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복합시설 등 대규모 콤플렉스 개발이 증가되고 실내 동선이 복잡해지고 있는 가운데 방문자는 복잡한 공간의 동선을 기억하고 행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현행 법규상 화재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23884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학위논문(박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 건축과 건축학전공 , 2021
2021
한국어
540 판사항(6)
720 판사항(23)
서울
xi, 205 p. : 삽화, 도표 ; 30 cm
지도교수: 김진욱
권말부록: Python 모듈 소스('정오각형' 알고리즘) ; Python 모듈 소스 ('역이등변삼각' 알고리즘) ; 문헌연구 조사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의 복합시설 등 대규모 콤플렉스 개발이 증가되고 실내 동선이 복잡해지고 있는 가운데 방문자는 복잡한 공간의 동선을 기억하고 행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현행 법규상 화재시 ...
도시의 복합시설 등 대규모 콤플렉스 개발이 증가되고 실내 동선이 복잡해지고 있는 가운데 방문자는 복잡한 공간의 동선을 기억하고 행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현행 법규상 화재시 출입구와 엘리베이터 및 계단 주변에 대피로를 안내해주는 피난안내도가 있으나 공간의 복잡도가 증가하는 경우 대피로를 이해하고 기억하며 대응하는 데는 쉽지만은 않다.
본 연구는‘복합문화시설의 대피효율성 제고를 위한 알고리즘 모듈 개발’을 위하여 그 방법론을 체계화하고 실험을 통해 다수의 출구와 포인트(좌석지점)의 대피경로 효과성을 실험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에 맞는 시나리오 기반의 건축적 접근을 설정하고 공간패턴을 알고리즘으로 제안하여 효과적인 대피 방법론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전국의 복합 문화시설 중에서 복합 문화관람실을 기준으로 역세권 중심의 용산CGV 아이파크몰을 선정하였다. 문화 관람실은 모두 20개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 중 입장 층과 퇴장 층이 동일한 층에 위치되어 있는 9개관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좌석 수는 총 1,591석이다.
연구는 크게 다음 3가지의 [연구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이론 고찰의 연구요약] 전국 복합 관람실의 문화관람 이용률 및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국내·외의 건축물에 대한 설계지침 및 피난 방화구조 지침을 검토하였다. 이후 본 연구와 관계가 깊은 피난관련 연구, 사물인터넷 및 경로탐색 알고리즘 연구개발 동향을 조사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대피효율성 제고를 위한 연구 차별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실험 검토 연구요약] 경로탐색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을 간단한 맵을 구성하고 실험하여 본 연구에서 활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이후 건축과 피타고라스의 수학적 공간탐색을 통해 패턴을 찾고 대피를 위한 공간분할 방법론을 소개하였다. 공간패턴은 알고리즘으로 구현하여 Python의 함수를 통해 제안하였다.
셋째, [연구실험 적용 연구요약] 대피 시 공간특성의 가설을 시나리오 기반으로 설정하고 선정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A- 1.소프트웨어 기반의 실험과 A- 2.혼잡한 상황 연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후 최소대피시간을 위한 대피경로의 현실적 반영에 있어서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였으며, 이후 연구실험 검토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공간을 분할하고 관람실내부의 3개 출구 대피 할당을 반영하였다. 또한 관람실의 예매 비율을 최대, 최소 등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실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후, 앞서 문제점 도출을 위해서 실험된 대피경로 실험(A- 1과 A- 2)과의 비교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 5가지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론 고찰의 결과요약] 건축시설 관련 연구동향은 대부분 화재 이전, 이후의 위험요소를 측정하는 성능위주의 설계기술 개발연구가 주로 조사됐으며, 그 중에서도 초고층 건축물 과 복합건축물에서의 피난 안전성을 위한 연구가 많아 건물의 고층화 그리고 복합화 되어 가고 있는 스마트 건축물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건축시설물과 사물인터넷 관련 연구동향의 경우 국내는 사례중점의 기초이론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는 센싱장비의 소프트웨어를 건축물에 활용하는 실험연구 또는 경로탐색 알고리즘과 IoT시스템 연계 등 화재대피시스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국내에서의 실험적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고리즘관련 연구동향에서는 최적 경로탐색은 연구범위가 건축공간임 에도 불구하고 정보측정 및 함수제공 등 공학 분야에서 수행되는 최적화 연구들이 많아 건축적 차원에서 설계도 분석을 통한 지체(병목)현상의 이해 그리고 이로 인한 대피실패원인 분석 등 공간적 구조와 대피과정을 이해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실험 검토 결과요약] 복합문화시설의 다수 출구로 대피 시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공간분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학적 기본이 되면서 작도하기가 어려운 도형으로 손꼽히는 ‘정오각형’에서 황금비율을 찾고 작도규칙을 재해석하여 공간을 분할하였다. 이를 통해 정오각형은 알고리즘적 절차를 통해 전개하였으며, 전개된 알고리즘적 절차는 프로그래밍 언어 Python을 이용하여 공간분할 방법론을 함수로 구현하였다. 이는 모든 다양한 공간면적에 사용활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수학과 건축을 연결하여 창의적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셋째, [연구실험 문제점 도출요약] ‘대피경로 실험’에서는 A- 1의 대피 소프트웨어 설정에 기반을 둔 실험은 한 곳 출구만 이용한 결과를 초래하여 이는 결국 현실성과의 괴리감이 있음을 확인하는 것과 같으나, 최종 목적지를 이미 알고(관계자가 개입된 대피안내) 이동하는 것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것과 같다. 이러한, 대피경로 실험에서의 결과는 통계작업을 거쳐 측정된 시간의 피난형태 변화에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연구실험 개선 제안요약] 정오각형의 공간분할 방법론을 실험하였다. ‘CASE 1, 2, 3, 4’의 공간적 범위 A는 관람실에서 -> 홀까지를 설정하여 앞서 실험된‘대피경로 실험’에서 나타난 대피 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정오각형의 수학적 도형 모델에서 4가지의 패턴을 적용하여 공간 이용률 100%일 경우와. 70%, 그리고 40% 이용률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험을 통해 그 과정을 검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알고리즘으로 구현된 공간분할방법론은 대피효율성을 향상시켰다.
다섯째, [연구실험 활용요약] 알고리즘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시점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존 대피 개시과정의 흐름을 전개하였으며, 대피 개시과정의 전개는 인간의 심리적 과정을 적용하여 대피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이후 알고리즘이 모듈이 적용된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에 따라 기존 대피의 문제점이 개선되는 흐름을 전개하여 소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large scale complex development like complex facilities in cities and indoor flows growing more complicated, visitors have a hard time remembering the complicated spatial flow and the ways to act in the complex ...
With the increase in the development of large scale complex development like complex facilities in cities and indoor flows growing more complicated, visitors have a hard time remembering the complicated spatial flow and the ways to act in the complex space. Based on the legislation in force, emergency evacuation maps are available to provide an escape route in the entrance, elevators, and stairways in case of fire, but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and remember the escape route and respond due to the added space complexity.
This study systematizes the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lgorithm module intended for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efficiency in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nd various experiences are performed to experi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evacuation routes in many exits and points (seat points). For this, a scenario based architectural approach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set up and a space pattern is suggested as the algorithm to discuss about an effective evacuation method.
First, [Result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search trend of building facilities mainly consisted of research performance based design technology development that measure risk elements before and after fire situations, and there are especially many research ongoing about evacuation safety in high rise buildings and complex buildings, so it verified the popularity of high rise trend of buildings and also the complexation of smart buildings. In case of the research trend about building facilities and Internet of Things (IoT), there are many case-based basic theoretical research in the country, but active experimental research are being conducted overseas in which sensing device software is applied onto the buildings and also research on a fire escape system with a connection between route search algorithm and IoT system, so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 In terms of the research trend related to the algorithm, there are many optimized research about optimized route search conducted in the field of engineering such as information measurement and function provision although the research range is a construction spac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take an approach of understanding the spatial structure and evacuation process such as understanding the lag (bottleneck) phenomen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lueprint from an architectural dimension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cause of evacuation failure that followed.
Second, [Result of Research Experiment Review] This study discussed about space partition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evacuating from multiple exits in complex cultural facilities. During this process, the golden ratio was identified from a 'regular pentagon,' which is considered as the fundamental of mathematics and a shape that is difficult to draw, and the drawing regulation was reinterpreted to divide up the space. Through this process, the regular pentagon was unfolded with the algorithmic procedure, and a programming language called Python is used for the developed algorithm procedure to implement the space partition methodology with a function. A creative methodology was suggested by connecting mathematics and architecture,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space standards.
Third, [Deduction of Research Experiment Problems] In the‘evacuation route experiment,’the experiment result that based on the evacuation software setting of A-1 only used one exit, and this confirms that it is distant from reality, but it awakens the importance of moving by knowing (evacuation instruction involving the intervention of concerned personnel) the final destination.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evacuation route experiment was proven to be meaningful to bring changes in evacuation forms based on the measured time computed with statistics.
Fourth, [Suggestion of Improvement in Research Experiment] An experiment was performed about the regular pentagon space partition methodology. In case of the spatial extent A of ‘CASE 1, 2, 3, 4,' it was set up as from the showroom -> until the hall and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appeared during evacuation in the 'evacuation route experiment' that was performed earlier. For this, 4 types of patterns were applied in the regular pentagon mathematical figure model and measurements were taken for 100%, 70%, and 40% space utilization. The algorithm procedure suggested in this study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test, and the result proved that space partition methodology implemented with the algorithm improved the evacuation efficiency.
Fifth, [Application of Research Experiment] An application process with the algorithm was sugges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int of utilizing the application, the flow of the existing evacuation initiation process was conducted, and the human psychological process was applied to the evacuation initiation process to examine the problems of evacuation. After that, a flow of improvement in the existing evacuation problems was developed and introduced based on the utility of the application where the algorithm module is applied.
목차 (Table of Contents)
1 wikipedia, "Heuristic", https : //en.wikipedia.org/wiki/Heuristic, null
2 나무위키, "“CGV”", https://namu.wiki/w/CGV, null
3 Wikipedia ., "Navigation mesh ”", https : //en.wikipedia.org/wiki/Navigation_mesh, null
4 Wikipedia, "‘ A * search Algorithm ’", https : //en.wikipedia.org/wiki/A * _search_algorithm, null
5 Wikipedia, "‘ Dijkstra ’ s Algorithm ’", https : //en.wikipedia.org/wiki/Dijkstra % 27s_algorithm, null
6 S.B . Withey1962, "“ Man and Society in Disaster ”", Basic Books , New York, null
7 나무위키, "“오각형, 정오각형의 작도”", https://namu.wiki/w/%EC%98%A4%EA%B0%81%ED%98%95, null
8 Unity 3d, "“ Inner Workings of the Navigation System ”", https : //docs.unity3d.com/2019.3/Documentation/Manual/nav-InnerWorkings.html, null
9 김개천, 김민석, "“공간 차원에 관한 시각적 패턴 연구”", 한국실내디 자인학회, 23(1). pp. 88-95, 2014
10 Masilo Mapaila, "“ EFFICIENT PATH FINDING FOR TILE-BASED 2D GAMES ”", 2019
1 wikipedia, "Heuristic", https : //en.wikipedia.org/wiki/Heuristic, null
2 나무위키, "“CGV”", https://namu.wiki/w/CGV, null
3 Wikipedia ., "Navigation mesh ”", https : //en.wikipedia.org/wiki/Navigation_mesh, null
4 Wikipedia, "‘ A * search Algorithm ’", https : //en.wikipedia.org/wiki/A * _search_algorithm, null
5 Wikipedia, "‘ Dijkstra ’ s Algorithm ’", https : //en.wikipedia.org/wiki/Dijkstra % 27s_algorithm, null
6 S.B . Withey1962, "“ Man and Society in Disaster ”", Basic Books , New York, null
7 나무위키, "“오각형, 정오각형의 작도”", https://namu.wiki/w/%EC%98%A4%EA%B0%81%ED%98%95, null
8 Unity 3d, "“ Inner Workings of the Navigation System ”", https : //docs.unity3d.com/2019.3/Documentation/Manual/nav-InnerWorkings.html, null
9 김개천, 김민석, "“공간 차원에 관한 시각적 패턴 연구”", 한국실내디 자인학회, 23(1). pp. 88-95, 2014
10 Masilo Mapaila, "“ EFFICIENT PATH FINDING FOR TILE-BASED 2D GAMES ”", 2019
11 박봉구, "“피보나치수열과 황금비에 관한 고찰”", 호남대학교 산업기 술연구소 Vol.18 No.2, 2012
12 Hamza YapiciNurettin Cetinkaya, "“ A new meta-heuristic optimizer : Pathfinder algorithm ”", 2019
13 Gabriel M. EgglyJose Mariano FinochiettoMatias MichelettoRoger Pueyo CentellesRodrigo SantosSergio F. OchoaRoc MeseguerJavier Orozco, "“ AEvacuation Supporting System Based on IoT Components ”", MDPI, null
14 김현아, "“비유클리드 평면상의 피타고라스정리 연구”", 제주대학교 수학과 석사논문, 2013
15 소은탁, 송병하,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피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제14권 3호, 2005
16 소은탁,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피난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 인학회논문집, p. 148, 2005
17 서보억, "“Concept Map을 통한 수학 문제의 구조 분석 연구”", p. 49, 2018
18 김경환, "“3차원 최단거리 탐색을 위한 A* 알고리즘 연구”", 부경대학 교 영상학과 영상공학-게임공학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6
19 임종호, "“고층 건축물의 화재 피난 안전성에 관한 연구”", 서울과학기 술대학교 안전공학과 석사논문, 2018
20 윤민희, "“현대디자인의 보편적 원리로써의 황금비 연구”", Vol.15, 2009
21 허준호, "“국내 복합상영관 시설의 방재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 소방학회, pp. 128-212, 2002
22 김찬주, 정용교, 이진경, 이상호, "“복합건축의 보행량 분석을 통한 피 난동선계획”", 대한건축학회 제31권 제11호, 2015
23 윤호주, 황은경, "“건축물 피난설계를 위한 재실자 밀도 기준 연구”", 대한건축학, p. 186, 2015
24 강신진, 조성현, 신승호, "“최적 동선을 고려한 MMORPG 퀘스트 보상 설계 기법”",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p. 58, 2009
25 천성권, "“로봇 경로 제어를 위한 속도기반 Dijkstra 알고리즘”", pp. 259-268, 2011
26 마성훈,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연구”", 홍익 대학교 전자전산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27 나수빈, "“사용자 향상을 위한 영화관 애플리케이션 GUI 연구”", 광 운대학교 정보콘텐츠대학원 미디어영상콘텐츠전공 석사학위논문, 2012
28 이경언, 홍춘희, 한인기, 최은주, "“피타고라스 정리의 다양한 증명 방 법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Vol. 13, pp. 245-263, 2002
29 Rita F. FahyGuylene Proulx, "“ A Study of Human Behavior During the World Trade Center Evacuation ”", NFPA Journal , p. 61, 1995
30 구원용, 박완순, 박미연, 권세곤, "“피난 경로 분석 및 유도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제8권 제1호, 2015
31 Chung-Shih TangYi-Kai ChiangYing-Dian TsouJen-Hong JuChin-Ywu Twu, "“ A converged network architecture for ICT and IoT combined applications ”", IEICE, null
32 Liang Benbu at, "“ Simulation of Crowd Stampede in University Library Based on Pathfinder ”", pp . 666-671, 2017
33 홍동화, "“학교수학에서 정다각형의 재구조화에 대한 귀납적 연구”", p. 483, 2015
34 김태국, 장희철, 손봉세, "“복합 영화상영관의 화재안전성능 개선대책 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집, 2006
35 김종윤, 전용함, "“화재 시뮬레이션 FDS와 피난 시뮬레이션 Pathfinder 사례분석”", pp. 253-260, 2015
36 김종윤, "“화재 시뮬레이션 FDS와 피난시뮬레이션 Pathfinder 설계분 석”", pp. 253-260, 2015
37 김현명, 임용택, "“유전 알고리듬을 이용한 전역탐색 최단경로 알고리 듬개발”", 대한교통학회지, p. 164, 1999
38 옥승호, "“선호도 기반 최단경로 탐색을 위한 휴리스틱 융합 알고리 즘”", pp. 74-84, 2010
39 이세일, "“타일맵에서 A* 알고리즘을 이용한 유닛들의 길찾기 방법 제안”", pp. 171-177, 2004
40 이세일, "“파일맵에서 A* 알고리즘을 이용한 유닛들의 길찾기 방법 제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9(3), pp. 71-77, 2004
41 Frantisek DuchonAndrej BabinecMartin KajanPeter BeoMartin FlorekToma ? Fico, "Ladislav Juri ? ica“ Path planning with modified A star algorithm for a mobile robot ”", Procedia Engineering 96 , pp . 59-69, 2014
42 박재성, "“건축물 화재 시 피난개시과정의 주요 특성 및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6권, 제2호, 2012
43 금창섭, 이호중, 라현정, 김수동, "“서비스 기반 안드로이드 어플리케 이션의 설계 및 구현 프로세스”", 정보처리학회 제18-D권 제4호, pp. 245-260, 2011
44 김진욱, 정상필, 이호용, 송진영, "“실시간 피난 유도 시스템 개발을 위한 경로탐색 알고리즘의 분석”", 대한건축학회, Vol.39, No.2, 2019
45 최준호, 홍원화, "“초고층 건축물 재실자의 피난계단 이동 소요 시간 예측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 제28권 제11호, 2012
46 박현우, 홍원화, 전규엽, "“대구지하철화재 생존자 행동패턴과 피난로 설계시 적용방법 연구”", 한국화재 소방학회. pp. 367-373, 2003
47 김동문, 박재국, "“네트워크 분석을 위용한 보행속도에 따른 대피소 서비스 영역 분석”",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pp. 37-44, 2012
48 한운희, "“초고층 건축물 화재 시 피난지연 요인의 실증실험을 통한 개선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재난과학과 박사학위 논문, p. 28, 2019
49 이코노미, "조선: 커버스토리, “OTT 영화관, 투트랙 상생…멀티플렉스 생존 할 것”", (검색일: ,05,05.),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3609968, 2021
50 유세경, "‘한국 영화 산업의 시장 구조적 변화와 영화 흥행 관련성에 관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p. 60, 2003
51 Matthews J, "“ Basic A * Pathfinding Made Simple , in Rabin S , AI Game Programming Wisdom , Hingham , Massachusetts", Charles River Media , pp . 105-113, 2002
52 Lyle ParungaoFabian HeinWansu Lim, "“ DIJKSTRA ALGORITHM BASED INTELLIGENT PATH PLANNING WITH TOPOLOGICAL MAP AND WIRELESS COMMUNICATION ’", ISSN 1819-6608 , pp . 2753-2763, 2018
53 Xinfeng Long, "“ Numerical simulation of dormitory building fire and personnel escape based on Pyrosim and Pathfinder ”", p. 265, 2017
54 이형석, "‘1990년대 이후의 멀티플렉스영화관의 현황 및 건축공간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p. 105, 2000
55 유정현, 이윤길, "“사물인터넷 시뮬레이션 시스템개발을 위한 건물정 보의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제8권 제1호, pp. 867-874, 2018
56 박용진, 유영근, "“A* 알고리즘의 최단경로 탐색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역방향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ITS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2013
57 김진욱, 정상필, 이호용, 송진영, "“초고층 건축물의 BIM 라이브러리 개발을 위한 화재기반 객체구현 정립 융합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36, pp. 351-365, 2018
58 김용휘, 윤태성, 박진배, "“탑승자의 안전을 고려한 지능형 휠체어의 단일 이동 장애물 충돌회피 알고리즘”", 제어 로봇 시스템학회 Vol.19 No10, pp. 936-940, 2013
59 Wensi WangGengyuan LiuXuanchong ChenZhansheng LiuAnshan ZhangZezhong XingLiming LiuTaotao Fei, "“ Dijkstra Algorithm Based Building Evacuation Recognition Computing and IoT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IEEE, 2019
60 강현철, 이명식,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사례분석에 의 한 건설 업무 통합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1호, pp. 61-64, 2007
61 남경석, 이강업, "“Andrea Palladio의 <건축 4서> 에 나타나는 피타고라스 수 이론과 협화음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1(1), 2018
62 전한종, "“CAAD 시스템에서 건축도형의 시각패턴의 발견을 위한 컴 퓨터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 p. 3, 1997
63 배상훈, 윤상원, "“인간주관적 요소(Human Factors)를 고려한 대규모 복합건물내 보행자 최적경로탐색 시스템 개발”", 대한토목학회, 27(5D), 2007
64 문종헌, "유원선, 차주환, , “최적 경로 알고리즘들의 계산비용 비교 및 트랜스포터의 최적 블록 운송 계획 적용”", 대한조선학회 논문집, 53(2). pp. 115-126,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