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과 임상적 특성의 연도별 변화

        유순종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일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에서 발생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 및 임상적 특성의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춘천에 소재한 H대학병원에서 2007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6년간 내과계 중환자실과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 환자 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은 100 퇴원 환자 수, 1,000 중환자실 재원일수, 1,000 인공호흡기 사용일수 당 발생률을 구하였고, 인공호흡기 사용비는 중환자실 재원일수를 분모로 하고 인공호흡기 사용일수를 분자로 하여 구하였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이 발생한 환자의 특성도 확인하였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연도별 발생률 비교는 포아송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연도별 인공호흡기 사용비 비교는 카이 선형 대 선형 결합을 사용하였다.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특성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환자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전체 입원환자 총 12,466명 중 남성이 60.8%이었고, 국내병원간호사회의 중증도 점수분포에서는 4군 33.7%, 5군 54.3%로 가장 많았으며, 내과계 환자가 54.6% 이었다. 기구 사용비는 중심정맥카테터는 47%, 유치도뇨관은 75.5%이었다. 2. 2007년부터 2012년까지 6년 동안 발생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환자 수는 총 97명이었고, 2007년 23명, 2008년 16명, 2009년 23명, 2010년 14명, 2011년 13명, 2012년 8명이었다. 100 퇴원 환자수당 발생률은 전체적으로 3.35%이었고, 2009년 4.92%에서 2012년에는 1.73%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12, RR=0.858, 95% CI 0.160-0.815). 1,000 재원일수 당 발생률은 전체적으로 1.23건이었고 2009년 1.75건에서 2012년에는 0.65건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38, RR=0.882 95% CI 0.784-0.993). 1,000 인공호흡기 사용일수 당 발생률은 전체적으로 3.40건이었으며 2009년 4.41건에서 2012년에는 2.01건으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3.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원인 미생물은 인공호흠기 관련 폐렴 환자의 79.2%에서 확인되었고 가장 흔한 미생물은 Acinetobacter baumannii (47.4%)이었고 Pseudomonas aeruginosa 9.3%, Staphylococcus aureus 7.2%, Klebsiella pneumoniae 6.2%의 순이었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은 2007년에서 2012년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발생률의 차이가 없었었지만 2009년 이후 2012년까지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감염관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환자의 특성과 위험요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집중적으로 관리하면 더욱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 단어 :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 연도별 경향, 중환자실 Secular Trends of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the Intensive Care Unit at One University Hospital Yu, Soon Jong 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Technology Directed by Professor Jeong, Jae Sim, RN, Ph.D. Purpose:This study is for providing basic resource of infection control through analyzing secular trends of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t one University hospital. Methods : Study population were 9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VAP at ICU from 2007 to 2012. VAP incidence rate use discharge patients, patient-days, and ventilator-days as each denominator. ICU inpatient and VAP patient's were investigated for surveying clinical charicteristics. We compared VAP rates by Poisson regression. ICU inpatient clinical charicteristics compared by chi-squre test and VAP patient's was compar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 : The overall rate of VAP was 3.35% per 100 discharge patients, 1.23 episodes per 1,000 patient-days and 3.40 episodes per 1,000 ventilator-days. The rate decreased from 4.92 in 2009 to 1.73 per 100 discharge patients in 2012(p=0.012 ,OR 0.858 CI 0.160-0.815), 1.75 in 2009 to 0.65 per 1,000 patient-days in 2012(p=0.038 ,OR 0.882 CI 0.784-0.993) and 4.41 in 2009 to 2.01 per 1,000 patient-days in 2012. The most common isolated pathogens were Acinetobacter baumannii(47.4%) and Pseudomonas aeruginosa(9.3%). Conclusion : The decrease in the rate of VAP can be attributed to infection contorl, which suggests the effectness of infection control. Keywords : Pneumonia, ventilator-associated , Incidence rate, Secular trend, Intensive care unit

      • 인공호흡기 적용 외상환자에서 수정된 각성 및 호흡 훈련 알고리즘 적용 효과 : 예비연구

        이승현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속적인 인공호흡기 사용과 깊은 진정은 오히려 인공기도 발관 및 인공호흡기 이탈의 지연, 중환자실 재실일수의 연장, 섬망,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VAP), 및 중환자실 사망률 증가, 의료비 상승 등 많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진정제의 사용을 줄이고 인공호흡기의 조기이탈을 위해 자발적 각성 훈련(Spontaneous Awakening Trials, SATs)과 자발적 호흡 훈련(Spontaneous Breathing Trials, SBTs)으로 구성된 표준화된 프로토콜인 ABC trials(Awakening and Breathing Controlled Trials)를 기반으로 최신 근거를 반영한 수정된 ABC (modified ABC; m-ABC)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중증외상환자를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적용 외상환자를 대상으로 m-ABC 알고리즘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 후향적 예비조사연구이다. m-ABC 알고리즘은 본 연구자가 기존 ABC trial 및 최신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알고리즘 초안을 작성하고, 전문가를 통한 내용 타당도와 사용자를 통한 안면 타당도 검증, 실무적합성 검증을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된 m-ABC 알고리즘은 병동 간호사 및 의사 교육 후 적용하였고, 자료수집은 m-ABC 알고리즘의 적용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판단된 2020년 3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입원한 환자 중 12시간 이상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외상환자를 후향적으로 EMR을 통해 수집하였다. 효과 비교를 위해 과거 대조군을 선정하였고 자료는 2019년 3월 1일부터 10월 31일로 동일 기간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m-ABC 알고리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인공호흡기 이탈일수, 중환자실 재실일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 여부, 중환자실 입실 중 발생한 합병증, 중환자실 입실 중 섬망 발생, 및 중환자실 내 사망 건수를 조사하였다. m-ABC 알고리즘 적용 유무에 따른 그룹 간 동질성 및 차이 검정은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다. 3. 연구결과: m-ABC 알고리즘 적용군 28명의 평균 연령은 53.64±22.32세로 남자는 22명(78.6%)이었고, m-ABC 알고리즘 비 적용군 33명의 평균 연령은 59.42±18.34세로 남자는 19명(57.6%)이었다. 질병 관련 특성으로 손상 부위는 두 군 대상자 모두 흉부 손상(78.8% vs. 75.0%), 복부 손상(78.8% vs. 64.3%), 사지 손상(45.5% vs. 46.4%) 순으로 많았다. ISS(Injury Severity Score)가 16점 이상인 군은 m-ABC 알고리즘 적용군은 24명(85.7%), m-ABC알고리즘 비 적용군은 31명(93.9%)이었다. 두 군 간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 관련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인공호흡기 이탈일수의 중앙값(사분위수)은 m-ABC 알고리즘 적용군에서 22.74(19.57-25.99)일로 m-ABC알고리즘 비 적용군의 20.16(16.14-24.93)일 보다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81). 중환자실 재실일수의 중앙값(사분위수)은 m-ABC 알고리즘 적용군에서 10.39(4.36-16.36)일로 m-ABC알고리즘 비 적용군의 15.73(8.70-21.41)일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45). VAP 발생 건수(3.6% vs. 3.0%, p>.999) 및 섬망 발생 건수(10.7% vs. 22.6%, p=.319)에 중재 전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결론: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외상환자에 m-ABC 알고리즘을 수행한 결과 인공호흡기 이탈일수에 증가추세를 보였고, 중환자실 재실일수를 유의하게 단축시켰다. m-ABC 알고리즘은 인공호흡기 이탈과정을 객관화함으로써 간호 실무의 편의를 향상시켰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향후 외상환자뿐 아니라 다른 중환자를 대상으로 확대 적용함으로써 근거기반실무의 효과를 재검증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ified ABC (m-ABC) algorithm based on recent evidences for awakening and breathing controlled trials (ABC trials), which consist of spontaneous awakening trials (SATs) and spontaneous breathing trials (SBTs),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ABC algorithm in trauma patients applying mechanical ventilation.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 pilot study to develop the m-ABC algorithm and apply it to clinical practic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The algorithm was drafted by modifying the ABC protocol developed by to light sedation-based SATs and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PSV) mode-based SBTs according to recent evidences. The final m-ABC algorithm was developed through content validity, face validity, and field tests conducted on five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patients admitted to the trauma ICU at C university hospital in G city from March 1 to October 31, 2020, who applied mechanical ventilation for more than 12 hours. The historical control group included patients who were admitted between March 1 and October 31, 2019. Clinical outcon variables including ventilator-free days (VFDs), length of stays in the ICU (ICU LOS),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complications, delirium, and mortality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ABC algorithm. Data were analyzed using Mann-Whitney U test or Fisher’s exact test.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ABC algorithm group (n=28) and the non-m-ABC algorithm group (n=33). The median (interquartile range, IQR) of VFDs was 22.74 (19.57-25.99) in the m-ABC algorithm group and 20.16 (16.14-24.93) in the non-m-ABC algorithm group,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081). The median (IQR) of ICU LOS for the m-ABC algorithm group was 10.39 (4.36-16.36), significantly lower than 15.73 (8.70-21.41) for the non-m-ABC algorithm group (p=.04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of VAP (3.6% vs. 3.0%, p>.999, respectively) and delirium (10.7% vs. 22.6%, p=.319,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In severe trauma patients applying mechanical ventilation, the m-ABC algorithm showed an increase in VFDs and significantly shortened the ICU LOS. The effectiveness of the m-ABC algorithm was confirmed as it improved the convenience of nursing practice by standardizing the mechanical ventilation weaning process.

      • 내과계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번들 적용의 효과

        유송이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배경: 중환자실에서의 인공호흡기관련 폐렴은 가장 흔한 의료관련감염 중 하나로 환자의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다.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총체적인 중재로 Bundle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예방 Bundle (이하 Bundle)을 통한 연구가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를 통해 Bundle이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발생률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내과계중환자실에 입실하여 48시간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Bundle 중재 전 2014년 1월부터 2014년 6월, 중재 후 2014년 10월부터 2015년 3월까지의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Bundle의 내용은 담당의와 인공호흡기 필요성을 검토, 위궤양 예방약 투약, 심부 정맥 혈전증 예방, 흡인예방을 위해 상체 거상 30도 이상 시행, 적절한 기관 내 커프 압력 유지, 인공 기도의 성문하 흡인 시행, 0.12% chlorhexidine을 이용한 구강간호 시행이다. 결과: Bundle 중재 후 내과계중환자실 간호사들의 Bundle 전체 이행도가 27.6%에서 65.5%로 증가(p=.004)하였다.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발생 건수는 중재 전 3건에서 중재 후 1건으로 감소하였고 인공호흡기 총 삽입일수는 중재 전 2,143일, 중재 후 2,232일이었다. 따라서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발생률은 인공호흡기 삽입일수 1,000일당 중재 전 1.40에서 중재 후 0.45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예방 Bundle의 폐렴 예방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단일기관에서 짧은 기간 동안 수행된 연구이고,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진단 기준이 엄격하여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발생을 명확히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Bundle의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Bundle 이행도를 향상시키는 중재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국내 실정에 맞는 고유의 인공호흡기관련 폐렴 Bundle 개발이 필요하며 질 관리 향상 활동을 통하여 Bundle 이행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is is a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study in order to confirm the compliance of the application of a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 and understand its effect on the decrease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ate. Methods: The subjects were patients with a 48-hour ventilator applied in Asan Medical Center Intensive Care Unit.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January 1, 2014 to June 30, 2014, prior to the intervention with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 and from October 1, 2014 to March 31, 2015, which was 3 months after the inter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bundle compliance.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2 before the intervention, and 107 after the interventi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s include sedative interruption and assessment of readiness to extubate, elevation of the head of the bed to 30?, peptic ulcer disease prophylaxis, deep vein thrombosis prophylaxis, daily oral care with 0.12% chlorhexidine, and intra-cuff pressure control in order to reduce leakage of the oropharyngeal secretions, and aspiration of subglottic secretions. Results: After the application of bundles, the number of nurses who followed the bundles increased from 8 out of 29 (27.6%) before the intervention to 19 out of 29 (65.5%)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3 case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efore the intervention, including 2 suspected cases, and 1 case after the intervention. The ventilator days were 2,143 days before the intervention and 2,232 days after the intervention.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ate of the ventilator insertion days per 1,000 days was 1.40 before the intervention and decreased to 0.45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single institutio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 of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ate. It was difficult to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e strict criteria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definition could not clearly reflect the occurrence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However, this intervention study that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bundle compliance was meaningful, as there was little study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 in South Korea. Furthermor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undles appropriate for the state of South Korea should be developed. Also the developed bundles should be settled and continued through quality management improvement.

      •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이 폐렴 발생률, 인공호흡기 적용기간 및 기관내 균집락화에 미치는 효과

        송의림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는 병원 감염 위험성이 높으며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에 걸리기 쉽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인공호흡기 적용일, 중환자실 재원일, 병원 재원일, 병원비용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을 통해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 인공호흡기 적용기간, 기관내 균집락화를 줄일 수 있는 점에서 간호중재의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환자의 폐렴 발생 예방을 위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VAP 발생률, 인공호흡기 적용기간, 기관내 균집락화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로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내과계, 심혈관계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50명, 대조군 50명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5년 8월부터 2016년 3월 까지였다. 연구자는 연구윤리심의 위원회에서 승인을 받은 후 기도삽관 후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대상자의 보호자를 만나 연구의 목적을 설명 후 서면 동의서를 받았다. 실험군에게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로는 VAP 발생률(인공호흡기 적용 1000일당), CPIS, 인공호흡기 적용기간, 기관내 균집락화를 비교 및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군, 대조군의 동질성은 t-test, χ²–test로, 실험의 효과는 χ²–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률은 대조군 보다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χ²=3.01, p=.250). 2) 실험군의 CPIS 6점 이상 점수는 대조군 보다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χ²=4.00, p=.046 ). 3) 실험군의 인공호흡기 적용기간은 대조군 보다 단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t=3.09, p=.003). 4) 실험군의 기관내 균집락화는 대조군 보다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χ²=11.60, p=.001). 본 연구결과,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환자의 폐렴 발생 예방을 위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은 CPIS와 인공호흡기 적용기간, 기관내 균집락화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프로그램을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VAP 발생률과 인공호흡기 적용기간, 기관내 균집락화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로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청각을 통한 가족존재중재가 인공호흡기 이탈기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최아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U시 소재 대학병원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내과환자 중 인공호흡기 이탈을 시도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청각을 통한 가족존재중재가 환자의 통증, 불안, 동요, 인공호흡기 이탈과정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실험설계 연구이다. 2020년 11월 6일부터 2022년 2월 28일까지 입원한 환자 중 인공호흡기 이탈을 시도하는 순서에 따라 난수표를 이용하여 무작위 배정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자는 실험군 27명 대조군 26명으로 총 대상자 수는 53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인공호흡기 이탈기중에 환자의 현재 치료 상태, 치료의 필요성 및 계획, 환자들의 고통스러운 감정의 공감과 위로, 치료 후 병동에 갈 수 있다는 희망적 내용이 담긴 70초 동안 가족들의 녹음된 목소리를 잔잔한 음악을 배경으로 하여, 30분간 10분 간격으로 3번 반복하여 들려주는 청각요법을 통해 가족존재중재를 적용하였고, 대조군에게는 30분간 귀마개를 적용하였다. 가족존재중재 효과는 통증은 중환자 통증 관찰 도구(Critical-Care Pain Observation Tool, CPOT), 불안은 상태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S), 동요는 리치몬드 불안 초조-진정 단계(The Richmond agitation and sedation Scale, RAS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이탈과정은 인공호흡기 이탈의 어려움과 이탈기간에 따라 간단한 이탈, 어려운 이탈, 지연된 이탈 3범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자료수집은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족존재중재 적용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 각 군의 실험 전 후 통증, 불안, 동요 변화는 Paired t-test 또는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시행하였고, 두 집단 간 통증, 불안, 동요 점수 차이 변화는 Independent t-test 또는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이탈과정차이는 chi-squared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청각을 통한 가족존재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통증점수가 감소할 것이다.’은 중재 적용 후 실험군의 통증점수가 사전 1.89점에서 사후 1.33점으로 0.55±0.93점이 감소하고(Z=-2.58. p=.010), 대조군은 사전 1.96점에서 사후 2.15점으로 0.19±0.56점이 증가하여(Z=-1.66, p=.096), 실험군의 통증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지지되었다(Z=-3.53, p<.001). 제2가설 ‘청각을 통한 가족존재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불안점수가 감소할 것이다.’은 중재 적용 후 불안점수가 실험군이 사전 16.15점에서 사후 13.89점으로 2.25±1.60점이 감소하고(t=7.30, p<.001), 대조군은 사전 15.44점에서 사후 15.96점으로 0.42±1.96점이 증가하여(t=-1.09, p=.282), 실험군의 불안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지지되었다(t=5.45, p<.001). 제3가설 ‘청각을 통한 가족존재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동요점수가 감소할 것이다.’은 중재 적용 후 동요점수가 실험군이 사전 0.74점에서 사후 0.48점으로 0.25±0.59점이 감소하고(Z=-2.11, p=.035), 대조군은 사전 0.65점에서 사후 0.85점으로 0.19±0.40점이 증가하여(Z=-2.23, p=.025), 실험군의 동요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지지되었다(Z=-2.99, p=.003). 제4가설 ‘청각을 통한 가족존재중재를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이탈과정이 간소화될 것이다.’은 중재 적용 후 이탈과정에서 실험군이 간단한 이탈 11명(40.7%), 어려운 이탈 10명(37.0%), 지연된 이탈 6명(22.2%)이었고, 대조군은 간단한 이탈 8명(30.8%), 어려운 이탈 12명(46.2%), 지연된 이탈 6명(23.1%)으로 실험군에서 간단한 이탈이 대조군 보다 3명이 많았고 어려운 이탈이 2명이 적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χ2=0.63, p=.727). 따라서 제 4가설은 기각되었다. . 본 연구 결과에서 청각을 통한 가족존재중재가 인공호흡기 이탈기 환자의 통증, 불안, 동요의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각을 통한 가족존재중재를 실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인공호흡기 이탈기 환자의 통증, 불안, 동요를 감소시키고, 더 나아가 좀 더 편안하게 인공호흡기 이탈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행위 이행 측정도구 개발

        곽성정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행위 이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으로 도구 개발단계와 도구 검증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도구 개발단계에서는 이론적 연구단계와과 현장연구단계, 최종 분석단계를 통하여 35개의 예비문항이 도출되었고, 호흡기내과 의사, 중환자실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9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를 통해 30개의 문항이 도출되어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도구로서 문항 이해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도구 검증단계에서는 본 조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반금옥(2007)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이행도 도구와 IHI(2010)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번들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값과 반분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본 조사는 800병상 이상의 병원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9년 11월 20일부터 2020년 4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192부, 확인적 요인분석 275부 모집되었고 자료분석에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180부, 확인적 요인분석 27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항의 변별력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와 왜도, 첨도를 검토한 결과 정규분포의 가정이 성립되었다. KMO 검정 값은 .769,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은 p < .001로 유의하여 요인분석에 적합한 자료임을 확인하였다. 요인분석 방법은 주성분 분석과 베리맥스 회전을 적용하였다. 세차례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7개 요인 추출, 17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7개 요인들은 '흡인예방행위', '인공호흡기 관리', '진정작용 중단 및 자발호흡 시도', '성문하 흡인', '흡인시스템 관리', '표준주의 행위', '구강간호' 이었다. 2.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도출된 7개 요인구조를 가설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추정 방법은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였으며, 적합도 지수를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였다. 적합도 지수는 RMR이 .016, RMSEA가 .039, GFI가 .945, AGFI가 .915였으며, NFI, IFI, TLI, CFI는 모두 .9를 넘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SRMR의 값 또한 .038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준거타당도 검증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이행도 도구와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번들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Pearson 상관계수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 이행도 .722(p<.001),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번들 .784(p<.001)로 나타나 개발된 측정도구가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신뢰도 검증결과 Cronbach's α값 .804, 반분신뢰도는 Sperman Brown 계수 .889, Guttman 반분계수 .888 로 도구의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행위 이행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의 근거가 제시되었으며 모든 문항이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중환자실 간호사의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행위 이행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행위 이행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인공호흡기 관련 페렴 예방행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개선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ale for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prevention adherence in ICU nurse. Through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interview, 35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After a content validity examination by experts and the pre-test were implemented, 30 items were finally chosen for this study. For scale verification, 180 data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272 data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ICU nurses.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determining validity, seven factors were drawn. The variance explained of seven factors was 71.58%, which means that the developed scale explained the adherance with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prevention in ICU nurse. Moreover,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analysis,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7 factors and 17 items. The 7 factor were aspiration prevention(4 items), ventilator circuit management (3 items), oral care (2 items), suction system management(2 items), subglottic suction (2 items), SAT&SBT (2 items), standard precaution (2 item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with the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compliance scale and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Bundle-related validity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compliance scale .722 (p<.001),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Bundle .784(p<.001) which proved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scale. To test for consistency and homogeneity in the reliability test of the scale developed as part of the stud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plit-half reliability were assess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measured by Cronbach's α was .804. The finding shows that the scale’s consistency is secured. In terms of split-half reliability, Spearman-Brown coefficient was .889, and the Guttman Split-half coefficient was .888, confirming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Through the scale development process described above, the scale for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prevention adherance was proved to hav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refore, this scale can be used to accurately measure the adherance with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pre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nd improve the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prevention

      • 비침습적 인공호흡기 적요환자의 불편감과 간호요구

        신현자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비침습적인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들이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사회적 불편감과 간호요구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설문지 개발을 위한 심층면담 단계와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의 2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은 2007년 11월 10일부터 12월 30일까지이다. 설문지 개발을 위해 실시된 심층면담은 비침습적인 인공호흡기를 적용받은 경험이 있는 4명의 환자들과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해 서울 시내 소재 A 종합병원의 내 외과 중환자실에서 비침습적인 인공호흡기 적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는 신체적 불편감 15문항, 심리사회적 불편감 18문항, 간호요구 1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심층면담을 통해 비침습적인 인공호흡기 적용환자들은 답답함, 무력감 통증 감각 상실 의사소통의상실 수면부족 등의 신체적 불편감을 경험하며 사회심리적으로는 시간감각 상실, 고통, 불안감, 죽고 싶은 심정, 가족에 대한 걱정, 치료비에 대한 부담감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2. 대상자들은 신체적 불편감에서 ‘가래를 뽑아내는 것’과 ‘입이 마르다’를 가장 불편해 하였으며 ‘잠을 자기가 어렵다’가 그 다음 순이었다. ‘마스크로 산소가 시원하게 들어오는 것 같지 않아 답답하다’는 가장 불편감이 낮았다. 3. 대상자들은 사회심리적인 불편감 중에서 ‘가족을 힘들게 하는 것 같아 미안하다’ 문항이 가장 불편감이 높았으며 ‘마스크를 하고 있어 내 의사를 전달하기 어렵다’. ‘원할 때 가족을 만날 수 없어서 힘들다’ ‘가족과 함께 있을 수 없어 힘들다’ 가 다음 순이었다. ‘내가 말하는 것을 아무도 들어주지 않는 것 같다.’가 가장 낮았다. 4. 간호요구에 있어서는 ‘치료를 위해 최선을 다해 주면 좋겠다’가 가장 높았으며 ‘통증을 완화시켜주면 좋겠다’ ‘원할 때 가래를 뽑아 주면 좋겠다’ 순이었다. ‘마스크 주변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관리해 주었으면 좋겠다’가 가장 낮은 간호요구를 보였다 앞으로 연구 대상자의 수와 조사병원을 확대하여 비침습적 인공호흡기 적용 환자의 불편감과 간호요구를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비침습적인 인공호흡기 적용 기간과 인공호흡기 제거 후 경과한 시간을 통제한 상태에서의 연구, 비침습적인 인공호흡기 적용시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is a narrative survey research in order to confirm the physical and psychosocial distress and nursing needs, which are experienced by patients with application of NIV(non-invasive ventilat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phases such as the in-depth interview phase for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as the survey research of using questionnaire.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November 10 to December 30 in 2007. The in-depth interview, whi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prepare questionnaire, targeted 4 patients who have experience of being applied NIV, and comprised interviews in twice-4 times with 30 minutes per one patient. The interview contents were recorded and copied. And, through analyzing the central significances, it was classified into categories in physical distress, psychosocial distress, and nursing needs. Through the interview results,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expert's consultatio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hich researches into discomforts and nursing needs in patients with application of NIV. Next,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20 subjects who have experience of NIV at an intensive care unit for the internal medicine and surgical departments of A general hospital where is located in downtown Seoul, by using the developed questionnair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rough in-depth interview, the patients with application of NIV were confirmed to physically experience feeling heavy, impotent feeling, pain, loss in feeling, loss in communication, and lack of sleep, and to psychosocially experience a loss in sense of time, pain, anxiety, mind of desiring to die, worry about family, and a sense of burden for medical-cure expenses. 2. The subjects were 14 men and 6 women, and the average age was 55.6 years old. The period of applying ventilator was averagely 4.2 days. The time of applying NIV was averagely 2.9 days. And the whole period of applying ventilator was averagely 5.9 days. 3. As for physical distress, subjects felt the most discomfortable about 'drawing out phlegm' and 'dry mouth' And, the next was followed by 'being difficult to sleep.' The lowest discomfort was indicated in 'feeling heavy because oxygen seems not to actively enter a mask.' 4. Among psychosocial distress, subjects had the highest distress in the item of 'feeling sorry due to making family hard.' And the next was in order of 'being difficult to deliver my opinion due to putting on a mask' 'being difficult because of being unable to meet family when desiring' and 'being difficult because of being unable to be together with family'. The lowest distress was indicated in 'nobody seems not to hear what I say'. 5. The nursing need was the highest in 'the best effort is desired for medical cure'. And, the next was in order of 'relieving pain is desired' and 'extracting phlegm is desired when being required'. The lowest nursing need was indicated in 'management is desired so that the skin surrounding mask cannot be injur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patients in the limited number by using a tool, which was not confirmed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hereby having limitation o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ever, it has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offered basic materials helpful to nursing the patients in the application of NIV hereafter, by confirming the distress and the nursing needs of the recently-increasing patients in the application of NIV for the first time at home.

      • 가정용 인공호흡기(Home Ventilator)사용 환자의 간호 요구도

        송용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내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사용 환자가 1992년부터 점차로 늘어나고 있으며,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은 가정간호사나 가족의 도움에 의존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간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들의 간호요구를 살펴보므로 퇴원 시 간호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가정간호사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와 돌보는 사람의 간호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기간은 2002년 9월 16일부터 2002년 10월 31일까지 이루어졌고,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며 2002년 7월 현재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성인환자와 돌보는 사람 중에서 이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를 한 사람으로 하였다. 연구절차는 가정에서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 또는 간호제공자의 간호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된 설문지를 가지고 대상자들을 방문하여 1:1 면담을 하였고, 방문을 원하지 않거나 여건이 안되는 경우에는 전화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충분한 설명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설문지 작성이 불가능한 대상자는 직접 연구자가 물음에 대한 대답을 기록하여 작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관련 특성 분포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간호요구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 일반적 특성 및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관련 간호요구도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46세였으며, 성별로는 여자가 89.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학력은 고졸이 51.4%로 가장 많았고, 환자와의 관계는 배우자(43.2%), 자녀(40.5%), 부모(8.1%), 기타(8.1%)의 순이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질병그룹은 신경근육 장애가 75.7%으로 가장 많았고, 중추신경계 장애(16.2%), 호흡기 장애(8.1%) 순이었다. 사용기간은 1년 미만이 67.5%, 1년 이상 32.5%였다. 인공호흡기 사용 방법으로는 캐뉼라 이용이 75.7%이고 마스크 이용이 24.3%로 나타났다. 가정간호사 방문정도는 월 4회 미만이 40.5%, 월 4회 이상이 32.4%, 방문을 받지 않는 경우가 27%로 나타났다. 2. 간호요구도는 평균 4.21±.48점으로 높은 간호요구도를 보였다. 영역별 간호요구도의 평균점수는 응급상황 시의 간호가 4.46±.6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산소사용법 간호가 4.39±.63점, 인공호흡기 간호는 4.35±.42점, 기도유지 및 흡인 간호는 4.33±.67점, T-cannula 간호는 4.29±.78점, 질병에 관한 지식은 4.25±.51점, 체위변경 간호는 4.18 ±.62점, 운동 간호는 4.11±1.19점, 비위관(위관) 간호는 4.10±.66점, 감염예방 간호는 3.79±1.12점, 의사소통 간호는 3.25±1.6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요구도에서는 대상자가 중졸이하의 학력에서 질병에 관한 지식 영역(F=3.683, p=.036), 의사소통 간호 영역(F=7.745, p=.003)에서 유의하게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환자와의 관계에서는 질병에 관한 지식의 간호 영역(F=5.572, p=.003)에서 간호요구도는 배우자, 자녀, 기타, 부모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질병그룹에 따라 호흡기 환자들이 응급상황 시의 간호 영역(F=11.197, p=.000), 감염예방 간호 영역(F=4.045, p=0.27), 기도유지 및 흡인간호 영역(F=5.541, p=.009), 캐뉼라 간호 영역(F=5.674, p=.009), 위관 간호(F=4.432, p=.026), 산소사용법 간호 영역(F=12.441, p=.001)에서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인공호흡기 의존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의존하는 그룹이 감염예방 간호 영역(t=-3.625, p=.001)과 운동 간호 영역(t=-3.612, p=.030), 체위변경 간호 영역(t=-2.383, p=.024)에서 간호요구도가 낮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를 토대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할 대상자들에게는 응급상황 시의 간호, 산소사용법 간호, 인공호흡기 간호, 기도유지 및 흡인 간호에 대한 퇴원 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정간호사들에게도 이러한 간호요구도가 높은 내용을 알려주어 추후관리에도 참조할 수 있도록 하며, 질병에 관한 지식이나 의사소통 간호의 교육 시에는 간호제공자의 학력을 고려하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환자의 질병그룹에 따른 구별화 된 퇴원교육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number of patients dependent on home ventilator in Korea have increased from one in 1992 to sixty-six in July of 2002 and this number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family members take care of the patients overall health as well as the monitoring of the respiration and provide the necessary nursing care. This study, by studying the requirements of the patient on home ventilator and the family member who provide the nursing,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this subject so it may contribute to better and more accurate nursing and education prior to discharge. The study was performed between September 16 and October 31, 2002.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of adult patients on home ventilator in Seoul or Kyung-Gi province or their family member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is survey.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a questionnaire developed to assess the nursing needs of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 of the home ventilator by a interviewer who visited the family in person. If the patient or the family refused or could not be visited, the survey was performed through the telephone. Plenty of explanations were given, and when the patient was unable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themselves, their response were recorded by the intervie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mean age of caregiver was 46, Most of them were female(89.2%) and degree of high-school graduation(51.4%). The relationship of them with patients was spouse(43,2%), children(40.5%), parents(8.1%), and others(8.1%), in order. The patients were assisted by home ventilator due to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neuromuscular disorder(75.7%), CNS disorder(16.2%), and respiratory disorder(8.1%). The duration of usage of home ventilator by patients was mostly less than 1 year(67.5%), and some patients have been using home ventilator more than 1 year(32.5%). The applying methods of home ventilator were T-cannula(75.7%) and mask(24.3%). The numbers of visiting by home-visiting nurser were less than 4(40.5%), 4 or more than(32.4%) in a month, respectively. However, no visit was done in some patientsl(27%). 2. Overall the scores of the need of nursing care on the patient with home ventilator was 4.21±.48 in overall. In analysis of the each section, the need of nursing care was highest in the emergency situation(4.46±.67), and the scores of others are as follows: usage of oxygen(4.39±.63), home ventilator(4.35±.42), airway management with prevention of aspiration (4.33±.67), T-cannula care(4.29±.78), knowledge of the disease(4.25±.51), position change(4.18±.62), patient's excercise(4.11±1.19), nasogastric (gastric) tube(4.10±.66), prevention of infection(3.79±1.12), communication with patients(3.25±1.65). In this study, the highest score of the need of nursing care was in immediate management for airway obstruction(4.97±.34). When the power was failed, the score of need of nursing care was 4.84±.55, and when the ventilator was out of order, the score was 4.68±.78. These two situations were not belong to the territory of nursing care. In addition, there were high level of needs of nursing care for knowledge of disease such as patient's medical problem(4.68±.47) and the importance of airway management(4.68±.60). 3. The requirement for nursing care by care-giver was low in those with degree of junior or middle school graduations. The score of needs of nursing care were low in aspects of knowledge of disease(F=3.683, p=0.036) and patient's communication(F=7.745, p=.003). The needs of nursing care for knowledge of the disease were high in spouse, children, others, and parents, in order(F=5.572, p=.003). In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 the needs of nursing care were low in the emergency situation (F=11.197, p=.000), prevention of infection(F=4.045, p=.27), airway management with prevention of aspiration(F=5.541, p=.009), T-cannula care(F=5.674, p=.009), nasogastric(gastric) tube(F=4.432, p=.026), and usage of oxygen(F=12.441, p=.001). According to the dependency of home ventilator, there were low needs of nursing care in prevention of infection (t=-3.625, p=.001), patient's excercise(t=-3.612, p=.030), and position change(t=-2.383, p=0.02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 conclude that education must be done prior to discharge on the subjects that scored high in the nursing needs questionnaire to prevent many of the problems that can arise when nursing a home ventilator patient. Also, individual variation in the nursing needs was observed based on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s educational status, disease entity, degree of dependence on the ventilator, and we think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taking this variability into consideration is required prior to dischage in order for a satisfactory nursing to be performed at home.

      • 중환자실 환자의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

        최화숙 이화여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2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기도 삽관 및 기계 환기와 관련해서 발생하며 중환자실의 주된 사망의 원인이기도 하다(김준명, 2002).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균적인 인공호흡기 회로, 가습기, 분무기 등의 관리가 강조되고 있으며,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은 미국 질병관리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의 관리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광범위함으로 인해 각 병원마다 관리 기준이 달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을 예방하기 위한 표준화되고 구체적인 관리 지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을 조사하는 전향적 연구로서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 현상을 파악하여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2년 8월 26일부터 11월 22일(90일간)까지 A대학 병원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인공호흡기를 적용받은 26명을 대상으로 조사표를 이용하여 일반적 사항 및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위험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미생물 배양을 통해 인공호흡기의 가습기와 대상자의 호흡기계 감염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x²-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이 13명, 대조군이 13명으로 총 26명이었다. 대상자들의 성별 중 남성은 실험군이 9명(69.2%), 대조군이 10명(77.0%)이었고, 평균 연령은 실험군이 61.9세, 대조군이 64.9세였다. 입실경로는 응급실을 통한 입실이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9명(69.2%)이었고, 중환자실 평균 재원일수는 실험군이 8.2일, 대조군이 41일이었다. 인공호흡기 적용 후 인공호흡기의 가습기와 연구 대상자의 호흡기계로부터 검체 채취는 실험군이 평균 4.5일째, 대조군이 4.4일째에 시행하였다. APACHE(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Ⅲ 점수 평균은 실험군이 64.5점, 대조군이 59.0점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차이 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인공호흡기의 가습기 및 대상자의 호흡기계 감염율은 다음과 같다. 인공호흡기 관리 방법에 따른 인공호흡기의 가습기 감염율을 보면 실험군은 균이 분리되지 않았고 대조군은 1예(7.7%)에서 균이 분리되었다. 대상자의 호흡기계 감염율을 보면 실험군은 8예(61.5%)에서, 대조군은 11예(84.6%)에서 균이 분리되었으며, 실험군에서는 8예 모두에서 한 종류의 균이 분리되었고, 대조군에서는 11예 중 1예(7.7%)에서 2종류의 균이 동시에 분리되었다. 3. 인공호흡기의 가습기의 감염균 및 비율은 다음과 같다. 인공호흡기의 가습기의 감염균 및 비율을 보면 실험군은 균이 분리되지 않았고 대조군은 1예(7.7%)에서 그람 음성 간균인 Pseudomonas aeruginosa가 분리되었다. 4. 대상자의 호흡기계의 감염균 및 비율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의 감염균 및 비율을 보면 전체 26예에서 분리된 균검출 횟수는 20회였으며 이중 그람 양성균이 4회(19.1%), 그람 음성균이 15회(76.1%), Un - identification Yeast like organism이 1회(4.8%) 분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균 중 그람 양성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19.1%)가 분리되었고, 그람 음성균으로는 Acinectobacter baumannii(47.6%)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5. 항생제에 대한 내성은 다음과 같다. 세균배양에서 분리된 균주가 가장 많았던 Acinectobacter baumannii는 17가지 항생제 중 9가지 항생제에 전 예가 내성을 나타냈다. Staphylococcus aureus는 11가지 항생제 중 6종류의 항생제에 전 예가 내성을 나타냈으며, Imipenem, cilastatin sodium에는 전 예가 민감반응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본수를 증가시켜 반복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2) 인공호흡기 적용 후 시간 간격을 두고 실시할 것과 인공호흡기 회로의 여러 부위에서 미생물 배양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인공호흡기 관리 방법에 따른 인공호흡기의 회로 감염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시행될 것을 제언한다. The pneumonia may be contracted at the intensive care unit due to a wrong insertion of a tube into the airway or poor ventilation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Pneumonia is the primary cause of death at the intensive care unit. (Kim Joon-myeong, 2002). In order to prevent pneumonia related with use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it is necessary to correctly manage the circuit, humidifier and spray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has arranged some criteria for managemen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but since the criteria are too comprehensive, it is required of each hospital to arrange their own standards and specific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the infection due to mis-management of the circui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and thereby, providing for some nursing strategies to prevent pneumonia related with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To this end, 26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at a university hospital for 90 days from August 26 to November 22, 2002 were sampled. Then, a checklist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regarding the risk of pneumonia related with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as well as patients demographic variables. Thereupon, the data regarding the infection due to the humidifi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were analyzed by means of micro-organism cultur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real numbers, percentages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fection ratio due to humidifi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ection ratio due to humidifi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there was found no germs separated in the test group, while the germs were separated in example 1 (7.7%). In terms of the airway infection ratio, germs were separated in example 8 (61.5%) of the test group and example 11 (84.6%) of the control group. To be more specific, a germ at least was separated in all of example 8 of the test group, while two germs were simultaneously separated in example 1 (7.7%) of the control group. 2. Infected germs and their ratio due to humidifi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There was no germ separated in the test group, while the gram negative liver germ Pseudomonas aeruginosa was separated in example 1 (7.7%) of the control group. 3. Infected germs and their ratio in patients airway Germs were separated 20 times in the entire 26 examples; 4 times (19.1%) in case of gram positive germs, 15 times (76.1%) in case of gram negative germs, and once (4.8%) in case of Un-identification Yeast like organism. The gram positive germ separated most in this study was Staphylococcus aureus (19.1%), while the gram negative germ separated most in this study was Acinectobacter baumannii (47.6%). 4. Anti-biotic resistance Acinectobacter baumannii which was most frequently separated in germ culturing was found to resist 9 anti-biotics among 17 ones. Staphylococcus aureus was found to resist 6 anti-biotics among 11 ones, and in all examples, it reacted sensitively to imipenem, cilastatin and sodium.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put forwards; 1) Future studies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ample in order to confirm through repeated testings the infection due to mis-management of the circui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2) It is necessary for future studies to set some intervals of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while check various parts of the circui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by means of micro- organism culturing test. It is further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n due to artificial respiratory aid circuit and pneumonia. 3) It is hoped that diverse future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factors of artificial respiratory aid affecting pneumonia.

      • 서울, 경기 지역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 대한 실태 조사

        안종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서론 : 최근 10여년간 발달된 기술로 작고 기능이 뛰어난 가정용 인공호흡기가 개발되어 유럽과 미국에서는 장기간 기계환기가 필요한 만성호흡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그 사용이 점차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 만성호흡부전 환자들에게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적용 시 병원 감염의 위험이 줄어들고, 환자의 활동이 증가하며 영양 상태가 개선되어 삶의 질이 개선되고 의료비용도 줄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가정에서의 기계환기법 치료의 적용이 최근 확산되고 있으나 이 치료법에 대한 임상 경험 보고나 그 실태 조사 자료가 거의 없어 이에 대한 기초 자료의 조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장기간 기계환기 보조가 필요하여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간호 관리의 문제점과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서울, 경기 지역에서 장기간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호흡기를 공급, 관리하는 업체에서 제공한 환자 명단 92명을 기준으로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 방문에 동의하는 29명의 환자의 집을 방문하였다. 환자의 기저 질환에 대한 병력 청취, 신체 검사를 시행 하였고, 환자 간호 관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에는 간호, 관리에 대한 사전 교육 여부,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이 가정을 방문하는지, 인공호흡기의 이상의 경험, 인공호흡기 및 부가 장비의 구입 경비, 환자 간호와 연관된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제안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설정 요소들(양식, 일회호흡량 또는 흡기 압력)을 확인하고, 측정되는 분당 호흡수, 일회호흡량, 최대 기도압, 산소포화도 등을 기록하였다. 일회 호흡량은 유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인공호흡기에 설정된 일회호흡량과 비교하였다. 산소포화도는 pulse oxy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 1) 방문을 마친 환자 29명중 남자는 26명(90%), 여자는 3명(10%)였고, 나이는 48.0(± 20.1)세였다. 환자들의 기저 질환은 신경근 질환 21명(72.4%), 척수 손상 2명(6.9%), 만성 폐질환 6명(20.7%)이었다. 2) 간호 관리자는 배우자가 14명(48.3%)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 8명(27.6%), 자녀 4명(13.8%), 간병인 1명(3.4%), 환자 자신 2명(6.9%)의 순이었다. 2) 가정 간호 관리를 위한 사전 교육은 주로 입원 중 간호사로부터 배우고 있었고 인공호흡기 사용에 대한 교육은 주로 인공 호흡기 회사 직원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3) 인공호흡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23명으로 pressure-targeted type은 745(± 329) 만원이 소요되었고, volume-targeted type은 1,428(± 313) 만원이 소요되었다. 산소 공급 장치는 12명이 산소 농축기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구입 가격은 141(± 47) 만원이었다. 흡인기 구입에는 28(± 10) 만원이 소요되었다. 장비 구입에 소요되는 총비용은 1,131(± 653)만원이었다. 환자를 간호 관리하는데 1개월간 소요되는 평균 비용은 112(± 136)만원이었다. 4) 29명의 환자 중 25명(86%)은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상태로 기계환기를 시행하고 있었고, 4명(14%)은 안면 마스크를 이용한 비침습적 환기법(noninvasive ventilation)을 시행하고 있었다. 24시간 내내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가 24명(83%)으로 가장 많았다. 5) 인공호흡기는 volume targeted type이 20명(69%)으로 pressure targeted type (9명, 31%)보다 더 많았다. 경보 기능을 가진 인공호흡기는 22명(76%)의 호흡기에서 장치되어 있었고 volume targeted type은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Volume targeted type의 인공호흡기를 대상으로 일회호흡량을 측정하였는데, 설정된 일회호흡량과의 차이는 8.6(± 6.9)%였고, 20%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도 2명에서 관찰되었다. 인공호흡기 사용 중 최근 1년간 인공 호흡기 부전(ventilator failure)이 발생한 경우는 7명(volume targeted type 5명, pressure targeted type 2명)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응급실을 방문한 경우는 1명에서 2회 있었다. 결론 : 우리나라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는 신경근 질환 환자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상태로 경보 기능을 가진 volume targeted type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환자와 가족들은 장비 구입 및 유지와 연관된 경제적인 어려움을 당면한 문제로 제시하였으며 환자들 중 일부는 가정간호사들의 도움을 받고 있었으나 의사들의 지속적인 감시를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어 이들 환자들에 대한 국가적인 보조 체계가 시급히 완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Background With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the development of small compact ventilators have made chronic respiratory failure patients requiring long-term mechanical ventilation able to receive ventilatory support at home. The number of patient using home ventilator is increasing, particularly in Europe & United States. Home ventilation can decrease hospital-acquired infection by reduced need of hospitalization, increase physical activity, improve nutritional status, enhance quality of life and reduce medical costs.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ome ventila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the current status of the patients has not been well know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et a basic information for the patients in addition to evaluat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atients' care in our country. Methods A register of 92 patients with home ventilator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obtained from commercial ventilator supply companies. The patients were contacted by phone and 29 of them accepted our visit. History taking about underlying disease was taken and physical examination was done. Information concerning education about home care before discharge, home visit by clinicians, frequency of ventilator failure, costs of equipment, and problems related to the home care were questioned. Mode and preset variables of home ventilator were checked; respiratory rate and tidal volume (TV), peak airway pressure, oxygen saturation were measured. Measured TV using flow-meter was compared with the preset TV. Oxygen saturation was measured with pulse oxymeter. Results There were 26 males and 3 females; their age were 48.0(± 20.1) years. The underlying diseases are: 21 neuromuscular disorders, 2 spinal cord injuries, 6 chronic lung diseases. Among caregivers, spouse (n=14) was predominant, 8 were parents, 4 son or daughter, 1 attendants and 2 patients took care by themselves. Education for home care before discharge was performed mostly by intensive care unit nurse and education for ventilator management mostly by commercial companies. Twenty-three of 29 patients purchased a ventilator privately. It cost 7,450,000 (± 3,290,000) won for pressure targeted type (PTT), 14,280,000 (± 3,130,000) won for volume targeted type (VTT). Twelve patients have oxygen concentrators which cost 1,410,000 (± 470,000) won. Suction device were 280,000 (± 100,000) won. Total average cost for the equipment was 1,143(± 634) won. The average cost required for the home care per month was 1,120,000 (± 1,360,000) won. Twenty-five of the 29 patients had tracheostomies, while 4 received noninvasive ventilation with facial mask. VTT (n=20, 69%)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PTT (n=9, 31%). Twenty-two ventilators had alarm function, including all of VTT. When TV was measured in VTT ventilator, difference between measured and preset TV was 8.6(± 6.9)%, while more than 20% difference was observed in 2 patients. In the past 1 year, ventilator failure developed in 7 patients (5 with VTT, 2 with PTT) and one of them required a visit to an emergency care unit twice. Conclusion The commonest underlying disease of the patients was neuromuscular disease. They used mostly VTT ventilator with alarm function with tracheostom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nsidered financial difficulty in purchasing and maintaining equipment for home care as an urgent problem. Some patients were aided by a visiting nurse, but most patients were neglected without any supervision of doc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atients' care, a nat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provided urg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