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1학년 시기까지의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 장·단기적 상호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24622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7-7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1학년 시기까지의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 장·단기적 상호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1학년 시기까지의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의존도 간 장·단기적 상호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 중 초등학교 5학년(2차년도), 6학년(3차년도), 중학교 1학년(4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기준 총 2,437명(남아 1,221명, 여아 1,21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최종모형의 적합도지수는 CFI=.919, TLI=.900, RMSEA=.065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회귀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학업열의가 6학년의 학업열의에, 6학년 시기의 학업열의가 중학교 1학년의 학업열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6학년의 의존도에, 6학년 시기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중학교 1학년의 의존도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유의하였다. 셋째, 교차지연효과를 살펴보았을 때는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학업열의가 6학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6학년 시기의 학업열의가 중학교 1학년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6학년의 학업열의에, 6학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중학교 1학년의 학업열의에 각각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학업열의 저하와 스마트폰 의존 문제에 있어서 이를 사전에 예방하고 초기에 개입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학업열의와 스마트폰 의존도가 교차지연효과를 가진다는 점은 아동 및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높이고 스마트폰 의존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양방향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enthusiasm and smartphone dependency during the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sample included 2,437 children (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enthusiasm and smartphone dependency during the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sample included 2,437 children (1,221 boys, 50.1%)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Data were drawn from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and 7th grade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ir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cademic enthusiasm and smartphone dependenc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goodness-of-fit of the final model was verified to be acceptable, with CFI = .919, TLI = .900, and RMSEA = .065. Second, in terms of autoregressive effects, both academic enthusiasm and smartphone dependency exhibited sustained stability across the 5th, 6th, and 7th grade students. Third,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enthusiasm and smartphone dependency was substantiated through cross-lagged effect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comprehensive, bidirectional interventions that foster academic enthusiasm and reduce smartphone dependenc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유아기 가족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간의 종단적 관계에서 아동의 정서조절과 또래애착의 순차적 매개효과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청소년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성과 주의집중의 순차적 매개효과
부모의 동기강화양육과 동기저해양육이 청소년의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종단적 경로: 그릿의 매개 역할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특성 및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