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해의 북방-서역루트 ‘담비길’ 연구 = Study on the ‘Sable road’ of Balhae’s Northern-Central Asian rou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담비길은 러시아의 E.V.샤브꾸노프가 1985년에 발해와 여진의 유적들에서 발견되는 소그드-이란 계통의유물들을 검토하면서 제기한 발해와 중앙아시아지역 간의 교역교통로이다. 그는 서기 1세기부터 중국에서인기를 누렸던 ‘읍루 담비’가 7~10세기에도 여전히 수요가 대단하였고, 중앙아시아와 이란의 상인들이 중국을통하지 않고 직접 만주와 아무르, 연해주 지역의 종족들에게서 초피를 구입하려 하면서 북방지역으로 새로운교역교통로, 즉 담비길이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초피의 생산지와 유통지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피는 읍루뿐만 아니라 나중에 발해의영역에 포함된 부여와 동옥저, 숙신, 물길, 불열말갈 등에서, 그리고 서쪽으로 쉴까 강과 아르군 강 유역의 선비와 이후 실위에서, 또한 더 서쪽으로 예니세이 키르기스(힐알사)에서도 각각 생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발해의 초피는 일본과 당에서 크게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중앙아시아의 상인들이 발해의 초피를 직접 구입하였다는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예니세이 키르기스의 초피가 중앙아시아와 아랍지역으로 수출되었기때문에 위구르에서 활동하였던 소그드 상인들이 이웃하는 실위와 더 동쪽의 발해에서 초피를 구입하였을 가능성은 매우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에는 담비길의 구체적인 노선에 대해 살펴보았다. E.V.샤브꾸노프는 담비길의 노선을 ‘세미레치예 - 알타이산맥 - 서몽골 - 셀렝가 강 유역 - 오르혼 강 상류지역 - 톨라 강 상류지역 - 헤룰렌 강과 오논 강 상류지역 - 쉴까 강과 아르군 강 - 아무르 강 - 아무르 강 지류들을 따라 동북아시아의 깊숙한 지역들까지’로 파악하였다. 그가 세미레치예를 소그드 상인들의 출발지로 본 것은 서기 5~6세기부터 이 지역에 소그드인들이 집중거주하였기 때문이었다. 이 글에서 알타이산맥을 지나는 길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셀렝가 강 유역에는756년에 위구르 모엔초르(Moyen-Chor) 가한의 명령에 의해 소그드인들 등이 쌓은 바이-발릭성이 있고, 오르혼 강 상류지역에는 수 천 명의 소그드 상인들이 거주하였던 위구르 한국의 수도 하라발가스가 위치한다. 다음으로 여러 강들을 차례로 지목한 것은 이 강들이 오호츠크 해와 동해까지 갈 수 있는 수로이기 때문이다.
      아르군 강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소그드 관련 유물들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또한 쉴까 강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말갈’ 유적들이, 위구르 지역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콧수염’ 무늬 심발형 토기들이 각각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다음에는 발해지역에서 발견되는 소그드인들의 흔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해주의 노보고르제예브까 취락지는 발해시기 소그드인들의 거류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와 중앙아시아지역의소그드 토기들에는 동일한 형태의 문양들이 확인된다. 그 외에도 발해지역에는 사산조 청동거울, 소그드 은화, ‘룬’ 문자 강돌, 토제 의례용기, 쌍봉낙타 뼈, 청동 쌍봉낙타상, 동심능형문양, 바르간, 서아시아 신장상, 사리함 유리병 등등 중부-중앙아시아지역과 관련된 유물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 사실들은 발해시기에 발해와 중앙아시아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교역교통로가 실제로 작동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담비길은 러시아의 E.V.샤브꾸노프가 1985년에 발해와 여진의 유적들에서 발견되는 소그드-이란 계통의유물들을 검토하면서 제기한 발해와 중앙아시아지역 간의 교역교통로이다. 그는 서기 1...

      담비길은 러시아의 E.V.샤브꾸노프가 1985년에 발해와 여진의 유적들에서 발견되는 소그드-이란 계통의유물들을 검토하면서 제기한 발해와 중앙아시아지역 간의 교역교통로이다. 그는 서기 1세기부터 중국에서인기를 누렸던 ‘읍루 담비’가 7~10세기에도 여전히 수요가 대단하였고, 중앙아시아와 이란의 상인들이 중국을통하지 않고 직접 만주와 아무르, 연해주 지역의 종족들에게서 초피를 구입하려 하면서 북방지역으로 새로운교역교통로, 즉 담비길이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초피의 생산지와 유통지역에 대해 살펴보았다. 초피는 읍루뿐만 아니라 나중에 발해의영역에 포함된 부여와 동옥저, 숙신, 물길, 불열말갈 등에서, 그리고 서쪽으로 쉴까 강과 아르군 강 유역의 선비와 이후 실위에서, 또한 더 서쪽으로 예니세이 키르기스(힐알사)에서도 각각 생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발해의 초피는 일본과 당에서 크게 인기를 누렸다. 하지만 중앙아시아의 상인들이 발해의 초피를 직접 구입하였다는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예니세이 키르기스의 초피가 중앙아시아와 아랍지역으로 수출되었기때문에 위구르에서 활동하였던 소그드 상인들이 이웃하는 실위와 더 동쪽의 발해에서 초피를 구입하였을 가능성은 매우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에는 담비길의 구체적인 노선에 대해 살펴보았다. E.V.샤브꾸노프는 담비길의 노선을 ‘세미레치예 - 알타이산맥 - 서몽골 - 셀렝가 강 유역 - 오르혼 강 상류지역 - 톨라 강 상류지역 - 헤룰렌 강과 오논 강 상류지역 - 쉴까 강과 아르군 강 - 아무르 강 - 아무르 강 지류들을 따라 동북아시아의 깊숙한 지역들까지’로 파악하였다. 그가 세미레치예를 소그드 상인들의 출발지로 본 것은 서기 5~6세기부터 이 지역에 소그드인들이 집중거주하였기 때문이었다. 이 글에서 알타이산맥을 지나는 길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셀렝가 강 유역에는756년에 위구르 모엔초르(Moyen-Chor) 가한의 명령에 의해 소그드인들 등이 쌓은 바이-발릭성이 있고, 오르혼 강 상류지역에는 수 천 명의 소그드 상인들이 거주하였던 위구르 한국의 수도 하라발가스가 위치한다. 다음으로 여러 강들을 차례로 지목한 것은 이 강들이 오호츠크 해와 동해까지 갈 수 있는 수로이기 때문이다.
      아르군 강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소그드 관련 유물들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또한 쉴까 강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말갈’ 유적들이, 위구르 지역과 아무르 강 유역에서는 ‘콧수염’ 무늬 심발형 토기들이 각각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다음에는 발해지역에서 발견되는 소그드인들의 흔적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해주의 노보고르제예브까 취락지는 발해시기 소그드인들의 거류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토기와 중앙아시아지역의소그드 토기들에는 동일한 형태의 문양들이 확인된다. 그 외에도 발해지역에는 사산조 청동거울, 소그드 은화, ‘룬’ 문자 강돌, 토제 의례용기, 쌍봉낙타 뼈, 청동 쌍봉낙타상, 동심능형문양, 바르간, 서아시아 신장상, 사리함 유리병 등등 중부-중앙아시아지역과 관련된 유물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 사실들은 발해시기에 발해와 중앙아시아지역을 서로 연결하는 교역교통로가 실제로 작동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able road is a trade-transport route between Balhae and the Central Asian region, which the Russian archeologist E.V.Shavkunov who investigated the systematic Sogdian and Iranian artifacts on the Balhae and Jurchen sites described in 1985. He considers that the “Yilou sables”, that became famous in China from the 1st century AD, were still important in the VII-X centuries, and traders from Central Asia and Iran built a new trade route, namely, the “Sable road”, so as not to go through China, but to buy sable fur directly from the Manchurian, Amur and Primorye tribes.
      In this article, we first reviewed the zone of production and the zone of distribution of sable fur. It has been proven that sable fur trapping was diffused not only at Yilou, but also in Buyeo, East Okcho, at Sushen, Wuji, Funie Malgal and other tribes, which later entered the territory of Balhae, as well as westward in the rivers Shilka and Argun basin, at Xianbei and later at Shiwei, and further west, at Yenisei Kyrgyz. The Balhae sable fur was very popular in Japan and Tang China. However, there is no record that merchants from Central Asia bought sable fur in Balhae directly. Nevertheless, it is very likely that Sogdian merchants, who carried on their business at Uyghurs, bought sable fur from neighboring Shiwei and eastward from Balhae, as sable fur from the region of Yenisei Kyrgyz was exported to Central Asia and the Arab region.
      Then we viewed the specific route of the Sable road. E.V. Shavkunov considers that the Sable road was from “Semirechye - Altai Mountains - Western Mongolia – the Selenge River basin - upstream of the Orkhon River - upper course of the Tuul River - the Heerlen River and the Upper Onon River - the Shilka River and the Argun River - the Amur River - remote areas of Northeast Asia along the tributaries of the Amur River”. He considered Semirechye as the place of Sogdian merchants departure because Sogdians concentratedly lived in this area from the 5-6th centuries AD. In this article, we identified specific routes through the Altai Mountains. In the Selenge River basin there was the Bai-Balyk fortress, built by the Sogdians in 756 by order of the Moyen-Chor Khan, and at the head of the Orkhon River there was the capital of the Uyghur Khaganate, Karabalghasun, in which several thousand of Sogdian merchants lived. Next, several rivers are listed, because these rivers are waterways that can reach the Sea of Okhotsk and the Eastern Sea.
      Artifacts related to Sogdiana were found on Argun River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In addition, “Malgal” artifacts were found on the Shilka River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and pottery with the “moustache-shaped” ornament was found at Uyghurs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
      Then we viewed the Sogdian artifacts found in the region of Balhae. It is very likely that the settlement Novogordeevka in the Primorsky Territory is a colony of the Sogdian people in the period of Balhae. Among the ornaments of pottery found on this site and in Central Asia, there are the same ones. In addition, in the territory of the Balhae were also found numerous items related to the Central Asian and Middle Asian regions: Sasanian bronze mirror, Sogdian silver coin, pebbles with a runic inscription, ritual vessel similar to Sogdian ones, Bactrian camel bone, a bronze figure of a camel, characteristic for Uyghur vessels ornament, a jaw harp, a West Asian man-shaped figure of a warrior of heaven, a glass bottle for relics, etc.
      These facts suggest that, most likely, in the days of Balhae, there really existed trade and transport routes connecting Balhae and Central Asia.
      번역하기

      The Sable road is a trade-transport route between Balhae and the Central Asian region, which the Russian archeologist E.V.Shavkunov who investigated the systematic Sogdian and Iranian artifacts on the Balhae and Jurchen sites described in 1985. He con...

      The Sable road is a trade-transport route between Balhae and the Central Asian region, which the Russian archeologist E.V.Shavkunov who investigated the systematic Sogdian and Iranian artifacts on the Balhae and Jurchen sites described in 1985. He considers that the “Yilou sables”, that became famous in China from the 1st century AD, were still important in the VII-X centuries, and traders from Central Asia and Iran built a new trade route, namely, the “Sable road”, so as not to go through China, but to buy sable fur directly from the Manchurian, Amur and Primorye tribes.
      In this article, we first reviewed the zone of production and the zone of distribution of sable fur. It has been proven that sable fur trapping was diffused not only at Yilou, but also in Buyeo, East Okcho, at Sushen, Wuji, Funie Malgal and other tribes, which later entered the territory of Balhae, as well as westward in the rivers Shilka and Argun basin, at Xianbei and later at Shiwei, and further west, at Yenisei Kyrgyz. The Balhae sable fur was very popular in Japan and Tang China. However, there is no record that merchants from Central Asia bought sable fur in Balhae directly. Nevertheless, it is very likely that Sogdian merchants, who carried on their business at Uyghurs, bought sable fur from neighboring Shiwei and eastward from Balhae, as sable fur from the region of Yenisei Kyrgyz was exported to Central Asia and the Arab region.
      Then we viewed the specific route of the Sable road. E.V. Shavkunov considers that the Sable road was from “Semirechye - Altai Mountains - Western Mongolia – the Selenge River basin - upstream of the Orkhon River - upper course of the Tuul River - the Heerlen River and the Upper Onon River - the Shilka River and the Argun River - the Amur River - remote areas of Northeast Asia along the tributaries of the Amur River”. He considered Semirechye as the place of Sogdian merchants departure because Sogdians concentratedly lived in this area from the 5-6th centuries AD. In this article, we identified specific routes through the Altai Mountains. In the Selenge River basin there was the Bai-Balyk fortress, built by the Sogdians in 756 by order of the Moyen-Chor Khan, and at the head of the Orkhon River there was the capital of the Uyghur Khaganate, Karabalghasun, in which several thousand of Sogdian merchants lived. Next, several rivers are listed, because these rivers are waterways that can reach the Sea of Okhotsk and the Eastern Sea.
      Artifacts related to Sogdiana were found on Argun River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In addition, “Malgal” artifacts were found on the Shilka River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and pottery with the “moustache-shaped” ornament was found at Uyghurs and in the basin of the Amur River .
      Then we viewed the Sogdian artifacts found in the region of Balhae. It is very likely that the settlement Novogordeevka in the Primorsky Territory is a colony of the Sogdian people in the period of Balhae. Among the ornaments of pottery found on this site and in Central Asia, there are the same ones. In addition, in the territory of the Balhae were also found numerous items related to the Central Asian and Middle Asian regions: Sasanian bronze mirror, Sogdian silver coin, pebbles with a runic inscription, ritual vessel similar to Sogdian ones, Bactrian camel bone, a bronze figure of a camel, characteristic for Uyghur vessels ornament, a jaw harp, a West Asian man-shaped figure of a warrior of heaven, a glass bottle for relics, etc.
      These facts suggest that, most likely, in the days of Balhae, there really existed trade and transport routes connecting Balhae and Central As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遼史"

      2 孫秀仁, "論遼代五國部及其物質文化特征-遼代五國部文化類型的提出與硏究" 1 : 1982

      3 정석배, "한국 문화 원류와 알타이 신문화벨트I"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4 김은국, "한·몽 渤海 유적과 ‘고누 길’(Gonu-road)" 한국역사민속학회 (46) : 7-39, 2014

      5 B.E.빠나센꼬, "크라스키노 성 출토 동물 뼈 분석(2012년도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in 연해주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동북아역사재단 2013

      6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콕샤로프카-1 평지성 Ⅰ -본문편-" 2012

      7 국사편찬위원회, "중국정사 조선전 역주1" 2007

      8 정석배, "유물로 본 발해와 중부 - 중앙아시아지역 간의 문화교류에 대해" 고구려발해학회 57 : 59-91, 2017

      9 르네 그루쎄,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10 정재훈, "위구르 유목제국사" 문학과지성사 2005

      1 "遼史"

      2 孫秀仁, "論遼代五國部及其物質文化特征-遼代五國部文化類型的提出與硏究" 1 : 1982

      3 정석배, "한국 문화 원류와 알타이 신문화벨트I"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4 김은국, "한·몽 渤海 유적과 ‘고누 길’(Gonu-road)" 한국역사민속학회 (46) : 7-39, 2014

      5 B.E.빠나센꼬, "크라스키노 성 출토 동물 뼈 분석(2012년도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in 연해주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동북아역사재단 2013

      6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콕샤로프카-1 평지성 Ⅰ -본문편-" 2012

      7 국사편찬위원회, "중국정사 조선전 역주1" 2007

      8 정석배, "유물로 본 발해와 중부 - 중앙아시아지역 간의 문화교류에 대해" 고구려발해학회 57 : 59-91, 2017

      9 르네 그루쎄,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사계절 1998

      10 정재훈, "위구르 유목제국사" 문학과지성사 2005

      11 김위현, "요대발해 부흥운동의 성격" 11 : 1978

      12 빠나센꼬 B.E., "연해주 크라스키노 발해성 2012년도 발굴조사" 동북아역사재단 2013

      13 대한민국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 콕샤로프카 유적: 콕샤로프카-1 평지성, 콕샤로프카-8 석축구조물" 2015

      14 이재성, "아프라시압 宮殿址 壁畵의 ‘鳥羽冠使節’에 관한 고찰― 高句麗에서 사마르칸드(康國)까지의 路線에 대하여 ―" 중앙아시아학회 18 (18): 1-34, 2013

      15 정석배, "발해의 북방경계에 대한 일고찰" 고구려발해학회 54 : 87-125, 2016

      16 구난희, "발해와 일본의 교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17 고구려연구재단, "발해사 자료집(하)" 2004

      18 전쟁기념관, "발해를 찾아서 (발해건국 1300주년 기획전)" 1998

      19 이민영, "발해 철촉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17

      20 에.붸.샤브꾸노프, "러시아 연해주와 발해역사" 민음사 1996

      21 "동북아역사재단 보도자료 제2016-26호"

      22 김규현, "대당서역기" 글로벌콘텐츠 2013

      23 Шавкунов Э.В., "극동과 자바이칼의 중세 고고학 자료들" 1989

      24 윤재운, "교류의 바다 일본" 경인문화사 2015

      25 黑龍江省博物館, "齊齊合爾市大道三家子墓葬淸理" 12 : 1988

      26 丹化沙, "黑龍江省寧安縣出土的舍利函" 2 : 1978

      27 王小甫, "黑貂之路 質疑 -古代東北亞與世界文化聯系之我見" (3) : 2001

      28 孫危, "鮮卑考古學文化硏究" 科學出版社 17-29, 2007

      29 "魏書"

      30 므일니꼬바 L.N., "西아무르 유역의 말갈 뜨로이쯔꼬예 그룹 토기와 민족문화사" 고구려발해학회 32 : 205-282, 2008

      31 "舊唐書"

      32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胡倫貝爾民族文物考古大系" 文物出版社 2015

      33 "續日本紀"

      34 한규철, "渤海와 遊牧王朝의 交流" 고구려발해학회 34 : 21-41, 2009

      35 黑龍江省文物考古硏究所, "渤海上京城 1998~2007年度考古發掘調査報告" 文物出版社 2009

      36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楡樹老河深" 文物出版社 1987

      37 "晋書"

      38 "日本紀略"

      39 "日本書紀"

      40 "新唐書"

      41 "後漢書"

      42 楊志軍, "平洋墓葬" 文物出版社 1990

      43 "契丹國志"

      44 遼寧省博物館, "北燕馮素弗墓" 文物出版社 2015

      45 "北史"

      46 "冊府元龜"

      47 "全唐詩"

      48 "三國志"

      49 네스쩨로프 S.P., "Ⅰ~Ⅲ세기 서아무르 유역 주민들의 민족문화사, 동아시아~ 13세기의 고고학 -고고학연구의 쟁점-" 국립문화재연구소 9 : 2000

      50 Шавкунов Э.В., "аббасидской драхмы в долине реки Арсеньевка" (4) : 1996

      51 Деревянко Е.И., "Троицкий могильник" 1977

      52 Боковенко Н.А., "Степная полоса Азиатской части СССР 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е время" 1992

      53 Лещенко Н.В., "Средневековые музыкальные инструменты (поматериалам памятников Приморья)" (3) : 2015

      54 Маршак Б.И., "Согдийское серебро. Очерки по Восточной торевтике" 1971

      55 Бичурин Н.Я., "Собрание сведений о народах, обитавших в Средней Азии в древниевремени I" 1950

      56 Шавкунов Э.В., "Соболья дорога согдийцев" (1) : 1992

      57 Лещенко Н.В., "Система жизнеобеспечения населения городища Николаевское-II вПриморье (по материалам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2) : 2012

      58 Дьякова О.В., "Сибирь в древности" 1979

      59 Пугаченкова Г.А., "Северная Бактрия-Тохаристан. Очерки истории и культуры (древность и среднекековья)" 1990

      60 Шавкунов Э.В., "Россия и АТР, № 1" 2001

      61 Шавкунов Э.В., "Проблемы друвних культур Сибири" 1985

      62 Ахметов В.В., "Проблемы археологии, этнограф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Сибири и сопредельных территорий, Том XXI" 2015

      63 Алкин С.В., "Проблемы археологии, этнограф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Сибири и сопредельных территорий, Том XVII" 2011

      64 Алкин С.В., "Проблемы археологии, этнографии, антропологии Сибири и сопредельных территорий, Том XIV" 2008

      65 Лубо-Лесниченко Е.И., "Привозные зеркала Минусинской котловины: К вопросу овнешних связях древнего населения ЮжнойСибири" 1975

      66 Худяков Ю.С., "Памятники уйгурской культуры в Монголии" 1990

      67 Малов С.Е., "Памятники древнетюрк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Монголии и Киргизии" 1959

      68 Болдин В.И., "О результатах полевыхисследований на Краскинском городище в Приморье в 1998 году" АрхивИИАЭ ДВО РАН 1998

      69 BURKART DÄHNE, "Некоторые результаты исследования уйгурской столицы ХараБалгасун в 2010" 6 (6): 365-, 2010

      70 Нестеров С.П., "Народы Приамурья в эпоху раннего средневековья" 1998

      71 Алкин С.В., "Миграция мохэ на р. Шилка в Забайкалье: к проблеме ранних контактовпрототунгусов и протомонголов, Древние культуры Монголии и БайкальскойСибири" 2012

      72 Шавкунов Э.В., "Материалы по этнокультурным связям народов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в средние века" 1988

      73 Шавкунов Э.В., "Материалы по археологи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СССР" 1981

      74 Николаев В.С., "Кочевники юга Средней Сибири в XII-XIV вв" 4 (4): 2008

      75 Лубо-Лесниченко Е.И., "Китай на шелковом пути" 1994

      76 Смирнова О.И., "Каталог монет с городища Пенджикент (материалы 1949-1956 гг"

      77 Шавкунов Э.В., "К вопросу о северо-восточном ответвлении Собольей дороги" (4) : 1995

      78 Кызласов Л.Р., "История Тувы в средние века" Издательст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1969

      79 Шефер Э., "Золотые персики Самарканда" 1981

      80 Кызласов Л.Р., "Древняя Тува" Издательст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1979

      81 Молодин В.И., "Древности плоскогорья Укок: тайны, сенсации, открытия" 2000

      82 Диков Н.Н., "Древние костры Камчатки и Чукотки - 15 тысяч лет истории" Магаданскоекнижное издательство 1968

      83 Кляшторый С.Г., "Древнетюрские рун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как источник по историиСреднейАзии" 1964

      84 Шишкина Г.В., "Древнейшие государства Кавказа и Средней Азии" 1985

      85 Шавкунов Э.В., "Государство Бохай и памятники его культуры в Приморье" 1968

      86 Артемьев А.Р., "Города и остроги Забайкалья и Приамурья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VIIXVIII вв" 1999

      87 Баяр Д., "Археология, этнография и антропология Евразии 4"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지소 고고학민족학연구소 출판부 4 (4): 2004

      88 Гельман Е.И., "Археология и культурная антропология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 2002

      89 Ковычев Е.В.., "Археология Северной Азии" 1982

      90 Худяков Ю.С., "Археология Северной Азии" 1982

      91 Gikyo Ito, "Orient. Vol. XV" 1979

      92 김순남, "16세기 조선과 野人 사이의 모피 교역의 전개" 한국사연구회 (152) : 71-108, 2011

      93 니꼴라예프 V.S., "12~14세기 중앙 시베리아 남부의 유목민들" 4 (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