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의 잠재유형과 한국사회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의 관련성 = An association between latent profile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and individual perceptions on Korean society and own future prospect among young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8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and individual perceptions on Korean society and own future prospect among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refer to individual acceptance of traditional family norms on cohabitation, premarital sexual relationship, marriage, childbirth in and out of wedlock, and divorce. Individual perception refers to personal evaluation on social justice, social democracy, familial justice and democracy, class reproduction, and future prospect of oneself. Using a data of 617 young adults, we classified four latent profile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30.15%), the intimacy seekers (38.09%), the alternative followers (27.07%), the intimacy avoiders (4.70%). From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we found that those who perceived Korean society unjust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the alternative follower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Likewise, those who perceived Korean society less democratic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the alternative follower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Those who perceived their own future prospect pessimistic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the alternative follower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Finally, those who believed the importance of parental investment in child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than to the three other types. These results imply that personal norms and values on intimacy and family are related to the personal evaluation on social and familial justice and democracy as well as their own future prospect.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and individual perceptions on Korean society and own future prospect among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refer to individual...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an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and individual perceptions on Korean society and own future prospect among young adults in their 20s and 30s.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refer to individual acceptance of traditional family norms on cohabitation, premarital sexual relationship, marriage, childbirth in and out of wedlock, and divorce. Individual perception refers to personal evaluation on social justice, social democracy, familial justice and democracy, class reproduction, and future prospect of oneself. Using a data of 617 young adults, we classified four latent profiles of marriage and childbirth attitudes :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30.15%), the intimacy seekers (38.09%), the alternative followers (27.07%), the intimacy avoiders (4.70%). From the multinomial logit analysis, we found that those who perceived Korean society unjust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the alternative follower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Likewise, those who perceived Korean society less democratic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the alternative follower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Those who perceived their own future prospect pessimistic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the alternative follower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Finally, those who believed the importance of parental investment in child education were more likely to be classified to the traditional norm followers than to the three other types. These results imply that personal norms and values on intimacy and family are related to the personal evaluation on social and familial justice and democracy as well as their own future prosp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과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결혼・출산 가치관은 동거, 혼전 성관계, 결혼, 출산, 혼외출산, 이혼의 규범성에 대한 가치관을 의미하고,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과 개인적 미래 전망은 한국사회의 공정성, 민주화, 가족 내 민주성, 자신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개인적 전망, 자녀교육투자를 통한 계층 재생산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의미한다. 2016년에 8월 온라인 조사를 통해 20대부터 50대까지 전국 남녀 1,223명을 조사하였고, 이 중 20-39세 남녀 6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결혼・출산 가치관을 유형화하고, 사회적 인식과 미래 전망에 따라 귀속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출산 가치관은 ‘관계지향형(38.09%)’, ‘전통적 관계형(30.15%)’, ‘대안적 관계형(27.07%)’ ‘관계기피형(4.70%)’으로 유형화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미래 전망이 결혼・출산 가치관 유형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의 공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대안적 관계형’이나 ‘관계기피형’보다는 ‘전통적 관계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한국사회의 민주화 수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자신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할수록 ‘대안적 관계형’보다는 ‘전통적 관계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친밀한 관계와 가족에 대한 청년세대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나 사회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과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결혼・출산 가치관은 동거, 혼전 성관계, 결혼, 출산, ...

      이 연구는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과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결혼・출산 가치관은 동거, 혼전 성관계, 결혼, 출산, 혼외출산, 이혼의 규범성에 대한 가치관을 의미하고,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과 개인적 미래 전망은 한국사회의 공정성, 민주화, 가족 내 민주성, 자신의 현실과 미래에 대한 개인적 전망, 자녀교육투자를 통한 계층 재생산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의미한다. 2016년에 8월 온라인 조사를 통해 20대부터 50대까지 전국 남녀 1,223명을 조사하였고, 이 중 20-39세 남녀 61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결혼・출산 가치관을 유형화하고, 사회적 인식과 미래 전망에 따라 귀속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결혼・출산 가치관은 ‘관계지향형(38.09%)’, ‘전통적 관계형(30.15%)’, ‘대안적 관계형(27.07%)’ ‘관계기피형(4.70%)’으로 유형화되었다. 분석 결과,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미래 전망이 결혼・출산 가치관 유형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의 공정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대안적 관계형’이나 ‘관계기피형’보다는 ‘전통적 관계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한국사회의 민주화 수준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자신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할수록 ‘대안적 관계형’보다는 ‘전통적 관계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친밀한 관계와 가족에 대한 청년세대의 가치관이 한국사회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나 사회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대엽,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 한국사회연구소 13 (13): 3-61, 2012

      2 한준, "한국사회와 저출산의 덫" 3-22, 2017

      3 장경섭, "한국사회 제도적 가족주의의 진단과 함의 - 소득보장, 교육, 돌봄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27 (27): 1-38, 2015

      4 옥양련, "한국대학생의 가족가치관 : 부산대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12 (12): 51-104, 1993

      5 진미정, "한국가족을 말하다. 현상과 쟁점" 도서출판 하우 2015

      6 이상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건강행위 잠재계층유형과 예측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51-271, 2015

      7 이건만, "청소년의 가족 및 사회적 가치관에 대한 연구" 8 (8): 183-205, 1998

      8 유계숙,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관 :2001년과 2017년 20대 미혼 청년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30 (30): 42-69, 2018

      9 이희정,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회 52 (52): 119-164, 2018

      10 안홍순, "청년세대를 위한 사회적 형평성 제고 방안"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59-83, 2016

      1 조대엽, "현대성의 전환과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재구성 -사회 구성적 공공성의 논리와 미시공공성의 구조-" 한국사회연구소 13 (13): 3-61, 2012

      2 한준, "한국사회와 저출산의 덫" 3-22, 2017

      3 장경섭, "한국사회 제도적 가족주의의 진단과 함의 - 소득보장, 교육, 돌봄 영역을 중심으로 -" 한국가족학회 27 (27): 1-38, 2015

      4 옥양련, "한국대학생의 가족가치관 : 부산대학교 2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12 (12): 51-104, 1993

      5 진미정, "한국가족을 말하다. 현상과 쟁점" 도서출판 하우 2015

      6 이상균,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건강행위 잠재계층유형과 예측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51-271, 2015

      7 이건만, "청소년의 가족 및 사회적 가치관에 대한 연구" 8 (8): 183-205, 1998

      8 유계숙,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관 :2001년과 2017년 20대 미혼 청년세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30 (30): 42-69, 2018

      9 이희정,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회 52 (52): 119-164, 2018

      10 안홍순, "청년세대를 위한 사회적 형평성 제고 방안"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3 (43): 59-83, 2016

      11 진미정, "저출산의 패러독스 : 가족 관점의 적용" 25-38, 2017

      12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5~2045년"

      13 김혜영, "유동하는 한국가족 :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연구소 15 (15): 255-292, 2014

      14 손승영, "여대생의 가족가치관을 통해 살펴 본 저출산 문제의 이해: 성별, 세대별 하위집단 간 가족가치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4 (34): 169-200, 2010

      15 한준, "시민사회의 성숙과 사회적 자본" 한국사회연구소 16 (16): 223-254, 2015

      16 신광영, "세대, 계급과 불평등" 비판사회학회 (81) : 35-60, 2009

      17 신광영, "생애주기별 기회불평등 연구" 동그라미재단 2016

      18 호정화, "비혼과 1인 가구 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혼인 및 거주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7 (37): 25-59, 2014

      19 김혜경, "부계 가족주의의 실패?: IMF 경제위기 세대의 가족주의와 개인화" 한국사회학회 47 (47): 101-141, 2013

      20 진미정,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31-51, 2010

      21 최정혜, "대학생의 효의식과 가족주의 가치관 및 부모 부양의식" 35 (35): 55-69, 1997

      22 이은경, "대학생의 가족주의가치관과 부모노후의 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37 (37): 45-65, 1999

      23 최승원, "대학생의 가족주의 가치관과 부모부양의식에 관한 연구" 15 : 83-99, 1997

      24 한상길, "대학 청소년의 가족가치관 연구" 23 (23): 107-139, 1996

      25 장경섭, "내일의 종언? 가족자유주의와 사회재생산 위기" 집문당 2018

      26 이연숙, "남녀 대학생의 가족가치관 유형에 따른 자녀출산에 대한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 (20): 109-140, 2016

      27 이병훈,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157-179, 2017

      28 남찬섭, "공공성과 인정의 정치, 그리고 돌봄의 윤리" 한국사회연구소 13 (13): 87-121, 2012

      29 김영미,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연구소 47 (47): 27-52, 2016

      30 이삼식, "가치과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형태에 미치는 영향" 23 (23): 95-140, 2006

      31 이순미, "가족중심주의와 개인화 사이의 한국 가족: 가족주의 및 성별에 따른 세대관계 잠재구조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6 (26): 1-36, 2014

      32 정민우, "‘가족’의 경계에 선 청년세대 : 성별화된 독립과 규범적 시공간성" 비판사회학회 (89) : 105-145, 2011

      33 Manning, Wendy D., "Two Decades of Stability and Change in Age at First Union Formation" 76 (76): 247-260,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41 1.78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