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는 1973년에 국영방송에서 공영방송으로 체제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 독재정권이라는 특수한 정치체제 아래에서 한 동안 국영방송, 정권의 방송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380564
서울 세종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8
학위논문(석사) -- 세종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언론홍보대학원 , 신문방송학과 , 2008. 8
2008
한국어
326.7 판사항(4)
384.5531 판사항(22)
서울
64 p. ; 26 cm
노태우
(A) study on dual system of the programming structure of KBS TV and rationalizing process of programming acts - based upon cases in 1992 and 1993
참고문헌: p.64-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KBS는 1973년에 국영방송에서 공영방송으로 체제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 독재정권이라는 특수한 정치체제 아래에서 한 동안 국영방송, 정권의 방송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
KBS는 1973년에 국영방송에서 공영방송으로 체제가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 독재정권이라는 특수한 정치체제 아래에서 한 동안 국영방송, 정권의 방송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방송이 국가권력, 정권으로부터 독립성, 자율성을 확보하기 시작하는 것은 6.29선언에 이은 1988년 노태우 정권의 출범, 방송민주화 진전이라는 정치․사회적 변화에 기인한다. KBS 조직, 방송의 변화도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1987년과 1990년 두 번에 걸친 방송법 개정과 방송민주화 실현, 그로 인한 KBS 조직사회의 변화는 KBS 방송의 내용과 질에도 큰 변화를 가져 오게 된다. 1990년 방송법 개정으로 인한 상업방송 SBS 출범, 유선방송․위성방송 출현 전망, 뉴미디어 등장 등은 KBS와 MBC라는 과점적 공영체제 속에서 안정적인 경영을 해오던 KBS로서 대단한 위협이었다. KBS가 안고 있는 기형적인 재원구조, 즉 공영방송이면서도 광고수입이 수신료 수입보다 훨씬 많은 재원 구조의 불균형성은 공영방송 KBS의 약점이었다. 이러한 KBS 재원구조의 취약성은 민영방송 SBS가 등장하고, 다매체 다채널 방송환경이 도래하는 시점에서 KBS TV를 변화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89년부터 KBS 1.2TV 편성의 차별화를 추진해온 KBS는 1991년에 그 이전과는 매우 다른 편성을 하게 된다. 1991년 봄개편에서 KBS는 편성의 주안점을 1TV의 공영성 강화와 2TV의 대중문화 편성 강화에 둔다. 특히 2TV의 경우는 1TV와의 편성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편성을 시도한다. KBS 1.2TV 편성차별화, 달리 말해 1TV 공영성 강화와 2TV 오락편성 강화는 ‘1992-93년 편성’에서 채널 경쟁력 향상이라는 소기의 목표를 달성했지만 지금도 문제점으로 남아 있는 ‘KBS TV 편성구조의 이원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KBS 편성구조의 이원화와는 개념, 성격이 전혀 다르지만 형성되는 과정과 시기가 매우 유사한 것이 ‘KBS 편성행위의 합리화’ 과정이다. KBS는 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 방송을 위해 1985년 한해에만 500여명에 달하는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막대한 예산을 들여 첨단 방송시설과 방송장비를 확충한다. 해외 연수과 견학을 통한 선진방송사로부터의 제작 기법의 전수, 방송 제작 정보의 입수, 새로운 제작 경험의 축적 등은 KBS의 전반적인 제작력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방송제작 인프라 구축과 1987년 이후의 KBS 조직의 변화, 그리고 새로운 방송환경의 도래는 KBS 편성, 제작의 분위기를 바꾸어 나가는 동시에 새로운 기운을 형성하게 하였다. 특히 방송편성의 경우 1991년에는 편성업무 조직과 시스템이 새롭게 갖춰지고 편성의 비중과 권한이 강화되는 등 여러 변화가 일어난다. 편성업무 조직의 유기적 체계화, 편성 결정과정의 과학화, 편성행위의 효율성 추구, 편성 인력의 전문화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편성환경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편성의 다양화, 방송 프로그램의 품질 향상, 채널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게 되었다.
또 방송의 민주화는 KBS가 공영방송으로서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것은 결과적으로 편성의 자율성 확대와 독립성 강화, 창의성 진작이라는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외에도 시청자 주권의 강화, 프로그램 공급원의 확대, 제작 영역의 확대 등은 KBS 편성을 변화시키게 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1992-93년의 편성에서 구체적인 프로그램 편성, 프로그램 제작으로 구현된다.
이 논문에서는 1987-93년에 이러한 변화의 요인들이 발생하여 1992-93년 KBS TV 편성에 구현되는 긍정적인 편성의 변화 내용과 절차, 과정 등에 주목하여 그것을 ‘편성행위의 합리화 과정’이라고 규정하였다. 편성 행위의 합리화는 시기적으로는 ‘편성구조의 이원화’ 시기와 대체적으로 일치하지만 전혀 성격이 다르다. 엄밀히 말해 이원화 편성구조 속에서 각기 다른 방송체계가 개별적으로 편성행위의 합리화 과정을 거쳤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이원화가 곧 합리화를 뜻하지 않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KBS TV 편성구조의 이원화와 편성행위의 합리화 과정을 추적하기 위하여 1992-93년의 KBS TV 편성의 편성정책과 그 기간에 시행되는 4번에 걸친 개편 편성을 분석하였다. 방송정책, 편성이념, 편성목표와 개편 편성 내용을 유목별로 분석하여 편성구조의 이원화와 편성행위의 합리화가 편성에 어떤 모습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 1992-93년 KBS TV 편성을 변화시키는 편성 결정요인들과 편성환경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다매체다채널 방송환경이 시작되는 1990년 초와 비교해서 규모, 질, 다양성 등에서 크게 성장한 KBS TV와 한국의 지상파 TV의 성장 동력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혀서 현재와 같은 편성의 틀과 편성전략이 정착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