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고립행동의 변화가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정신지체 학생을 대상으로

        홍찬이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고립행동의 변화가 학교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신지체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의 6가지 하위영역 중 5가지 하위영역과 24회기로 학생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은 총 12주 동안 매주 2회씩 24회기 45분 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시행 전에 사전검사로 자기결정 교사지각척도(TPS), 고립행동 검사, 학교적응력 검사를 측정하였으며, 사후검사는 1~24회기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실시 후에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적용이 정신지체 중학생의 자기결정 교사지각척도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적용이 정신지체 중학생의 고립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다. 셋째,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적용이 정신지체 중학생의 학교적응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 넷째, 의사결정능력의 향상은 고립행동과 학교적응력의 향상에 정적인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 적용으로 고립행동의 하위영역 중 의사표현을 못하는 행동이 개선될수록 학교적응력 전체와 또래들이 선호하는 사회적 행동영역, 학교생활적응에 관계된 문항의 향상에 효과가 있고, 자기권리를 지키지 못하는 행동이 개선될수록 학교적응력 전체와 교사들이 선호하는 사회적 행동영역, 또래들이 선호하는 사회적 행동영역이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상의 결론으로 볼 때, 의사결정기술 교수프로그램의 적용으로 고립행동이 개선이 되었고 그것이 영향을 주어 학교적응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a change in isolated behavior brought by a decision-making education program on school adjustability among middle schooler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nine selected mentally retarded students, to whom a decision-making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in 24 sessions. The program was modified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students, and this study dealt with five out of the six subarea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24 sessions during a 12-week period of time, twice a week, 45 minutes each. Before that, TPS, an isolated behavior inventory and a school adjustability scale were utilized to conduct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arried out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program was effective at boosting the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on their decision-making skills. Second, the appl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program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 isolated behavior of the mentally retarded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appl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program was effective at bolstering the school adjustability of the mentally retarded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the development of decision-making skills had a close positive correlation to the improvement of isolated behavior and school adjustability. Fifth, there was better progress in overall school adjustability, social behavior preferred by peers and school adjustment when they underwent more favorable changes in communicative behavior, one of the subareas of isolated behavior. And a greater improvement in advocating their own rights led to better progress in overall school adjustability, social behavior preferred by teachers and social behavior preferred by peer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decision-mak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improving isolated behavior, which served, in turn, to foster school adjustability.

      •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조태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계 증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 4학년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중 사회적 관계가 가장 낮은 아동 3명을 중점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심층 연구하였다. 의사소통 교육 처치 기간은 2006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주 1회-2회, 총 8주간 10회기(각 회기 40분)에 걸쳐 진행하였다. 사회성 측정도구, 교우관계 측정도구, 학급 응집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아동의 사회적 관계를 사전에 검사하였으며, 사회적 관계 점수가 가장 낮은 아동 3명을 중심으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변화 과정을 참여 관찰법을 이용하여 심층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은 선행 연구로 사용했던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김명순,2003: 박외숙, 2006 : 정유진, 2006) 등을 참고하여 초등학생 수준과 연구 문제에 맞추어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친구간에 서로 존중하고 공감하며 올바르게 주장적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과 기술을 익힘으로써 협동성, 준법성, 사교성이 많이 증진되었고, 스스로 자신의 일에 책임감을 가지고 실천하려는 자주성도 미미하나 증진되었다. 둘째,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적극적 경청과 나-전달법, 관계 지향적 말하기 등의 의사소통 변화는 또래들간의 감정교류를 원활하게 하고 또래간 관심과 어울림 횟수를 증가시켰으며, 또래 속에서의 위치를 확보하도록 해주었다. 합리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함으로써 공격적 태도가 줄어들었고, 서로 존중하고 배려해줌으로써 부적응행동이 감소하여 교우관계가 더욱 증진되었다. 셋째,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급응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친구들 간의 상호 신뢰감과 협동성이 증진되었다. 그리고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학급분위기로 부적응 학생들의 사기가 증진되었고, 일체감을 갖게 됨으로써 학급놀이나 학습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학급응집력이 더욱 증진되었다. 따라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보완ㆍ대체의사소통 활용의 실태와 인식조사 : PECS를 중심으로

        이현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Communication is, literally speaking, an act of exchange by verbal means. But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have both language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Due to their cognitive/linguistic development delay and sensory damage, they have trouble in interacting with their environment by socially adequate means of communication or in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Moreover, their language is very slow in terms of development or not even developed at all. That is why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s consistently suggested, while the debate as to the use of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s occurring more frequently. 'PECS' is one of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It helps the autistic children or adults to make it to actual communication and to acquire skills in a functional way. As the overall awareness of the parents and the speech-language-pathologists as to the PECS is fairly low, however, it is not being applied to a large numb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or seems to be faced with difficulties, even if applied to some of them. In order for the speech-language-pathologists to apply 'PECS' efficiently, they need to know concretely how to apply the 'PECS', not to mention that there should be active parental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is study, the actually applied condition and the overall recognition of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s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were examined, with an emphasis on the PECS to be applied by the speech-language-pathologists, so that one can provide them with the basic data as to the PECS. The questionnaire of the survey is comprised of 23 questions, and 105 speech-language-pathologists were surveyed in the metropolitan areas of Seoul, Suwon and Inche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has been found out: Firstly, the majority of them respond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actually applied condition of the PECS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but the majority of them turned out not to have an actual experience of applying it on the field of treatment . In addition, the speech-language-pathologists with some experience of the PEC most applied the program of PECS to the autistic children. But about half of them didn't abide by the instructions at every stage of the PECS treatment. And the majority of them responded negatively as to the applied treatment, which shows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ECS and that the adequate training for the PECS arbitration is imminently required. Secondly, the speech-language-pathologists turned out to positively recognize the necessity of arbitration as to the application of the PECS fo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s well as its effectiveness. And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said positively that they were willing to apply the PECS to their patients. Here are some problems with the PECS arbitration, however: "difficulty of generalization and application in various situations", "decrease of the children's cognitive ability",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speech-language-pathologists", "difficulty of the PECS use by the people around the patients", "concern over the developmental delay of spoken language", etc. More study as to the PECS needs to be don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make it to the more efficient arbitration. 의사소통은 말 그대로 언어적 수단을 통한 교환적 행동인 것이다. 하지만 발달장애 아동은 언어장애와 정신지체를 함께 수반하는 장애를 가지고 있어, 인지ㆍ언어적 발달지체나 감각상의 손상 때문에 사회적으로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을 통해 주위환경과 상호작용 하거나 다른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언어가 느리게 발달되거나 전혀 발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끊임없이 지적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보완ㆍ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체계의 사용에 대한 논의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 중 하나에 속하는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PECS: Picture Exchange Communication System)는 자폐장애를 가진 아동이나 성인들이 손쉽게 자발적이며 실제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체계의 한 종류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PECS 프로그램에 대한 언어치료사와 부모의 인지도가 낮아 많은 발달장애아동에게 활용되지 않고 있거나 활용이 되더라도 많은 어려움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보다 효과적인 PECS 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해서는 언어치료사가 정확한 PECS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활용 방법을 알아야 할 것이며 또한 부모와 주변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의 활용 실태와 인식조사에 대한 연구를 치료현장에서 AAC의 한 종류로 활용되고 있는 PEC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하여 언어치료사의 활용 실태와 인식을 알아보고 언어치료사들에게 PECS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설문문항은 총 2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서울, 수원, 인천에 위치하고 있는 언어치료사 1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PECS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실태로는 언어치료사 105명 과반수이상이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지만 PECS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험은 과반수 보다 낮게 응답하여 치료현장에서 PECS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경우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ECS 프로그램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언어치료사는 자폐아동에게 PECS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적용한 PECS 프로그램의 각 치료단계마다의 준수사항을 숙지하지 않고 실행한 치료사가 절반정도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행된 치료에 대하여 과반수이상이 부정적인 대답을 하여 PECS 프로그램 실행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볼 수 있었고 올바른 PECS 프로그램 중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PECS 프로그램 활용에 대하여 언어치료사는 중재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체 응답자의 대부분이 치료 대상자에게 PECS을 적용 할 의사가 있다고 긍정적인 대답을 하였다. 하지만 PECS 프로그램 중재 시 ‘여러 상황에서의 적용과 일반화의 어려움’, ‘부모의 이해부족’, ‘아동의 인지능력 저하’, ‘언어치료사의 지식 및 경험 부족’, ‘주위 사람들의 PECS 프로그램 사용방법의 곤란’, ‘구어 발달의 저해될 것이라는 우려’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해결하여 보다 효과적인 중재를 할 수 있도록 PECS에 대하여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유아 또래 상호작용

        이미애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유아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고 배경변인에 따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으로는 어린이집에 다니며 부모와 함께 살고 있는 만 5, 6세 유아 110명과 그들의 부모, 아동들의 담임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의사소통 측정은 이정순(1993)의 도구를 수정·보완한 심성경과 김나림(1997)의 ‘의사소통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 상호작용 척도는 Fantuzzo, Coolahan, Mendez, McDermontt, & Sutton-Smith(1998)의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를 수정·보완하여 최혜영(2004)이 제작한 또래 상호작용 행동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유아용 의사소통 검사는 어린이집 오전과 오후의 자유선택놀이 시간을 활용하여 조사하였으며 부모용 의사소통 검사는 본 조사 일주일 전 유아 편으로 가정으로 배부하였으며 2주일 후 같은 방법으로 회수하였다. 또래 상호작용 검사는 평정자 교육을 받은 후 대상 유아의 학급 담임 교사에 의해 실시되었다. 처리 방법은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ANOVA 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또래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와 부모와의 의사소통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부모가 인식한 의사소통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났으나 유아가 인식한 의사소통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유아가 인식한 긍정적 의사소통은 아버지의 경우 아버지가 인식한 의사소통 수준보다 낮았지만 어머니의 경우는 어머니와 유아 간에 의사소통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유아가 인식하는 부정적 의사소통은 아버지, 어머니의 수준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유아는 부정적 의사소통에 대해 부모가 인식하는 수준 보다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아, 부모가 인식하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면 아버지의 경우에는 긍정적 의사소통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부정적 의사소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경우에도 긍정적 의사소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부정적 의사소통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유아가 인식하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배경변인에 따라 긍정적 의사소통, 부정적 의사소통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아버지, 어머니와 유아의 의사소통은 또래 상호작용과 상관을 갖는다. 긍정적 의사소통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이 낮을수록 자녀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은 낮아지고 긍정적 의사소통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이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졌다. 또한 부정적 의사소통은 어머니의 인식이 낮을수록 유아의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은 높아지고 부정적 의사소통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높을수록 유아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이 낮았으며 유아가 아버지와의 부정적 의사소통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부정적 또래상호작용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과제를 기술하였다.

      • 학습자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사회적 쟁점의 분석 과정 연구

        남현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ultimate goal of the social studies subject is to teach individuals as a citizen to make an informed decision on social issues and take positive actions. To achieve this goal, there have been continued efforts and studies to teach them to consider social issues important and make a reasonable decision. However, existing studies appeared to have focused their discussion on theoretical aspects, giving less attention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students. Therefore, this article aimed to find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an analysis of decision-making process and style of various students about social issues. To this end, the study tackled how students think of and analyze social issue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ree decision-making style and related characteristics. Social issues used in this study were developed by the author, and decision-making style were classified using Harren’s questionnaire about decision-making style.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Chapter 1 introduced the need of this research, its goal and scope. chapter 2 discussed significance of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ypes of decision making models employed to teach decision making and thereby reviewed criticism about decision making education centered on decision making model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In addition, the study also looked into personal differences considered important in education, and in particular, reviewed studies on types of decision making of students. Chapter 3 described research methodology and procedures. There are two methods used in this study; they are the Think-aloud method and writing about a social issue. The Think-aloud method was chosen because it helps examine what students think of without distortion, and writing about a controversial issue prevents reservation of choice. In chapter 4,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s so far and using the research method used in Chapter 3, thinking process and style of students about social issues were analyzed. Two social issues on regulations on school life and death penalty were presented, and Think-aloud method and writing were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analytic framework is the order of decision making models which are most widely used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They provide an analytic framework and help understand how current decision making models are accepted by students. From the findings from the study, the study has implications about teaching decision making skill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action about decision making models used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by decision making types, students of organized style thought the models could help their thinking and play a positive role in reasonable choice, while students of intuitive style were found to perceive the reason for the presence of the models itself in a highly negative way. Those of dependent style perceived the models as knowledge of facts, not an actual process of thinking. Second, there was a serious problem with value conflict and solution. The key to decision making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subject is that it makes student experience value conflict and thereby analyze and justify or modify their value so that they can learn how to negotiate problems of value conflict. However, in this study, nothing relative to this was found in the process of thinking of students. Students appeared to simply present what was learned or heard from news reports from their view points, not having a deep insight into value conflict. Third, in relation to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dependent style, they were found to be different from original hypothesis of this study that assumed that there was no free decision making and explored what their decisions were based on. In other words, compared with other styles, a notable feature of dependent style is that they focused on ‘relationship.’ They made a decision not by relying on other’s view simply accepting it without their own thinking, but depending o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This does not mean that they were swayed by others without their own thinking, but that they took into consideration other’s position and value more than other styles, when making a decision. Fourth, as far as division of facts and value was concerned, previous studies on search based such division strongly doubted and criticized, but in reality these problems have almost never been accepted, arousing confusion and complaints about decision making among students. 사회과의 궁극적인 목표는 시민으로서 각 개인들이 사회적 쟁점에 관해서 지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하여 사회적 쟁점을 중요시하고, 이들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가르치려는 노력들과 연구들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이론적인 측면에 몰두하여 실제 학습자들의 입장에서 의사결정 행위를 살펴보는 노력은 미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학습자들이 사회적 쟁점에 관하여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 및 양상 등의 분석을 통하여 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학습자들이 세 가지 의사 결정 유형에 따라 개발된 사회적 쟁점에 관하여 사고하고 분석하는 과정과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쟁점은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의사 결정 유형의 분류는 Harren의 의사결정유형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된 필요성과 목적 및 연구의 내용 등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사회과교육에서 의사결정의 의의와 의사결정교육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의사결정모형의 유형 등에 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모형 중심의 의사결정교육에 관한 비판들에 대하여 이론적인 논의를 하였다. 또한 교육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학습자의 개인차에 관하여 살펴보고, 특히 학습자의 의사결정 유형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연구의 방법 및 절차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Think-aloud 기법과 쟁점에 관한 글쓰기가 그것이다. Think-aloud 기법은 학습자의 사고를 비교적 왜곡 없이 살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쟁점에 관한 글쓰기는 선택의 보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채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앞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제 3장에서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쟁점에 관한 학습자들의 사고 과정 및 양상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쟁점으로는 학교생활 규정에 관한 쟁점과 사형제도에 관한 쟁점 두 가지를 제시하고, Think-aloud 기법과 글쓰기를 활용하여 수집 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한 틀은 사회과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의사결정 모형의 순서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의사결정유형별로 사회과에서 활용하고 있는 의사결정모형에 관한 반응에 차이가 나타났다. 체계형의 경우 모형에 관하여 자신의 사고에 도움을 받을 수 있고, 합리적 선택을 위해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았으며, 직관형의 경우는 모형의 존재 이유 자체에 관하여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의존형의 경우는 의사결정모형이 실제로 사고가 작동하는 과정이 아닌 사실 지식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가치 갈등과 해결에 있어서는 심각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사회과에서 의사결정학습의 핵심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가치 갈등을 겪게 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분석 및 정당화하거나 바꾸도록 함으로써 가치 갈등 문제에 대한 타협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사고 과정에서 이러한 점들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은 가치 갈등에 대하여 깊이 성찰하지 못하고, 수업 시간에 들었거나 언론에서 들었던 내용들을 자신의 가치에서만 제시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셋째, 의존형 학습자에게서 주목할 만한 특징이 드러났다. 의존형의 경우 결정의 주체성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면서, 의사 결정의 근거를 어디에 의존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원래 가설이었다. 그렇지만 연구 결과 발견된 의존형의 두드러진 특징은 ‘관계’ 중심이라는 것이었다. 이들은 결정에 있어서 다른 무엇인가에 의존해서 자신의 의견 없이 수긍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과 타인의 관계에 따라서 결정의 방향이 좌우되고 있었다. 달리 말해, 주체성 없이 타인에게 흔들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유형에 비해 자신의 입장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상대방의 입장과 가치를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넷째, 사실문제와 가치문제의 인위적 혹은 기계적 구분의 적절성에 관한 보다 심층적 탐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사회과 의사결정 모형이나 논리에서 사실문제와 가치문제를 정형적으로 구분하고 탐구하는 방식에 대한 회의와 비판은 이미 기존 연구들에서도 제기되어 왔다. 그렇지만 현실에서 이러한 문제는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정형적 구분이 자칫 학습자들에게 의사결정에 관한 혼란과 불만을 야기할 우려가 발견되었다.

      • 의사결정나무모델을 이용한 STD11 열처리 방법 결정에 관한 연구

        박선용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STD11(Steel Tool Dies)은 프레스금형, 정밀 기계부품, 커터, 다이, 게이지등에 사용되는 냉간공구강이다. 탄소와 크롬의 함유량이 높은 철강이며 경도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열처리 이후에 변형이 생기는 경우 높은 경도로 인해 수정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STD11에 적용시킬 수 있는 열처리공정은 진공열처리, 풀림진공열처리, 심냉처리, 염욕열처리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며, 상황에 맞는 적절한 열처리 공정을 선택하는 것이 업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STD11에 적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열처리 중에서 어떤 열처리를 적용시킬지는 작업자의 경험과 추측에 의해 진행되고 있으며 적용가능한 기준도 없다. 기존의 연구동향은 STD11의 열처리 치수변화의 이방성에 미치는 제조조건에 대한 연구(홍기정 등 3명 2011), STD11 열처리 치수변형의 특성에 관한 연구(이태길 2007), STD11의 상변화 및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초심냉처리의 영향에 관한 연구(김형준 등 2명 2015)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열변형이 일어나는 원인이나 물적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어서 각각의 공정을 비교선택하여 기업들의 작업환경 개선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기업들은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들이 STD11에 어떤 열처리를 적용시킬지에 대하여 의사결정나무모델을 사용하여 의사결정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의사결정나무모델은 여러가지 인자들을 순서대로 고민하면서 If-Then 기법으로 상황에 따라 결론을 내리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군집분석에 이용되는 의사결정나무모델을 그대로 본 사안에 적용시킬 수 없어서 의사결정과 관련된 델파이기법과 AHP기법을 연계하여 의사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열처리선택 의사결정모델의 개발을 위해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평가인자를 수집하고 기업이 열처리선택을 하면서 고려해야하는 최초인자를 수집하였다. 이후 유의미한 인자의 색출을 위해 델파이기법을 적용하여 11개의 인자를 선정하였고 어떤인자를 먼저 고려할지 판단하기 위해 AHP기법을 통해 인자들의 종합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이 후 모델에 적용시켜야할 분류기준과 해당조건에서 어떤 공정이 진행가능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4가지 형태의 시편을 제작하여 각자 다른 방법으로 열처리를 진행하고 데이터를 종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불필요한 마디를 제거하여 열처리선택 의사결정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의사결정모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S"사의 STD11를 사용한 제품을 대입하여 검증함으로써 열처리선택 의사결정모델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열처리선택 의사결정모델을 사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불량률 감소와 작업효율 향상을 도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임파워먼트와 의사소통을 매개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관계연구 : 공공 구호기관을 중심으로

        이정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paper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s ha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 according to leadership, empowerment, and communication among members to obtain the utmost goal of public aid organization which is one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e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re empirically proven to be three factors such as charisma, motivation and personal work encouragement. Second, empowerment component factors were proven to be three factors such as self-decision, ability and influential power. Third, except for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 that support results of previous studies. However, smooth and easy communication does not guarante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least in public aid organization.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 this study can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manager should exer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terms of charisma, motivation and personal work encouragement for effective humane operation by empowerment and smooth and easy communication of public aid organization. First of all, manager, as a leader, should show a charisma, and for it, a higher office should give up, and act to have respect, trustworthiness and authority from followers. Moreover manager, in terms of motivations, should emphasize value, belief and goals of organization, and offer confidence and vision that they can accomplish. And manager should give a personal work encouragement to them. For it, manager should help them resolve work problems in diverse aspect, and offer new and innovative methods to them for carrying out their job. Also, a higher office should treat them as humane right and help followers develop their merits with allocating time. Second, empowerment has effect on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erefore, manager should help followers exert empowerment activities. Third, this study shows that high communication activities always don’t guarantee hig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means that communication ability is not an attractive and winner factor but qualifier factor which is as an inevitable factor in public aid organization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nd they are works which should be resolved in future. First, research range was restrained in region of Daegu and Gyeongbuk. Second, this study has difficulty in discussing time serial results owing to one shot study which is restrained short terms and specific samples. Third, this study did not find discrepancy between job specifications.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하나인 공공구호조직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의 관리자의 리더십, 종사자들의 임파워먼트, 리더와 구성원,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에 따라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 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의 변혁적 리더십의 하부요인은 실증분석 결과, 카리스마, 동기부여, 개별적 업무격려의 3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조직인 공공구호조직에서의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소는 자기결정, 유능함, 영향력의 3개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과 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를 제외하고는 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의사소통, 조직효과성간의 정(+)의 방향으로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복지조직인 공공구호조직에서는 원활한 의사소통이 조직의 효과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공공구호조직의 임파워먼트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운영을 위해 조직 관리자는 카리스마, 동기부여, 개별적인 업무격려 측면에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먼저 관리자는 리더로서의 카리스마를 보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사는 개인의 이익을 포기하고, 부하직원으로부터 존경심, 신뢰감과 함께 권위를 가질 수 있는 행동을 보여야 한다. 또한 관리자는 동기부여 측면에서 부하 직원에게 조직의 가치, 신념, 목표를 강조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다는 확신과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조직의 관리자는 개별적인 업무격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업무상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업무수행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상사는 부하를 인간적으로 대하고 시간을 할애하여 부하직원의 장점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둘째, 임파워먼트가 의사소통과 조직효과성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에 영향을 미치므로 종사자의 임파워먼트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직과 관리자의 지원이 요구된다. 셋째, 의사소통능력이 높다고 해서 조직효과성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연결되지 않음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의사소통능력이 기존의 공공구호조직의 활동에서 당연시 되는 요소로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위한 매력적이고 우위적 요소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다음의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며 향후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첫째, 지역적으로 대구․경북지역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기에 지역적인 한계점을 갖고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짧은 시점의 일정 표본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인 연구이어서 추세적인 연구결과를 논할 수가 없다. 셋째, 종사원의 직무별 인과관계의 차이점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의사소통 유형 및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 전북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정미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how the types of parents' communication were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and how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self-esteem / depression) of the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ould appear.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parents'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Satir's theory of family therapy of communication, and divided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adolescents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during April 6 22, 2004, from 399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Jeonju-si by using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wed a higher efficiency with mother than father. And, the difference in the sufficiency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wed a higher sufficiency with father than mother. Second, the types of parents' communication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school, academic backgrounds of parents and occupations of parents) of the students surveyed. Third, as far as the difference of the types of parents' communication and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is concerned, the harmonization of the type of parents' communication showed the highest self-esteem and the lowest depression. And,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ime with parents showed the highest self-esteem and the lowest depression when the communication time with parents was longer than 1 hour. Fourth, the static correlation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of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adolescents. That is, self-esteem was high and depression was low as the parents communicate efficiently.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the youth childre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parents and efficiency of communication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That is, the more the adolescents satisfy with parents' communication, the higher self-esteem and the lower depression. And, the more the adolescents feel sufficiency of parents' communication, the higher self-esteem and the lower depression. The difference in the tim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wed that the communication time with father was less than 30 minutes, whereas the communication time with mother was distributed in "less than 30 minutes," "30 minutes to 1 hour," and "more than 1 hou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