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시와 환경, 허재완(서평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서울: 박영사, , 2015
2. 행정조사방법론, 남궁근, 서울: 법문사, , 2013
3. 「고급통계분석론」, 이희연, 노승철, 서울: 문우사, , 2013
4.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민익식, 최필선, 지필미디어, 서울: 한국STATA학회, , 2012
5. “국제적 기후변화 현황”, 권원태, 「국제평화」, 5(1), pp.37-65, , 2008
6. 『한반도기후변화전망보고서』, 기상청, 기상청, 세종: 기상청, , 2012
7. “한국의 도시화에 관한 일고찰”, 임경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1), pp.139-156, , 2004
8. “그린인프라를 보는 새로운 관점”, 서용원,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9(6), pp.63-68, , 2016
9. “전 세계 자연재해 추이 및 유형 분석”, 심재현, 최우정, 김동은,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 학회논문집」, 41(2), pp.56-64, , 2008
10. “재난취약계층 재난안전교육 개선방안”, 이주호, 한국행정학회, 「Crisisonomy」, 12(11), pp.37-50, , 2016
1. 도시와 환경, 허재완(서평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서울: 박영사, , 2015
2. 행정조사방법론, 남궁근, 서울: 법문사, , 2013
3. 「고급통계분석론」, 이희연, 노승철, 서울: 문우사, , 2013
4.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민익식, 최필선, 지필미디어, 서울: 한국STATA학회, , 2012
5. “국제적 기후변화 현황”, 권원태, 「국제평화」, 5(1), pp.37-65, , 2008
6. 『한반도기후변화전망보고서』, 기상청, 기상청, 세종: 기상청, , 2012
7. “한국의 도시화에 관한 일고찰”, 임경수, 한국지역개발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1), pp.139-156, , 2004
8. “그린인프라를 보는 새로운 관점”, 서용원,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9(6), pp.63-68, , 2016
9. “전 세계 자연재해 추이 및 유형 분석”, 심재현, 최우정, 김동은, 한국수자원학회, 「한국수자원 학회논문집」, 41(2), pp.56-64, , 2008
10. “재난취약계층 재난안전교육 개선방안”, 이주호, 한국행정학회, 「Crisisonomy」, 12(11), pp.37-50, , 2016
11.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홍수 위험요인 도출, 김보경, 장남, 양동민, 장대원,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 7(1), pp.125-142, , 2011
12. 미국의 스마트성장과 도시개발정책의 시사점, 윤혜정(Yun Hyeh-Jeong),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37(7), pp.7-16, , 2002
13. 「자연친화적인 자연재해완화정책에 관한 연구」, 이지현, 이상범, 사공희, 이달별, 정주철, 서울: 환경정책평가연구원, , 2007
14. “농촌유역의 도시화 진전에 따른 수문환경 변화”, 이미선, 김성준, 박근애, 권형중, 한국농촌계획학회, 「농촌계획」, 11(1), pp.17-24, , 2005
15. “자연재해 피해의 결정요인 및 경제적 파급효과”, 이미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5
16.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예산제도 실태조사 연구」, 유병태, 오금호, 천안: 국 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 2008
17. 「기후변화에 따른 풍수해 재난관리 종합계 획 연구」, 유병태, 송철민, 박경호, 심기오, 국립방재교육연구원 국립방재연구소, 울산:국립재난안전연구원, , 2008
18. “도시화 진행에 따른 유역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손광익, 김민철, 한국방재학회, 「한 국방재학회 논문집」, 10(4), pp.89-93, , 2010
19. “패널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 수해결정요인에 관한 고찰”, 최충익,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서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04
20. “도시홍수 피해 감소를 위한 방재와 도시계획의 연계방향”, 김근영, 대한토목학회, 「대한토 목학회지」, 53(9), pp.13-20, , 2005
21. “금호강 유역의 수문환경에 대한 도시화의 영향: 모형 연구”, 유철상, 이지호, 김재철, 김상단, 한국물환경학회,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3(4), pp.535-542, , 2007
22. 도시계획 비전수립에 있어 시민참여 과정 및 결과에 관한 시사점 고찰, 정주철(Jung, Juchul), 하경준(Ha, Gyoungjun), 이달별(Lee, Dalbyul),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52(1), pp.5-20, , 2017
23. 「저탄소 기후변화 적응 사회를 위한 사회 경제 변화 시나리오 개발 」, 환경부, 세종: 환경부, , 2016
24. “비선형 회귀 모형을 이용한 서울지역 오존의 고농도 현상의 모형화”, 정수연, 최기헌, 한국통계학회, 「응용통계연구」, 22(4), pp.865-877, , 2009
25. 비시장제 가치평가에 있어 음의 지불의사 가능성에 근거한 Tobit모형 적용, 김준순, 「산림경제연구」, 5(2), pp.59-66, , 1997
26.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비점오염원저감시설의 유형 별 효율 비교연구”, 하경준, 정주철, 이달별, 한국환경정책학회, 「환경정책」, 22(2), pp.183-201, , 2014
27.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가 도시화 진행 유 역수문에 미치는 영향 평가”, 김성준, 장철희, 이준우, 안소라,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5(3), pp.567-577, , 2015
28. “자연재해 직접 피해액의 추세 및 그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 강원도의 사례”, 정준호, 허인혜,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53(1), pp.77-99, , 2014
29. 「기후변화 적응형 도시 리뉴얼 전략 수립: 그린인프라의 방재효과 및 적용방안」, 이명진, 이재욱, 강정은, 구유성, 조광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세종: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 2011
30.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원 저 감 및 비용효율 분석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하경준, 신현석, 정주철, 임용균, 「환경복원녹화」, 17(2), pp.1-14,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