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는 위험에 관한 정보와 의견의 수신자, 즉 소비자에게 그 내용이 얼마나 잘 전달되었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기존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에 대한 전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67136
서울 :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2016
한국어
649 판사항(22)
서울
Consumer-friendly strategy for food risk communication : focused on communication approach and appeal
xi, 226 p. : 삽화 ; 26 cm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는 위험에 관한 정보와 의견의 수신자, 즉 소비자에게 그 내용이 얼마나 잘 전달되었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기존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에 대한 전문...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는 위험에 관한 정보와 의견의 수신자, 즉 소비자에게 그 내용이 얼마나 잘 전달되었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기존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은 위험에 대한 전문가 및 정부의 의견을 일방적으로 수용하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며, 이러한 접근법은 그 수준에 따라 위험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지 못하거나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본 연구는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실질적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인식과 감정적 반응에 기반한 소비자친화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안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코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위험의 전개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과 소비자반응의 역할을 강조한 위험의 사회증폭이론(Social Amplification of Risk)을 바탕으로 소비자친화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관한 본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또한 분석틀의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선택과 수행 두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로부터 두 개의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먼저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선택 단계에서는 발생한 위험 사건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수요를 바탕으로 가장 적합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을 선택하는 방안을 고안하였고,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행 단계에서는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 두 방식중 무엇이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가에 관해 고민하였다. 이 때 커뮤니케이션의 대상이 되는 분석사례로는 위험에 대한 소비자반응이 특히 민감한 식품위험을 선정함으로써 부적절한 위험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갈등 해결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한편 서로 다른 두 개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두 차례의 소비자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의 소비자친화적 선택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는 12개의 식품위험 사례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평가ㆍ인식 및 커뮤니케이션 수요를 조사하였다. 이 때 조사대상자는 식품위험 사례 간 비교에 중점을 둔 제1차 소비자조사의 목적을 고려하여 식품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50대 이하의 유자녀 주부 소비자 576명”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소비자친화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수행 방안으로서 이성적 소구와 감성적 소구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는 실험설계를 적용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이 때 분석사례로는 소구의 방향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비교하고자 위험에 대해 더 적극적인 회피행동이 요구되는 경우인 벤조피렌과 더 적극적인 수용행동이 요구되는 경우인 GMO 두 사례를 선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결혼여부, 식생활 관여도 등의 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20대 대학생 소비자 560명”으로 제한하였다.
두 번의 소비자조사를 통해 본 연구가 얻은 연구결과 및 결론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의 소비자친화적 선택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12개 식품위험 사례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네 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나트륨 섭취, 벤조피렌의 발생 등 소비자의 식생활에서, 소비자의 책임 있는 사유에 의해 발생하는 위험들로 이들 사례에 대해 소비자들은 타 사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 평가 수준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은 GMO, 식품첨가물 등 식품에 사용되는 화학적ㆍ기술적 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비자들은 이들 사례에 대해서 통제가 어렵고, 위험의 수준과 대응방법에 대한 사회적 합의 수준이 낮지만, 위험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편익의 수준이 높다고 인식했다. 세 번째 유형은 가축질병, 잔류중금속, 광우병, 일본방사능오염식품 등 자연ㆍ환경적 재해에 해당하는 것들로 이들 사례에 대해 소비자들은 통제가 어렵고, 위험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수준도 낮으며 위험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편익의 수준 또한 낮다고 인식했다. 마지막 네 번째 유형은 이물질검출, 집단식중독, 잔류농약ㆍ잔류동물용의약품, 사업자의 비도덕적 행위 등 특정집단의 책임 있는 사유에 의해 발생하는 것들로 소비자들은 이들 사례에 대해 통제가능성도 높고, 발생원인과 대응방안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수준 역시 높으며 위험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편익의 수준 또한 높다고 인식했다.
둘째, 소비자의 커뮤니케이션 수요를 바탕으로 앞서 도출한 네 개 식품위험 유형에 가장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을 연결 지은 결과, 소비자의 식생활에 관한 첫 번째 유형에 대해서는 정보 및 교육 제공 중심의 참여적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어 주의 커뮤니케이션(care communication)이, 식품기술에 관한 두 번째 유형에 대해서는 참여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신뢰의 형성 및 회복이 요구되어 합의 커뮤니케이션(consensus communication)이,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인 세 번째 유형에 대해서는 발생사실에 대한 신속한 정보 제공이 요구되어 재난 커뮤니케이션(disaster communication)이, 마지막으로 특정집단의 책임 있는 사유에 의해 발생하는 네 번째 유형에 대해서는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통한 신뢰의 형성 및 회복이 요구되어 책임 커뮤니케이션(responsibility communication)이 가장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소비자친화적 식품위험 커뮤니케이션 소구의 효과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커뮤니케이션 소구의 종류에 따른 소비자의 인식ㆍ태도ㆍ행동의 변화는 이성적 소구보다 감성적 소구를 적용했을 때 그 효과가 더 크고 긍정적이었다. 감성적 소구를 적용했을 때 소비자들은 GMO에 대해 더 큰 편익인식의 증가, 더 큰 비용인식의 감소, 상대적으로 완만한 태도 점수의 감소와 미세하지만 증가한 구매행동의도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들은 감성적 소구를 적용했을 때 벤조피렌 예방행동에 대해 더 큰 편익인식의 증가, 더 큰 벤조피렌의 비용인식 증가, 더 큰 회피적 태도의 형성, 더 큰 조리 시 주의행동 및 식습관 행동 변화 의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처치 이후 GMO와 벤조피렌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이 대부분의 변수에서 이전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했으나, 그 효과의 크기 면에서는 감성적 소구가 이성적 소구보다 더 긍정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소구의 종류에 따른 개인적 변화의 사회적 확산은 이성적 소구보다 감성적 소구를 적용했을 때 더 균형적이고 종합적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처치가 변화시킨 소비자의 편익 및 비용인식, 태도 등이 의견확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GMO와 벤조피렌 모두에서 이성적 소구에서는 비용인식만이 태도와 의견확산의도에 각각 개별적으로 영향을 미친 반면, 감성적 소구에서는 편익인식과 비용인식 모두에서 직접 또는 태도를 매개로하여 의견확산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감성적 소구가 소비자의 위험 태도 및 의견확산의도를 편익과 비용을 고려한 균형적 관점 하에 결정하도록 하며, 이러한 균형적 관점이 태도 및 의견확산의도 전반에 유기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개인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사회적 차원까지 더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감성적 소구는 소구의 방향성과 상관없이 커뮤니케이션 내용의 형성 및 효과의 확산 측면 모두에서 이성적 소구보다 긍정적 결과를 보였다.
셋째, 감성적 소구를 통한 긍정적 변화의 전반적 양상 및 효과는 GMO와 벤조피렌 모두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GMO에 대해서는 편익인식이, 벤조피렌에 대해서는 비용인식이, 태도 및 의견확산의도 결정에 더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정적 감정을 증폭시키느냐 감소시키느냐에 따라 위험인식의 서로 다른 두 측면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부정적 감정을 감소시키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사용된 GMO에서는 GMO가 지닌 긍정적 측면이, 부정적 감정을 증폭시키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사용된 벤조피렌에서는 벤조피렌이 지닌 부정적 측면이 소비자 태도 및 의견확산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부정적 감정의 조절을 통해 위험의 편익 또는 비용의 강조라는 서로 다른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감성적 소구가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낙관과 낙인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소비자친화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수행방안임을 확인시켜 주는 결과였다.
일련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실무적 차원에서 아래와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소비자의 인식과 수요에 기반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설계를 통해 부적합한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부작용과 불필요한 노력으로 인한 정책적 비용 발생을 방지해야 한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인식과 수요에 기반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선택의 결과는 충분히 합리적이었으며, 각 사례에 있어 우선시되어야 하는 커뮤니케이션 가치가 무엇인지 더 분명하게 드러내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친화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과정으로서 그 첫 단계에 관한 구체적 실행형태를 제시하는 동시에 수용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설계가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변화의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후 기업 또는 정부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는 다양한 위험사례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수요를 파악하는 한편,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효과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설계하여 간결하고 명확한 의사결정 프로토콜을 마련함으로써 시의적절한 위험 커뮤니케이션 수행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소비자친화적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핵심 요건인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연구결과 감성적 소구를 통한 부정적 감정의 조절은 소비자의 위험인식, 태도, 행동 등 위험에 대한 소비자 반응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부정적 감정의 완화는 기존에 존재하던 부정적 인식과 태도, 즉 낙인의 수준을 완화시켰으며 부정적 감정의 증대는 위험에 대한 대응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그에 대한 예방행동을 효과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에 소구하는 것이 보다 소비자친화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이후 기업 또는 정부에서는 위험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을 소비자친화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는 한편, 그에 대한 다양한 대응 전략을 모색함으로써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위험 커뮤니케이션 과정 안에서 소비자가 수행하는 확산기제로서의 역할에 주목하고,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모색함에 있어 위험에 대한 소비자 개인의 반응 및 사회적 확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연구결과 감성적 소구를 통한 부정적 감정의 조절은 대인간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개인적 차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사회적 차원에까지 확산시켜 주었다. 이는 감성적 소구를 통한 부정적 감정의 조절이 위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더 크고 널리 증폭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후 기업 또는 정부에서는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모색하고 그 효과를 예측함에 있어 소비자 개인의 내적 반응 뿐 만 아니라 그 반응이 어떻게 확산되어 갈 것인지를 함께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영욱, "위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 양병우, "“식품 안전성의 위기”", GS&J 인스티튜트, GSnJ 강좌자료, 5, 1-17, 2008
3 김인숙, 정영훈, "소비자안전체감지수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4-24, 2014
4 김근식, 김서용, "“위험과 편익을 넘어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41(3), 373-398, 2007
5 강윤재, "“광우병 위험과 촛불집회”", 한국산업사회학회/비판사회학회, 경제와사회, 269-297, 2011
6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2
7 왕재선, "“과학기술 위험갈등의 근원”",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2011년도 공동학술대회, 1357-1376, 2011
8 사지연, 여정성, "소비자불안의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소비자학회, 소비자학연구, 25(1), 145-172, 2014
9 황정선, "소비자안전체감지수 개발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09-09, 2009
10 황정선, "소비자안전체감지수 측정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0-19, 2010
1 김영욱, "위험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 양병우, "“식품 안전성의 위기”", GS&J 인스티튜트, GSnJ 강좌자료, 5, 1-17, 2008
3 김인숙, 정영훈, "소비자안전체감지수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4-24, 2014
4 김근식, 김서용, "“위험과 편익을 넘어서”",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41(3), 373-398, 2007
5 강윤재, "“광우병 위험과 촛불집회”", 한국산업사회학회/비판사회학회, 경제와사회, 269-297, 2011
6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2
7 왕재선, "“과학기술 위험갈등의 근원”",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2011년도 공동학술대회, 1357-1376, 2011
8 사지연, 여정성, "소비자불안의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소비자학회, 소비자학연구, 25(1), 145-172, 2014
9 황정선, "소비자안전체감지수 개발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09-09, 2009
10 황정선, "소비자안전체감지수 측정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0-19, 2010
11 문빛, 이유나, "“관계경영의 새로운 효과지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6(2), 167-197, 2012
12 박희제, "“공중의 과학이해 연구의 두 흐름”", 한국과학기술학회, 과학기술학연구, 2(2), 25-54, 2002
13 이재신, "“이성과 감정. 커뮤니케이션 이론”", 커뮤니케이션 이론, 10(3), 161-194, 2014
14 엄영숙(Young Sook Eom), "도시민들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논문집, 27, 291-305, 1996
15 김원제, 정세일, 송해룡, "“과학기술 위험에 대한 인지 및 태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0(5), 436-445, 2010
16 김병윤, 이은경, 송위진, 송성수, "과학기술과 사회의 주요 쟁점 분석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1-162, 2003
17 송태민, "「보건복지연구를 위한 구조방정식모형」", 한나래아카데미,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2
18 김원제, 조항민, 송해룡, "과학기술 위험보도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9(3), 105-128, 2005
19 김영평, 정윤수, 이재은, "발전원 위험의 사회적 수용성 결정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21, 2006
20 노영화, "정부 분야별 정책ㆍ제도의 소비자지향성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08-04, 2008
21 김남수, 이종인, 송민수, 박성용, "정부 분야별 정책ㆍ제도의 소비자지향성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09-13, 2009
22 강창균, 정용수, 박성용, 김남수, "정부 분야별 정책ㆍ제도의 소비자지향성 연구",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0-06, 2010
23 양정은, "“국내 일간지의 식품위험 보도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5(3), 131-180, 2015
24 박경진, "“국내 주요 가공식품에 대한 위해순위 결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한국식품위생안전성 학회지, 24(3), 200-203, 2009
25 김봉철(Kim, Bongchul), 김유미(Kim, Yu-Mi), 정운관(Chung, Woon-Kwan), "원자력 위험특성 인식에 관한 상호지향성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광고연구, 104, 48-78, 2015
26 Thomas Hove(토마스 호비), Hye-Jin Paek(백혜진), "Message Testing of Three Ethical Approaches to Health Promotion", 한국일어교육학회, 한국광고홍보학보, 17(1), 167-192, 2015
27 김동광, "“과학과 대중의 관계 변화. 과학기술학 연구”", 2(2), 1-23, 2002
28 박희제, "“한국인의 광우병 위험인식과 위험회피행동”", 한국농촌사회학회, 농촌사회, 22(1), 311-341, 2012
29 김도년, 황은애, 송민수, 박희주, 김재영, 김민아, "정부 분야별 정책ㆍ제도의 소비자지향성 연구 V",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3-05, 2013
30 송민수, "정부 분야별 정책ㆍ제도의 소비자지향성 연구 IV",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2-20, 2012
31 김도년, 윤민섭, 송민수, 박희주, 김재영, 김성천, "정부 분야별 정책ㆍ제도의 소비자지향성 연구 VI",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4-02, 2014
32 배순영, "소비자안전체감지수의 개발 및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06-02, 2006
33 박희주, 정용수, 정연희, 송민수, "정부 분야별 정책ㆍ제도의 소비자지향성 연구 III",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보고서, 11-10, 2011
34 정기혜, "“식품분야 Risk Assessment 의 용어통일을 위한 검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74-85, 2010
35 정종성, "소비자의 식품안전민감도지수 개발 및 실증적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36 이기헌, "식품위해 인식실태 및 위험커뮤니케이션 방안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소비자문제연구,34, 104-133, 2008
37 유현정, 주소현, "“소비자의 식품안전 체감 및 역량척도 개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소비자학연구, 23(4), 79-104, 2012
38 이진명,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가치 충돌과 소비자 내적갈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논문, 2015
39 신태섭, 임성호 , 이진로 ,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사회적 소통”", 한국소통학회,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6, 188-213, 2011
40 김보영 , 하상도, 이유시, 오세라 , 신원정, 박태균 , 김호식 , "“식품안전사건 발생시 미디어와 산업의 인식도 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8(2), 108-114, 2013
41 남희정, 김영순, "일부 수도권 거주 주민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 조사", 韓國食品營養學會,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9(2), 126-142, 2006
42 연규영, 황윤재, 한재환, "“GMO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연구”", 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2009
43 정민희, 조수영, "“사과문에서의 공감 표현 및 구체적 해결방안의 효과”", 한국PR학회, 홍보학연구, 16(4), 165-212, 2012
44 최정숙(Jeong-Sook Choe), 남희정(Hee-Jung Nam), 황대용(Dae-Yong Hwang), 전혜경(Hye-Kyung Chun),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4(1), 66-74, 2005
45 김영평, 김태진, 정윤수, 이재은, "“발전원별 사회적 위험도에 대한 상대적 심각성 분석.”",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41(1), 113-132, 2007
46 김원제, 송해룡, "“공중의 환경위험이슈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행동 연구”", 한국소통학회,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3), 273-309, 2014
47 이가영(Lee, Ga Young), 서인숙(Seo, Ihn Sook), "TV광고의 감성적 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한국과학예술포럼, 18, 445-457, 2014
48 임승희, "“성별과 감정 유형이 감정 소구 광고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광고학연구, 21(2), 127-149, 2010
49 유현정, 주소현, "“소비자 식품안전 체감지수와 역량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조사연구, 15(2), 23-70, 2014
50 염태경, 황진희, 장동덕, 이효민, 우종민, 오우용,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성공적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Safe Food, 2(2), 11-18, 2007
51 노진철, "“2008 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비판사회학회, 경제와 사회, 84, 158-182, 2009
52 이건호, "“국내 식품위해사건 사례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발전방향”", Safe Food, 2(2), 33-42, 2007
53 이광호, 황명실, 최찬웅, 정지윤, 정기경, 이효민, "“위해인지도 맵을 이용한 나노기술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연구”", 환경독성보건학회, 환경독성보건학회지, 25(3), 187-195, 2010
54 김혜선, 박광희, "“식품안전사고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7(4), 43-66, 2011
55 김규동, 이정윤, "“대도시 주부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및 우려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16(6), 999-1007, 2009
56 변정우, 허경석, 지윤호, "“SNS 정보가 호텔고객의 브랜드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 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7(5), 619-635, 2012
57 박희제, "“과학기사 속의 과학자와 과학의 정치화-2008 년 광우병 논쟁 사례”", 한국사회역사학회, 담론 201, 14(2), 27-51, 2011
58 조성경, "원자력정책의 사회적 형평성 확보를 위한 시도 : 위험분배의 차원에서",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77-293, 2003
59 김원제, 하연희, 이창주, 조항민,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구성요인 및 요인 간 영향관계에 관한 탐색 연구,",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1, 80-123, 2009
60 유현정, 주소현, ""한국, 중국, 미국 소비자의 식품안전 체감과 식품안전 역량 비교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 10(10), 19-43, 2014
61 이기춘, "“디지털시대의 소비자학, 소비자주의, 그리고 소비자연구의 새 지평”",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1), 1-12, 2005
62 황은애, "기업웹사이트의 소비자정보지향성이 의사결정 사고비용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63 유소이 , 윤하영, "“유기농식품과 유전자재조합 식품의 소비자태도와 구매행동 비교분석”", 한국농업정책학회, 농업경영정책연구, 35(1), 141-164, 2008
64 신민경, 정순희, "“CVR 평가 및 AHP 분석을 이용한 정부정책의 소비자지향성 평가지표 개발”", 한국소비자학회, 소비자학연구, 23(3), 67-95, 2012
65 이귀옥, "“헬스 연구에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관점: 전략모델의 제안을 중심으로”",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2(2), 1-20, 2010
66 김영대, 박관규, "“위험의 사회적 증폭 요인-수정된 SARF 를 통한 아스팔트 방사선 사례 분석”", 한국정책학회, 한국정책학회보, 24(1), 225-261, 2015
67 김숙희, "사례분석을 통한 식품안전사고 파동 최소화 및 효율적 위해정보교류 방안 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보고서, 2006
68 김수진, 차희원, "“공중유형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건강위험 커뮤니케이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3(2), 231-253, 2009
69 한은경, "“배너광고의 클릭에 관한 연구: 의사결정나무 (Decision Trees)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15(2), 425-459, 2001
70 김범준, "“일반심포지엄: 한국인의 행복과 불안; 사회적 사건과 사회불안: 범죄와 질병”",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188-189, 2008
71 김영욱, "위험,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현대 사회의 위험,위기,갈등에 대한 해석과 대응",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72 Beck, U., "Risk Society: Towards a new modernity, 홍성태 역(1997),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서울: 새물결, 1992
73 차동욱, "“지역축제 만족도에 의한 방문자의 재방문 및 구전홍보 결 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관광 레저연구, 16(1), 55-69, 2004
74 손승우, "한국 사회에 적합한 사과 전략 도출을 위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 근거이론 접근",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75 백혜림, 이승조, "“사전 태도와 이성적/감성적 소구 유형이 장애인 돕기 캠페인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4(2), 157-183, 2014
76 유현정, 주소현,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체감도가 식품안전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8(4), 49-70, 2012
77 한태학, "“사회적 구성으로서 위험-위험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위험인지와 그 수용에 관한 연구”", 사회조사연구, 13(1), 135-148, 1998
78 박재홍, 유소이 , "“식품과 관련된 위험에 대한 소비자관심과 변화된 구매행동의 연계성 및 결정요인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18(6), 2841-2858, 2005
79 고승범, 김정희, "“대형할인점의 서비스 회복공정성이 감정적 반응, 부정적 구전,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경영학회, 유통경영학회지, 18(3), 31-45, 2015
80 박노일, 한정호, 정지연, "CEO 트위터 사과메시지의 위기관리 효과: 트위터사과여부, 사과주체, 감성적 소구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광고학연구, 23(3), 85-108, 2012
81 구혜경, "내용분석과 소비자평가를 통한 기업 홈페이지 연구: 소비자정보제공과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82 오두범, "“이성적 소구 광고와 감성적 소구 광고의 효과 비교: 기존 연구의 문헌적 고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28(1), 1-22, 2006
83 김정수, 이영면,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인식 차이에 대한 상호 지향성 모델 적용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20(5), 1-25, 2013
84 최유석, 한미정, "공공갈등 이슈에 대한 정부의 갈등관리전략이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과 정책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광고학연구, 25(1), 91-125, 2014
85 오세라, "주요 식품안전사건에서 정부와 언론이 사용한 보도용어의 차이가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27(3), 203-208, 2012
86 박화윤, 여화연, 양진희, "“방사능 오염식품과 방사선조사 식품에 관한 유치원 부모의 인식: 2011년 일본 원전사고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방사선학회,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6(6), 435-440, 2012
87 김수진, "건강이슈유형에 따른 상황적 헬스커뮤니케이션 메시지 모 델 연구: 귀인이론과 감정의 인지평가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88 한동섭, 김형일, "위험과 커뮤니케이션: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신뢰성, 효용인식, 위험인식을 매개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 논집, 7(2), 1-22, 2011
89 문선정, "“환경 라벨링에 대한 소비자 혼란이 부정적 감정을 매개로 부정적 구전, 불신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내적 귀인의 조절효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마케팅관리연구, 19(4), 21-44, 2014
90 장정헌, "식품ㆍ의약품 관련 정보처리과정이 위험인식과 예방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S-R-O-R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91 김영욱, 김효진, "“위험커뮤니케이션의 위험 인식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수용자의 전문성, 위험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방사선 위험을 중심으로 한 분석”", 한국PR학회(구 한국홍보학회), 홍보학 연구, 17(1), 143-183, 2013
92 박경희, "“정부의 공공서비스 위기 대응에 대한 국민의 평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감성적 소구, 쟁점 관여도, 정부 책임성이 국민의 커뮤니케이션 수용과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PR학회, 홍보학연구, 17(3), 414-471,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