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빅뱅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이해 = Understandings about the Big Bang of the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3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 of pre-service teachers detail conception about the Big Bang theory. Through the previous study, we expected that students would have various alternative conceptions for the Big Bang and us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problems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achieved to 118 students who completed or complete astronomy class among students who major earth science education at school of 4 local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s. For this study, we used questionnaire forming by Lineweaver and Davi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they teach astronomy continuously, empirically found some common alternative 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we changed questionnaire that they develop and stated by level that Korea's students can understand.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alternative conceptions. Through this, we could know that students did not understand well about concept of expansion of univer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 of pre-service teachers detail conception about the Big Bang theory. Through the previous study, we expected that students would have various alternative conceptions for the Big Bang and used ques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 of pre-service teachers detail conception about the Big Bang theory. Through the previous study, we expected that students would have various alternative conceptions for the Big Bang and us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5 problems for this study. This study was achieved to 118 students who completed or complete astronomy class among students who major earth science education at school of 4 local national college of educations. For this study, we used questionnaire forming by Lineweaver and Davi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they teach astronomy continuously, empirically found some common alternative conceptions that students have. we changed questionnaire that they develop and stated by level that Korea's students can understand. As a result, pre-service teachers had various alternative conceptions. Through this, we could know that students did not understand well about concept of expansion of univer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빅뱅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다양한 대안 개념들을 갖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5문항으로 이루어진 개방형 검사를 적용하여 빅뱅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국립 사범대 4학교에서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 중 천문학 강좌를 이수하였거나 수강 중인 118명의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미국에서 수년간 천문학을 가르쳐 온 Lineweaver와 Davis가 학생들이 갖고 있는 몇 가지 공통된 대안 개념들을 경험적으로 발견하여 개발한 문항들을 번안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진술하였다. 예비 교사들의 개념을 조사한 결과, 빅뱅의 공간 팽창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불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으며 다양한 대안 개념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빅뱅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다양한 대안 개념들을 갖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5문항...

      본 연구는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빅뱅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다양한 대안 개념들을 갖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5문항으로 이루어진 개방형 검사를 적용하여 빅뱅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개념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국립 사범대 4학교에서 지구과학교육을 전공하는 학생들 중 천문학 강좌를 이수하였거나 수강 중인 118명의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미국에서 수년간 천문학을 가르쳐 온 Lineweaver와 Davis가 학생들이 갖고 있는 몇 가지 공통된 대안 개념들을 경험적으로 발견하여 개발한 문항들을 번안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진술하였다. 예비 교사들의 개념을 조사한 결과, 빅뱅의 공간 팽창 개념에 대한 이해가 불확실하게 정립되어 있으며 다양한 대안 개념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동현, "한국 학생들의 중력 현상에 관한 유년적 사고" 12 (12): 67-79, 1992

      2 채동현, "학생들의 달 위상 변화의 원인에 대한 개념 조사" 15 (15): 45-55, 1996

      3 김찬종, "초등학교 학생들의 빛에 대한 개념과 달의 위상 변화 개념 사이의 연관성:개념 생태학적 접근" 16 (16): 173-187, 1997

      4 윤학중, "지구의 운동과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5 김현재, "지구의 모양과 중력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8 (8): 89-107, 1989

      6 선은초, "지구의 모양과 우주관에 대한 학생 개념과 과학사적인 개념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9

      7 정? 철,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의 환경 인식" 24 (24): 273-280, 2003

      8 조희형,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전파과학사 1994

      9 채동현, "새로운 계절 변화 실험 모형이 초등 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변화" 17 (17): 23-32, 1998

      10 임청환, "대기압과 달의 운동에 관한 중학생들의 개념 분석" 15 (15): 157-169, 1994

      1 채동현, "한국 학생들의 중력 현상에 관한 유년적 사고" 12 (12): 67-79, 1992

      2 채동현, "학생들의 달 위상 변화의 원인에 대한 개념 조사" 15 (15): 45-55, 1996

      3 김찬종, "초등학교 학생들의 빛에 대한 개념과 달의 위상 변화 개념 사이의 연관성:개념 생태학적 접근" 16 (16): 173-187, 1997

      4 윤학중, "지구의 운동과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5 김현재, "지구의 모양과 중력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8 (8): 89-107, 1989

      6 선은초, "지구의 모양과 우주관에 대한 학생 개념과 과학사적인 개념의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9

      7 정? 철,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의 환경 인식" 24 (24): 273-280, 2003

      8 조희형, "잘못 알기 쉬운 과학 개념" 전파과학사 1994

      9 채동현, "새로운 계절 변화 실험 모형이 초등 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변화" 17 (17): 23-32, 1998

      10 임청환, "대기압과 달의 운동에 관한 중학생들의 개념 분석" 15 (15): 157-169, 1994

      11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7

      12 Sneider, C. I., "Unraveling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the earth's shape and gravity" 82 (82): 265-284, 1998

      13 Atwood, V. A.,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the causes of seasons" 33 (33): 553-563, 1996

      14 Lineweaver, C. H., "Misconception about the Big Bang" 294 : 38-45, 2005

      15 Prather, E. E., "Hints of a Fundenmental Misconception in Cosmology" 2 (2): 28-34, 2003

      16 Baxter, J.,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miliar astronomical events" 11 : 502-513, 1989

      17 Arnold, P., "Children's knowledge of the earth's shape and its gravitational Field" 17 (17): 635-641, 1995

      18 Sharp, J. G., "Children's astronomical beliefs: A preliminary study of year 6 children in south-west England" 18 : 685-712, 1996

      19 Ricardo, T., "Assessing students' basic astronomy conceptions from junior high school though university" 47 : 21-31, 2001

      20 Baxter, J.,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astronomy in the national curriculum" 26 (26): 38-45,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