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실시간 도시홍수 단기예측 = Short-term forecasting for real-time urban flood warning using spatio-temporal rainfall data in extremely high resol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836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기후변화로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10~20km의 공간적 범위에서 단시간에 집중되는 집중호우의 강우특성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과 선행적인 도시홍수예보가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수문분석은 한반도 조밀도 36.0km로 구성된 지상기상관측지점의 시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함에 따라 집중호우의 시공간적 범위를 고려할 수 없는 뿐만 아니라 36.0km 이내의 확률강우량과 강우시간분포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문제점 그리고 유출변동이 심한 중소규모 도시하천의 유출특성을 고려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조밀도 13.3km로 구성된 방재기상관측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관리를 통해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을 하였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편의보정과 시간상세화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행적인 도시홍수예보를 위해 관측자료 기반의 Flow Nomograph와 레이더 예측강우를 산정하였으며, 레이더 예측강우와 관측강우의 연동을 통한 유출분석으로 실시간 도시홍수 단기예측 적용 및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 분 단위 강우자료 품질관리 절차를 기 개발된 품질관리방법과 비교한 결과, 1분 단위 품질관리 및 강우 공간상관구조를 고려한 품질관리는 큰 차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관리를 실시한 분 단위 강우자료를 시 단위 강우자료와 상관성분석, 연 최대치계열 및 연 최대치 발생시간에 대해 평가한 결과, 모두 시 단위 강우자료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품질관리절차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률강우량, 강우시간분포 그리고 강우-유출분석 단계로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지상기상관측지점의 시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으로 발생하는 공간적 시간적 측면의 문제점 보완뿐만 아니라 더욱 효과적인 수문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 단위로 구성되어 있는 기후변화 RCP 4.5와 8.5 시나리오에 대해 분위사상법을 통한 편의보정과 과거 호우기반의 시간상세화를 적용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림천 유역의 설계홍수량은 현재의 설계홍수량에 비해 2100년도에 13.3~54.8CMS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도시홍수예보를 위한 단기예측 결과, 호우사상별 첨두유출량 발생시간은 약 60분, 첨두유출량은 약 35분전에 오차범위 4% 이내에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관리 향상, 시공간적 측면에서 유역 및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수문분석,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신속성과 정확도 높은 실시간 도시홍수예보 단계예측으로 도시홍수피해저감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최근 기후변화로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10~20km의 공간적 범위에서 단시간에 집중되는 집중호우의 강우특...

      최근 기후변화로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10~20km의 공간적 범위에서 단시간에 집중되는 집중호우의 강우특성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를 절감하기 위해서는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과 선행적인 도시홍수예보가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의 수문분석은 한반도 조밀도 36.0km로 구성된 지상기상관측지점의 시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함에 따라 집중호우의 시공간적 범위를 고려할 수 없는 뿐만 아니라 36.0km 이내의 확률강우량과 강우시간분포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문제점 그리고 유출변동이 심한 중소규모 도시하천의 유출특성을 고려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조밀도 13.3km로 구성된 방재기상관측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관리를 통해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을 하였으며,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편의보정과 시간상세화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행적인 도시홍수예보를 위해 관측자료 기반의 Flow Nomograph와 레이더 예측강우를 산정하였으며, 레이더 예측강우와 관측강우의 연동을 통한 유출분석으로 실시간 도시홍수 단기예측 적용 및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 분 단위 강우자료 품질관리 절차를 기 개발된 품질관리방법과 비교한 결과, 1분 단위 품질관리 및 강우 공간상관구조를 고려한 품질관리는 큰 차별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관리를 실시한 분 단위 강우자료를 시 단위 강우자료와 상관성분석, 연 최대치계열 및 연 최대치 발생시간에 대해 평가한 결과, 모두 시 단위 강우자료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품질관리절차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률강우량, 강우시간분포 그리고 강우-유출분석 단계로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존 지상기상관측지점의 시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으로 발생하는 공간적 시간적 측면의 문제점 보완뿐만 아니라 더욱 효과적인 수문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 단위로 구성되어 있는 기후변화 RCP 4.5와 8.5 시나리오에 대해 분위사상법을 통한 편의보정과 과거 호우기반의 시간상세화를 적용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림천 유역의 설계홍수량은 현재의 설계홍수량에 비해 2100년도에 13.3~54.8CMS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도시홍수예보를 위한 단기예측 결과, 호우사상별 첨두유출량 발생시간은 약 60분, 첨두유출량은 약 35분전에 오차범위 4% 이내에서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관리 향상, 시공간적 측면에서 유역 및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수문분석, 기후변화 대응 그리고 신속성과 정확도 높은 실시간 도시홍수예보 단계예측으로 도시홍수피해저감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severe rainstorms, which are expected to become more frequent.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evere rainstorms that are concentrated for a short time and a spatial range of 10~20km, a hydrological analysis using spatio-temporal rainfall data in extremely high resolution and proactive urban flood forecasts are necessary to reduce human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severe rainstorms.
      Currently, most hydrological analyses are conducted with hourly rainfall data at the Surface Synoptic Stations(SSS). The density of the SSS in the Korean peninsula is 36.0km, which cannot cover spatial ranges of severe rainstorms. Moreover, a problem occurs in hydrological analysis in that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small and mid streams shorter than 36.0km as well as sewer networks, are applied with the same design rainfall and rainfall time distribution. Using hourly rainfall data for hydrological analysis causes proble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evere variations are not reflected when analyzing runoff.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hydrological analysis in terms of a closer spatio-temporal aspect through quality control of minutely rainfall data from Automatic Weather Stations(AWS) that is made up density of the Korean peninsula, 13.3km. Additionally, it conducted a hydrological analysis considering climate change through bias correction and temporal downscaling of the scenario data. For proactive forecasts of urban flood to reduce damage, Flow Nomograph based on observation data and radar forcasting rainfall were estimated. Runoff analysis, which links actual rainfall and radar forcasting rainfall, was applied to real-time urban flood forecasts and verifi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existing quality control method, quality control considering the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of rainfall and minutely rainfall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lso,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inutely rainfall data that quality control was conducted for with hourly rainfall data, correlation analysis, annual maximum series and annual maximum occurrence time, it was revealed that all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hourly rainfall data; this prov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quality control process. Results of hydrological analysis using spatio-temporal rainfall data in extremely high resolution through the steps by design rainfall, rainfall time distribution and rainfall-runoff analysis revealed the spatio-temporal problem of hydrological analysis using hourly rainfall data of SSS was supplemented, and more effective hydrological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Furthermore, bias correction through the quantile mapping method and temporal downscaling of past rainstorms were applied to the RCP4.5 and 8.5 climate change scenarios consisting of a daily unit so as to conduct hydrological analysis considering climate change. As a result, design flood in the Dorimcheon basin was expected to increase by about 13.3~54.8CMS in 2100 compared to the current design flood. Finally, as a result of short-term forecasting for real-time urban flood warning, the peak flow volume time was about 60 minutes by rainfall events, and the accurate prediction of peak flow volume was available within a margin of error of 4%, about 35 minutes b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improvement of quality control for minutely rainfall, spatio-temporal hydrological analysi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basin and region, adaption of climate change and contribute to reducing urban flood damage through rapid and accurated real-time urban flood forecasts.
      번역하기

      Recently,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severe rainstorms, which are expected to become more frequent.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evere rainstorms that are concentrated for a short time and a spatial range of 10~20km, a hydrological a...

      Recently,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severe rainstorms, which are expected to become more frequent. In order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evere rainstorms that are concentrated for a short time and a spatial range of 10~20km, a hydrological analysis using spatio-temporal rainfall data in extremely high resolution and proactive urban flood forecasts are necessary to reduce human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severe rainstorms.
      Currently, most hydrological analyses are conducted with hourly rainfall data at the Surface Synoptic Stations(SSS). The density of the SSS in the Korean peninsula is 36.0km, which cannot cover spatial ranges of severe rainstorms. Moreover, a problem occurs in hydrological analysis in that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small and mid streams shorter than 36.0km as well as sewer networks, are applied with the same design rainfall and rainfall time distribution. Using hourly rainfall data for hydrological analysis causes problem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evere variations are not reflected when analyzing runoff.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hydrological analysis in terms of a closer spatio-temporal aspect through quality control of minutely rainfall data from Automatic Weather Stations(AWS) that is made up density of the Korean peninsula, 13.3km. Additionally, it conducted a hydrological analysis considering climate change through bias correction and temporal downscaling of the scenario data. For proactive forecasts of urban flood to reduce damage, Flow Nomograph based on observation data and radar forcasting rainfall were estimated. Runoff analysis, which links actual rainfall and radar forcasting rainfall, was applied to real-time urban flood forecasts and verifie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existing quality control method, quality control considering the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of rainfall and minutely rainfall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lso,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minutely rainfall data that quality control was conducted for with hourly rainfall data, correlation analysis, annual maximum series and annual maximum occurrence time, it was revealed that all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hourly rainfall data; this prov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quality control process. Results of hydrological analysis using spatio-temporal rainfall data in extremely high resolution through the steps by design rainfall, rainfall time distribution and rainfall-runoff analysis revealed the spatio-temporal problem of hydrological analysis using hourly rainfall data of SSS was supplemented, and more effective hydrological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Furthermore, bias correction through the quantile mapping method and temporal downscaling of past rainstorms were applied to the RCP4.5 and 8.5 climate change scenarios consisting of a daily unit so as to conduct hydrological analysis considering climate change. As a result, design flood in the Dorimcheon basin was expected to increase by about 13.3~54.8CMS in 2100 compared to the current design flood. Finally, as a result of short-term forecasting for real-time urban flood warning, the peak flow volume time was about 60 minutes by rainfall events, and the accurate prediction of peak flow volume was available within a margin of error of 4%, about 35 minutes b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for improvement of quality control for minutely rainfall, spatio-temporal hydrological analysis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basin and region, adaption of climate change and contribute to reducing urban flood damage through rapid and accurated real-time urban flood forecas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절 연구 동향 2
      • 제 3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9
      • 제 2장 이론적 배경 12
      • 제 1장 서 론 1
      • 제 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 제 2절 연구 동향 2
      • 제 3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9
      • 제 2장 이론적 배경 12
      • 제 1절 강우빈도해석방법 12
      • 1. 지점빈도해석 13
      • 2. 지역빈도해석 14
      • 제 2절 강우시간분포방법 16
      • 1. 무강우 지속기간 17
      • 2. Huff의 4분위 방법 19
      • 제 3절 도시홍수예측방법 20
      • 1. Flow Nomograph 21
      • 2. 레이더 강우예측 23
      • 제 3장 분석대상 및 분 단위 강우자료 품질관리 26
      • 제 1절 분석대상 26
      • 1. 분석유역 27
      • 2. 강우자료 29
      • 3. 유출지점 37
      • 제 2절 분 단위 강우자료 품질관리 방법 41
      • 1. 결측치 품질관리 43
      • 2. 이상치 품질관리 46
      • 3. 강우보완 품질관리 48
      • 제 3절 분 단위 강우자료 품질관리 평가 50
      • 제 4장 시공간적 초상세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 54
      • 제 1절 확률강우량 산정 57
      • 1. 임의시간 환산계수 산정 58
      • 2. 지점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 63
      • 3. 지역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 68
      • 4. 확률강우량 비교 72
      • 제 2절 강우시간분포 산정 76
      • 1. 무강우 지속기간 산정 77
      • 2. 지점의 강우시간분포 산정 82
      • 3. 유역의 강우시간분포 산정 87
      • 4. 강우시간분포 비교 94
      • 제 3절 강우-유출분석 97
      • 1. 강우-유출모형 구축 97
      • 2. 강우-유출모형 검증 99
      • 3. 설계홍수량 산정 102
      • 4. 호우사상 유출량 산정 104
      • 제 5장 기후변화를 고려한 수문분석 107
      • 제 1절 기후변화 시나리오 편의보정 108
      • 1. 분위사상법을 이용한 편의보정 109
      • 2. 분위사상법 편의보정 결과비교 111
      • 제 2절 기후변화 시나리오 시간상세화 116
      • 1. 기후변화 시나리오 시간상세화방법 117
      • 2. 관측강우기반 시간상세화방법 보완 및 검증 124
      • 제 3절 기후변화 시나리오 수문분석 128
      • 1. 기후변화를 고려한 확률강우량 산정 128
      • 2. 기후변화를 고려한 설계홍수량 산정 133
      • 제 6장 실시간 도시홍수예보를 위한 단기예측 135
      • 제 1절 관측자료 기반의 Flow Nomograph 산정 및 평가 136
      • 1. Flow Nomograph 산정 137
      • 2. Flow Nomograph 평가 140
      • 제 2절 레이더 예측강우 산정 및 평가 142
      • 1. 레이더 예측강우 산정 143
      • 2. 레이더 예측강우 평가 144
      • 제 3절 실시간 도시홍수 단기예측 검증 및 평가 147
      • 1. 실시간 도시홍수 단기예측 검증 148
      • 2. 실시간 도시홍수 단기예측 평가 161
      • 제 7장 결 론 162
      • 참고문헌 164
      • Abstract 172
      • 감사의 글 17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http://www.climate.go.kr/), null

      2 류재희, 정종호, 윤용남,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소개, 한국수 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46권 제3호 pp.55-68, 2013

      3 유철상, 김경준, "“강우공간상관구조의 변동 특성”",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 원학회논문집, 학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2호 pp943~956, 2007

      4 오경두, 전병호, "유역종합치수계획의 수리 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한국 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4호 통권147호 pp.25-36, 2005

      5 유철상, 전창현, "“임의시간 환산계수에 대한 고찰”", 한국수 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9호 pp.123-129, 2014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 국토해양부, 국토교통부, 2011

      7 권재호, "“비점오염원 산정을 위한 강우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3

      8 조덕준, "Flood Nomograph의 도시침수예보에의 적용성",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14권 제6호 pp.421-425, 2014

      9 김경덕, 허준행, 신은우, 류근준, "“빈도해석 기법에 대한 수 행능력 평가”",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765-769, 2004

      10 김정호, 주진걸, 김상단, 박무종, "“RCP 일강수량 자료의 평 가 및 보정방법 제시”", 한국방재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5권 제2호 pp.79-91, 2015

      1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http://www.climate.go.kr/), null

      2 류재희, 정종호, 윤용남, "“설계홍수량 산정요령”", 소개, 한국수 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46권 제3호 pp.55-68, 2013

      3 유철상, 김경준, "“강우공간상관구조의 변동 특성”",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 원학회논문집, 학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2호 pp943~956, 2007

      4 오경두, 전병호, "유역종합치수계획의 수리 수문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한국 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4호 통권147호 pp.25-36, 2005

      5 유철상, 전창현, "“임의시간 환산계수에 대한 고찰”", 한국수 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43권 제9호 pp.123-129, 2014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확률강우량도 개선 및 보완 연구”", 국토해양부, 국토교통부, 2011

      7 권재호, "“비점오염원 산정을 위한 강우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3

      8 조덕준, "Flood Nomograph의 도시침수예보에의 적용성",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14권 제6호 pp.421-425, 2014

      9 김경덕, 허준행, 신은우, 류근준, "“빈도해석 기법에 대한 수 행능력 평가”",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 정기 학술대회, 대한토목학회, pp.765-769, 2004

      10 김정호, 주진걸, 김상단, 박무종, "“RCP 일강수량 자료의 평 가 및 보정방법 제시”", 한국방재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5권 제2호 pp.79-91, 2015

      11 김광섭, 김종필, "연속 CAPPI 자료를 이용한 단기강우예측 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9권 제6호 pp. 543-550., 2009

      12 김민석, 오태석, 안재현, 문영일, "“자료기간에 따른 확률 강 우량 변화 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9권 제4호 통권38호 pp.115-127, 2009

      13 김양수, 양동현, 오창열, 원유승, "수위법을 활용한 영산강유역 홍수예보시스템 개발",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 2014년도 정기 학술발표대 회, 2014

      14 김민석, 문영일,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5권 제2호 통권179 호 pp.319-326, 2015

      15 김경준, 하은호, 유철상, "“강우의 공간상관구조에 대한 무강 우자료의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 2호 통권163호 pp.127-138, 2006

      16 윤성심, 최영진, 이병주, "“서울시 고밀도 지상강우자료 품질 관리방안 도출”",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통권48권 제4호 pp.245-255, 2015

      17 김경준, 전경수, 유철상, 박창열, "“분단위 자료를 이용한 강 우의 공간상관구조 분석”",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제학회, 제8권 통 권34호 제8권 제6호 pp.113-120, 2008

      18 김광섭, 김종필, "기상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단시간 강우예 측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0 호 PP.1023-1034, 2008

      19 전병훈, 조덕준, "“도시소유역의 침수예측을 위한 Flood Nomograph의 구축”",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13권 제3호 통권61호 pp.37-42, 2013

      20 배덕효, 최영진, 윤성심, "“레이더 예측강우를 활용한 도시침 수예측: 사례연구”",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14권 제3호 pp.117-126, 2014

      21 김태웅, 윤용남, 유철상, 안재현,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 확 률강우량의 거동특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5호 pp.569-580, 2000

      22 김충수, 김형섭, "“ 도시하천 소배수구역의 결측 강우량 산정 방법 비교”",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701-705, 2006

      23 강부식, 문수진, 김정중, "“비정상성 분위사상법을 이용한 GCM 장기예측 편차보정”",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6권 제8호 통권253호 pp.833-842, 2013

      24 김형섭, 한명선, 김충수, 김휘린, "“실시간 예보 시스템을 위한 우량자 료 보정 기법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 회, 제42권 제2호 통권199호 pp.131-139, 2009

      25 이정호, 주진걸, 조덕준, 전환돈, 김중훈, "“도시유역의 유출특 성을 고려한 강우분포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 자원학회, 제40권 제8호 통권181호 pp.655-663, 2007

      26 배덕효, 윤성심, 심재범, "“청계천 실시간 홍수예보를 위한 Flow Nomograph 개발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 원학회, 제45권 제11호 통권244호 pp.1107-1119, 2012

      27 김응석, "“결측 강우량 보정방법에 관한 연구:1. 방법론 및 가중치산정”",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한국산학기술학회, 제7권 제 4호 pp.684-689, 2006

      28 윤용남, 장수형, 윤재영, "“Huff강우시간분포방법의 개선방안 연구:Ⅱ.Huff방법의 개선방안”",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 회, 제39권 제9호 pp.779-786, 2006

      29 윤선권, 조재필, "“CMIP5 GCMs의 근 미래 한반도 극치강수 불확실성 전망 및 빈도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 회, 제48권 제10호 pp.817-830, 2015

      30 이동진, 허준행, "“L-모멘트법을 이용한 한강유역의 일강우 량자료의 지역빈도해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34권 제2호 pp.119-130, 2001

      31 강문성, 송인홍, 박지훈, "“분위사상법을 적용한 RCP 시나리 오 기반 시군별 홍수 위험도 평가”", 한국농공학회, 한국농공학회논문집, 한국농공 학회, 제55권 제4호 pp.73-82, 2013

      32 이의훈,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월류수 처리시설 규모 결 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5

      33 송양호, 이정호, 박무종, 송영석, "상·하류 관측수위 기반 도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기준 강우량 산정기법",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14권 제2호 통권66호 pp.289-298, 2014

      34 김경덕, 허준행, 이영석, 신홍준, "“우리나라 강우자료의 지역 빈도해석 적용성 연구(Ⅰ):확률강우량산정”",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 한토목학회, 제27권 제2B호 pp.101-111, 2007

      35 윤용남, 장수형, 윤재영, "“Huff강우시간분포방법의 개선방안 연구:Ⅰ.Huff방법의 국내유역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9호 pp.767-777, 2006

      36 윤성심, "“지형효과를 고려한 레이더 강우 최적 추정 및 도시 홍수예보 활용기술 개발.”",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1

      37 박경미, "“도시유역 하수관망 정보오차 및 하수관망 단순화에 따른 유출특성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15

      38 강문성, 송인홍, 박지훈, "분위사상법을 이용한 RCP 기반 미래 극한 강수량 편의보정 : 우리나라 20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한국농공학회, 한국 농공학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제54권 제6호 pp.133-142, 2012

      39 장상민 ( Sang Min Jang ), 윤선권 ( Sun Kwon Yoon ), 박경원 ( Kyung Won Park ), "레이더-위성자료 이용 다중센서 기반 초단기 강우예측 -2014년 8월 부산,경남 폭우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대한원격탐사학회, 제32권 2호 pp.155~169, 2016

      40 이동률, 이진수, 김동균, "“강우의 시공간적 멀티프랙탈 특성 에 기반을 둔 강우다운스케일링 기법의 한반도 호우사상에 대한 적 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7권 제9호 통권266호 pp.839-852, 2014

      41 박태웅, 정창삼, 이현승, 이태삼, "“비매개변수 기법을 이용한 강우자료의 일단위에서 시간단위로의 시간 상세화: 경남지역의 강우 량의 기후변화 영향 평가”", 한국방재학회, 한국방재학회지, 한국방재학회, 제14권 제4호 통권68호 pp.301-308,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