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성 채팅 시스템에서의 지식베이스 활용을 위한 개체 임베딩 방법

        김시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hat system is a system that understands properly and responds to human speech. A chat system that handles the utterances of various users should respond not only to the simple conversation but also utterance of the query form that requires simple information. However, the previous chat system does not consider the entity(the subject and object of the triple knowledge), which is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query, and the same system utterance is generated even though the entities appearing in the utterance are differ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tity embedding method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e query response in the generated chat system. In order to embed an entity, we generated an entity embedding vector using the siamese recurrent neural network by using the entity and the corresponding synonym. We improved the performance of the object generation model which encodes using entity embedding vector corresponding subject and randomly initialized predicates and decodes object. Experiments using self - constructed data show that the proposed embedding method is 12.48% more accurat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embedding through neural network. 채팅 시스템은 사람의 발화를 기계가 적절히 이해하고 응답을 하는 시스템이다. 다양한 사용자의 발화를 처리하는 채팅 시스템은 신변잡기 발화뿐만 아니라 간단한 정보를 원하는 질의형태의 발화에도 응답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 생성 채팅 시스템은 질의에 필요한 정보인 개체(트리플 형태 지식의 주어와 목적어) 임베딩 방법을 고려하지 않아 발화에서 나타나는 개체가 다르더라도 같은 형태의 시스템 발화가 생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 임베딩 방법을 제안하여 생성 채팅 시스템에서의 질의응답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개체를 임베딩 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개체와 해당 개체의 유의어를 샴 순환 신경망을 사용하여 개체 임베딩 벡터를 생성하였다. 이 개체 임베딩 벡터를 이용한 주어와 무작위 초기화한 술어를 인코딩 하고 인코딩한 값에 해당하는 목적어를 디코딩하는 목적어 생성 모델의 성능을 향상 시켰다. 자체 구축한 데이터를 사용한 실험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임베딩 방법은 기존에 어휘정보를 통해 임베딩 하는 합성곱 신경망 임베딩 방법에 비해 12.48% 향상된 정확도를 보였다.

      • Paenibacillus polymyxa E681의 옥신 생성 돌연변이체 제작과 발현 조절

        김시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Paenibacillus polymyxa has been known to be a common soil bacterium that belongs to the group of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P. polymyxa E681 was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the winter barely grown in Chonnam province of Korea. This strain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barely growth and plant diseases resistance. About 1,500 mutants of mini-Tn10 inserted on the P. polymyxa E681 genome were screened for the production of auxin. Among them, 10 mutants showed about 10%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the wild type strain. The mutant candidates were further tested for the production of IAA after growing in a medium with 0, 0.5 and 5 mg/ml of tryptophan. All strains grown without tryptophan addition showed low amount of IAA production (0.82 ~ 1.04 μg/ml). In case of the strain with 0.5 or 5 mg/ml tryptophan, the strain showed 6.05 ~ 10.22 μg/ml or 11.03 ~ 19.4 μg/ml of IAA, respectively. The SB09 and The wild type strain were further tested for the effects of tryptophan concentration on IAA production after growing with 0, 2, 4, 8, 12 and 16 mg/ml tryptophan. Both strains showed a tryptophan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in the IAA production. After growing at 8 mg/ml tryptophan, SB09 and wild type strain showed 21.89 μg/ml and 14.16 μg/ml, respectively. At a rather higher tryptophan concentration, however, the growth of both strains was inhibited.

      • 인공근육을 위한 전도성 튜브 다발 연구

        김시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Conducting polymers are applied to actuator, sensors, energy storage device and display while the interchange rate of ions is usually low due to the rate-determining process of counter ion transport into the polymer layer for charge balance and mechanical property tend to brittle and low toughness. Hence, a conducting polymer is required to increase the surface per volume for enhancing efficiency. Tubular structure is known as higher toughness than fiber and higher surface. Thus we fabricate to tubular structure by using coaxial electrospinning and study to utilize inner and outer surface of tubular structure for enhancing efficiency of conducting polymer. Polyimide is polymerized with aniline monomer and has a good mechanical property as stiffener for conducting polymer. Surface tension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inner diameter of polyimide tube. This is caused by capillary force and diffusion that put conducting monomer to inner of tube. We used two method for controlling inner diameter. First, by modulating the amount of Dimethylformamide from 1v/v% to 10v/v%, tube inner diameter is fabricated from 1?m to 100nm. Second, by controlling feeding ratio of core from 1?l/min to 6?l/min, tube inner diameter is fabricated from 250nm to 400nm. As upward 600nm of inner diameter, monomer is moved into inner tube by capillary force and diffusion while monomer is not moved into inner tube as downward 500nm of inner diameter. Conducting polymers coated in inner and outer walls of tubes are expected to be applied as a supercapacitor.

      • 지식 그래프 기반 채팅 시스템

        김시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채팅 시스템은 사람과 기계가 서로 의사소통을 하는 지능형 비서의 한 기능이다. 기존의 채팅 시스템은 사람과 간단한 잡담을 하는 신변잡기 대화가 주류를 이루었고, 최근에는 문서 지식을 기반으로 응답을 수행하는 문서 지식 기반 채팅 시스템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식이 포함된 문서는 매우 방대하고, 방대한 모든 문서를 채팅 시스템에 지식으로 입력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뿐만 아니라, 최근 사용하는 사전 학습 모델들은 사전에 입력 길이를 지정하고 사전 학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입력 길이에 제한이 있어 문서와 같이 긴 입력의 데이터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채팅 시스템에 방대한 문서 지식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 문서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변환된 지식 그래프를 채팅 시스템에 공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지식을 인코딩 하는 방법은 문서 지식과 입력 발화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인코딩 하는 것이 아니라, 문서 지식을 그래프로 변환하여 지식 그래프를 생성하고 지식 그래프의 각 개체를 임베딩 한 후, 그래프 주의집중 신경망을 통해 인코딩한다. 그 이후 사전 학습된 모델에 그래프 신경망으로 임베딩한 임베딩 표현과 인코딩한 입력 발화와 결합하여 응답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Wizard-of-Wikipedia 데이터에서 입력 문서가 감소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성능이 감소함을 보이고, 제안 모델인 지식 그래프를 그래프 신경망으로 임베딩 하여 입력하는 방법이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을 보였다. 제안 모델은 정량 평가 외에 정성 평가를 같이 수행하여 문법, 일관성, 지식 반영도 지표에서 모두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제안 모델은 doc2dial 데이터를 통해 문서에서 정답 지식의 가능성이 있는 스팬을 기계 독해 모델을 사용해 찾고 찾은 스팬을 모델에 입력하는 방법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The chat system is a function of an intelligent assistant in which humans and machin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Existing chat systems have become mainstream conversations with people who have simple small chats, and recently, a document knowledge-based chat system that responds based on document knowledge has begun to be studied. However, documents containing knowledge are very vast, and it is almost impossible to enter all the vast documents as knowledge into a chat system. In addition, since pre-learning models currently used specify an input length in advance and perform pre-train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long input data such as a document because the input length is limit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supplying a large amount of document knowledge to a chat system by converting a document into a graph and supplying the converted knowledge graph to the chat system. In this paper, the method of encoding knowledge is not sequentially inputting and encoding document knowledge and input speech, but converting document knowledge into a graph, generating a knowledge graph, embedding each object in the knowledge graph, and then using a graph attention neural network. Encode through After that, a response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embedding expression embedded in the graph neural network into the pre-trained model and the encoded input speech.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the performance decreases gradually as the number of input documents in the Wizard-of-Wikipedia data decreases, and the method of embedding the knowledge graph, which is the proposed model, into a graph neural network and inputting it is helpful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o quantitative evaluation, the proposed model performed qualitative evaluation together and showed good performance in grammar, consistency, and knowledge reflection index. In addition, the proposed model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method of finding the span with the possibility of correct answer knowledge in the document using the machine reading model through doc2dial data and inputting the found span into the model.

      • 사도 바울이 이해한 율법과 복음 연구 : 로마서 1장 1절-3장 31절을 중심으로

        김시형 협성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Christianity has lost trust. The gospel made present in the world through churches but it isn't any longer. The reason for the gospel does not spread lies in its degenerated meaning. The gospel is not the law. However, the gospel has turned into the ideology with hollow howl and people have made a new law with the gospel. For example, "If you believe in Jesus, you will be blessed.", or "If you do not go to church every Sunday, you will be cursed." People value the new law more than the gospel. Thus, people who made a new law, not the gospel, get stuck in a rut, growing away from Jesus without the gospel. This is not differ much from the Jews. The Jews think themselves as righteous to keep the law. So, they focus on keeping the law more than Jesus and is tied to it, growing away from Jesus. However, a church was established under the gospel of the Cross and the Resurrection, not under the law. However, when we understand the gospel and the law throughly,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would be revealed at last. Romans 1-3 explains the law and the gospel. First, Romans 1:1 -3:20 says that people are under the law. When the Gentiles sin, they will be destroyed even though they never had God's law. And the Jews, who do not have God's law, will be judged by that law.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the apostle indicates that every people know their sin obviously and people who knows a sinner is under God's wrathful judgement. However, a new revolution breaks out in 3:21-31. People free from the penalty for sins, being righteous through Christ Jesus. Under this the gospel of the cross, people are not under the power of sin. The law lets us know the sin, which makes us understand God's boundless love deeply through the cross by revealing the sin. It is a good new, the gospel, God loves us first. It does not added a condition including keeping the law or being blessed when playing a lot. Under God's gospel, people are righteous and love spread around the world. The gospel comes to be a sign of new existence to people. Under the desperate situation of Korean church, realizing the Gospel of the cross, not the law, is the way for Korean church to go. In this sense, knowing the meaning of the Gospel and Law would be the ground of revival. 현재 기독교는 신뢰를 잃어가고 있다. 복음은 교회를 통해서 이 세상에 현재화 되지만 더 이상 복음이 현재화되지 않는다. 복음이 전해지지 않는 이유는 복음의 의미가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복음은 율법이 아닌 것이다. 하지만 복음은 공허한 외침만 있는 이데올로기로 변해버리고 사람들은 복음을 가지고 새로운 법을 만들었다. 예를 들면 “예수 잘 믿으면 복 받는다”, “주일 성수를 하지 않으면 저주를 받는다”등 새로운 법을 만들고 그 법을 복음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복음이 아닌 새로운 법을 만든 사람들은 형식적인 틀에 매여 하나님으로부터 더 멀어지게 되고 복음이 전해지지 않게 된다. 이것은 유대인들과 다를 것이 없다. 유대인들은 율법을 지키는 자신 스스로가 의롭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율법을 지켜야 한다는 것에 하나님보다 더 집중하고 매이게 됨으로 하나님과 점점 멀어진다. 하지만 분명 교회는 율법이 아닌 십자가와 부활을 통한 복음아래 세워졌다. 따라서 우리가 율법과 복음에 대해 확실하게 이해할 때 비로소 기독교의 정체성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사도 바울은 로마서 1장부터 3장까지 율법과 복음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1장 1절부터 3장 20절까지는 모든 사람은 율법아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율법 없이 범죄한 이방인들은 율법 없이 망하게 되고 율법이 있고 범죄한 유대인들은 율법으로 심판을 받는다. 따라서 사도의 율법이해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죄를 더 명확하게 알게 되고 죄인을 알게 된 인간은 하나님의 진노의 심판아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3장 21-31절에서 새로운 혁명이 일어났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속량으로 인해 누구든지 값없이 의롭다함을 받게 된 것이다. 이 십자가의 복음 아래서 더 이상 인간은 죄 가운데 있지 않는다. 율법은 우리의 죄를 정확하게 짚어내지만 그 죄를 드러내게 하는 부정적인 기능으로 인해 오히려 십자가를 통한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을 우리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분명 하나님께서 우리들을 먼저 사랑하신 것은 기쁜 소식 즉, 복음이다. 이것에는 율법을 지켜야 된다거나 기도를 많이 해야 복을 받는다는 조건이 들어 있지 않다. 오직 하나님의 복음 앞에서 인간은 의롭게 되고 의롭게 된 자로 마땅히 사랑을 이 땅 가운데 실현해가는 것이다. 복음은 인간에게 새로운 실존의 표지가 된 것이다. 한국 교회의 어두운 상황 가운데 율법을 실현하는 것이 아닌 십자가의 복음을 실현하는 것이 한국 교회가 나아갈 방향이고 그런 의미에서 율법과 복음의 의미를 아는 것이 부흥의 기초가 될 것이다.

      • 「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시형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2008년「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조성되던 산업단지 개발이 다양한 절차와 복잡한 과정으로 인해 오랜 시간이 걸리고 이로 인해 산업단지 조성에 난항을 겪는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을 제정하였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신규지정보다 기존 단지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정적 노력에 뒷받침하기 위해 기존「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에 의한 승인절차도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 시행으로 인한 여러 현상들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보하고, 현 시점에서 그 동안의 사회적, 경제적, 정책적 변화로 인한 추가 지정의 여건 변화에 대한 객관적 진단이 필요할 것이며, 법 자체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이에 대한 자세한 고찰과 함께 개선방안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산업단지 조성 절차를 총 4단계로 분류하여, 문제점 및 이전의 산업단지 개발 절차와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문가 인터뷰 및 분석 결과 투자의향서 제출과정에서부터 주민설명회 단계까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한 여러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산업단지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특례법」은 우리나라 인·허가제도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는 제도인 만큼 위의 점들을 보완하여 앞으로는 행정절차가 산업입지 공급과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생명의료윤리에서 결의론의 재조명 : 앨버트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중심으로

        김시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Beauchamp and Childress have introduced in the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that there are three methods―top-down model, bottom-up model, integrated model using reflective equilibrium―in the biomedical ethics. Beauchamp and Childress argue that top-down model and bottom-up model are not proper method in biomedical ethics. I agree Beauchamp and Childress’s opinion about top-down model but bottom-up model. This thesis argue that Bottom-up model, especially Albert Jonsen’s model of casuistry in the Abuse of Casuistry is rhetorical reasoning applied to moral matters. It based on Aristotle’s Rhetoric. The rhetoric was the art of reasoning, thus casuistry is the art of reasoning in the biomedical ethics. It focuses on the circumstances of particular cases rather than on the application of principles and ethical theories. Casuistry is defined, its relationship to rhetorical reasoning and its interpretations of cases by employing three terms. Those terms are morphology, taxonomy, kinetics. These make casuistry the exercise of prudential or practical reasoning in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xims, circumstances and topic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paradigms to analogous cases. 우리 사회에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논의가 최근 매우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다양한 쟁점들에 직면하여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또는 어떤 결론에 도달하는지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개별적인 쟁점에 대한 논의를 다루기보다 쟁점들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어떻게 접근하는지의 문제 즉 방법론의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에는 원칙중심주의 접근법, 사례중심주의 접근법, 반성적 평형의 접근법이란 세 가지 방법론이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방법론은 뷔첨(Tom L. Beauchamp)과 췰드리스(James F. Childress)의 저서,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와 스타인박(Bonnie Steinbock), 애러스(John D. Arras) 및 런던(Alex John London)의 편집서, Ethical Issues in Modern Medicine, 먼슨(Ronald Munson)의 Intervention and Reflection 등 생명의료윤리학의 주요 문헌들에서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으로 또는 생명의료윤리 문제에 대한 추론의 방법론으로 언급되고 있다. 사실 방법론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구방법의 성격에 따라 철학적 방법론, 경험 과학적 방법론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논문에서는 철학적 접근법으로서의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 좀 더 구체적으로는 추론의 방법론이란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추론의 방법론 중 뷔첨과 췰드리스가 옹호하는 입장은 ‘반성적 평형의 접근법’이다. 뷔첨과 췰드리스는 반성적 평형을 옹호하기 위해서 경쟁이론으로 ‘원칙중심주의 접근법’과 ‘사례중심주의 접근법’을 언급하였다. 필자는 원칙주의에 대한 뷔첨과 췰드리스의 비판에는 동의하지만 결의론의 비판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의 비판은 결의론의 형태 중 일부에만 적용되고, 필자가 옹호하는 ‘온건한 결의론(Modest Casuistry)’에는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존슨(Albert Jonsen)이 주장하는 온건한 결의론은 고대의 수사학인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에 기반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은 소피스트 수사학에서 주장했던 개별 상황과 플라톤의 변증법이 주장했던 보편 도덕 원칙들의 사이에서 ‘중용’을 찾으며 수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을 생명의료윤리학의 상황에서 적용하며 새롭게 해석하기를 시도한 것이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이다. 온건한 결의론에서는 강한 결의론(Strong Casuistry)과 마찬가지로 사례중심주의 접근법에서 시작하지만 사례 분류학을 배제하는 강한 결의론과 구별된다. 다시 말해서 고대의 수사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중용을 추구하는 것처럼 존슨은 강한 결의론이 주장하는 개별 상황과 원칙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보편 도덕 원칙들 사이에서 중용을 긍정하면서 잠정적이나마 일반화를 시도하게 된다. 필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바는 뷔첨과 췰드리스가 그들의 저서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에서 소개하는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적 추론에 기반 한다는 점에 대해서 간과하고 있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이러한 간과로 뷔첨과 췰드리스는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으로서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을 이해하려는 독자들을 오해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필자의 이와 같은 주장은 온건한 결의론과 넓은 반성적 평형 중 어느 한 쪽이 전체적 평가에서 압도적으로 우세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 논문을 통해서 적어도 존슨의 온건한 결의론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필자의 주장은 학문적으로나 실천적으로 어떤 함의나 영향이나 함축을 가질 것이다. 학문적으로는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 중 온건한 결의론에 대해서 기존의 문헌들 보다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자칫 생명의료윤리학의 방법론으로서 다수의 학자들이 옹호하는 반성적 평형만이 우세한 입장이라는 인식에 전환을 가져올 것이다. 즉, 반성적 평형의 유력한 경쟁이론으로서 온건한 결의론을 소개함으로서 생명의료윤리학에서 개별 사례의 중요성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실천적으로는 생명의료윤리학에서 제기 되는 문제들이 주로 의료현장에서 펼쳐지는 것임을 인식하고,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되는 온건한 결의론에 따라서 개별 사례에 기반 한 도덕 추론을 전개하는 가운데 보편 도덕 원칙들을 고려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들을 익힐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은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에 기반 한 ‘논증하는 기술’로 표현될 것이다.

      • 스팀터빈 래버린스 씰 변형에 따른 터빈효율 변화 측정 및 해석

        김시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석탄화력과 원자력 중심의 전력생산에서 환경급전과 안전급전 개념이 도입되면서 복합화력의 가동 순위를 결정하는 발전소 효율관리가 상당히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발전회사는 높은 급전 순위 유지를 위해서 주기기의 최적 운전 방법 및 정비 주기 선정에 노력하고 있다. 터빈 내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터빈 열효율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래버린스 씰 간극에 대한 연구 사례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팀터빈 효율 상승을 위해 래버린스 씰 간극 증가에 따른 터빈 내 주요 요소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스팀터빈 효율 및 출력 저하원인과 래버린스 씰에 대해서 설명하였고, 기존에 연구된 누설량 계산을 기반으로 실제 터빈 운전데이터와 경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래버린스 씰 간극이 증가될수록 터빈 내 각종 주요 인자들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터빈 내 간극은 매년 일정한 변형량으로 증가하여 향후 스팀터빈 분해 전 간극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씰 간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스팀터빈 래버린스 씰 측정 및 정비 방법 및 향후 최신기술을 접목한 정비 방법을 제시하고, 경제성을 고려한 최적의 고압터빈 내 래버린스 씰 교체 주기도 제시한다. Coal-fired power and nuclear power plants have been operated priorly due to peak load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and safety dispatching concepts made a difference in electricity markets. One of the changes is that plant efficiency management, determining the operation order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s, has emerged as an essential issue. Major power producers strive to select optimal operation methods and overhaul cycles to maintain the high dispatch ranking. Although various factors can degrade the efficiency in turbines, only a little research has discussed on the labyrinth seal clearance significantly affects turbine thermal efficiency reduction. This study found that labyrinth seal clearance in a steam turbine made changes to a correlation of the major operating elements about a power plant, to increase a steam turbine’s efficiency. It first demonstrated the cause of turbine degradation and labyrinth seal with a detailed literature review. The actual turbine operation data and trend data were compared, based on previously studied seal leakage quantity calculation metho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re labyrinth seal clearance increases, the more the various operation factors in the turbine change. It was confirmed that the clearance in a turbine increases by a constant strain every year, which enables the prediction of future clearance before the disassembly of the steam turbine. It also presents current methods of maintaining a steam turbine used in Korea and the latest technology about measuring seal clearance. This research suggests the overhaul cycle, considering an economic cost of replacing the labyrinth seal in a steam turb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