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 1 , 학교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1529352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20 판사항(22)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대전

      • 서명/저자사항

        일제시기 건축도면 해제. 1. 학교편 /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編.

      • 형태사항

        375 p.: 삽도, 설계도; 43 x 31 cm.

      • 일반주기명

        집필진: 전봉희, 주상훈, 최순섭. 발간총간: 설문원. 편집 및 교정: 김창수, 이진영, 노영종, 위영, 정수진, 박민웅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중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총설 = 13
      • 1. 일제시기 관영 건축도면의 생산ㆍ관리 체계와 역사적 의미 = 14
      • 1.1. 조선총독부의 건축업무와 관련문서의 생산ㆍ관리 체계 = 14
      • 1.1.1. 관영 근대 건축물의 생산 시작 = 14
      • 목차
      • Ⅰ. 총설 = 13
      • 1. 일제시기 관영 건축도면의 생산ㆍ관리 체계와 역사적 의미 = 14
      • 1.1. 조선총독부의 건축업무와 관련문서의 생산ㆍ관리 체계 = 14
      • 1.1.1. 관영 근대 건축물의 생산 시작 = 14
      • 1.1.2. 탁지부 건축소와 건축 기록물 생산(1906-1910년) = 15
      • 1.1.3. 조선총독부의 건축 조직과 기록물 생산 및 보존(1910-1945년) = 16
      • 1.2. 일제시기 건축도면의 의의와 가치 = 18
      • 1.2.1. 근대 초기 도시와 건축의 원풍경 = 18
      • 1.2.2. 근대 신건축 기술의 도입과정 추적 = 21
      • 1.2.3. 학교건축의 초기발달사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 = 22
      • 2. 국가기록원 소장 일제시기 건축도면의 현황과 내용 = 23
      • 2.1. 국가기록원 소장의 일제시기 건축도면 = 23
      • 2.2. 일제시기 건축도면의 일반적인 내용 = 24
      • 2.2.1. 도면의 종류에 따른 분류 = 24
      • 2.2.2. 도면의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 25
      • 2.2.3. 도면에 부가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내용 = 26
      • 2.2.4. 도면의 재질과 기록 필기구에 따른 특징 = 27
      • 3. 일제시기 학교 건축도면과 학교 시설의 사적 전개 = 29
      • 3.1. 일제시기 학교 건축도면의 내용과 현황 = 29
      • 3.1.1. 도면 작성연도 기재 비율 = 30
      • 3.1.2. 작성연대별 도면 현황 = 31
      • 3.1.3. 공사 유형별 현황 = 32
      • 3.1.4. 공사 지역별 도면현황 = 33
      • 3.1.5. 도면 종류별 현황 = 33
      • 3.1.6. 도면재질 및 도구 현황 = 33
      • 3.2. 학교 건축의 교육사적인 배경 = 34
      • 3.2.1. 개화기의 교육(1895-1906년) = 34
      • 3.2.2. 통감부의 교육(1906-1911년) = 35
      • 3.2.3.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1911-1922년) = 37
      • 3.2.4. 제2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1922-1938년) = 38
      • 3.2.5. 제3ㆍ4차 조선교육령 시기의 교육(1938-1945년) = 39
      • 3.3. 한국 건축 시설의 건축사적 고찰 = 42
      • 3.3.1. 초등교육 시설의 건축과 배치 = 42
      • 3.3.2. 중등교육 시설의 건축과 배치 - 고등보통학교, 중학교, 실업학교 = 44
      • 3.3.3. 전문교육 시설(고등교육 시설)의 건축과 배치 = 48
      • 3.3.4. 사범교육 시설의 건축과 배치 = 50
      • 3.3.5. 경성제국대학의 건축과 배치 = 53
      • Ⅱ. 도면을 통해 본 일제시기 학교 시설 = 57
      • 1. 대학 시설 = 58
      • 1.1. 경성제국대학 동숭동ㆍ연건동 캠퍼스 = 59
      • 1.2. 경성제국대학 대학본부 = 67
      • 1.3.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본관 = 71
      • 1.4.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 78
      • 1.5. 경성제국대학 도서관 = 92
      • 1.6.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공덕리 캠퍼스) = 100
      • 1.7. 경성제국대학 예과(청량리 캠퍼스) = 109
      • 2. 전문교육 시설 = 120
      • 2.1. 공업전습소,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고등공업학교 = 122
      • 2.2. 경성법학전문학교 = 129
      • 2.3. 경성의학전문학교 = 136
      • 2.4. 부산고등수산학교 = 146
      • 2.5. 수원고등농림학교 = 155
      • 2.6. 기타 : 경성고등상업학교,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 경성약학전문학교, 경성광산전문학교 = 166
      • 3. 사범교육 시설 = 171
      • 3.1. 경성사범학교 = 173
      • 3.2. 경성여자사범학교 = 183
      • 3.3. 대구사범학교 = 191
      • 3.4. 평양사범학교 = 200
      • 3.5. 전주사범학교 = 209
      • 3.6. 기타 - 1930년대 사범학교 : 공주여자사범학교, 광주사범학교, 춘천사범학교, 함흥사범학교 = 216
      • 3.7. 기타 - 1940년대 사범학교: 대전사범학교, 신의주사범학교, 진주사범학교, 청주사범학교, 해주사범학교 = 221
      • 4. 실업교육 시설 = 227
      • 4.1. 이리농림학교 = 229
      • 4.2. 경성공립농업학교 = 237
      • 4.3. 기타 : 명륜전문학교, 선린상업학교, 수원실업보습학교, 춘천농업학교 = 240
      • 5. 중등교육 시설 = 246
      • 5.1. 경성고등보통학교 = 249
      • 5.2.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257
      • 5.3.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266
      • 5.4. 평양고등보통학교 = 275
      • 5.5. 대구고등보통학교 = 282
      • 5.6. 용산중학교 = 289
      • 5.7. 평양중학교 = 301
      • 5.8. 기타 고등보통학교 : 경성(함북), 공주, 광주, 동래, 신의주, 전주, 청주, 춘천, 평양여자, 함흥, 해주 = 310
      • 5.9. 기타 중학교 : 총독부중, 부산중, 광주중, 대구중, 원산중, 함흥고여, 경성중 평양분교 = 327
      • 6. 초등교육 시설 = 337
      • 6.1. 경성사범학교 부속보통학교 = 338
      • 6.2. 경성사범학교 부속소학교 = 348
      • 6.3. 경성여자사범학교 부속보통학교 = 355
      • 6.4. 기타 사범부속학교 : 광주사범부속소학교, 공주여자사범부속국민학교, 대구사범부속국민학교, 전주사범부속국민학교, 평양사범부속국민학교, 함흥사범부속국민학교, 춘천사범부속국민학교 = 363
      • 6.5. 기타 초등교육 시설: 남대문소학교, 신의주공립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 부속보통학교 = 3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