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의료기관의 개인건강정보 보호를 위한 연구

        강형구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개인건강정보는 본인 이외의 제3자에게 유출된 경우 사생활 침해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지극히 보호받아야 할 사적인 비밀자료이다. 정보화로 통해 개인건강정보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집적하여 경쟁력을 갖추었으나, 개인건강정보에 부적절할 접근권한 부여와 의료기관 내•외부자의 개인건강정보 열람, 정정, 삭제, 유출 등이 발생하는 등 개인건강정보 침해와 오•남용으로 인한 역기능으로 개인에게 매우 불리한 상황의 발생과 심각한 사회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개인건강정보가 함부로 이용되지 않도록 보호조치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개인건강정보 보호 실태와 관리방안’ 논문에 조사된 의료기관 내 개인건강정보보호 실태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의료기관 의료정보시스템에서 보호되어야 할 개인건강정보의 주요 문제에 대한 개인정보보호법 및 의료법 관점에서의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f leaked to third parties, can lead to serious consequences or intrusion of privacy. Personal health information has been integrated as vast data and providing competitiveness through IT. However, due to insufficient grant access to personal health information,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correction, deletion occurred in medical facilities and external. Abusing and violation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s likely to cause serious social problems and personally very unfavorable happening. Therefor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ust be protected and strengthen. In this paper, "A study on Management Program of the Personal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in Hospitals", refer to the survey results. This paper proposed countermeasures to be protected major issues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hospitals in point of view of Privacy Law and Medical Law.

      • 신문의 건강정보 기사의 이용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김석만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신문의 건강정보 기사의 이용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건강정보는 개인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각종 상식을 제공하고 건강검진과 같은 구체적인 건강관련 행위를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너무 많은 정보 또는 선정적으로 포장된 건강정보 때문에 자신의 건강을 의심하고 공포감에 사로잡힐 수도 있는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기사가 개인에게 어떠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선행연구 및 이론을 토대로 가설을 수립하고,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정도”와 “건강관련 뉴스의 이용 정도”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빈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 및 평균차이검정 등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정보 기사를 읽게 된 동기는 건강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건강한 집단의 경우 재미와 흥미 때문에 건강관련 기사를 읽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 집단의 경우 유익한 정보 획득을 위해 기사를 읽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정보 기사의 종류를 구분하여 제공함으로써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건강정보 기사에 대한 개인의 느낌 및 행동 변화는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별 건강정보 기사를 읽고 얻은 느낌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환자 집단은 건강정보 기사를 읽고 건강집단보다 더 혼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이 좋지 않거나 환자에게는 건강정보 기사의 노출을 줄여 건강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건강정보 기사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의 건강상태 및 뉴스이용 집단에 따라 대부분 크게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건강기사의 이해도는 환자집단보다 건강 및 보통 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기사에 대한 신뢰성은 보도에 대한 이용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 보다 낮게 나타났다. 넷째, 건강정보 기사에 따른 건강 행동의 의지 및 관여도는 개인의 건강상태 및 뉴스이용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건강 행동의 의지 및 관여도는 건강상태 및 보도에 대한 노출 정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건강정보 기사를 읽고 난 후 병원방문의지 및 병원과 의사 또는 질병에 대한 인식이 건강상태 및 뉴스활용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건강관련 정보 노출이 과다하거나 부족할 경우 건강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량이 많을 경우(뉴스활용이 높은 집단) “건강에 대한 고민 축소”, “건강행동 수행 의지 강화”, “질병치료에 대한 확신” 등의 긍정적인 측면과 “건강정보에 대한 과장”, “질병치료에 대한 절망감”등의 부정적인 측면이 나타났다. 또한 “병원에 대한 인식 변화”에서는 적정 정보량에 노출된 집단(보통이용 집단)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과도한 건강정보의 노출은 의도하지 않는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기 때문에 노출의 수위를 조절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건강정보에 대한 개인의 인지 및 태도가 개인 특성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입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 특성에 따른 건강정보 기사의 효과를 이해하는데 기여가 되었다면 차후의 연구과제에서는 다양한 개인 특성에 따른 미디어의 성격, 내용 및 노출 정도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소셜미디어 건강정보 정보원의 특성이 구강질병 예방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하여

        릉상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하여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 건강정보 정보원의 특성이 건강신념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건강신념이 구강질병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보원의 특성과 건강신념의 관계에서 사전경험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원 특성인 전문성이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둘째, 정보원 특성인 유사성이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장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셋째, 건강신념인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득이 구강질병 예방행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넷째, 정보원 특성과 구강건강신념의 관계에서 사전경험인 치과경험과 질병경험의 조절효과가 조사되었다.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ources characteristics of health information on health beliefs and the effect of health beliefs on oral disease preventive intention in Weibo(a social media in China) by applying the Health Belief Model.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s characteristics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beliefs. The findings are follows. First, source expertise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perceived benefits. Second, source similar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arriers. Third,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benefits was positively related to oral disease preventive intention.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experience(dental experience and oral disease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s characteristics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beliefs was investigated.

      • 소비자건강정보체계의 인증모델 개발

        조경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Abstract) A certification model for validating web-sites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has been proposed in this paper. For this model, 4 evaluation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first survey on 476 internet health information consumers, 'contents constitution', 'information disclosure and caveat', 'contents management' and 'information source' has been proposed to assess internet health information. These 4 categories are composed of detail evaluation items. And then Delphi investigation by 15 experts has been carried twice using these detailed evaluation items in order to propose evaluation standards and weights for detail evaluation items important to assess internet health information. It is especially focused on discovering a universal certification model and weights of detail evaluation items for the assessment of web-sites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in this paper. In the results, 20 detail evaluation items having weights in the 4 evaluation categories and the universal certification model using these items, were proposed. It would be possible that the proposed certification model can be used to verify all web-sites containing health information by developers, managers and supervisors. But it needs that development of diverse verification methods for the proposed model using the various web sites in real fields in the further studie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hat the objectivity of the proposed model is to be verified generally.

      •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송종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개인의 건강 등 다양한 요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에 매우 중요하다. 제한된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약물 투약 오류 및 복약 불순은 등으로 이어져 건강 상태 및 삶의 질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이전 연구는 각 요소와의 연관성을 정의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복약 정보 처리 방법 및 복약순응도가 건강정보 이해능력 및 삶의 질 간에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305명의 한국인 성인을 대상으로 cross-sectional 설문을 통해 인구학적 특징, 건강정보 이해능력, 복약 정보 처리 방법, 복약순응도 및 삶의 질 요인을 파악하였다. 인구 통계 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분석은 정규 및 비정규 분포형 변수에 따라 Student t test 혹은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고 카테고리별 변수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Chi Square test에 실시되었다. 이후 AMOS를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 모델(SEM)을 이용하여 각 변수의 상관관계가 분석하였고 요인 분석을 통해 잠재 변수를 파악한 후 joint significant test를 통해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모델 적합도는 RMSD, TLI, 및 CFI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본 구조 방정식 모델에서 두 가지 경로가 확인되었습니다. 첫째,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복약 안내문 읽기(B = 0.12; p<005)와 긍정적으로 연관되었고, 이는 복약 순응도 준수(B = 0.26; p<0.01)를 개선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B = 0.15; p<0.05)의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는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복약 안내문 이해력(B = 0.17; p<0.01)와 긍정적으로 연관되었고, 이는 복약 순응도 준수(B =0.13; p<0.05)와 삶의 질 향상(B = 0.25; p<0.01)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인구학적 변인 중 교육 수준은 건강정보 이해능력(B = 0.18; p<0.01)와 복약 안내문 이해력(B = 0.25; p<0.01)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었다. 여성과 높은 연령대는 복약 안내문 읽는 데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복약 안내문 해석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제한된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복약 안내문에 참조된 정보를 덜 읽거나 복약 안내문을 부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삶의 질과 복약순응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적절한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복약 안내문에 참조된 정보를 더 주의 깊게 읽거나 복약 안내문을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삶의 질과 복약순응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한된 건강정보 이해능력 및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의약품 관련 정보를 처리 관련 전문적인 훈련 및 프로그램 개발이 권장된다. Health literacy has become vital as it can directly impact an individual’s health outcomes and various factors. Low health literacy can lead to misunderstanding of medication and non-adherence to medication which can worsen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Nonetheless,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in defining the associations with each elemen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processing and medication adherence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The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n 305 adults to find the factors: health-related information, health literacy, behaviors of processing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quality of life, and adherence in South Korea. The Student t-test was employed for continuous variables with normal distributions, and the Mann-Whitney U test was applied for variables without normal distribution. Moreover, the Chi-square test was used for categorical variables to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key study variables between individuals with adequate and inadequate health literacy. After examining the correlation of the main research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appli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patients’ health literacy level, behaviors of processing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quality of life, and medication adherence. The latent variable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the joint significance test was then us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s. The model fit test was conducted with root-mean-squared deviation (RMSD), Tucker-Lewis index (TLI), comparative fit index (CFI), and the chi-square statistic. Two significant pathways were identified. First, health liter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ading medication guides (B = 0.12; p<005), which was also linked with medication adherence(B = 0.26; p<0.01) and quality of life (B = 0.15; p<0.05). The second, health liter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precise understanding of prescription instructions (B = 0.17; p<0.01), which was related to adherence (B = 0.13; p<0.05) and quality of life (B = 0.25; p<0.01). Among demographic variables, education levels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 literacy (B = 0.18; p<0.01) and understanding the prescription instructions (B = 0.25; p<0.01). The female gender and higher age group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medication guides (B = 0.13; p<0.05) and (B = 0.36; p<0.01), respectively, while the negative impact on the understanding the prescription instructions (B = -0.10; p<0.05) and (B = -0.42; p<0.01), respectively. The reading drug label and understanding prescription guides demonstrated pathways by which health literacy impacts quality of life and medication adherence. Restricted health literacy can negatively a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medication adherence by reading less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guides or inaccurate understanding of prescription instructions. On the other hand, adequate health literacy levels can positively impact the quality of life and medication adherence by reading more information on the medication guides or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prescription instructions. The results recommend training on processing medication-related information to improve limited health literacy,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 一般 國民의 健康情報에 대한 要求 및 利用 決定 要因

        박용순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소도시에서 건강정보가 건강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어떤 요인이 건강정보에 관련된 것인가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 건강상태, 도전의식 등에 따라 건강관심도, 건강정보 취득상태, 건강정보 이용요인, 건강정보 이용의도 등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계룡시 직장인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그를 위한 생활 습관 또한 잘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여유시간이 그리 많지 않고, 그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직장인들의 의지의 부족이 아닌 정보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조사에서는 직장인들의 건강 정보 이용 실태 및 요구도, 그리고 어떤 성격의 건강정보를 원하는지를 파악하여 보다 양질의 건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심도에 미치는 요인과 건강정보 취득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조사결과는 학력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즉, 대졸이 고졸자에 비해 건강관심도나 건강정보 취득 정도가 높았다. 게다가 건강정보 이용 및 정기적 건강정보 이용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건강정보 홍보에 대한 재미와 흥미도 추구는 학력이 낮을수록, 도전의식이 높을수록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건강정보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들은 결혼상태, 건강실태, 도전의식 등이 관련되었으며 경증질환 경험과 도전의식이 많을수록 이용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건강정보를 접하지 못한 이유는 바빴기 때문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만일 습득경로에 대한 요구도는 TV/라디오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인터넷 순이었다. 건강정보 이용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것과 과거 건강정보를 이용하지 않았으나 요구 의사에 대한 다변수 분석은 가계수입, 건강관심도, 재미와 흥미성, 실생활 유용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았듯이 건강관심도가 높고 건강실태와 관련이 많을수록, 정보이용 경험이 많지 않을수록, 건강정보 습득 요구도가 높을수록 건강정보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올바른 건강정보를 홍보하고 적절히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health information affects health behaviour and what factors are related to health inform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upports the assumption that interest in health, achievement of health information, cause for using health information, and intention of using health information according appear differently as to common characters, health condition, challengeable mind. The result shows that workers in Gye-ryong city have lots of interest in their health and keep the lifestyle well for it. However, they don't have enough leisure time and use it efficiently. We found that this is not because of their will-power but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in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realities of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the requirements, and what characters of the information they want. The result shows that we should establish a structure to provide better information on health. We found that educational background is a meaningful cause for interest in health and achievement of health information. In other words, college graduates have more interest in health and achievement of health information than highschool graduates. Furthermore, they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regular and non-regular use of health information. People those who have low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re challengeable mind tend to pursue more interest and enjoyment in advertisements of health information. Meaningful factors for intention to use health information are related to marriage status, health condition, and challengeable mind. The study also shows that people those who have lots of experiences on light ailments and challengeable mind tend to use more health information. It shows that the largest numbers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uldn't get enough health information because they were busy. It also shows that largest numbers of the ways to get health information is TV/Radio, the second is the internet. We used multi variables analysis on the factors for intention to use health information and the requirements for health information even they have never used the inform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y are affected by family income, interest in health, enjoyment, and fun. We found that interest in health information is improved by the factors - more interest in health, more relations with state of health, less experiences on health information, and more requirement on achieving health information. In conclusion, we should research and develop the way to advertise right health information and to provide it properly.

      •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발 및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시스템의 개발 및 평가

        강한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system that annotates health information ontology to health information contents to improve search of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develop a health information ontology utilizing the system, and then annotat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concept to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d evaluate the suitability of annotations. This study was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ep was to develop a system that creates health information ontology that connects back to health information content. In the second step, a health information ontology was developed using the system. In the last step, health information ontology concepts were annotated to health information contents.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development a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system received heuristic evaluation and PSSUQ evaluation from five experts. Heuristic evaluation disclosed two items with a severity level of three or higher that must be corrected due to usability problems. As a result of the PSSUQ evaluation, the average score for each item was 3.4 to 5.0 points, with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4.3 points.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was developed with 3,823 concepts and 12,082 synonyms.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was evaluated as having no errors in its structure and received an average of 4.4 points in content evaluation. Also, the evaluation confirmed that no structural error was indicated in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resulting in an average of 4.4 points. As a result, 14,740 ontology concepts were annotated to 3,241 contents. In the expert evaluation on annotation suitability, three concepts out of fifty concepts were evaluated as inappropriate. The significance of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development a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to automatically annotate ontology concepts to the health information contents, whereas previous ont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was limited to ontology itself, which cannot be directly linked to the information contents utilizing available ontology information. The developed health information ontology received positive evaluations in both structure and content. The suit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was creat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health information ontology a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Some results wer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s evaluated by experts. In the future, integration between the ontology development a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system with CMS is vital in order to apply to the content development pro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utomate the collection of user terms so that the ontology-based search function can be strengthened. In addition to providing ontology-based search, generating personalized health information contents by exploiting user’s search behavior is essential.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건강정보포털의 검색 향상을 위해 건강정보 온톨로지를 건강정보 콘텐츠에 연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평가하고, 그 시스템을 활용해 건강정보 온톨로지를 개발한 뒤 건강정보 콘텐츠에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념을 연계하며, 건강정보 온톨로지 및 건강정보 콘텐츠에 연계된 건강정보 온톨로지의 개념 및 용어의 연계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단계에서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활용하여 건강정보 온톨로지를 개발하고 건강정보 콘텐츠에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둘째 단계에서는 해당 시스템을 활용하여 건강정보 온톨로지를 개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건강정보 콘텐츠에 온톨로지 개념 및 용어를 연계하였다.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발 및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시스템은 5명의 전문가로부터 휴리스틱 평가와 PSSUQ 평가를 받았다. 휴리스틱 평가 결과 사용성 문제가 있어 반드시 수정되어야 하는 심각성 수준 3점 이상의 항목은 2개였다. PSSUQ 평가 결과 항목별 평균 점수는 3.4∼5.0점이었고 전체 평균 점수는 4.3점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 온톨로지는 개념 3,823개와 동의어 12,082개로 개발되었다. 겅강정보 온톨로지는 구조에 오류가 없다고 평가되었고 내용 평가에서는 평균 4.4점을 받았다. 건강정보 콘텐츠에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념을 연계한 결과 목차 단위 콘텐츠 3,241개에 온톨로지 개념 14,740개가 연계되었다. 연계 적합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에서는 50개의 검색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중 3개의 키워드에서 각각 하나의 콘텐츠 연계가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발 및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시스템의 의의는 기존의 온톨로지 개발 및 관리 프로그램이 온톨로지에 국한되고 온톨로지가 활용될 수 있는 정보와 직접 연계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완하여 건강정보 콘텐츠와 자동으로 연계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개발된 건강정보 온톨로지는 구조와 내용 두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의 적합성은 건강정보 온톨로지와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전문가들로부터 평가받은 결과에 따라 일부 결과를 개선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온톨로지 개발 및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시스템을 콘텐츠 개발 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CMS와 통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온톨로지 기반 검색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사용자 용어 수집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온톨로지 기반 검색 제공에 더불어 사용자의 검색 행태 기록을 활용하여 보다 더 개인화된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중년층과 노년층 집단간 분석

        정지혜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령화 시대에 인터넷은 노인의 주요한 건강정보 수단이다. 인터넷은 건강정보를 얻는 혁신적인 채널(channel)로 여겨지며,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는 개인 맞춤형 치료, 질병예방과 같은 건강서비스의 측면에서 노인에게 유용하다.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인터넷을 통해 건강정보를 얻는 활동으로 정의된다. 인터넷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정보에 대한 쉬운 접근, 효율적인 자기건강관리, 환자와 의료진과의 관계 재조정, 환자의 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행위는 건강정보의 격차를 해소하고, 궁극적으로 건강불평등을 해소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노년층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대한 예측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실시한 『2015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자료를 사용하였다. 인터넷 실태조사는 ICT 기기, 정보 통신 기술의 사용에 대한 트렌트 파악과 한국인의 온라인 환경 인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5년 가구 방문 면접조사로 진행되었으며, 전체 조사대상자는 63,218명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중년층 9,146명, 노년층 6,630명이다. 이론적 모델로 Pender의 건강증진모형(Health Promotion Behavior Model)을 활용하였으며, 이론적 모델을 기반으로 독립변수를 행위의 인지와 정서 요인(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지각된 자기효능감, 행동과 관련된 정서, 상황적 영향)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중년층에서 높은 수준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여성(β=-.038, p>.01), 높은 교육수준(β=.050, p>.001), 직업을 가진 사람(β=.037, p>.001), 높은 가구소득(β=.022, p>.05), 많은 인터넷 이용시간(β=.063, p>.001), 높은 수준의 지각된 장애성(β=.108, p>.001), 지각된 자기효능감(β=.295, p>.001), 행동과 관련된 정서(β=.061,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노년층에서는 높은 수준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는 높은 교육수준(β=.049, p>.001),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β=.021, p>.05), 높은 가구 소득(β=.050, p>.001), 많은 인터넷 이용 시간(β=.086, p>.001), 높은 수준의 지각된 유익성(β=.080, p>.001), 지각된 장애성(β=.072, p>.001), 지각된 자기효능감(β=.396, p>.001), 행동과 관련된 정서(β=.038, p>.01), 상황적 영향(β=.052,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중년층과 노년층의 예측요인을 비교해본 결과 상황적 영향이 중년층과 노년층에서 다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에서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디지털 기기의 개수는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의 예측요인으로 밝혀졌지만, 중년층에서는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를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 집단에 따라 인터넷 정보에 대한 접근 격차가 있음을 보여준다. 즉, 한국 노년층은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해 인터넷 건강정보를 얻는 과정에 어려움을 경험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중․노년층에 대한 인터넷 기반 건강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또한 노년층의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터넷 기반의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정책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온라인 건강정보 추구행위에 대한 중․노년층의 정보활용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령에 따른 정보 격차 해소정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 조사 :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김희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raw data from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South Korea, and ai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health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peopl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17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from among the general public, persons with disabilities, people with low income, farmers, and fishermen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 The variables used for analysis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motivation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attitude towards the use of digital devices, outcome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health satisfaction in the 2017 Digital Divide Survey Data,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3.0) for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terms of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mong elderly people, digital access level scored 76.90 points out of 100, competence level scored 12.73 points, application level scored 19.23 points, and overall level scored 28.16 points, showing that the competence level, the application level, and the overall level were very low. The mean score for health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was 2.36 (±0.72) points, and health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cial support (p<.001), motivation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p<.001), and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In ad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health satisfaction according to attitude toward the use of digital device and the outcome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motivation for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attitude towards the use of digital devices (high scores) significantly affected health satisfaction among elderly people.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the health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intervention programs that consider not only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that have been previously found as the factors affecting their health satisfaction, but also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the motivation and attitude regarding the use of digital devices. Thus, the nursing science needs to be continuously concerned with customized informatization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solve digital divide among elderly people, and the elderly persons themselves need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use of digital devices.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effective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the health satisfaction of elderly individuals with low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s. 노인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올바른 건강정보의 탐색과 이해, 활용이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건강정보의 제공은 효율성이나 접근성의 측면에서 고령층에게 효과적인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의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과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은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낮은 실정으로, 노인의 정보격차 심화로 인한 건강관련 서비스 격차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를 파악하고,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노인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 연구로, 만 65세 이상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건강 만족도에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일반국민, 장애인, 저소득층, 농어민 가운데 만 65세 이상 노인 2,817명을 추출하였으며, 분석에 활용한 변수는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설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디지털정보화수준,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태도·성과와 건강 만족도를 이용하였다.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의 설문조사는 모두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자체 개발한 문항으로 구성되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디지털정보화수준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디지털정보화수준과 건강 만족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다. 건강 만족도의 영향요인은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은 100점 만점에 접근수준 76.90점, 역량수준 12.73점, 활용수준 19.23점, 종합수준 28.16점으로, 역량수준과 활용수준, 그리고 종합수준이 매우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디지털정보화수준은 나이가 적을수록, 남성고령자가 여성고령자보다,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1인 가구 보다는 2인 이상 다인가구가, 그리고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건강 만족도는 4점 만점에 전체 평균 2.36 (±0.72)점 이었으며, 건강 만족도는 사회적 지지(p<.001)와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p<.001), 그리고 디지털정보화수준의 모든 세부수준(접근수준 p<.001, 역량수준 p<.001, 활용수준 p<.001, 종합수준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디지털기기 이용 태도(p<.001)와 디지털기기 이용 성과(p<.001)에 따른 건강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대상자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 2,817명을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를 통제하였을 때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디지털정보화수준(종합수준)(B=.003, p=.017)과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B=.014, p=.001), 그리고 디지털기기 이용 태도가 높은(high) 경우(B=.323, p=<.001)가 대상자의 건강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adjusted R2=.207, p<.001). 연구대상자 가운데 장애 여부를 확인한 만 65세 이상의 일반국민과 장애인 1,548명의 건강 만족도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에서도,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를 통제하였을 때 디지털정보화수준(종합수준)(B=.004, p=.011)과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B=.015, p=.007), 그리고 디지털기기 이용태도가 높은(high) 경우(B=.182, p=.037)가 대상자의 건강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adjusted R2=.250, p<.001). 본 연구는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 2차 자료 분석 연구로, 이는 국가 차원에서 실시한 전국단위 대규모 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그동안 간호학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았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디지털기기 이용 동기, 그리고 디지털기기 이용 태도가 노인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내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노인의 건강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에 노인의 건강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사회적 지지 뿐만 아니라 디지털정보화수준, 그리고 디지털기기 이용에 대한 동기 및 태도 같은 정보화와 관련한 심리적 요인을 고려한 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노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에 있어 개개인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과 함께 노인 스스로가 자신의 디지털기기 이용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간호학에서도 노인의 디지털정보화수준 및 건강관련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더 나아가 디지털정보화수준이 낮은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건강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안을 명확하게 규명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생들의 대중매체를 통한 건강정보 학습 형태 연구

        구현수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modern society, due to a lifelong interest in health and increases in the transfer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social change, demand for lifelong health education is rising. In particular, the ability of the mass media to target a large number of people, providing information on aspects of social education, is the foundation for lifelong learning. As habits are formed and are rapidly sensitive to the mass media, using mass media to all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vide information to live a healthy life will have great impact. The question of how to propose a plan for this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learning health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was activated. 237, 5th and 6th grade students at Pohang Elementary School were asked to acquire health information through mass media and recognition was investigated using a questionnaire. SPSS for Windows 18.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cquire data on the types of health information and the general methods used gather them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a form of health information is first acquired, health concerns and effects are higher, but are actually lower in real life practice. Responses claiming they would rather browse to select their own books using the internet rather than the aggressive way television used to provide information were highest. There was high interest in social hand washing, food choices, weight management, and health information. It was also learned that there is a need for higher resolution of a lot of health problems occurring in everyday life. Second, it found that a higher percentage of women, as compared to men, used the internet to acquire most of their health information. They were also found to have a higher level of interest in obtaining health information. Use of newspapers and magazines to gain health information was higher in areas in and around cities. Third, using the mass media to acquire health information necessary for everyday lif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 a variety of health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but there is less information on medical institutions, consumer rights and other complex subjects. These findings, taken together, demonstrate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e the media to provide themselves with health information. The findings on the educational role of the existing commercial components to eliminate the social mood demand analysis, depending on the type of consideration for the benefits of education. The proposals would need to include in their configuration how this information can be practiced in the real world. 현대사회는 수명이 길어지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사회가 변화하면서 지식과 정보의 량도 증가하여 평생교육에 대한 요구도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중매체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대량의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회 교육적인 측면에서 평생교육의 기반이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생활습관을 형성하기 시작하고 대중매체를 민감하고 빠르게 수용하는 초등학생들에게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건강정보는 평생을 살아가는데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대중매체를 통한 건강정보 학습 형태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정보 학습을 위한 대중매체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포항시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5, 6학년생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for Window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중매체를 통한 건강정보 학습 형태와 개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정보 학습의 방법, 건강정보 학습의 내용, 건강정보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대중매체를 통해서 다양한 내용의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있었다. ‘일상생활과 건강’, ‘질병예방과 관리’, ‘약물오남용, 흡연, 음주예방’, ‘성과 건강’, ‘정신건강’, ‘사회와 건강’에 대한 건강정보를 학습하고 있었고, ‘TV'와 ‘인터넷’을 가장 많이 활용하지만 ‘라디오’, ‘도서’, ‘신문’ 등으로도 건강정보를 학습한다고 나타났다. 둘째,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건강정보는 초등학생들에게 실생활의 실천측면에서 교육적 역할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건강정보는 화면으로 보여 지는 경향이 있어서 이해가 쉽고, 재미있고 다양하여 관심을 끌기는 하지만, 오락과 흥미위주라서 내용이 부정확하다고 여기거나, 건강정보의 내용이 초등학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아 이해하기 어렵거나, 건강문제에 대한 상황이나 문제점만 부각시키고 실생활에서 실천하는 방법에 대한 자료 제공이 부족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 실천하는 비율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사회적으로 관심이 높은 건강정보와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건강 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고, 학습 요구도 또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손 씻기’, ‘식품선택’, ‘비만관리’, ‘응급처치’ 의 건강정보를 대중매체를 통해 많이 학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요즘 전염성 질환이 유행하고 있어 예방적 차원의 손 씻기가 강조되고 있고, 수명이 길어지면서 잘 먹고 잘사는 법에 대한 관심과 비만에 대한 건강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면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초등학생들에게도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학습 요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수 있는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응급처치’ 방법이 높게 나타났고, ‘성 건강’과 의료기관 이용이나 의료소비자의 역할 같은 ‘사회와 건강’에 대한 건강정보는 대중매체가 제공하는 정보량이 부족하다고 여기고는 있지만 요구도 면에서는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른 영역에 비해 그들의 관심이 낮거나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넷째, 초등학생들이 대중매체를 통해 건강정보를 학습하는 방법은 자신이 직접 찾아보고 선택해야 하는 ‘인터넷’이나 ‘도서’와 같은 적극적인 방법보다 일방적으로 정보를 제공 받는 ‘TV'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나 수동적인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중매체가 초등학생들에게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흥미와 오락적 특성을 살리면서도, 전달해야 할 교육적 가치를 충실히 포함시켜, 다양한 건강정보를 적절한 방법으로,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제공되어야 한다. 그리고 건강에 관한 정보는 새롭게 생겨나기도 하고 기존의 지식이 변화하거나 수정되기도 하기 때문에 대중이 요구하거나 사회적인 이슈가 되는 정보에만 편중할 것이 아니라, 미래를 대비하는 건강정보 제공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