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별 직업정보의 질 선호도 및 직업정보탐색 간의 관계 분석

        박기영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Ⅰ. Purpose of the Study The intervention of counselor's role in vocational counseling or career counseling is mainly focused on providing vocational information as individual's need. In vocational counseling process, the information of profession is offered as perceiving what the person needed. At this point, it also has to be modified correctly if the formerly acquired information appeared to be false by questionnaire(Byoung Sook Kim, 2007). The information has its worth only when the formality is closer enough to the user's desirable one and easy to approach. Thus, the study about effective way of sending vocational information process on creating, producing and providing job can be able to help for the career expert, counselor and the users, for them to select and use higher quality vocational information. For this matter, this study is not only about the search for decision making method, but about the analysis of preference to different quality level of vocational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in exploring job profiles, and finally tried to pull out the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and producing vocational information which suits for each user's level. Ⅱ. Method of the Study This study conducted in the following regions including; Seoul, Kyounggi, Inchon, Chungcheong, Cheonlla and the participants were all attendee of four year university. To achieve our goal appropriately, the measure, career decision scale was compensated and applied to be perfect used as for the study of Harren(1984). The main factors for preference to the quality of vocational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earch set through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documents. This study data system genuinely dealt with SPSSWIN 12.0 program proved the hypothesis using by its frequency analysis, causes, trust measurement,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d so on. Ⅲ. Results First, as for the result of analysis in the decision scale divided by gender, grade, majo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o the rational and intuitive career decision approach although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depend on others when making decision. In arrange of senior, junior, fresh man, sophomore were presented closer to the rational approach by different grade and in the order of senior, freshman, junior, sophomore to the dependent approach. There is no specific difference among various grades making decision followed by their instinct. Als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cision scale depending on the major. Second,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regard to the preference of quality of vocational information by looking upon grade, gender and major. By different grade, the senior year student group was more likely to be latest vocational information, and lower grade student group(freshman and sophomore) shown more concerned about the information quality of access and utility. By what they studying, utility and accuracy were proven to be priority for all, meanwhile students who study technology were scored the highest in both criteria. Third, it appeared that male students tend to utilize online/offline tools when searching for the vocational information than female students in vocational information search. By grade, the senior year students are the most active group of search for the vocational information. Different on major, the case of students that study technology and liberal arts explore their vocational information ultimately concentrating on human resource and more actively manpower,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work whole in one. Fourth, as for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decision scale and quality of job info, the group of students approach to the factor rationally tend to look for latest, utility, accuracy, usefulness and other quality information for job search, and for the group where they approach to the factors followed by instinct are more likely to look for the access, utility, exactitude and other quality of factor. On the other hand, the groups of people, who are dependant decision makers, were irrelevant for any known quality of factor. Fifth, rational thinkers were using their method of exploring human resource and actively man power, mostly throughout the people and work while intuitive students were using their method of exploring material resources and others in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decision scale and vocational information search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dependant decision group of students were shown using more of personal contact to their friends, seniors, families, relatives or so when search their vocational information. In conclusion, the result about preference of quality of vocati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arch could be vary depending on student's gender, grade and major, which alludes to us that the needy of developing diverse vocational info system and variety of study upon each differentiating individual is severely required, to make vocational info as catalytic role to support decision making. Furthermore, as shown in the above study, the preference and vocational info search of rational decision makers could be used for good model and we expect to be facilitated a kind of supportive program for the right career decision when counseling in the nearer future. 직업상담 혹은 진로상담에서 상담자의 개입(intervention)은 주로 직업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직업상담과정에서 직업정보는 개인이 정보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을 때 제공되는데 이미 습득된 정보에 대해 지식을 증가시키거나 직업정보에 관한 질문을 통해서 부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였을 때는 이를 수정해주어야 한다(김병숙, 2007). 정보는 이용자가 원하는 형식에 가까우며 접근이 쉬울수록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효과적인 직업정보 전달을 위한 직업정보의 가공, 생산 및 제공에 대한 연구는 직업전문가와 상담자 그리고 직업정보 이용자들이 고부가가치의 직업정보를 선별하고 사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사를 결정하는 방식과 직업정보의 질에 대한 선호 차이 및 직업정보탐색에 관한 관계를 분석해 이용자들의 수준에 적합한 직업정보 가공 및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인천, 충청, 전라도 지역 4년제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의사결정유형 측정도구로는 Harren(1984)의 의사결정유형검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직업정보의 질 선호도와 직업정보탐색은 국내외 책자의 문헌분석을 통하여 요인을 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측정,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을 성별, 학년, 전공계열별로 분석한 결과, 우선 성별의 경우 합리적·직관적으로 의사결정에 접근하는 데는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의사결정 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의존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학년별로는 의사결정을 할 때 4학년, 3학년, 1학년, 2학년 등의 순으로 합리적으로 접근하고, 4학년, 1학년, 3학년, 2학년 등의 순으로 의존적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직관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데는 학년별 차이가 없었다. 전공계열에 따른 의사결정유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학생의 직업정보 질 선호도를 성별, 학년, 전공계열별로 살펴본 결과, 성별 차이는 없었다. 학년별로는 4학년이 최신의 직업정보를 선호했고, 저학년(1·2학년)은 접근성과 유용성 등의 직업정보의 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별 직업정보의 질 선호도의 차이에서는 유용성과 정확성 등에서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는데 유용성과 정확성 모두 공과계열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다. 셋째, 대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별 직업정보탐색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온·오프라인 매체를 활용해 직업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년별 직업정보탐색에서는 4학년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적 탐색을 벌였고, 전공계열별로는 공과계열과 인문계열 학생들이 인적 자원 탐색과 활동적 탐색 등 사람과 일을 통한 ‘활동’에 초점을 맞춰 직업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직업정보의 질 선호도와의 상관분석 결과, 의사결정을 할 때 합리적으로 접근하는 대학생은 최신성, 유용성, 정확성, 사용성 등의 직업정보의 질을, 의사결정을 할 때 직관적으로 접근하는 대학생은 접근성, 유용성, 정확성 등의 직업정보의 질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은 직업정보 질의 전 부문과 상관이 없었다. 다섯째,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직업정보탐색과의 상관분석에서는 의사결정이 합리적인 대학생은 인적 자원 탐색, 활동적 탐색 등 사람과 일을 통해 직업정보를 탐색했고, 의사결정이 직관적인 대학생은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한 물적 자원 탐색, 활동적 탐색 등을 통해 직업정보를 탐색했다. 의사결정이 의존적인 대학생은 친구, 선배, 가족, 친지 등 개인적인 접촉을 통해 직업정보를 탐색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성, 학년, 전공계열별로 직업정보의 질 선호도 및 직업정보탐색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직업정보가 직업선택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에 촉매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개인차에 따른 다양한 직업정보 시스템의 개발과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위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이 선호하는 직업정보의 질 선호도 및 직업정보탐색을 모델로 해서 직업상담 시에 올바른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 투자의사결정과 회계정보의 공시에 관한 연구

        양차열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회계는 회계정보 이용자의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회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의 유용성 문제는 정보의 이용자, 이용자의 의사결정내용과 정보처리과정, 그리고 이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의 내용이 어떤 것인가를 규정할 수 있을 때 해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회계정보의 공시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목적으로 회계정보의 공시와 유용성, 투자의사결정과 회계정보의 관계 및 회계정보가 투자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투자의사결정과 회계공시의 관계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중요하게 생각되었다. 첫째, 회계공시의 목적은 회계의 목적과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회계공시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모든 정보이용자가 경제적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투자의사결정에 유용한 정보여야 한다. 둘째, 회계공시의 대상은 사려 깊은 평균적 투자자와 전문적 투자자(재무분석가) 모두에게 공정하게 회계정보를 공시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공시량의 결정에는 상반된 견해가 있으나 미래의 회계는 보다 많은 정보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회계정보의 공시에 있어 예측정보의 공시가 보다 중요하게 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제도가 확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accounting is to provide users of accounting information with useful information for their economic decision making.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ily required to achieve this purpose should be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 following factors : users of information, decision making contents of users,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contents of information that users require.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at making theoretical review about the disclosure of accounting information which is useful for investors' decision mak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investment decision v and accounting information, and the prior studies which dealt with the impact of accounting information to investment decision making. From this examination, the following points were found important in the relation between investment decision making and disclosure of accounting information. 1. The purpose of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conomic decision making. 2. As for the objective of accounting information disclosure, accounting information should be projected fairly to both considerate average investors and professional investors(financial analysts). 3. Although there is disagreement about quantity of disclosure,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 disclosing more information in the future. 4. As disclosure of forecast information becomes more important, some institutes retated with disclosure of forecast information should be established.

      •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이지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oday there are many terminal cancer patients on the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which has produced many issues in legal and ethical aspects in health care systems. However, researches dealing with such issues have been scarcely conducted in medical and nursing socie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at delineating the medical personnel's perceptions regarding advanced directives inclu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2009 to May, 2009.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group interviews, which were respectively composed of doctors of a hospice ward of K hospital, Seoul, registered nurses of the hospice ward of the hospital and nurses of the I.C.U. of the hospital.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1-2 times of each group, and lasted about one and half hour for each interview. The data were coded by open coding and topic coding, and analysed by focused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 From the findings, 7 themes with 22 categories were delineated. Throughout the 7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ing; 1. Advanced directive concern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should be recommended to patients in desperate circumstances with no possibilities of revival with current treatment modalities. 2. The person who decides about advanced directive inclu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should be the patient him/her-self. Because it should be the expression of the patient's self-determination with free will. 3. When explaining about advanced directive, medical personnel should consider patients' socio-demographic status such as age, job, education, etc, and should explain about advanced directive itself and related factors to patients at regular basis to prepare patients or guardians about advanced directive, and to have opportunities to change their decisions regarding advanced directive. 4. Advanced directive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enables patients to be prepared for their death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medical personnels to establish the trust relationship with their patients and their medical guardians in preparing patient's good death. 5. By the advanced directive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uld have chances to aware about the other modalities to ease the sufferings in dying process from medical personnels, therefore, modalities with new paradigm different from traditional treatment modalities that focus on patients' quality of life more than physical treatments were established between medical personnels and patients and their families. 6. There was consensus that patient's decision on advanced directive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is a careful recommendation for medical personnel. The current systematic problems on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are; 1. There are lack of principles and legitimated ways and regularizations to deal with problems coming from advance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2. There are lack of consensus among hospitals and health care members regarding ways on dealing with advance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o set the desirable system for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agreed consensus of medical personnels were; 1. Ethically, and socially accepted legitimated standards on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formalized and systematic formats that can be shared with health care setting should be developed. 2. Realistic medical cost systems for caring patients who decide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should be developed, and patients who decide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should be eligible for medical insurance to ensure to have divergent modalities focusing on quality of life. 3. Pati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their serious diseases that lead to death from medical personnels to decide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at their free will. Today,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 impending death is becoming social issue, therefore, the concern about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of terminally ill patients is increasing in health care setting. Within that context, this findings have a important meaning in establishing a desirable system and can be utilized in setting principles about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사전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의견과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될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의료적 결정에 대한 지식체를 산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K대학병원의 호스피스 병동 의사와 간호사, 중환자실 간호사 3그룹으로 나누어 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각각 1~2차례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개방형코딩과 토픽코딩의 자료분석을 통하여 7개의 주제와 22개의 범주, 7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기존 치료의 한계가 노출되는 상황’, ‘환자가 중심이 되는 결정’, ‘번복할 수 있는 준비과정’, ‘환자․보호자․의료인이 함께하는 새로운 관계 설정’, ‘사회적 합의 구성을 위한 당사자 결정’, ‘아직도 받아내기 난감한 방법’, 그리고 ‘환자, 보호자, 의료인 모두를 위한 조심스런 선택’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주제 및 범주를 포함한 간호사, 의사 집단의 의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기존 치료의 한계가 노출되어 회생 가능성이 없는 절박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결정이다. 2. 사전의사결정의 주체는 환자가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는 환자의 자율적 의지에 따른 자기결정권의 표현이다. 3.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설명을 제공할 때 환자나 보호자의 사회적(연령, 직업, 교육정도 등)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제공해야한다. 또한 환자가 언제든지 번복할 수 있는 준비과정이 되어야 한다. 4.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환자에게는 생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가족과 함께 준비된 죽음을 맞게 도와주며, 의료인에게는 환자, 보호자와 임종까지 함께하는 신뢰관계를 설정하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 5. 사전의사결정을 계기로 말기 암환자나 보호자들은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고, 그동안 신체적 안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던 전통적 치료 방식에서 벗어나, 치료적 패러다임을 삶의 질 향상으로 바꾸게 되는 서로간의 새로운 관계궤도 설정이 일어난다. 6.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아직은 환자, 보호자, 의료인 모두를 위한 조심스런 선택이다. 개선을 위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다음과 같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관련 규율이나 법적 장치가 미비하며, 사전의사결정의 공통된 양식이나 규정된 방법이 없다. 2. 병원 간 사전의사결정의 공유가 어렵고, 동일 병원 내에서도 의료인간에 사전의사결정을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통로가 없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사회적 즉 법적, 윤리적, 의료적으로 합의를 이룬 기준과 체계적인 서식 마련이 필요하고, 작성여부 및 내용에 대한 통합적인 공유책 개발이 필요하다. 2. 많은 시간과 의료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과정이니만큼 여기에 맞는 현실적인 의료수가가 개발되어야 하고, 환자가 왜곡된 선택을 하지 않도록 의료 보장의 폭을 넓혀야 한다. 3. 환자-의료인간의 대화가 단절되지 않도록 하고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질병의 위중함을 솔직히 알림으로 환자의 자율적 선택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암환자들의 말기 생의 질적인 부분에 대한 사회적으로 관심이 대두되는 시기에서,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논의가 이루어 지지 않았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공통된 의견의 분석으로 추후 무의미한 연명치료와 사전의사결정과 관련된 연구 및 제도 마련에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夫婦意思決定이 共同滿足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김재천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8703

        消費者滿足은 현대 마케팅 思考와 그 實行에 있어 중심적 개념이다. 소비자 위주의 경영 또는 마케팅 컨셉트는 消費者에게 滿足을 제공하여 그 대가로 장기적인 이익을 얻는 것을 강조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消費者의 전반적인 생활의 질은 향상 될 것이다. 그러므로 消費者滿足은 消費者 企業 및 社會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消費者滿足이란 마케팅의 궁극적 목적이며 그러한 사고는 결국 만족한 消費者는 마케팅의 성공적인 실천과 기업의 장기적인 수익성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다. 제품 및 서비스의 顧客滿足은 종종 반복구매, 동일제품류에서 다른 제품의 수용, 우호적인 구전 등을 유도한다. 대부분 消費者의 製品購買는 가족상황내에서 발생한다. 더우기 그러한 여러 가지 이들 결정은 공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가족구성원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공통의사결정의 뚜렷한 경향에도 불구하고 消費者滿足에 관한 연구가 주로 2인1조 또는 보다 큰 집단을 무시하고, 분석단위로서 개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家族意思 決定過程이 개념적·실증적으로 검토되었지만 집단결정과 함께 個別的 滿足 내지 集團滿足結果 또는 그런 결정으로부터 파생된 滿足結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주요 방법에서 만족과정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첫째, 夫婦共同意思決定과 滿足·不滿足 사이의 관계 규명을 시도할 것이고, 둘째로 共同滿足의 이론적 의미를 상세히 논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만족의 개념화를 발전시키고자 시도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연구는 분석단위로서 개인보다 집단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기존연구들을 확장하고자 한다. 또한 消費者 滿足·不滿足過程에 분석단위로서 夫婦를 검토함으로써 相互作用理論의 적용가능성을 실증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相互作用理論은 夫婦를 집단행동의 단위로 보는 관점을 제공하고, 개인의 합리적 행동은 타인 및 환경과 상호작용에서 비롯된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이론적 틀인 相互作用理論과 消費者滿足간의 밀접한 관계는 夫婦意思決定過程의 요인들을 期待不一致模型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共同滿足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행요인들을 消費者滿足硏究의 틀에서 살펴보고, 夫婦共同滿足·不滿足을 창출할 수 있는 속성들을 기존의 연구에서 검토한 후 몇 가지의 차원에서 분류하여 夫婦共同滿足의 수준을 측정·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측정치가 공동자료들의 내적·외적 타당성을 입증하는 만족스러운 수준을 제시했고, 측정치가 共同意思決定을 통해 夫婦滿足에 관한 공동 응답이라는 상황내에서 검증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수행결과 夫婦의 適合性 및 資源寄與는 夫婦間 不一致의 程度가 커짐에 따라 상당한 관심거리가 될 정도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고, 이런 경우에 適合性 및 資源寄與의 程度는 意思決定過程과 個別 및 共同滿足度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아파트의 구입·점유에 대한 夫婦 共同滿足은 消費者滿足과 동일한 이론적 배경을 가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期待, 成果 및 期待不一致 모두가 共同滿足의 예측변수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아파트의 구입·점유에 대한 夫婦共同滿足은 消費者滿足과 동일한 이론적 틀을 공유할 수 있으며, 동일한 측정구조를 가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Consumer satisfaction is a key concept in marketing. The concept of consumer satisfaction has been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literature. Part of important concern for the welfare, and hence the consumer satisfaction stems from the realization that satisfied consumers are critical to the successful practice of marketing and to the long-run profitability of the firm. Customer satisfaction with a product often leads to repeat purchase, acceptance of other products of the same product line and favorable word-of-mouth communications. Marketers are also deeply concerned with consumer satisfaction because of many adverse effects which may result from consumer dissatisfaction. This study attempts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satisfaction process in two primary ways. First, it attempts to establish and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joint decision-making and satisfaction/dissatisfaction. Second, it attempts to expand the conceptualization of satisfaction by refining a theoretical meaning of joint satisfaction and developing ways to measure it empirically. In this respect, the study also seeks to extend the work of Oliver; Woodruff, Cadotte and Jenkins; Tse and Wilton and others, by focusing on the husband-wife rather than the individual as the unit of analysis. In viewing the husband-wife as the unit of analysis, the study will als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interaction framework to the C/D process. Interaction theory provides a convenient perspective from which to view the husband-wife as group behavior. The interaction approach posits that the rational behavior of an individual results from the envioronment and the social interaction that the person has with people in the group. Survey research procedures were employed to gather joint data from 287 couples who had purchased and occupied their APT between January 1992 and December 1996 in Kwangju-Chonnam Area.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structs, Cronbach's alpha and confirmatoy factor analysis(LISREL 8) were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discriminant validity among theoretical constructs and to check convergent validity between constructs and measures. The overall adequacy of fit was found to be acceptab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Despi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gruency and resource contribu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husbands and wiv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oint satisfaction.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joint and individual satisfaction of either husbands or wives. Implications are that invididual differences in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product performance could result in similar levels of satisfaction.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congruency and resource contribution may play a direct role the determination of joint satisfaction under conditions of joint decision-making.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marketing implications because practitioners can benefit from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sumer satisfaction process. Market segmentation applications can be realized from the fact that individuals with expressly differerent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of performance can have similar levels of satisfaction. Marketers must recognize these differences in formulat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While the findings cannot be generalized beyond the population of concern, they provide some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issues related to joint decision-making and the satisfaction process. As such,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y and for theory development. Future studies in this areas should be extended to include additional variables related to joint decision-making. The above constructs are expected to have following relationship with joint satisfaction. H1: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congruency and degree of husband-wife satisfaction in the context of joint decision-making. H2: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uple resource contribution and degree of husband-wife satisfaction. H3: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int decision-making and degree of husband-wife satisfaction. H4: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ctation and degree of husband-wife satisfaction. H5: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sconfirmation and degree of husband-wife satisfaction. H6: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degree of husband-wife satisfaction. These hypotheses are depicted in Figure.

      • 意思決定 能力開發 訓練이 中學生의 進路意識成就度에 미치는 效果

        양수기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의사결정 행동유형이 합리적이지 못한 중학생 집단에게 의사결정 능력개발을 위한 훈련을 실시하여 이 훈련이 의사결정 행동유형과 진로의식성숙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합리적 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 성숙정도는 상관이 높을 것이다. 둘째, 의사결정 능력개발 훈련은 의사결정행동을 합리적유형으로 개선시키고 진로의식 성숙정도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울산시 울주군 소재 B중학교의 2학년 학생 총 144명에게 의사결정유형 검사와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사전검사 결과 의사결정 행동유형이 합리적이지 못한 학생 중 16명을 실험집단에 배정하였다. 검사도구는 의사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도의 측정을 위해 객관적인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훈련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Hendrix M. W.(1991)의 학생용 의사결정 자료를 임두순(1999)이 번역한 것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전문가의 지도를 받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 매주 2회, 총 12회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1회의 소요 시간은 45분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평균과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t-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적 의사결정유형의 진로성숙도는 직관적유형과 의존적유형에 비해 높다. 즉, 이 유형의 학생은 같은 연령 집단의 직관적유형과 의존적유형의 학생들에 비해 진로선택과 관련된 태도와 능력의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의사결정 능력개발 훈련은 의사결정행동을 합리적유형으로 개선시키는 데에는 다소 긍정적이며, 진로의식 성숙정도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긍정적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veloping decision making ability on the styles of decision making and the levels of career maturity. The program was particularly designed for the students who lacks in rational aspect of decision making style.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students experience and follow the rational process of decision making, then they will show high levels of career maturity. Second, if the students get involved i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developing decision making ability, then their styles of decision making and levels of career maturity will be positively improved. Sixteen subjects were chosen from the pool of one hundred forty four middle school students of second grade by the criterion of relatively irrational thinking style. Two kinds of test were given to the subjects; decision making style and career maturity inventory. The program applied to the study was developed by Hendrix M.W.(1991, translated by Lim, 1999) and run forty five minutes of each session twice a week for six week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f the irrational decision making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intuitive and the dependent group. In other words, the rational group shows higher level of attitude toward career decision making than other groups. Second, it is clear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 program was very effective to improve students' irrational decision making style and to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노예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수행을 조사하고, 두 개념의 연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을 높일 수 있는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0년 2월 3일부터 2월 28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시 및 광역시 4개시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의 6개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1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는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은 Jenkins(1985)가 개발한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척도를 백미경(2004)이 번안한 도구로 총 40문항이며 5점 척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업무수행은 백현옥(2004)이 개발한 임상 간호사의 업무수행평정 도구를 김윤희(2007)가 수정˙보완한 도구로 총 35문항이며 5점 척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5.0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은 평균 135.23±10.06점으로 나타났고, 하부 영역별로 보았을 때 ‘정보에 대한 조사와 새로운 정보에 대한 일치화 영역’이 3.57±.33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결론의 평가와 재평가 영역’이 3.50±.56점,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 영역’이 3.38±3.53점, ‘대안과 선택에 대한 조사영역’ 이 3.06±.21점 순으로 나타났다. 2. 간호업무수행의 평균평점은 3.91±.45점으로 나타났고, 하부 영역별로 보았을 때 ‘태도 및 자질 영역’이 4.06±.54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업무지식 영역’이 4.02±.68점, ‘간호윤리 영역’이 4.02±.56점, ‘업무수행 영역’이 3.96±.50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479, p<.001). 4. 대상자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은 일반적 특성인 연령(p=.001), 총 임상경력(p=.032), 직위(p=.009)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p=.923), 결혼상태(p=.143), 종교(p=.432), 최종학력(p=.402), 응급실 근무경력(p=.866)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간호업무수행은 일반적 특성인 연령(p=.016), 결혼상태(p=.001), 총 임상경력(p=.022), 직위(p=.003)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p=.822), 종교(p=.505), 최종학력(p=.917), 응급실 근무경력(p=.584)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는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킨다면 보다 효율적인 간호업무를 수행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보다 질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을 높이기 위한 훈련 및 교육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 의사결정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 중학교 사회과를 중심으로

        김현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의 사회과는 해방후 제 1차 교육과정이 제정된 이후 지금까지 ‘민주시민의 양성’이라는 주된 목적으로 전개되어 왔다. 물론 이러한 사회과의 목적이 우리나라 사회과의 각 시기를 거치면서 변화를 거듭해 왔지만 사회과의 궁극적인 목적인 ‘민주시민의 양성’이라는 덕목은 계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사회과가 지금의 모습으로 정착하기까지 많은 변화를 겪어 왔지만 사회과에서 특히 제 사회과학적 지식을 강조하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사회과의 정착에 많은 영향을 끼침은 물론, 사회과가 ‘탐구’라는 교육방법을 중시하게 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미국에서 1957년 스푸트니크 사건으로 인해 본격화된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지식과 기술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처해 나가기 위해 학문에 내재해 있는 전이가가 높은 지식, 즉 지식의 구조를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풍조는 우리나라의 ‘60년대 산업화와 근대화를 향해 노력하던 시기를 지나’ 70년대 경제성장이 빨라지고 산업사회를 향해 한 걸음 더 진전하는 상황에 맞게 사회과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취지와 맞물려 제 3차 교육과정 개정의 중심 이론이 되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주된 이론으로 하는 제 3차 교육과정은 수업방법면에서는 ‘탐구’라는 새로운 방법의 도입을 요구하게 되었다. 학문중심교육과정은 연구실에서 학자가 하는 과정을 교실에서 학생이 같은 방식으로 행함으로서 지식의 구조를 알 수 있다고 하였고, 이러한 방법을 ‘탐구’로 보았다. 한편 미국에서는 lames A. Banks가 Engle의 주장을 받아들여「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을 계발함으로써 지적인 사회 행위자(intelligent social actors)들을 기르는것」이 사회과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하였다. 이에 따라 지식분야를 학습하기 위한 사회탐구와 가치교육을 위한 가치분석의 종합적 과정을 통해 의사결정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그의 의사결정 수업모형은 지금도 우리나라 사회과에서 강조하고 있는 의사결정 수업모형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문헌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이 모형에 관한 비판적 연구가 제시되었을 뿐 이를 학교현장에 적용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의사결정능력의 신장을 위한 대표적인 이 모형에 대한 한국교육에의 적용의 적합성여부는 아직 파악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이 모형이 우리나라 교실 현장에 과연 적용력이 있는지,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 섣불리 말할 수는 없다. 이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사회과 수업은 뱅크스의 의사결정 수업모형이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갖는지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는 것이다. 실제수업을 통한 실험연구로 그 적용력을 설명하고, 또한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이 모형이 우리 교실에 갖는 의미를 살피고자 한다. 연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경기도의 ㅊ 여자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교사안내형, 토론식 의사결정의 탐구수업을 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교사주도형 강의식 수업을 하였다. 의사결정력 사전평가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못했던 두 학급이 실험, 즉 의사결정 방법론의 수업후 어떠한 차이를 보였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 수업방법으로 인하여 의사결정력의 수준이 달라졌다면, 이는 학생들의 기존의 교과성적 상위그룹과 하위그룹 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결과는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SPSSWIN 프로그램으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가설은 첫째, ‘Banks의 합리적 의사결정 수업모형은 학생의 의사결정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이며, 둘째, ‘Banks의 합리적 의사결정 수업모형은 성적 상위그룹의 학생과 성적 하위그룹의 학생간에 의사결정력 향상효과의 차이를 보인다.’ 이다. 이 두 가설에 대한 실험연구를 통해서 의사결정 방법론의 수업과 우리의 교실현장과의 관계를 나름대로 정리해 보았다. 선행작업으로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찾기 힘든 탐구수업을 위한 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지도안을 작성하고, 실험집단에 실제 수업을 진행한 후 통제집단과의 의사결정력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는 난이도 검사를 통해 검증된 문항지를 이용하였고 검사결과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했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 모형이 학생들의 흥미 및 의사결정력의 향상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와 실험연구에서 미진했던 부분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두 가설에 대한 실험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이 모형의 우리 사회과 교육에의 적합성과 우리 사회과 교육이 의사결정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수업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어떠한 조건과 환경이 요구되는지를 제시하였다. 실험연구와 설문조사의 결과분석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Banks의 의사결정 수업모형은 우리 수업에서는 효과면에서 어느정도의 설명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 모형이 우리 수업에 적용력이 있다는 보여준 것이었다. 둘째, 그러나 이 수업모형은 교과성적의 차이에 따라 의사결정력 신장에도 차이가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이 모형의 여과없는 적용이 우리 수업에 문제점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모형을 우리의 수업에 적용하기 전에 학습자간에 수준차가 고려되었는지, 학습효과에 차이가 나지 않도록 자료의 난이도와 수업의 분위기는 적절한지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의 중학교 사회과 수업에서 학생의 의사결정력을 높일 수 있는 수업모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한국의 중학교 실정에 맞는 의사결정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이론을 재구성하고, 필요하다면 적용의 범위는 한정되더라도 더 많은 수업모형의 창출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이론을 적용해보아야 한다. 둘째, 의사결정력의 향상을 위한 수업을 위해 더 많은 자료를 제작이 필요하다. 특히 중학교의 경우에는 교과의 목표와는 달리 교과서내의 자료는 실제 그 내용으로 탐구수업을 진행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교과서내 적절한 자료를 찾기 어려울 때에는 교과서 외에서라도 적절한 요소를 추출하여 많은 자료를 제작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많은 자료를 손쉽게 찾을 수 있다. 교사의 자료제작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자료 검색 및 선택에도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 셋째, 교실현장에서 이론과 실제의 적용과 그 효과에 대한 더 많은 실행과 평가가 있어야 한다. 실험연구의 결과 교과성적 상위그룹과 하위그룹간에 의사결정력 향상의 차이가 난다는 결과는 Banks의 모형이 우리교실에서 가지는 한계가 무엇인지를 확연히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또한 많은 외국의 이론들이 여과없이 교실현장에 투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교사들은 끊임없이 현장연구의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The object of our social studies has developed as the "Bringing up Democratic citizens" since The First Curriculum has been established. Of course, although this object of social studies has changed during several sessions, the ultimate purpose of "Bringing up Democratic citizen" has been emphasized continuously. Although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experienced many changes until it settled down as the shape of present days, the education curriculum which emphasizes knowledge of social science has not only influenced the settlement of social studies but also became the occasion of emphasizing the method of "inquiry". In U.S.A,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which has become serious after the outbreak of the Sputnik in 1957, has emphasized that teachers should teach the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has high transition value to cope with explosive increasement of knowledge and technique. These trend became the centric theory of The 3rd Curriculum Amendment with the view that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should be made up coincidently with the social situation of 60s and 70s when in 60s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was the main object and in 70s economic development became faster and Korea approached upon industrial society. The Third Curriculum Amendment which consider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s main theory, requested the introduction of new method 'inquiry'. In the view of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they thought that students can know the structure of knowledge by doing the same ways in the class as the scientists do in the laboratory, and they considered these ways as 'inquiry'. Meanwhile in U.S.A they accepted Engle's assertion and thought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social training is 「to bring up the intelligent social actors by developing the decision-making ability」. According to this, they presented the model of class that can enlarge decision-making ability through synthetic process of value analysis and social research. His model is one of the class models being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in our country until now. As a sort of documental study, critical studies of this model has been presented in our country, but there is no instance that this was applied to the field. Because the adaptability of this model, which is representative for the expansion of the decision-making ability, to korean education is not captured, whether this model is applicable for class or not and to what extent it is useful can not be said rashly. In these situation, this study is examining what extent the decision-making model of Banks is applicable in the real class. By the experiment in the real class I will explain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and investigate what it influence in our class by survey. The sequence of experiment is as follows. After dividing the students of C girls' middle school in Kyonggi province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 gave the discussion classes of teacher-guided style to experimal group, while we gave the lecturing classes of teacher-led style to control group. I am going to analyze the difference two groups show after the classes of 'inquiry' through discussion although they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in pre-estimation of decision-making ability. Also, if the level of decision-making ability has changed through this method, I will examine how they differed according to the rank the students belong to. Test result were verified through t-test by SPSSWIN program to extend the reliability. The first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the Banks' decision-making model affects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students. The second is that the Banks' decision-making model shows the difference in enhancement of decision-making ability between the group of high ranking students of the grade and the group of low ranking students of the grade.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se two hypothesis, I arranged the relation of 'decision-making model' and our field classes. As a prior work, I developed the materials for classes of 'inquiry'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the text books of middle school, and made a teaching plan, and proceeded real classes in experimental group. Then decision-making ability was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I used verified questions for before and after examination, analyzed the result statistically by SPSSWIN program. Lastly I surveye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examination, investigated how this model influenced their interests and decision-making ability. And I checked what was the lacking point of this experiment. Through the experimental research of two hypothesis and the survey, I presented the adaptability of this model to our social studies, what problems our social studies' classes possess, and which condition and environment is needed to overcome those problems. The conclusion about analysis of results of the experimental study and the survey is as following. First, Banks' decision-making model is meaningful to some extent in the aspect of effects. This shows that this model is applicable to our classes. Second, but this model showed that it has different effects to the decision-making ability's enhancement according to rank in the class. This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model without filtering can invoke problems in our classes. Before this model is applied to our classes, we should ask whether the level difference were took into account, whether the difficulty of materials and the atmosphere of classes are proper. Through this study, following efforts are needed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model that can enhance the students' decision-making ability in Korean middle school. At first, the research of classes model which is appropriate for Korean middle school is needed to enhance decision-making ability. We should restructure the theory according to our reality, present more classes models if needed although extent of application is limited, and apply th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Second, for the enhancement of decision-making ability, more materials should be produced. Especially in middle school, the materials in text book has limitation for classes of 'inquiry' contrary to the object of social studies. When there is no enough data in the text book, it is requested to make plentiful materials for class outside of the textbook by extraction of proper elements. Recently by using internet, much data can be easily acquirable. Not only for data preparation of teachers but also for the research and selection of data of students, the ways of using internet should be examin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experiments and evaluation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As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difference in enhancement of decision-making ability between the high rank and low rank group of school grade is revealing the limitation of Banks' model in the classe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prevent foreign theories from being injected in our school classes without filtering, teachers should try to apply several models to class continuously.

      • 건설사의 주택도급사업 시공참여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박성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08년 말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국내경기 또한 침체국면으로 진입하였으며, 국내 주택시장 또한 경기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상황 때문에 어느 때보다 건설사는 사업 수주 의사결정시 철저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택 시공도급사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수주(시공참여)의사결정시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고 실무자 설문조사를 통해 건설사가 주택시공 도급사업 시 고려해야 할 의사결정요인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건설사의 공동주택 단순시공 도급사업을 대상으로 하고 조사대상 건설사의 규모는 시공능력평가액 순위30~40위권 중견건설사를 대상으로 한다. 설문은 시공능력순위 30~40위권 건설사의 수주영업, 개발사업, 분양마케팅, 부동산금융, 자금부서에서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 1,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해 주택사업 수주(시공참여)의사결정시 고려해야 할 주요요인을 추출한 후 요인분석을 통해 문항들을 요인별로 분류화 하고 분류화한 요인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2차 설문조사를 통해서는 각 요인별, 문항별 가중치를 계산하여 가중치 배분표를 작성하고, 최종적으로 주택사업 시공참여 의사결정 평가표를 제안하였다. 1차설문 시 제시한 43개문항중 주택 도급사업 시공참여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문항은 사업의 수익성(4.92점)인 것을 나타났으며, 다음을 높은 중요도를 갖는 문항으로 분양가 규제 시 사업성 여부(4.35점), 토지비 가격(매입가 적정성) (4.28점), 사업시행 장애요인(문화재 발견 등)(4.18점), 사업지 주변시세 현황(4.15점), 교통의 편리성(4.10점), 사업지주변 미분양현황(4.10점)순이었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5개의 공통인자는 각각의 세부항목의 특성을 따져서 각 요인을 토지/인허가, 사업손익/계약규정, 입지환경, 상품/분양가, 시장성으로 명명 하였다. 2차 설문결과 가중평균법을 통해 분석하여 얻은 가중치 배분 결과는 토지/인허가 25점, 사업손익/계약규정 26점, 입지환경 18점, 상품/분양가 16점, 시장성 15점 가중치를 나타냈다. 토지 및 인허가에서 토지비 가격 10점, 토지소유권 확보까지 기간 4점, 사업시행 장애요인 4점, 인허가 제약요인 4점, 진입로 확보 3점으로 나타났다. 사업손익 및 계약규정에서는 사업 수익성 14점, 분양가 규제 시 사업성여부 7점, 사업지 특성을 고려한 약정체결 5점으로 나타났다. 입지환경에서는 교통의 편리성11점, 사업부지 주변 교육시설 7점을 나타냈다. 상품 및 분양가에서는 상품배치의 적절성 7점, 사업지 주변시세현황 9점을 나타냈다. 시장성에서는 사업지 주변 미분양현황 9점, 주변 개발가능성 6점을 나타냈다. 2차 설문조사를 통해 주요 항목별 가중치를 구한 결과를 근거로 시공참여 의사결정 평가표를 작성할 수 있고 각 항목별 수준을 판단하여 A등급부터 E등급까지 체크하여 점수로 환산된 주택도급사업 시공참여 의사결정 평가표상의 평가점수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건설사에 근무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택사업 시공참여 의사결정 시 고려되는 주요요인을 도출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의사결정 평가표를 구축하였으나, 도출된 요인만으로 각 개별 프로젝트의 모든 검토요인을 감안했다고 단언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으며, 실제 프로젝트 사례를 대입하여 의사결정 평가표의 점수와 실제 사업의 성패 비교,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2008 end of year global financial crisis the domestic economic condition, it entered into the economic recession. And for as to domestic housing market, the business aggravation is continued. The thorough examination as to Construction Company is required due to this market situation than any other time of the business order decision-making. Thus, in this research, we try to study the decision-making factor which has to draw the factor having an effec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housing construction contractor project in the receiving an order (the construction participation) decision-making and which the construction company has to consider through the heads-on worker survey in the housing construction contractor project. The research range aims at the apartment house basic execution contractor project of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does size of research object Construction Company to the construction capacity value rank 30 ~ 40 range construction company. After extracting the main factor to consider through the first survey in the housing business receiving an order (the execution participation) decision-making, the item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factorial experiment with the component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lassified factors was reflected and it christened. Finally, each component and weighted value by item was calculated through the second survey and the weighted value distribution chart was prepared. Finally the housing business execution participation decision-making evaluation table was proposed. The execution participation decision-making evaluation table the result of finding the main item weighted value through the second survey can be prepared with the basis and each item level is determined and it checks from the service station oil A till E class and the evaluation score of the house contractor project execution participation decision-making evaluation symbol converted into the score can be obtained. This research drew the main factor which performed the survey for the heads-on worker whom it works in the construction company and is considered in the housing business execution participation decision-making and gave the weighted value and built the decision-making evaluation table. But because of declaring because of considering all examination factors of each individual project to the drawn factor, it is a bit difficult. And this research substitutes the project case actually and the comparison of success or failure of the score of the decision-making evaluation table and real business and research that this research makes verification are needed.

      •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른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

        김경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진로 목표 달성을 위해 행동을 조절하는 동기체계와 각 동기체계에 맞는 접근수단의 일치(fit) 여부가 진로 선택에 대한 정서 및 인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데 있다. 진로상담 및 진로의사결정 초기 연구들은 진로의사결정의 어려움을 ‘진로미결정’으로 규정하고 진로미결정을 진로 문제로 보았기에 진로미결정의 원인과 미결정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서 ‘문제 있는 진로결정자’의 존재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국내 대학생은 미국의 대학생에 비해 진로결정자가 더 많고, 이들 중에는 자신의 진로 선택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대학생의 진로상담 실제에서도 자신의 진로 결정의 적절성에 대한 확신 부족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생을 만나볼 수 있다. ‘문제 있는 진로결정’은 그 자체로 개인에게 심각한 스트레스원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이후 직업 적응 및 직무 만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진로교육 및 상담에서 진로결정자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이후 진로의사결정 연구들은 진로 결정의 여부뿐만 아니라 진로결정의 질을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진로결정과 관련된 중요한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서로 다른 차원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을 발견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진로의사결정 상태를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을 기술하는 데 그쳤을 뿐 특정 진로의사결정 상태에 이르게 된 근거를 설명하지는 못했다. 더불어 진로상담 및 진로의사결정 연구들은 오랫동안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인지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과 직업의 합리적 매칭을 주요 주제로 다루어왔기 때문에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인지적 역할을 강조하였고 정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진로상담 이론 및 연구에서는 진로의사결정 과정은 인지적 과정인 동시에 정서적인 과정이며 합리성을 강조한 모델만으로는 진로의사결정 과정의 복잡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가 없다는 논의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효용극대화(utility maximization)를 위한 합리성을 대신하여 ‘제한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에 의하여 적당히 만족스러운 대안을 추구하는(satisfying) 것’으로 인간 행동을 묘사하고 있는 행동론적 의사결정 이론을 바탕으로 진로를 선택했으나 자신의 진로 선택에 불편감을 느끼는 국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Higgins(2000)의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에서 제시한 ‘조절적합성 효과(regulatory fit effect)’의 개념을 바탕으로 진로 선택에 대한 불편감을 초래하는 기제의 일부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Higgins(1997)의 조절초점이론은 의사결정과정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행동을 조절하는 동기체계인 조절초점(regulatory focus)과 의사결정과정에서 사용되는 조절전략(regulatory means) 간의 조절일치(regulatory fit) 여부가 선택에 대한 가치 지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 즉, 개인의 목표추구 상황에서 목표 달성을 위한 동기체계에 부합하는 수단을 사용하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 지각된 가치가 높다는 것이다. Higgins(2000)는 조절초점과 조절전략이 일치하면 목표 수행에 흥미를 느끼며 그 행위가 옳다는 느낌(feel right)을 경험한다고 설명하였고, 이를 ‘조절적합성 효과’라고 하였다. 조절적합성 효과는 선택에 대한 가치를 자신의 현재 조절 동기 성향과 의사 결정이 이루어지는 전략 간의 함수 관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보고, 조절초점과 조절전략의 일치 여부가 선택과 결정의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Higgins(1997)는 인간은 목표달성을 위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향상초점(promotion focus)과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의 두 가지 동기체계를 갖는다고 제안하였고, 향상초점을 가진 개인들은 획득(gain) 또는 획득하지 못함(non-gain)에 민감한 반면, 예방초점의 개인들은 손실(loss) 또는 손실 없음(non-loss)에 민감하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향상초점 개인들은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더라도 이를 감수하고 이득을 성취하는 열망전략(eagerness means)을 사용하는 반면, 예방초점 개인들은 설사 이득이 있더라도 손실을 회피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예방하는 경계전략(vigilance means)을 사용하여 목적을 이루고자 한다고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향상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경계전략 보다는 열망전략을 사용할 때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해 인지적·정서적으로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반대로 예방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열망전략 보다 경계전략을 사용할 경우에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해 인지적·정서적으로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절적합성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서 조절초점-조절전략의 일치(fit) 또는 상충(non-fit)을 조작한 후 진로선택에 대한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먼저, 조절초점 조작을 위한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목표 달성을 위한 행동을 조절하는 동기체계 즉,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의 2가지 조절초점(regulatory focus) 동기를 활성화시키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구성한 후 대학상담센터에서 근무하는 상담학 전공 석·박사의 평정을 거쳐 시나리오를 수정·보완하였다. 또한 예비연구를 거쳐 가상의 시나리오에 대한 피험자들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최종 수정하였다. 다음으로 진로 선택 후의 자신의 선택에 대한 가치 판단을 확인하기 위해 모의진로선택 과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험 참여자들이 평소에 고려하고 있던 총 9개의 진로 대안 중 최종적으로 하나의 진로를 선택하는 모의진로선택 과제를 개발하고,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목표 달성을 위한 조절전략 즉, 열망전략과 경계전략을 무선할당하여 처치한 후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를 조작하였다. 본 연구는 총 13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대면 실험을 진행하였다. 2개의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과 2개의 조절전략(열망전략, 경계전략)의 2×2 집단 간 실험설계를 사용하였고, 각 조절초점 내에서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른 정서·인지 반응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138명의 실험 참가자 중 기저선 검사와 조작점검을 통해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18명을 제외한 총 1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향상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의 경우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라 정서·인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정서 반응을 살펴보면, 조절초점-조절전략의 일치(향상초점-열망전략)가 상충(향상초점-경계전략)에 비해 최종 진로 선택 직후의 호감도, 정적정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우울과 적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다음으로 인지 반응을 살펴보면, 일치가 상충에 비해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한 확신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즉, 향상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정서·인지 반응 일부에서 조절적합성 효과(regulatory fit effect)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예방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라 정서·인지 반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일치(예방초점-경계전략)가 상충(예방초점-열망전략)에 비해 호감도, 통제감과 정적정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았고, 부적정서, 불안, 우울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반응을 살펴보면, 일치가 상충에 비해 직업정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은 기억량을 보고하였다. 즉, 예방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정서 반응에서는 조절적합성 효과(regulatory fit effect)가 나타나지 않았고 오히려 가설과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조절초점-조절전략의 상충(예방초점-열망전략)이 일치(예방초점-경계전략)에 비해 정서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인지 반응에서는 조절초점-조절전략 상충이 일치에 비해 직업 정보에 대한 기억량이 더 많았다. 요약하자면 예방초점이 활성화된 상태에서의 정서 반응에서는 Higgins(2000)의 조절적합성(regulatory fit) 가설이 지지되지 않았고, 인지적 반응에서는 일부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실험설계를 통해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여부에 따른 진로선택에 대한 가치 판단의 인과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절일치 여부에 따른 진로선택에 대한 정서 및 인지 반응의 차이를 증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의 조절초점-조절전략 일치 효과는 향후 ‘문제 있는 진로결정자’들의 진로타협에 대한 심리적 적응 특히, 정서적 적응을 돕는 진로상담의 개입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중학교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연구

        김순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현재 중학교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를 탐색하여 보고 참여는 어떠한 방법으로 하고 있으며 참여하는데 있어서 저해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영역별 참여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중학교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영역별 참여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중학교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저해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내용을 해결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조사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의사결정과 관련된 학위논문, 연구 보고서 등에서 의사결정 관련이론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 참여 정도, 참여 방법, 참여 저해 요인에 관한 영역별 질문문항을 제작하여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중 현재 보직을 맡고 있는 부장교사를 대상으로 지역교육청과 각 학교 교무부장의 협조를 얻어 실시하였다. 총 32개교 중학교 부장교사 36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한 결과 32개교 308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가용성이 있는 설문지 300부를 통계 처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의 자료처리는 SPSSWIN 프로그램(Ver 12.0)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방법과 의사결정 참여 저해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Scheffè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 연구 결과와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정도를 살펴본 결과, 교육목표 관리에 대한 참여 정도는 높았으며, 남자 부장교사와 부장경력이 많을수록 교육목표 관리에 대한 참여도가 높았다. 교육조직 관리에 대한 참여 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남자 부장교사와 부장경력이 많을수록 교육조직 관리에 대한 참여도가 높았다. 교육과정 관리에 대한 참여 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남자 부장교사와 부장경력이 많을수록 교육과정 관리에 대한 참여도가 높았다. 교육조건 관리에 대한 참여 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남자 부장교사와 부장경력이 많을수록 교육조건 관리에 대한 참여도가 높았다. 교육성과 관리에 대한 참여 정도는 높았으며, 남자 부장교사와 부장경력이 많을수록 교육성과 관리에 대한 참여도가 높았다. 지역사회 관리에 대한 참여 정도는 낮았으며, 남자 부장교사와 부장경력이 많을수록 지역사회 관리에 대한 참여도가 높았다. 둘째, 중학교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방법을 살펴본 결과, 교육목표 관리에 대한 참여 방법은 공식적 협의회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교육조직 관리에 대한 참여 방법은 교무분장 조직 설계와 학습지도 조직 설계에서는 공식적 협의회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운영협의 조직 설계에서는 의사결정 기구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교육과정 관리에 대한 참여 방법은 공식적 협의회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교육조건 관리에 대한 참여 방법은 학교 인사관리 계획에서는 의사결정 기구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예산 편성 집행 계획과 학교 환경관리 계획에서는 공식적 협의회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교육성과 관리에 대한 참여 방법은 공식적 협의회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지역사회 관리에 대한 참여 방법은 학부모 단체 운영에서는 의사결정 기구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지역사회 행사 참여와 유관기관 관계유지에서는 공식적 협의회를 통하여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 부장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저해 요인을 살펴본 결과, 교육목표 관리에 대한 참여 저해 요인은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관심 부족이 가장 많았다. 교육조직 관리에 대한 참여 저해 요인은 교무분장 조직 설계에서는 의사결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 부족이 가장 많았고, 학습지도 조직 설계에서는 학교장의 의견수렴 방식이 가장 많았으며, 운영협의 조직 설계에서는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관심 부족이 가장 많았다. 교육과정 관리에 대한 참여 저해 요인은 교수학습 활동 계획에서는 의사결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 부족이 가장 많았고, 특별활동 운영 계획 수립과 학생 생활 지도 계획 수립에서는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관심 부족이 가장 많았다. 교육조건 관리에 대한 참여 저해 요인은 예산 편성 집행 계획에서는 의사결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 부족이 가장 많았고, 학교 인사관리 계획 수립과 학교 환경관리 계획 수립에서는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관심 부족이 가장 많았다. 교육성과 관리에 대한 참여 저해 요인은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관심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지역사회 관리에 대한 참여 저해 요인도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관심 부족이 가장 많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