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 개발

        최예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34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사결정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생명윤리의 영역과 내용을 범주화 하였으며, 각 내용범주에 해당하는 생명윤리 문제의 주제의 예시를 선정하였다. 또한 Harren(1984)의 의사결정 유형 검사를 바탕으로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의 응답 방식에 맞게 수정하여 문항을 개발하였다.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를 적용하여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및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른 의사결정 유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직관적 유형이 6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합리적 유형은 33.3%, 의존적 유형은 0.9%로 나타났다. 또한 생명윤리의 내용범주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2=163.270, p=0.000). 반면 생명윤리 문제의 내용에 대해 학생들이 그 내용을 얼마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파악하여 그 인식 정도에 따라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분석한 결과,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인식 정도에 따라 의사결정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학생들이 생명윤리 문제에 대해 의사결정을 할 때 감정이나 즉시 떠오르는 판단으로 결정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생명윤리 문제의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는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의사결정 유형을 파악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수업모형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성격유형에 따른 관리자의 위기대응 방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김재일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66559

        A crisis is key accidents that are likely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company, industry and these-related the public, products, services, and reputation, or unexpected incidents that inflict a severe loss on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products, services, financial situation, and reputation, which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studies for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c base dealing with each companies' frequent crisis factors. So total 200 persons of 100 persons each were randomly sampled on Kia Motor's inside managers and Hyundai Motor’s inside managers to make a survey for the purpose of inquiring into the casual interrelationship in terms of the managers' response style of crisis-management strategy by the car industry's recall focused on the MBTI's 4 personality types such as sensible thinking(ST), sensible feeling(SF), intuitive thinking(NT) and intuitive feeling(NF) in this study.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factor score of 4 personality types showed that the personality types are divided into 4 groups of sensing+thinking=ST, intuition+thinking=NT, sensing+feeling=SF and nutrition+feeling=NF, and the sensing+thinking=ST type is the highest by 84 persons(43.8%), subsequently nutrition+feeling=NF type by 66 persons(34.4%), intuition+thinking=NT type by 24 persons(12.5%) and sensing+feeling=SF type by 18 persons(9.4%). Second, the difference in attack strategy by personality type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p<.01), and for the demand for attack strategy when managers overcome a crisis, NF(M=3.76) is the highest, subsequently ST(M=3.48), NF(M=3.28) and SF(M=3.22). Third, the difference in corrective measure strategy by personality type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p<.01), and for the demand for corrective measure strategy when managers overcome a crisis, NF(M=4.08) or ST(M=3.81) are relatively high, and NF(M=3.38) or SF(M=3.33) are relative low. Fourth, the difference in apology strategy by personality type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p<.01), and for the demand for apology strategy when managers overcome a crisis, NF(M=3.77) or NT(M=3.58), and ST(M=3.37) are relatively high, while SF(M=2.78) is relatively low. Fifth, the difference in refusal, excuse, rationalization and favor strategies by personality type showed that the preference for the coping strategy of refusal-strategy type leader claiming no crisis by each personality type, coping strategy of excuse-strategy type leader trying to minimize organization's responsibility for the crisis, coping strategy of rationalization-strategy type leader trying to rationalize through the formation of perception it's just a slight damage caused by the crisis, and coping strategy of favor-strategy type leader trying to win the favor by praising, or reminding organization's past good deeds are relatively low,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As stated above, it suggested that manager's crisis management is preferred by coping strategies such as corrective measure and apology combining with an aggressive strategy by a head-to-head contest under rational judgment, and negative coping strategies will have to be avoided, if possible. In other word, for the preference for personality in the manager's crisis-coping strategy, the personality of sensing+thinking=ST type was the highest. This means that the crisis-coping strategy has a tendency of more preference for managers with excellent sensing by circumstantial judgement compared to crisis management depended on intuition or feeling, and thinking of rational decision-making. And for the personality type, as the nutrition+feeling=NF type personality is the manager's best coping strategy to overcome the crisis in the aggressive strategy,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develop the alternative strategies of aggressive disposition, and handle the crisis by more active and positive head-to-head contest with emotional intuition than sensible thinking, not conservative disposition or passive response. As the personality of sensing+thinking=ST type and nutrition+feeling=NF type is a personality wanting the quick early response and change by an immediate corrective measure and apology, and employees of both sensible thinking type and emotional thinking type want to settle a crisis by an immediate corrective measure for customers and proper apology fitted this, the demand for management style by personality will have to be also differently applied. Beside that, organizational members didn't require the manager's leadership of passive coping disposition, which can be seen as extemporaneous or negative dispositions such as refusal, excuse, rationalization and favor to customers. In the end, the leadership as a manager in organization needs customers-centered positive thinking, quick coping, and aggressive strategies that everyone can sympathize. Consequently, the manager's rearing and choosing in the uniform leadership, which has valued the seniority will have to combine the use and support of selective strategies consider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위기란 조직, 회사, 산업 및 이들과 관련된 공중, 제품, 서비스, 그리고 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주요 사건들, 혹은 조직과 조직의 구성원, 그리고 조직의 제품, 서비스, 재정적 상태, 명성에 심각한 손실을 끼치는 예기치 못하는 사건들로 '예측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생한 사건을 말하는데 각 기업에서 수시로 발생하고 있는 위기요인에 대응한 전략 기반 수립과 대처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격유형을 MBTI의 4가지 성격기능인 ST(감각적 사고형), SF(감각적 감정형), NT(직관적 사고형), NF(직관적 감정형)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의 리콜에 따른 위기대응 전략에 대한 관리자의 대응스타일 전략측면에서 상호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현대․기아 자동차 내부 관리자를 대상으로 각 100명씩 총 200명을 임의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유형의 요인분석 결과로 나타난 4개의 요인별 요인점수를 기준으로 집단별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격유형은 감각+사고=ST, 직관+사고=NT, 사고+감정=SF, 감정+직관=NF의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감각+사고=ST형이 84명(43.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감정+직관=NF형 66명(34.4%), 직관+사고=NT형 24명(12.5%), 사고+감정=SF형 18명(9.4%)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격유형에 따라 공격 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NF(M=3.76)의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위기 극복시 공격 전략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ST(M=3.48), NF(M=3.28)순으로 나타났으며, SF(M=3.22)의 경우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성격유형에 따라 시정조치 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NF(M=4.08)이나 ST(M=3.81)의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위기 극복시 시정조치 전략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고, NF(M=3.38)이나 SF(M=3.33)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성격유형에 따라 사과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NF(M=3.77)이나 NT(M=3.58), ST(M=3.37)의 경우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위기 극복시 사과 전략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고, SF(M=2.78)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성격유형에 따라 부인 전략, 변명 전략, 합리화 전략, 환심사기 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 각 성격유형별 위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리더 즉, 부인전략형 리더의 대응전략과 위기에 대한 조직의 책임을 최소화 하려는 리더 즉, 변명전략형 리더의 대응전략, 위기로 인하여 발생된 피해가 대수롭지 않다는 인식을 형성하여 합리화 시키려는 리더 즉, 합리화전략형 리더의 대응전략, 칭찬하거나 조직의 과거 선행을 상기시켜 환심을 사려는 리더 즉, 환심사기 전략형 리더의 대응전략에 대한 선호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상의 전체적인 결과를 볼 때, 위기 상황시 관리자의 대처방법에 있어 합리적인 판단하에 정면승부로 공격적인 전략과 병행한 시정조치, 사과 등을 통해 대응해 나갈 것이 선호되고, 가급적 부정적인 대처방식은 회피해야 할 것을 시사해 주었다. 즉, 관리자의 위기대응전략에 있어 감각+사고=ST형 성격을 가장 높게 선호하는 성격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위기발생에 따른 대응방식이 직관이나 감정에 기댄 위기대응보다 뛰어난 상황판단에 따른 감각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사고를 갖춘 관리자를 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이 높음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성격유형에 있어서도 공격적 전략에서는 감정+직관=NF형 성격이 가장 위기극복을 위한 관리자의 대처전략으로 공격적인 성향의 적극적인 대체전략을 적극 전개할 것과 감각적 사고보다 위기발생에 따른 감정적 직관으로 보수적 성향이나 소극적 대처가 아닌 보다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정면승부로 대처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시정조치와 사과전략에서는 감각+사고=ST형과 감정+직관=NF형의 성격이 즉각적인 시정조치와 사과로 빠른 조기대응과 전환을 원하는 성격으로 감각적 사고형이나 감정적 직원 모두 고객에 즉각적인 시정조치와 이에 맞는 적절한 사과로 위리를 매듭짓기를 원하므로 성격별 관리 스타일에 대한 요구가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 부인, 변명, 합리화, 환심사기 등의 임시응변적이거나 고객에 부정적 성향으로 보일 수 있는 소극적 대처 성향을 관리자의 리더는 조직원들이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 종국적으로 고객중심의 적극적인 사고와 빠른 상황 대처와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공격적인 전략이 조직내 관리자로서의 리더십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는 지금까지 획일적이거나 연공서열을 중시한 리더십에서 관리자의 육성과 발탁이 성격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선별적 전략을 사용과 지원이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