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가로서 건축사의 책임에 관한 연구

        이성덕 광운대학교 건설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제1장 서 언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의 책임에 대한 법리를 정립하고, 건축주의 권익보호와 건축사의 법적 분쟁의 예방을 위해 전문가인 건축사의 책임에 관한 법리를 연구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이 있다. 건축사의 책임은 민사책임, 형사책임, 행정책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건축주와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문제인 민사책임을 위주로 다룰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장에서는 일반적인 전문가의 개념과 건축사의 의의, 업무를 알아보았으며, 제3장에서는 전문가의 책임 법리 이론을 정리하고 외국의 전문가 책임법리를 고찰하였으며 전문가는 어떠한 성격과 특징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제4장에서는 건축사 계약이 갖고 있는 법적인 의미를 검토하였으며 건축사의 법적 책임 법리를 대법원 판례 분석하여 정립하였으며 각 책임에 대한 쟁점사항을 구체화하였다. 제5장에서는 위 각장의 취지와 검토결과를 정리하여, 전문가로서 건축사의 책임 법리를 구성하였다. 제2장 전문가와 건축사의 개념 전문가의 특징을 중심으로 전문가의 의미를 정의하면 “법률에 기초하여 일정한 자격을 인정받고, 계약의 상대방인 의뢰인에 대하여 특수영역에 관한 고도의 전문적인 기술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주 업무로 삼는 자”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사는 건축주의 의뢰를 받아 해당 건축물을 구성하고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조형미와 경제성, 안전성, 기능성 등이 투영된 가장 이상적인 건축계획안 및 설계 도서를 작성 제공하며, 설계도서 내용들이 시공과정에 정확히 반영되는지를 확인하는 감리업무를 통해 건축주 및 시공자에게 공정한 조언과 기술 지도를 하는 자를 말한다. 제3장 전문가의 법적 책임 전문가는 불법행위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으로 두 가지 책임을 지게 되는데, 불법행위책임이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말하며, 채무불이행이란 “채무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채무의 내용에 좇은 이행이 없는 경우의 책임”을 말한다. 하지만 의뢰인은 전문가를 신뢰하며 전문가 업무의 특성상 전문가의 고의나 과실에 대한 증명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불법행위책임과 채무불이행책임의 중간책임의 형태인 특수한 신뢰책임론 도입의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제4장 건축사의 법적 책임 건축사가 건축주에 대하여 부담하는 법적인 책임은 크게 불법행위책임과 계약책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계약책임은 세부적으로는 건축사의 설계․공사감리의 하자에 대한 책임, 이행지체에 대한 책임, 기타 부수의무위반에 대한 책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건축사가 업무상 과실로 계약관계가 없는 제3자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는 민법 제750조의 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또한 건축사와 공사시공자와 책임이 경합되는 경우에는 건축주 또는 제3자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부진정연대채무로 인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제5장 결 어 건축사는 전문가로서 건축주로부터 특별한 신뢰를 받는 자로서 상호간 깊은 신뢰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건축사는 이러한 관계에서 나오는 주의의무를 지게 된다. 건축사가 부담하는 주의의무의 예를 들면 건축사와 건축주가 계약체결 협의 중에는 설명주의의무와 조언주의의무를 지게 되고, 설계감리업무수행 과정 중에는 보고하여야 할 의무인 보고주의의무, 또한 건축주로부터 알게 된 직무상의 비밀에 대한 비밀엄수의무를 지고 건축주로부터 얻은 정보, 서류, 물건 등의 보관주의의무를 지는 것 등을 들 수 있겠다. 전문가의 주의의무책임을 강화하기 위하여 건축기본법에 특별 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건축법, 주택법,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등에 규정하고 있는 건축 관련 규정 등을 건설 산업의 성격에 맞추어서 통합 및 구체화 할 필요가 있으며, 건축사의 설계․감리업무규정을 개별적으로 구체화한 리스트 개발이 필요하고, 설계․감리계약서를 국제기준에 맞추어 구체화하여 표준계약서 양식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Chapter 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the legal principle of the liability for the Korean registered architect as an expert and survey the legal principle for them to prevent the legal conflicts and to protect the clients' rights and interests. There are three liabilities for the Korean registered architect; the civil liability, the criminal liability and the administrative liability, however,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civil liability which deals with more practical and directed case between the Korean registered architect and the client. To reach the goal of this paper, the 2nd chapter handles the general concept of an expert and the significant and duties of a registered architect. The 3rd chapter reviews the general concept of the legal liability and the legal theory by the expert, and looks over the legal liability that has been studied overseas also, it covers more about expert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4th chapter covers the service of the Korean registered architect and their contract and its legal meanings additionally, setting up the legal principle and the concretization of the issued law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cedent cases at the supreme court in Korea. At the end, the 5th Chapter concludes the final issues through out the chapters to construct the legal liabilities as the professional registered architect. Chapter 2. Concept of the expert and the registered architect Once we define the meaning of the expert by their characteristics, they are people who have been educated in particular field or have engaged in their specified job and be specialized in that field of job, providing the specialized information and services. Generally speaking, the registered architect is expected to design the building presenting the most practical design and the drawings drafted by themselves additionally, through the supervision that is for being sure to find no doubt of the coincidence between the drawings and the building in construction process, providing the fair advice and the counselling to the client and the builder based on their technicalities by the client's request. Chapter 3. Professional liability There are the liability for the unlawful act and the default for the expert. The liability for unlawful is the legal responsibility followed by doing harm to someone intentionally or accidentally and the liability for the default is the legal responsibility when there is in default intentionally or accidentally by the debtor. But it is difficult for the client to put the expert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ir job to get the remedy for his harmed rights against the professional putting wholeheartedly confidence on the registered architect, because the client are hardly able to prove their intention and blunder. Therefore we would reach the point that there is the necessity of inviting the theory for the confidential liability that is though to be found between the liabilities for unlawful and the default. Chapter 4. Liability for theregistered architect There are the liability for the unlawful act and the contract liability to be charged to the registered architect for the client's sake. The contract liability is precisely the warranty of the design and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the delay of the performance and the breach of the subsidiary obligations. When the registered architect cause harm to a third person without the privities of contract by professional negligence, he has the liability on him according to the 750th article of the Civil Law. And also in case, the architect and the builder are competing for the legal responsibility for the client and a third person's sake, it is thought to be regarded that there is the solidarity liabilities between the architect and the builder. Chapter 5. Conclusion There is a wholeheartedly confidence between the registered architect and the client. Therefore, the registered architect has the careful obligation based on the wholehearted confidence between them. For example of the careful obligation for the registered architect, there are the explaining and counseling liabilities during the deliberation of contract, reporting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ir job, the rigidly keeping the secret on business and the custody of the information, the document for the client. It is suggested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special article to solidificate the liability of the registered architect as an expert. Additionally, there should be the necessity for a regulation those are the building ordinances, the built environment renewal development act, and the others related legislations in Korea should be integrated and concretized in coincidence with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providing the development and the diffusion of the standard form of contract for the designer and the construction supervisor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egal standard.

      •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 적용이 사회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주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 적용이 아동들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효과적인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초등학교 4학년 1학기를 내용을 중심으로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이 적합한 제재를 선정하여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구체적인 수업안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 모형은 남원시 면 단위에 소재한 G 초등학교 4학년 실험반과 전주시에 소재한 비교반을 2개월간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지를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반응도를 실시하였고 사후 검사로 선정한 제재의 차시 문제를 개발하여 이를 측정하였고 그 효과를 분석·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이 교과서 위주의 설명식 수업보다 수업의 흥미도, 협동학습, 토의학습, 정보활용능력, 수업의 효과성, 시간의 적절성 면에서 성과가 높게 나왔다. 둘째,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과 설명식 수업에서 수업의 만족도, 수업의 이해도, 자기 주도적 학습, 수업 내용의 활용성 면에서 두 집단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을 적용한 실험 집단이 교과서 위주의 설명식 수업을 적용한 비교 집단보다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업 성취도 검사의 객관식 문항에서는 교과서 위주의 설명식 수업을 적용한 비교 집단이 실험 집단보다 오히려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은 동료 학생들간의 소집단을 편성하고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집단별 협력과 토론 학습의 활발한 활동을 촉진시키며, 과제 해결을 위해 정보 검색을 위해 학생간의 흥미를 일으키는 데 적당하게 나타났으며 수업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에서 수업의 만족도와 수업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는 교사가 학생 수준에 적당한 과제를 제시하고 해결과정을 명시해야 하며 교사의 계속적인 자기 반성이 필요하고 자칫 쉽게 지나칠 수 있는 학습 결과에 대한 정리와 마무리 활동을 체계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이 사전 조사를 통한 전문가 협력학습의 일반화를 위한 체계적이면서도 다양한 자료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학습 모형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자칫 학습 수준이 하위 수준이 학생들이 소집단 활동에서 소외되거나 스스로 만족을 못 느끼고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에 대해 더욱 더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또한 하위 수준의 학생들끼리 처방을 할 수 있는 대책에 대해 TGT방법이나 다른 다양한 방법을 도입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s of professional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preliminary study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subject upon school work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 selected a suitable subject matter for professional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preliminary survey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4th year and developed a learning model to design concrete teaching plans. In addition, I applied the professional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no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4th year of G Elementary School at myon of Namwon city but the control group at Jeonju city for two months, and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naires to examine homogeneity between both groups to inspect them.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d interaction and developed questions of subject matter selected by post inspection to analyze them, and inspected and discussed their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rofessional cooperative learning and teaching produced high performance at interests in the instruction, cooperations, discussion learning, practical use of informatio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nd appropriateness of the time, etc than the textbook-oriented explanatory learning and teaching did. Secondly, both the professional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preliminary survey and explanatory learning and teaching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eaching satisfactions, understanding of teach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use of teaching contents, etc. Thirdly, at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given the professional cooperative learning, record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being given textbook-oriented explanatory learning and teaching did. Fourthly, at the objective question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 control group being given text-oriented explanatory learning and teaching record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 experimental group did. In conclusion, the professional cooperative learning allowed the students to organize a small group and to promote active cooperation and discussion between them while settling a subject, a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create interests among the students to let them retrieve information. However, at the cooperative learning, they need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s and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more, so that teachers are demanded to present suitable subjects enough to meet the students' level and to suggest solutions and they need to reflect on themselves continuously and shall adjust learning results carefully and do finishing activities systematically. On the other hand, systematic and various materials need to be collected to give common students the cooperative learning so that long term and continuous learning models are required.

      • 전문가와 일반인의 환경위해도 인식 차이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장은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환경문제에 대한 위해도 인식을 조사하여 두 집단간의 의견 차이점과 합의점을 파악하고 위해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773명의 일반인과 353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000년도 3월과 4월에 걸쳐 구조화된 질문서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인 환경문제 항목들은 환경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것들로서 현재 우리나라 환경분야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제기되어지고 있는 문제들로 구성되어져 있다.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세부 환경문제에 대한 위해도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인이 전문가에 비해 환경문제의 위해성을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규제 필요성에 대해서도 일반인이 더 엄격한 정부의 규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여 일반인이 전문가보다 환경문제의 위해성에 대해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해도 인식과 정부의 규제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었는데 즉, 위해도가 심각하게 나타난 문제일수록 정부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전문가집단과 일반이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위해도가 심각하게 인식되면서 동시에 정부의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된 문제는 ‘자동차 배기가스’, ‘공단의 대기오염 배출물질’, ‘산업폐수 및 기름유출로 인한 해양오염’,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대기오염’, ‘가정, 공장 및 축산폐수유입으로 인한 지표수의 오염’, ‘지하수오염’, ‘공장 및 병원폐기물’, ‘쓰레기 및 음식찌꺼기’, ‘농약유입으로 인한 지표수오염’으로 나타나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관리방안은 우선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주요 위해도 인식의 차이를 보면, 건강상태와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정도는 일반인보다 전문가집단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부의 환경오염 개선을 위한 노력정도와 환경오염 개선규제, 기업체의 환경관리 노력에 대해 일반인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인이 문화적요인 중 법치주의, 개인주의, 경제개발주의에 동의하는 성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전체 위해도 인식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관련요인은 건강문제 관심도, 환경상태 만족도, 환경오염도 인식, 환경문제 관심도, 정부의 환경오염 개선노력, 환경오염 개선 규제, 기업체의 환경오염 개선 노력,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경험, 위해 감소용이 성과 문화적 요인 중 법치주의, 평등주의였다. 위해도 인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피해경험,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이었고, 일반인은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과 피해경험, 건강문제 관심도, 법치주의, 가구 월평균 총소득 순에 따라 위해도의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가들은 피해경험, 위해 감소용이성, 성별, 환경오염도 인식,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 기업체의 환경관리 노력에 따라 위해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현시점에서 주된 문제점으로 제기되어지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한 일반인과 전문가집단의 위해 인식도의 의견차이점과 합의점을 조사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고 위해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관련요인에 대한 조사가 앞으로 계속 되어 전문가와 일반인 사이의 정보전달 및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기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Difference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risk perception towards major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between general public and environmental exper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to samples from general public and environmental experts during March and April, 2000. Total number of reponses were about 1,126 including 773 general public and 353 experts. Risk perception toward 26 environmental issues were rated with the need to regulate each issue, knowledge, controllability, experience, political views, interest in environmental problem, satisfaction level of environment, interest in health, health status, socio-demographic,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in Korea, and culture predisposi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 between general public and experts. Overall, general public were tend to be perceived risk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as society's need to regulate these problems more risky than experts. The issues posed higher riskiness in both risk perception and need to regulate were 'automobile exhaust', 'industrial air pollution'. 'ocean contamination by industrial waste and oil exhaust, 'air contamination by chemicals', 'surface water contamination by waste from household, industrial, and live-stock animals', 'groundwater contamination', 'industrial and hospital waste', 'surface water contamination by pesticide', and 'sewage and food waste'. Consequently, it seems that prior management on theses issues is urgently needed. Risk percep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need to regulate, it means that higher risk perception was posed as the higher its perceived risk. General public posed more higher score in the aspect of health status, interests in environmental problem and showed negative response to political view than experts. Also, among cultural disposition, they were tend to more agree with hierarchist, individualist, and technological enthusiasm. The factors exhibited high correlations with risk perception were interest in health, satisfaction level of environment, political view, knowledge, experience, controllability, hierarchist, and egalitarian. The factors mostly associated with overall participant's perception of health risk were knowledge, experience, gender, and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Korea. In addition, interest in health, part of respondents, and controllability were also associated with the risk perception. Thus, perception of the risk of environmental problems increases as knowledge of impacts increases, harmful experience is increases, some one is women, the level of severity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Korea is increases, someone is more controllable,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is increases, and someone is general public. A consequence of the general public's concerns and it's difference to that of experts has been increased in attempts to inform and educate people about risk. And risk perception research ha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such educational efforts. Therefore, by recognizing the potential divergences and area of agreement in perceived risk between general public and experts, the risk communication and risk education can be emerging a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to develop policies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ealth. This study indicates potential divergences in perceived risk between the views of general public and experts that can lead to controversy over risk management priorities. These divergences also suggest areas where dialogue between experts and general public is needed. Therefore,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of risk information among different groups and to provide effective risk management on environmental issues in Korea, further studies in risk perceptions are strongly needed.

      • 교회내 교회교육전문가 제도정착과 수용에 관한 연구

        옥창원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를 통하여 지금까지 교회내 교회교육전문가 제도정착과 수용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았다. 교회교육전문가는 교회공동체에 있어서 교회교육을 위해서 꼭 필요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등한시되고 소외되었던 것은 사실이다. 한국교회공동체가 관습적으로 시행해오던 비전문가인 목회자 견습생(신학대학원 재학생)에게 교회공동체의 교육에 대한 전권을 부여하는 잘못된 관행이 결국 교회교육전문가인 교육사 제도를 발목을 잡고 딜레마에 빠지게 만드는 그 원인이 되고 말았다. 신학대학원 재학생인 교육실습생에게 교육전도사라는 이름으로 교회헌법에도 없는 직제를 만들어 관행처럼 되어온 제도가 순수한 의도에서 교육을 생각하고 교육철학을 가지고 제도화하려는 교육사제도가 현실의 벽에 부딪쳐 결국 사문화 규정이 되었다. 하지만 교회교육전문가는 역사적인 정당성과 기능적인 정당성을 통해 교회공동체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존재이며 교회공동체에 구심점의 역할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였던 것이 역사적 정당성을 통해 밝혀졌다. 교회공동체에서 교회교육전문가는 기능적으로 유기적인 관계성을 가지고 지체 간에 연결하고 통합화하고 교육을 통하여 교회다운 교회공동체로 이끄는 견인차역할을 한다. 기능적인 고찰을 통해 살펴본바와 같이 교회교육전문가는 교회공동체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한 요소로서 교회공동체의 지체이고 몸의 일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교회공동체는 여전히 비전문가가 교육을 담당하는 역행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교회교육전문가는 교회교육에 있어서 전문가로서 교회 내에서 역사적으로 이미 정당하게 존재하였으며 기능적으로 항상 존재해야할 필요성이 교회공동체에서 요청이 되어왔다. 교회교육전문가에 대한 유형과 각 나라별 이해를 보더라도 독일의 경우, 미국의 경우에서 살펴보았듯이 교육사제도는 그 분명한 자리매김과 제도권내 잘 정착을 하고 있었음을 볼 수가 있었다. 독일은 아예 공교육 제도권 안에 존재하여 독일 바이마르 헌법이 이미 종교교육을 교육적인 가치로 국가가 보장하였으며 공교육 종교교사가 그 교육적 임무를 수행하고 직접 관장한다. 교회제도권내에 심지어 공교육제도권내에도 잘 정착하고 있는 교회교육전문가의 유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독일과는 약간 다른 출발을 하고 있지만 미국은 정교분립으로 말미암아 기독교교육의 중심이 제도권 공교육에서 다시 교회공동체로 환원되었고, 교회공동체는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 교회공동체의 교육관중심으로 기독교교육을 위한 교회교육전문가로서 교육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것이 미국 교육사제도의 모토가 되고 그 태동의 한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각 유형과 그 이해를 살펴보더라도 교회교육전문가는 교회공동체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한 존재라는 것을 그 유형과 이해를 통해서도 증명되기도 하였다. 반면에 한국의 교육사제도는 교단별로 많은 관심과 열정을 과시하는 듯 하였지만 결국 끓는 냄비에 불과했던 것이 1990년대의 일이 되었다. 현재 교회교육전문가로서 교육사제도는 과거의 역사 뒤안길로 들어가고 교육사제도는 마치 시체나 다름없는 식물상태가 되었다. 다른 유형의 나라에서는 교회교육전문가로 교육사가 아직도 건재하고 계속 융성하게 발전하는데 한국의 교회공동체의 입장은 그렇지 못하다. 교육사제도가 이제 사문화규정이 되어버리고 교단적인 관심도 없고, 더더욱 교회공동체에서는 아예 이름조차도 회자되지도 않는 천덕꾸러기 신세가 되어버렸다. 10년 동안 교육사제도를 계속 연구도 하지 않고 문제점 진단과 해결 노력도 하지 않은 기독교교육학계의 책임도 어쩌면 일말의 책임도 없지 않아 있겠다. 이제 교회교육전문가로 교육사가 다시 부활하려면 제도적인 정비가 요청된다는 것이다. 개별교단 중심으로 되어 있는 직제를 기독교교육연합회 내지 기독교교육학회 중심으로 교회교육전문가로서 교육사에 대한 선발, 감독, 교육, 자격인증제등을 협회에서 그 고유한 권한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집행해야 할 당위성을 가진다. 그렇게 되었을 때, 기독교교육학을 전공하는 전문가 집단이 생존하는 한 방법이 되기도 한다. 만약 교육사제도가 다시 잘 정비되고 정착된다면 해당학과도 존립되고 교회공동체도 교육적인 질적 향상으로 이바지할 좋은 양분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당면한 과제는 결국 교회교육전문가로서 교육사제도의 활성화일 것이다. 교육은 100년의 미래를 내다보듯이 교회교육을 염두에 두는 교회공동체 역시 그 100년 이상의 미래를 위해서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고작 10년 만에 패착이 되어서는 결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제 무덤 속에 있는 교육사제도를 끌어내고, 원기를 넣고 회복케 하는 것이 바로 우리의 당면과제이고 활성화의 방향이 되어야한다. 막연한 기대감에 그냥 둔다는 것은 교회교육에 대한 의무를 너무 소홀히 여기며 비겁하고 무책임한 행동이겠다. 교육사제도의 부활을 위해서 기독교교육학과, 기독교교육학회, 긍정적으

      • 專門家의 民事責任에 관한 硏究 : 建築士를 中心으로

        이종일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은 분업의 시대이고 또한 전문가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전문가라 함은 특정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거나 특정 직분에 종사하여 특히 그 분야에 정통한 사람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전문가가 전문가로서 부담하는 책임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고, 그 중에서 특히 건축사가 부담하는 민사책임과 건축사에 대해 전문가책임을 인정하여 특칙에 제정할 때 고려되어야 할 내용에 관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문가가 자신의 전문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의 과실로 일반 국민에게 피해를 가하게 되는 경우에, 일반 국민의 입장에서는 저눈가를 상대로 권리를 구제 받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설령 구제를 받게 된다고 하더라도 만족할만한 성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일반인의 입장에서 권리구제가 되기 어려운 현실을 입법과 해석을 통하여 해결할 필요성이 있으며, 전문가의 입장에서도 혹시 있을지 모르는 책임부담을 이유로 자신의 업무에 최선을 다하기보다는 자기 방어적 업무처리의 위험성이 있다는 점에서도 일반인인 이뢰인과 전문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공평한 위험부담의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전문가책임에 있어서는 주로 의뢰인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전문가의 귀책사유의 입증과 인과관계의 입증이 지나치게 까다롭다는 것이 문제가 되므로, 기존의 증명책임에 관한 논의와 증명책임의 완화 내지 경감 방법에 대한 외국의 태도 및 우리나라에서의 논의를 살펴보고 특히 전문가책임에서 전문가의 과실을 입증하기 위해 다른 동종의 전문가가 증언하는 경우 그 증언을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는 건축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건축사의 주된 업무인 설계와 공사감리가 과연 잘못된 것이었는지 그리고 의뢰인의 손해에 영향을 어떻게 미쳤는지를 밝히는 것이 건축사의 책임을 묻는데 핵심이 된다. 또한 재판에서 건축사의 설계 드으이 잘모소디었다느 ㄴ증언을 다른 건축사가 한 경우 법관은 어떠한 판단을 하여야 하는가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현재는 기존의 책임법과 증거법에 따라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권리구제 방식은 일반인에게 지나치게 불리하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특칙을 두어 증명책임과 위험부담을 공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건축사의 손해배상에 관한 특징의 제정을 촉구하며 그 특칙의 내용으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것을 통하여 현재 존재하거나 앞으로 존재할 우려가 있는 건축사와 의뢰인 사이에 분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division of work and specialization can be the features of the modern society. In this paper, a professional refers to a person who have studied in particular field or have engaged in specific job and be specialized in that field of job.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existing arguments on the liability of the professional and especially to look over the contests which must be considered to stipulate the civil liability and the professional's liability of construction estimator. When a client is intentionally or accidentally harmed by the professional who is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his job, it is difficult for the victim to get the remedy for his harmed rights against the professional. And though their rights are restored, it is not quits helpful to them. So it is good use for common people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the legalization and interpretation, and it is also required for the professional to allocate the risk properly between the client and the professional with which both can be satisfied, lest the professional should carry out their mission passively for fear of taking the burden of liability. In case that there happened any damage to the client, the most difficult thing in imposing the professional of liability is to prove the fault of the professional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fault and the damage(causation). The same is the case of construction estimator. Whether there was any fault of him in drafting and supervising and gow the fault caused the damage is the key point to inflict the compensation on the professional. Till now, the matter is so unfavorable to the common client that it is desirable to allocate the risk and the burden of proof properly between client and the professional by providing some specific rules. By doing this, the exsting and possible disputes can be easily settled.

      •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모델 개발

        김현정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에 대한 구성개념을 확립하고 이를 기초로 자기관리 측정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연구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구성개념 분석 둘째,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모델 개발 셋째,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모델 타당성 검증이다.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구성개념 분석은 158명의 뷰티 서비스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귀납적 내용분석과 뷰티 서비스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여 심층적인 자기관리 구성개념을 탐색하기 위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구성개념 결과를 기초로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모델을 개발하고 나아가 개발된 측정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측정모델 개발과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뷰티 서비스전문가 412명을 임의표집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상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 질문지와 FGI를 기초로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구성개념은 건강관리, 대인관리, 외모관리, 기술관리, 비대면관리, 지식관리의 6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구성개념 분석결과와 전문가집단회의를 기초로 한 6개요인 59문항의 뷰티 서비스전문가 자기관리 측정모델의 초기 문항을 완성하였다. 초기 문항에 대한 구인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FA),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한 결과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모델은 건강관리 4문항, 기술관리 3문항, 비대면관리 4문항, 외모관리 5문항, 지식관리 5문항의 6개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된 자기관리 측정모델을 최종 개발하였다. 셋째, 최종 개발된 6개요인 25문항의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 측정모델은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의 구성개념 타당도와 준거타당도를 실시하였다. 집중타당도 검증은 요인부하량의 유의성, AVE(평균분산추출), 개념신뢰도를 분석하여 모든 지수가 충족되었으며, 잠재변수의 AVE 지수가 잠재변수 간 상관관계 제곱인 결정계수( )보다 높아 집중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준거타당도 검증에서는 개발된 자기관리 측정모델이 연령, 전공영역, 직급, 경력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평균 차이를 분석하고 Scheffe’s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관리 일부 하위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하게 집단 간 평균차이를 나타냈으며, 대체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직책이 원장/대표의 관리자 일수록, 경력이 높을수록 자기관리 하위 요인에 평균치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관리 측정모델이 조직몰입과 자기효능감과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구조방정식모델을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 모든 하위요인과 직무몰입, 자아효능감 간에는 통계적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모델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GFI, CFI, IFI, RMR, RMSEA 지수가 모두 충족되어 타당한 구조모델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뷰티 서비스전문가의 자기관리에 대한 구성개념 정립은 물론 자기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뷰티산업 영역에서 학문의 확장과 더불어 다양한 사회 심리적 변인들과의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의료분야 전문가주의와 건축분야 전문가주의 비교분석

        정태종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typical professionalism organized in Western around 19th century was formed based on expertise knowledge and internal educational system and became an autonomic organization that exists for publicness with exclusiveness approved by government. Medical professionalism and architectural design professionalism have developed diverse characteristics throughout their history; the common characteristics are expertise of basic background knowledge, educational system to manifest expertise, the exclusiveness and autonomy from government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n organization, and the public nature of practising public good and ethics. The Western professionalism played a huge role in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odern nation. By contrast, Korea has imported the Japanized Western professionalism in 1900s and it was adapted by governmen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hile Western professionalism was spontaneous and autonomous, the Korean professionalism was set by government, giving it corporative characteristic, and therefore led to strong governmental regulation and restriction. Early Korean professionalism in medical and architectural design was firmly established based on strong authority and monopoly. Over time, stricter governmental regulations and appearance of consumerism weakened the professionalism but medical field still maintains its professionalism better than that of architectural design. This is comparison between professionalism in medical and architectural design field, with three requirements: basic requirement of expertise and systemicity, structural requirement of exclusiveness and autonomy, and the requirement of attitude, the publicness.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knowledge in each field, which is the basic background of professionalism, advanced along with each field’s academic development. The medical professionalism adapted by Korean government in the early period of modernization evolved from reinforced expertise and subdivision to integration and unification as economy grew and society changed. In comparison, architecture was divided into architectural design, construction, structure, and facilities. Additionally, in architectural design field, along with the subdivision of architecture, urban, landscape, and interior architecture, it was separated and it formed independent, integrated and generalized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system. From the systematical point of view, Korean architectural design field has changed profoundly from its previous system focused on architectural engineering as 5 year undergraduate educational system was introduced with Korean architectural accreditation in 2008. This led to formation of unified education system connected to administrative education and architects qualifying examination. The architectural design field faces various difficulties in unifying the organization, such as internal competition caused by tightened architect’s requirements, along with external problems from architectural design permission demands of construction companies and installation field. To solve the issue of exclusiveness, reinforcement of expertise and adjustment of architect’s organization are necessary. In both medical and architectural design field, with the appearance of consumerism and stricter governmental regulations, the autonomy,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is weakened. The publicness, which is the basis of existence of professionalism, is approved through health service in medical field and safety and the public domain in architectural design field, but in reality the professionals are viewed as economic interest groups. Hence, the professionalism in architectural design is required to reinforce ideology and ethics, and to practise concrete measures to express publicness. Current Korean medical field became extremely subdivided and specialized in each department, therefore integration of each disease and establishment of centers are proposed as solutions. In addition, excessive quantity of supply and over-education of specialists cause side effects of excessive medical service performed by professionals. By contrast, the reinforcement of expertise in architectural design is necessary to suppress the construction companies’ attempts to include architectural design in the business territory, strengthen the weakened autonomy caused by governmental restriction, and to form architectural culture and secure public architecture. After examining the problems of expertise and system in medical professionalism, the appropriate constitution of architects in the future expertise and subdivision in architectural design professionalism would be the majority of general architecture and the minority of specialized architecture. Also, to strengthen the expertise in architectural design field, the expansion of the work field and responsibility of architect who is in charge of the whole architectural process, the mediation and administration in the designing process, the construction supervision are necessary. The architectural design professionalism should develop into a neo-professionalism based on expertise formed with integrated and specialized knowledge from related academic fields, appropriate autonomy and publicness from improved relations with government and consumerism. 19세기에 서양에서 본격적으로 형성된 전형적인 전문가주의는 분야별 전문적 지식과 내부 교육과정을 기초로 조직을 형성하고 정부의 인정 하에 집단의 배타성을 확보하여 그 자율성을 기반으로 사회의 공공성을 위하여 존재하는 조직이 되었다. 의료분야와 건축분야 전문가주의는 분야별 전문가주의 형성과정을 통하여 여러 가지 특성들이 나타났는데 공통점을 살펴보면 전문적 지식의 배경인 전문성과 전문성의 발현인 교육체계성, 전문가주의의 조직형성과 정부와의 관계에서 발생한 자발적인 조직 관리인 배타성과 자율성, 그리고 공공선과 윤리의 실천인 공공성 등이다. 서양의 근대사회에서 본격적으로 형성된 전문가주의는 서양의 근대사회의 형성과 발전에 커다란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1900년대 전후 일본화된 상태의 서양 전문가주의가 수입된 한국 전문가주의는 근대국가 형성시기에 국가 주도로 정착되었다. 서양의 전문가주의가 자발적이고 자생적인데 비하여 한국 전문가주의는 국가 정부에 의하여 외국에서 수입된 조합주의적 성격이 강하며 이로 인하여 정부의 규제가 발달되어 있다. 설립 초기의 한국 내 의료분야와 건축분야 전문가주의는 의사와 건축사라는 법적 배타성의 보호 아래 강력한 권위와 독점적 위치로 인하여 사회적, 경제적으로 확고하게 정착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전문가주의는 정부의 규제 강화와 소비자주의의 출현으로 전반적으로 약화되고 왔으나 의료분야 전문가주의는 건축분야 전문가주의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전문가주의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내 의료분야와 건축분야 전문가주의를 전문가주의 속성인 기본적 요건의 전문성과 체계성, 태도적 요건의 공공성, 그리고 구조적 요건의 배타성과 자율성을 중심으로 공시적 관점과 통시적 관점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전문가주의의 기본적인 배경이 되는 각 분야의 전문적 지식의 발달은 사회와 각 분야 학문의 발전에 따라 전문성이 강화되어 왔다. 한국의 근대국가 형성초기에 정부에 의하여 주어진 전문가주의는 경제발전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의료분야는 전문성이 강화되고 세분화되었고 현재는 종합화와 통합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건축분야는 건축에서 건축설계, 시공, 구조, 그리고 설비 등으로 분화되었고, 건축설계분야는 건축, 도시, 조경, 실내건축 등 세분화와 더불어 분리, 독립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현재는 통합화되고 일반화된 교육체계와 실무체계가 형성되었다. 전문가주의의 체계성 관점에서 보면 한국 건축설계분야는 2008년 한국건축학인증으로 5년제 학부 교육체계가 도입되면서 건축공학 중심의 기존 체계에서 크게 변화되었고 이를 계기로 건축실무교육과 건축사 자격시험과도 연결된 단일 교육 체계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전문가주의 존재 근거 요소인 공공성은 의료분야에서는 공공의료를 통하여 그리고 건축분야는 안전과 공공영역 확보를 담보로 인정받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경제적 이익집단으로 비춰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건축분야 전문가주의는 이데올로기 및 조직 윤리를 강화하고 공공성을 발현하는 구체적 방법을 실천하도록 요구된다. 건축설계분야는 건설회사와 시공분야의 건축설계 허용 요구라는 외부적 문제와 함께 건축사 자격의 강화로 인한 조직 내부의 경쟁과 조직의 단일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배타성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건축설계분야의 전문성 강화와 건축사 조직체계의 조정이 필요하다. 의료분야와 건축분야 모두 소비자주의의 출현과 더불어 한국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전문가주의의 주요한 요소인 자율성이 약화되고 있다. 현재 한국의 의료분야는 진료과목별 극단적인 세분화와 전문화 상태가 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질환별 종합화와 센터화의 변화과정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나친 양적 공급과 과잉교육의 전문의제도로 인하여 전문가의 과도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의료분야와는 다르게 건축분야의 전문성의 강화와 확대는 단순한 건축설계 지식의 세분화가 아니라 건축설계의 전문성을 통하여 시공회사들의 건축설계를 업무영역에 포함하려는 시도의 억제, 정부규제를 통한 자율성 약화의 극복, 그리고 건축문화 조성과 건축의 공공성 확보 등의 전문가주의 유지의 기초적인 역할이 가능하다. 의료분야의 전문가주의의 전문성과 체계성의 문제점을 살펴볼 때, 향후 건축설계분야의 전문성과 세분화는 분야의 특성상 나타나는 종합화되고 통합화된 지식의 기초 하에 특정 전문분야의 지식을 포괄하는 구성이 타당하다. 건축설계분야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건축과정을 총괄하는 건축사의 업무영역과 책임의 확대, 건축설계과정의 조율과 관리, 그리고 명확한 감리의 역할이 필요하다. 건축사로 대표되는 건축분야 전문가주의는 연관된 분야 전문지식과의 융합을 통한 종합화되고 전문화된 학문을 배경으로 하는 전문성과 정부와 소비자주의와의 관계개선을 통한 적절한 자율성과 공공성을 형성하여 새로운 신전문가주의로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 상담전문가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손재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활동하는 상담전문가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체계적 돌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직업정체성은 심리체계 내 하위체계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는데, 이 심리체계는 개인, 가족, 동료, 전문가 단체, 사회제도, 문화, 자연이라는 하위체계들로 구성된다. 상담전문가의 직업정체성은 심리체계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지만, 상담전문가는 자신이 속한 전문가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존재이기도 하다. 이 연구에서는 상담전문가의 직업 선택 동기와 직업 유지를 위한 자원이 무엇인지, 이들은 직업 활동에서 어떤 위기를 경험하며 그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 가는지, 이들의 직업정체성은 심리체계 내에서 어떻게 구성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한국에서 활동하는 상담전문가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자료 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89개의 의미 단위로 구분하고, 이를 20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분류하여, ‘직업 선택의 동기’, ‘직업적 위기의 경험’, ‘위기 극복과 직업 유지의 자원’, ‘상담전문가로서의 성장 경험’, ‘체계 변화를 위한 제언’이라는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상담전문가의 직업정체성 형성과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전문가는 사람에 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이들을 돌보는 것에서 자기 삶의 의미와 즐거움을 추구하며, 성취와 성장에 대한 욕구를 바탕으로 전문가로 성장해간다. 둘째, 상담전문가의 직업적 위기는 경제적인 어려움, 자기능력에 대한 한계, 내적 동기의 상실, 제한된 임상현장의 어려움, 열악한 사회적 환경, 그리고 교육과 임상훈련의 격차로 인해 경험한다. 셋째,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직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삶과 전문적인 삶의 균형을 찾는 것이 필요하며, 가족, 동료, 전문가 단체의 지원을 받으며 자연과 놀이를 통해 쉼을 얻을 수 있는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넷째, 상담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과 상담전문가의 직업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상담전문가로 성장해간다. 다섯째, 체계 변화를 위해서는 국가 제도와 정책이 개선되고, 전문가 단체가 변화되며, 한국적 상담의 생태계가 갖추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상담전문가는 자기능력에 대한 유능감을 추구하는데, 이 과정에서 경험하는 열등감을 열정으로 승화시켜 한계를 극복하고 전문성을 발달시킨다. 상담전문가는 관계를 추구하는데, 충분한 훈련과 자기 성찰 과정을 거치면서 견고하게 응집된 직업정체성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내담자에게 돌봄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상담전문가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문가로 성장하여 다른 사람을 돕는 역할을 하기로 자율적으로 선택하였으므로 자신의 직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상담전문가는 직업 활동을 유지하면서 자신을 둘러싼 직업적 환경인 심리체계 속에서 여러 가지 위기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이 직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은 역설적이게도 이 심리체계이다. 그러므로 상담전문가에게는 심리체계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하위체계의 복잡한 역동을 이해하는 능력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개인뿐 아니라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가치를 지켜야 하는 책임이 상담전문가에게 있다. 신학적 상상력을 가진 기독(목회)상담전문가는 심리체계의 장에서 에너지의 흐름이 효율적이며 창조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소명으로 여겨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ystematic care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of counseling specialists in Korea. The occupational identity is formed in interaction of subsystems within the psychosystem, which consists of person, family, peers, expert organizations, social systems, culture, and nature.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counseling specialists is formed in the dynamics of the psychosystem, however counseling specialists also have the ability to influence the group identity forma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 what is the motivation for occupational choice, and what are resources of job maintenance for counseling specialists? What kind of crises do they experience in their occupational activities, and how do they overcome the crises? How is their occupational identity structured within the psychosystem? To this end, the case study method is used, and three counseling specialists in Korea a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Using the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are divided into 89 meaning units, clustered 20 sub-components, and they are finally derived 5 components : ‘motivation of occupational choice’, ‘experience of occupational crisis’, ‘resources of overcoming crisis and maintaining occupation’, ‘experience of growth as a counseling specialist’, and ‘suggestion for system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tional identity formation of counseling specialists are as follows. First, counseling specialists cares people based on the interest in people, pursue the meaning of their lives and joy by caring people with attention, and grows into an expert on the basis of desire for achievement and growth. Second, counseling specialists experience their occupational crisis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limitations on self-competence, loss of intrinsic motivation, difficulties in limited clinical sites, poor occupational conditions, and gaps in education and clinical training. Third, in order to overcome these crises and maintain the occupation, it is necessary for them to find a balance between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and an advocacy system is necessary for them to have a rest in nature and recreation with getting support from family, peers, and expert organization. Fourth, trying to develop professionalism, counseling specialists grow through a process of finding the occupational identity. Fifth, for a system change, a national scheme and policies should be improved, the expert organizations should be changed, and a suitable counseling system for Korea should be established. Counseling specialists pursue a sense of self-competence, and they sublimate a sense of inferiority which was experienced while processing into enthusiasm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overcome limitations. Counseling specialists also pursue a need for relatedness. They form a cohesive self through sufficient training and self-reflection process, and provide care. Most of all, counseling specialists can maintain their careers since they have autonomically chosen to overcome limitations and to grow into an expert to help others. While maintaining their careers, counseling specialists experience various crises in working environmental psychosystem. Paradoxically, it is the psychosystem that supports to overcome these crises and continue their careers. Therefore, counseling specialists nee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complex dynamics of the subsystems that interact within the psychosystem, and it is their responsibility to protect the public interest and social value as well as the individual. For a Christian/pastoral counseling specialist having a theological imagination, the role that helps efficient and creative flow of energy occur should be regarded as a calling in the field of the psychosystem.

      •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및 흥미 분석

        송혜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rothy Heathcote 's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mprovement of science attitude and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rst, we developed educational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Second,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rama classes using 'Mantle of the exper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 Third,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ntle of the expert' on the interes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drama.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3 students of 5th graders of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daemun gu, Seoul. It studied ‘Temperature and Heat’ in the part of ‘Materials and Energy’ and ‘Solar Systems and Stars’ and ‘Structure of Plants and its Features’ in the part of ‘Life and Earth’ from the textbook revised in 2009. It performed 11 times for the plays in total. After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the Mantle of the Expert, it analyzed the students’scientific attitude using daily records of the classes, consulting materials, movies and pictures taken for the classes and activity journal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connected the play activity to the role play and helped students to concentrate into various jobs related science so that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uld be meaningful. The classes were formed so that the students actually live as a professional person. The classes are composed of the courses of ‘opening mind’, ‘suggesting the context’, ‘selecting a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 and making it mine’, ‘performing the role of a professional person’and ‘discussion’. Second,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positively affec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attitudes such as curiosity, cooperation, and positiveness. They could be a responsible scientist understanding the society that is related to science through the activities and do the job with the sense of purpose by wearing the gown of a professional person. Third, the educational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fter the classes it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students. It found that the number of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science has increased after the classes and they had positive idea about the educational paly activities.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suggested the specific method of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proved the effici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based on educational play.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to build and activate various subjects of scientific educational play classes, the educational play class using Mantle of the Expert and scientific attitude in the future researches. 본 연구는 Dorothy Heathcote의 '전문가의 외투'(Mantle of the Expert)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와 흥미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을 개발하였고,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동대문구에 소재한 H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2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9 개정 교과서의 물질과 에너지 영역 1개 단원(온도와 열), 생명과 지구 영역 2개 단원(태양계와 별, 식물의 구조와 기능) 1~3차시씩 5회기, 총 10차시를 실시하였다.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이 이루어진 후 교사․학생의 수업일지, 면담 자료, 비디오 촬영 및 전사 자료, 활동지 등을 활용하여 나타나는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학생이 유의미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놀이 활동과 역할 입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이 과학에 관련한 다양한 직업들을 인식하고 역할에 몰입하여 활동하는 것을 바탕으로 ‘살아보기’를 경험하도록 구성하였다. ‘마음 열기’, ‘맥락 제시’, ‘전문가 역할 선정 및 내면화’, ‘전문가의 역할 수행’, ‘정리’의 5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둘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태도 중 호기심, 협동성, 적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역할을 입고 활동하는 것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고 과학자로, 과학과 관련한 직업인으로 활동하는 경험을 통하여 과학과 관련한 사회를 이해하고, 목표 의식을 갖고 활동할 수 있다. 셋째,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교육연극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에 기여한다. 수업 후 인터뷰 및 설문지 결과 수업 후 과학에 대한 흥미를 보이는 학생들이 늘었고, 교육연극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외투' 수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 교육연극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의 태도 부분의 효과성을 입증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과학과 교육연극 수업, '전문가의 외투'를 활용한 수업, 과학적 태도 부분을 함양하고 활성화하는 방안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