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인식도 조사

        김지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51

        2005년 황우석 박사 사건을 계기로 국내 보건의료계 및 생명윤리학계는 임상연구 윤리문제와 심사제도의 제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임상시험은 사람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연구의 윤리적인 배려가 우선이고 과학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임상시험심사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에 대한 인식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이 연구는 국내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연구대상은 임상시험실시기관 13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연구자들과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서 현재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위원들 중 설문조사에 참여한 16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차 자료 수집은 2006년 4월 20일부터 4월 27일까지, 2차 자료 수집은 2006년 5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SAS 8.1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모든 문항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며, 특정변수를 이용하여 인식 수준을 측정한 후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구목적에 맞는 변수는 카이제곱 검정을 시행하였다.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연구 대상자는 남자 84명, 여자 84명으로 이들의 연령은 30-39세가 43.4%로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의사가 58.9%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61.3%가 임상시험 경험이 있었고, 28.0%가 2년 이내의 임상시험 경력을 가졌다. 현재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관련 직위로는 기관 내 임상연구자가 대상자의 31.0%로 가장 많았고, 기관 내 전문가위원은 14.9%였다.둘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해서는 대상자의 60.1%가 기관 내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했고, 63.1%가 기관 외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으며, 46.7%가 기관 내 또는 기관 외 교육을 모두 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기관 외 교육을 받은 연구자 중 대한임상심의기구협의회 주관의 교육을 받은 경우는 31.0%로 나타났다.셋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인식도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심사위원회의 법적, 윤리적 의무에 관한 문항과 역할과 기능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총 15개 평가 문항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총점 20점으로 변환 측정하여 18점 이상을 인식이 높다고 평가했을 때, 인식 수준은 최저 1점부터 최고 19점까지였고, 대상자의 78.0%는 인식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넷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현재 심사위원회 관련 직위(p=0.0003), 교육 경험(p<0.001), 교육 경험 회수(p=0.0006)등이었다. 임상시험 경험 및 경력과 연구책임자 경험은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섯째,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전체 대상자의 96.5%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는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향후 교육에 관해 88.7%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국내 임상시험 실시 증가와 더불어, 임상시험관리기준 및 임상시험심사에 관한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 및 그 효과가 기대되므로, 심사위원뿐 아니라 임상연구자 전체를 대상으로 세분화된 교육을 실시하여 국내 임상시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임상시험심사위원회 교육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임상시험 심사의 인증 제도의 도입이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국내 임상시험뿐 아니라 다국적 임상시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정부가 지정하는 임상시험 실시기관과 지역임상시험센터 외에도 임상시험전문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이 증가함에 따라, 표준화된 임상시험 심사를 위한 인증제도의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re have been increasing needs for ethical issues and review systems regarding clinical trials in the public health and bioethics communities of Korea since Dr. Hwang Woo Suk forfeited the research results in 2005. Given that clinical trials are conducted on people and their lives, that the priority is on ethical considerations, and that there is an obvious need for scientific review, it’s important to conduct an investigation into the IRB members’ and investigators’ perceptions of the domestic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This study present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intended to examine the Korean IRB members’ and investigators’ perceptions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and the need for relevant education.The subjects include 168 individuals consisting of the investigators working at one of the 13 hospitals doing clinical trials and the incumbent IRB members. The primary data collection lasted from April 20 to April 27, 2006, and the secondary data collection did from May 1 to May 10, 2006.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with SAS 8.1 for computational statistics. Each item was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and correlations. After measuring the respondents’ perception levels using certain variables,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Then those variables that fitted the research purposes were put to the chi-square test.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First, th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84 men and 84 women. Those who were 30-39 accounted for 43.4%, being the biggest age group. The biggest number of them(58.9%) was a doctor. Of the respondents, 61.3% had an experience of clinical trials, and 28.0% had the experience of clinical trials for two year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roles in IRB, the biggest portion of them(31.0%) worked for an institution as an investigator, while 14.9% did as an IRB biomedical scientist member.Second, as for education about IRB, 60.1% said they had never received such education at their institution, while 63.1% said the same answer for such education outside their institution. In addition, 46.7% received no such education either from their institution or from other institutions. Out of those who received such education outside their institution, 31.0% did the education provid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s(KAIRB).Third, the respondents’ perception level of IRB was relatively low. Their perceptions were evaluated with a questionnaire containing total 15 items, which consisted of those items about the board’s legal and ethical obligations and those about the board’s roles and functions. Their responses were converted into scores, and the full scores were set 20. Assuming that 18 or more scores corresponded to a higher level of perception, 78.0% of them were low in the level and their scores ranged from one, the lowest, to 19, the highest.Fourth,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erceptions of IRB included their roles in it(p=0.0003), educational experience(p<0.001), and collection of education experience(p=0.0006). The experiences of clinical trials, career, and working as a principal investigator(PI) didn’t have any influences on their perceptions.Fifth, 96.5% said that education about IRB was ‘definitely necessary’ or ‘necessary,’ and 88.7%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such education in the future.Based on the results, there are undeniable needs for and effects of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about the Good Clinical Practice(GCP) guidelines and clinical trials review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domestic clinical trials. Moreover, there should be specific research into the improvement measures of IRB education systems so that both the members and investigators can receive segmented education and raise the level of domestic clinical trials.It’s also needed to carefully review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clinical trials review. In recent years, not only domestic but also multi-country clinical trials have constantly increased. The increasing trend can also be observed with the number of institutions conducting clinical trials appointed by the government, local centers of clinical trials, and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s(CRO). At this point the needs for a certification system for standardized clinical trials review cannot be greater.

      • 공동 임상시험심사위원회의 기반 조성 및 운영 방안

        오정민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35

        임상시험심사위원회는 임상시험의 사전 심의를 포함한 윤리적인 감독을 수행하여 피험자를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독립적인 기구이다. 국내 임상시험 활성화와 다기관 임상시험 증가에 따라 심사위원회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동 심사위원회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공동 심사위원회는 불필요한 중복심의를 줄이고 심의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심의의 전문성 강화와 기준의 표준화와 같은 질적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 심사위원회를 중심으로 한 외국의 심사위원회 운영과 관리방안을 조사하고 설문조사와 공청회를 통하여 국내 심사위원회 운영에 대한 현황 및 의견을 조사하여 공동 심사위원회 운영과 이를 위한 기반 조성 방안을 정부의 역할을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동 심사위원회는 각 국가의 의료전달체계 차이에 따라 미국에서 독립적인 사설 기관 및 NCI의 Central IRB, 컨소시움 등 여러가지 형태가 운영되고 있으며, 유럽 및 호주에서는 국가기관의 조직으로, 또한 지역 단위로 운영되고 있었다. 국내에서도 기관별 지역별 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공동 심사위원회가 운영될 수 있으며, 운영 모델로서 민간 차원에서 조직하기 어려운 전문 심사위원회를 비롯하여 필요시 정부기관의 중앙 심사위원회를 운영하는 동시에 민간 심사위원회 활성화에 기초한 상호인정제 운영이 제안된다. 정부에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공하고 공동 심의의뢰 양식 개발, 심사위원회 교육을 활성화하는 한편 공동 심사위원회 구성에 대한 의견을 수합하고 예산을 지원하는 등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 심사위원회를 조속히 도입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국내 실정에 맞는 공동 심사위원회 개발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is independent body whose responsibility is to ensure the protection of human subjects involved in a clinical trial by reviewing the protocol and overseeing ethical aspects of the trial. Increasing clinical trials, especially multi-center clinical trial, in Korea overburden IRB and there is growing demands on efficient alternative models of IRB. Centralized review system could reduce duplicative review, facilitate trial initiation and improve quality of the review. Purpose : To propose model of efficient centralized review system for institutional review board in Korea. Methodology : Centralized review system of developed countries are reviewed and compared to those of Korea. Surve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opinions of clinical trial study investigators, sponsors, IRB committee members, and relevant individuals. Results : There are various models of centralized review system, based on different health care system of respective countries : independent, for-profit IRB, NCI’s central IRB and consortium of institutions in United States and established centralized review system on national level in Europe and Australia. Centralized review could be operated in various form based on the institutional and regional condition in Korea. Governmental central IRB could be operated for particular professional fields or in the case of lack of resource. On the other hand, institutions could voluntarily activate mutual recognition program.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centralized review system by developing specific guideline, making standardized application form,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 making consensus and allocating budget. Conclusion : Alternative model of IRB like mutual recognition should be considered and regulatory considerations for alternative models should be discussed for consensus sooner.

      • 중앙임상시험심사위원회(중앙 IRB) 인식조사연구

        박예진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19

        한국은 21세기 이후 임상시험 분야에서 질적·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국내 임상시험 건수는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으며 다기관 임상시험 또한 활성화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2022년, 중앙임상시험심사위원회(이하 중앙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등장으로 한 번의 심사로 다수 기관의 심사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행정 부담을 경감하여 신약개발의 가속화와 환자의 치료기회 확대가 기대되었다. 그러나 현재 업계전반에서 중앙 IRB의 활용이 활발하지 않으며 중앙 IRB 운영현황 및 통계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상시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운영 중인 중앙 IRB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수준을 조사하여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중앙 IRB를 사용하여 IRB 심사 접수한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30대가 51.7%로 가장 많았으며, 경력은 3~5년인 대상자가 31.7%로 가장 많았다. 직무는 Clinical Research Associate(CRA)인 경우가 46.7%로 가장 높았으며 소속은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인 경우가 48.3%로 가장 많았다. 중앙 IRB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했던 횟수는 2번 이하가 56.7%로 대부분 중앙 IRB 사용경험이 많지 않았다. 전체 만족도 점수의 평균은 2.75±0.69점이였으며 요인별 만족도 점수는 기관실효성이 2.39±0.87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e-IRB 편의성이 2.59±1.04점, 심사기간이 2.87±0.69점, 담당자 전문성 및 소통이 3.08±0.87점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중앙 IRB를 사용 중이거나 사용을 지속할 의향이 있다는 대상자는 55.8% 였으며, 사용지속에 필요한 개선 항목은 기관실효성이 4.21±0.8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e-IRB 편의성이 4.04±0.86점, 담당자 전문성 및 소통이 4.03±0.86점, 심사기간이 3.93±0.89점 순이었다. 대상자 연령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연구경력에 따른 전체 만족도 차이는 1년 이하이거나 10~20년의 경력자가 3~10년의 경력자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F=3.641, p=.008). 대상자 소속 및 직무에 따른 만족도 차이에서 병원 및 개인 연구자 소속일 경우 CRO 및 제약사 소속일 경우보다 전체 만족도 (F=18.797, p<.001), 심사기간(F=8.162, p<.001), 기관실효성(F=26.401, p<.001), e-IRB 편의성(F=25.114, p<.001)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높았다. 또한 CRC(Clinical Research Coordinate)일 경우 CRA 및 Clinical Trial Associate(CTA)일 경우보다 전체 만족도(F=12.984, p<.001), 심사기간(F=5.445, p=.002), 기관실효성(F=21.996, p<.001), e-IRB 편의성(F=18.390, p<.001)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높았다. 이처럼 임상시험 실무자들의 중앙 IRB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관실효성 측면에서 가장 저조한 평가를 보여, 중앙 IRB의 심사 결과가 기관 IRB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고 수용되는 과정에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 IRB의 심사 결과를 기관 IRB와 원활히 공유하고 수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조정장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의사소통 체계 강화, 가이드라인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 편의성 증대 등의 노력을 통해 실무자들이 중앙 IRB의 실효성을 확실히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중앙 IRB 제도의 정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public of Korea has achiev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in clinical trial sector since the 21st century. The number of domestic clinical trials has shown a steep increase and multi-center clinical trials have also been vitalized. Against this backdrop, with the introduction of centr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in 2022, a single review process of central IRB streamlined review procedures across multiple institutions. This presented an opportunity to reduce unnecessary administrative burdens, thereby enabling expedited clinical entry of new drugs and expanding treatment opportunity for patients. However, central IRB has not been widely embraced and utilized by the industry and there is a paucity of operational and statistical data regarding central IRB.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trial practitioners who have operated central IRB and propose measures for its vitaliz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ubjects with experience submitting review to central IRB, and data from 120 subject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9.0.2.0 for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one-way ANOVA, and Scheffé test. The largest proportion of subjects was those in their 30s(51.7%) and those with 3-5 years of work experience(31.7%), Clinical Research Associate (CRA) accounted for 46.7%. And 48.3% were affiliated with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CRO). The majority (56.7%) had used central IRB two times or less, indicating limited experience with central IRB system. The overall satisfaction score averaged 2.75±0.69 out of 5, with institutional effectiveness scoring the lowest at 2.39±0.87, followed by e-IRB convenience at 2.59±1.04, review period at 2.87±0.69, and expertise and communication at 3.08±0.87. Only 55.8% of subjects were currently using or intended to continue using central IRB. For continued use, institutional effectiveness was rated as the most crucial area for improvement at 4.21 ±0.81, followed by e-IRB convenience at 4.04±0.86, expertise and communication at 4.03±0.86, and review period at 3.93±0.89. While age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satisfaction score, subjects with less than 1 year or 10-20 years of experience had higher overall satisfaction score than those with 3-10 years of experience (F=3.641, p=.008). Subjects affiliated with hospital or individual investigator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with overall (F=18.797, p<.001), review period (F=8.162, p<.001), institutional effectiveness (F=26.401, p<.001), and e-IRB convenience (F=25.114, p<.001) compared to those affiliated with CRO and pharmaceutical company. Additionally,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CRC)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overall (F=12.984, p<.001), review period (F=5.445, p=.002), institutional effectiveness (F=21.996, p<.001), and e-IRB convenience (F=18.390, p<.001) compared to CRA and Clinical Trial Associate(CTA). The results indicate that clinical trial practitioners have a low satisfaction with central IRB. Particularly, the low score for institutional effectiveness suggests that improvement in effectively communicating and implementing central IRB review result at Institutional IRB is essential. Accordingly, an efficient coordination mechanism is needed to facilitate sharing and acceptance of central IRB result by Institutional IRB. Furthermore, effort should be made to strengthen communication system, develop guidelines and training programs, and enhance convenience. Thereby, practitioners are enabled to fully recognize the effectiveness and utilize central IRB.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mote the substantial utilization of central IRB.

      • 임상시험에서 연구 관련 이해상충 관리를 위한 방안 모색 : 국외 이해상충위원회를 중심으로

        최연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임상시험 분야에서 이해상충은 연구를 왜곡하거나 연구자의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부정적인 연구 결과를 은폐하거나 연구결과의 출판을 제한하는 등 과학발전을 방해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연구대상자 목표례수 충족에 따른 재정적 이해상충이 존재하는 경우, 연구자는 연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연구대상자 선정·제외기준을 왜곡하거나, 충분한 정보에 근거한 동의취득 절차를 무시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 국내 각 기관의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를 통해 이해상충(Conflict of Interest, COI)을 대처하고 있지만 이해상충의 정의 및 분류 기준, 임상시험에서 연구관련 이해상충이 발생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보다 전문적이고 이해상충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전담부서의 운영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국내 기관에 이해상충위원회 운영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IRB 역할 및 이해상충 문제 해결의 한계 등을 살펴봄을 통해 IRB와는 별도로 이해상충위원회 설치 및 운영이 필요한 근거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국외에 설치된 이해상충위원회의 운영규정을 분석하여, 마지막으로 국내기관 이해상충위원회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임상 연구 심의에서의 'minimal risk' 판단 기준

        임인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임상 연구의 심의 과정에서 적용되는 개념인 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선행 연구 및 규정을 검토하여 최소한의 위험 판단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적용 방향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최소한의 위험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러 관련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논의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의 주요 규정 및 지침에 반영되어 있는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사항들을 정리하여 국내 현 규정의 부족한 부분을 제안하였다.임상시험심사위원회가 최소한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때에 여러 가지 해석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우리들 모두가 경험하는 종류의 일상생활이나 일상 검사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절대적 해석에 따르는 것이 가장 일관된 위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일부 사람들이 부당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최소한의 위험을 약간 넘는 위험의 개념은 소아 대상 연구에서 적용되며, 사회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정도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의 실험적 특성으로 인하여 치료적 혹은 비치료적 연구로 이분하여 판단할 경우 피험자의 안전과 복지를 보호하는 데에 한계가 발생하므로, 각 연구가 포함하는 여러 중재 절차들 각각을 고려함으로써 위험과 잠재적 이익을 비교 판단하는 것이 합당하다.이와 같은 논의의 결과가 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판단 기준을 세우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나, 대부분의 국내/외 규정과 지침들은 위험과 이익의 평가에 대한 원칙적 사항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 주요 기관들의 표준작업지침서 역시 이에 대한 고찰 및 적용이 미흡한 상태이다.최소한의 위험에 대한 판단이 사회에 따라, 또는 연구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최소한의 위험과 관련된 개념의 구체적 정의를 내리고 어떤 해석 방법에 따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지를 결정하여 실제 임상 연구의 심의 과정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다. 이는 피험자의 안전과 복지를 보장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 단계인 위험/이익 평가가 합리적이고 일관적으로 수행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recognizing problems about judging minimal risk and of suggesting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by examining the preceding research and regulations on minimal risk, a concept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clinical research. Based on understanding several relevant concep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minimal risk, the issues of discussion related to minimal risk were examined. Also, by arranging issues related to minimal risk, which are reflected in main regulations and guidelines at home and abroad, insufficient parts in the current domestic regulations were pointed out.When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s/Ethics Committees make judgments on the existence of minimal risk, several methods of analysis may be applied. However, following absolute interpretation, which judges based on the daily life or routine test in a manner we all experience, one is presented with the most consistent risk criteria, thereby being able to prevent some people from being exposed to unfair risk. The concept of 'Minor Increase over Minimal Risk' is applied to research targeting children, and is desirable to be decided upon according to a level that can be accepted socially. Given judging by dividing into therapeutic or non-therapeutic research due to the 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 limitation occurs in protecting the subjects' safety and welfare. Thus, it is reasonable to compare and judge the risk and potential benefit by considering each of several procedures that are included in each research.The results of this discussion will be a help in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judgment for minimal risk. However, most regulations and guidelines at home and abroad suggest only the principal issue on evaluation of risk and benefit. Also, even the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for main domestic institutions are in an insufficient state for consideration and application on this.When considering the point that judgment on minimal risk can be applied mutually and differently depending on society or on research, the specific application to the review process of the actual clinical research is required by specifically defining the concept related to minimal risk and by deciding on which method of analysis will be the most reasonable to be conformed to. This will be a help in allowing the risk/benefit analysis to be performed reasonably and consistently, the evaluation being the most basic stage for securing the subjects' safety and welf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