘리그래피 적용 현황을 조사하여 그 조형 요소와 표현 조건에 대하여 나라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은 한글의 간결한 특징을 이용하여 율동감이 있으면서도 조형미를 갖춘 제품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캘리그래피 디자인을 발전해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합적으로 중국에 비하여 적절함과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은 전반적인 포장디자인의 통일성과 독창성에는 미흡한 점이 많이 존재하며 한 가지 세부 요소에 치우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보수적이고 틀에 얽매여 있는 캘리그래피에서 과감히 혁신하고 감성을 추구하여 독창성을 가진 한자 캘리그래피의 표현방법이 필요함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 도서관 문헌 위치 정보의 시각화에 관한 연구

        전민희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도서관의 문헌 위치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지하기 위한 정보 디자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도서관 이용자가 문헌 위치를 찾기 위해 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웹 또는 키오스크와 같은 설치물로 검색을 하여 청구기호를 얻는다. 이 청구기호는 각각의 문헌마다 갖고 있는 고유번호로써 이를 통해 서가 배치도, 사인, 라벨 등의 여러 시각 정보물을 통하여 위치를 찾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가 접하는 정보에 대한 커뮤니케이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살펴보고 문헌 위치 정보 시각화의 문제점을 찾아 그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 디자인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도서관의 환경과 시각 정보물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도서관의 정보들은 이용자에게 적절한 시간 안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준과 순서로 배열되고 있다. 이들 기준에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문헌분류체계를 들 수 있다. 이 문헌분류체계의 목적은 방대한 양의 문헌에서 관련성 있는 문헌을 선별하여 한 곳에 모아둠으로써 이용자는 관련 주제를 손쉽게 검색할 수 있고, 도서관 측면에서는 정보검색과 정보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둘째, 문헌 위치 정보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제공 되고 있다. 문헌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디지털매체, 위치의 방향을 유도하고 기명하는 사인물, 그 외에 도서관 안내를 위한 여러 인쇄물 등의 매체를 접할 수 있다. 이들은 상호적으로 위치의 접근을 돕고 있으므로 이용자 시선에서 일관되게 보여야 정보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국가대표 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을, 최근에 개관한 국내의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과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을, 국외 사례로는 미국 산호세주립대학교 마틴루터(DR. Martin Luther King, JP. Library)도서관을 선정하여 사례 분석하였다. 문헌 위치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공간안내도와 검색시스템, 서가사인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에서는 서가사인에 분류항목명을 기재함으로써 이용자의 문헌탐색을 도왔고,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의 검색 시스템에서는 청구기호 검색결과를 그래픽으로 시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문헌 위치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숙명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서가사인은 서가의 일련번호 아이덴티티와 색채분류를 통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산호세주립대학교 마틴루터도서관의 공간안내도에서는 서가의 시작점과 배열된 순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배려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서관 이용자들은 도서관 이용목적이 모두 다르고 문헌을 찾는 방법이 다양하여 한 가지 시각 정보물에만 의존할 수 없으며, 정보탐색의 시작점 또한 불특정하다. 때문에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하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보 디자인이 계획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위의 사례에서는 각 매체마다 시각적 표현이 다르고 통일성이 없어 커뮤니케이션을 어렵게 하고 있었다. 따라서 웹, 공간, 서가에 적용된 문헌 위치 정보의 수월성과 이용자들의 효율적 인지를 위한 정보의 시각화, 즉 도서관 문헌 위치 정보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방안이 적용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헌 위치 정보 디자인의 아이덴티티와, 문헌분류체계를 시각화하기 위한 색채 시스템을 구축한다. 둘째, 통일된 시각적 표현으로 일관성을 지녀야 하며 상호 연계된 호환성을 가져야 한다. 셋째, 도서관 이용자가 다양한 측면에서 문헌 탐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체계화를 통해 도서관이 보다 편리하고 친근하며,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intends on information design development to recognize efficiently information in library literature location. If we look through searching process when finding the literature location, generally speaking, we obtain the call number from the web or kiosks. This call number is an identification number on each literature, and we’re able to find the literature location from several visual signs – bookshelves map, index number, and each book label, etc. In this process, after seeing how an efficient communication is delivered to the users, I’d like to present the better way to provide an efficient communication, solving several problems. Consequently, after analyzing the library’s environment and visual media, several results are found based on the concept of information design. First, in the library, to provide proper information to the users within a certain amount of time, all the information is well-arranged and put everything in order. One of representative examples is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is to sort out related literature from the vast quantities of literature by storing them ina space, so the users are able to search the related topics easily, in addition, the library can provide a better and faster information searching service to the users. Second, the literature location system has been provided by various media: a digital media to search the literature information, a signage system to direct and display information, and several print media to be used as library catalogs. These media increase the accessibility each other, and th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if it is displayed consistently to the users. For this case study, I selected and analyze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wo libraries that were just opened recently, Yeonsei University Library an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and one library in California, U.S., San José State University Library, called Martin Luther King, Jr. Library. After thoroughl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library based on space map, searching system, and index number,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 classified item was included on each index number, so that it was very helpful for the users when they searched the literature. In Yeonsei University Library, searching system helped the users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location, by showing the result of call number visually with graphics. I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index number was well-displayed to be recognized easily, by bookshelves’ identity number and color classification, and in Martin Luther King, Jr. Library (MLK Library), the space map on each floor helped the users recognize easily the starting point and arranged order of the bookshelves. However, since all users have different purposes to visit the library and their searching method is various as well, the users cannot relyon only one visual medium, and the staring point to search information is also unspecified. In this case, information design is necessary to be planned with considering the possible accessibility, but in these examples, since each medium has different visual representations with inconsistency, the better communication is not occurred. Therefore, information visualization – for easiness of information and the users’ efficient recognition on the web, space, and bookshelves – in other words, information design for the literature location is required. For this case, with an exemplifica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 propose several design examples as below; First, a color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to visualize design identity for information design of the literature location and the literature classification system. Second, it should be consistent with unified visual representations and compatibilities. Third, the users should be able to search the literature with various accessibilities. Through visual systematization, I have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is case study, suggesting a fundamental material that the library, as a more convenient and friendly space, meets the cultural des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