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 -’의 기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unctions of ‘–(sʌp) –’ in Jato-seokdokgugye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43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final ending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has long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that it is used as subject honorific, while {––} in Hangeul materials does not seem to be used as such function. Until recen...

      Prefinal ending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has long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that it is used as subject honorific, while {––} in Hangeul materials does not seem to be used as such function. Until recently, however,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s of ‘––’ has not reached an agreement, because there were no objective criteria for analyzing functions of honorifics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criteria for analyzing the functions of ‘––’ are establish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nature of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and non-subject honorifics. Then, a total of 101 instances of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are analyzed consistently according to the criteria.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 has three functions: non-subject honorific, embedded-clause-subject honorific, and subject honorific. And the function as subject honorific can be divided into two sub-functions: inclusive subject honorific and exclusive subject honorific. Especially, the most remarkabl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cess in which subject honorific developed from embedded-clause-subject honorific is explained from a new perspective. However, some instances of ‘––’ are difficult to interpret as any of these functions, and they require more detaile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will provide another stepping stone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prefinal ending -sʌp-, along with {––} in Hangeul materials and ‘– 白 –’ in Idu mater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은 한글 자료의 {––}과 달리 주체 높임의 기능으로 쓰인 예가 보인다는 점에서이른 시기부터 관련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까...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은 한글 자료의 {––}과 달리 주체 높임의 기능으로 쓰인 예가 보인다는 점에서이른 시기부터 관련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까지도 ‘––’의 기능에 관한 학계의 이해가 일정한 합의에 이르지는 못하였는데, 이것은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높임 요소의 기능을 분석하기위한 객관화된 준거가 마련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토석독구결 자료와 객체 높임의성격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의 기능 분석을 위한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그러한 준거를 토대로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의 용례 총 101건을 일관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객체 높임, 내포절주체 높임, 주체 높임이라는 세 가지 기능을 지니고 있었으며, 주체 높임의 ‘––’은 다시 포괄적 주체 높임과배제적 주체 높임이라는 두 가지 하위기능으로 세분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내포절 주체 높임에서 주체 높임이 발달한 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설명한 것은 본 연구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들 가운데 어느 것으로도 해석하기 어려운 ‘––’의 용례도 일부 관찰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더 정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에 관한 본 연구의 성과는 한글 자료의{––}과 이두 자료의 ‘– 白 –’에 이어 선어말어미 {––}의 문법사를 조망하기 위한 또 하나의 디딤돌을 마련해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선엽, "텍스트 생산자를 중심으로 한 <안락국태자전>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8 : 1993

      2 고광모, "중세 국어의 선어말어미 ‘-삽-’의 발달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5) : 39-59, 2013

      3 장경준, "점토구결 자료의 문법 형태에 대하여" 국어학회 (56) : 249-280, 2009

      4 홍고 테루오, "이두자료의 경어법에 관한 통시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5 허 웅, "우리옛말본" 샘문화사 1975

      6 장경준, "석독구결의 번역사적 의의에 대한 시론(試論)" 한국번역학회 12 (12): 145-168, 2011

      7 장윤희, "석독구결 및 그 자료의 개관" 구결학회 (12) : 47-80, 2004

      8 허 웅, "서기 15세기 국어의 ‘존대법’과 그 변천" 한글학회 128 : 1961

      9 박부자, "고대국어 경어법 선어말어미의 연구 현황과 과제: ‘–白–’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2019

      10 이승재, "고대 국어 형태」,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고대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998

      1 황선엽, "텍스트 생산자를 중심으로 한 <안락국태자전>의 텍스트 언어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8 : 1993

      2 고광모, "중세 국어의 선어말어미 ‘-삽-’의 발달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65) : 39-59, 2013

      3 장경준, "점토구결 자료의 문법 형태에 대하여" 국어학회 (56) : 249-280, 2009

      4 홍고 테루오, "이두자료의 경어법에 관한 통시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5 허 웅, "우리옛말본" 샘문화사 1975

      6 장경준, "석독구결의 번역사적 의의에 대한 시론(試論)" 한국번역학회 12 (12): 145-168, 2011

      7 장윤희, "석독구결 및 그 자료의 개관" 구결학회 (12) : 47-80, 2004

      8 허 웅, "서기 15세기 국어의 ‘존대법’과 그 변천" 한글학회 128 : 1961

      9 박부자, "고대국어 경어법 선어말어미의 연구 현황과 과제: ‘–白–’을 중심으로" 구결학회 2019

      10 이승재, "고대 국어 형태」,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3: 고대 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998

      11 이용, "點吐釋讀口訣 資料의 否定法" 구결학회 (24) : 97-131, 2010

      12 백두현, "高麗時代 釋讀口訣의 경어법 선어말어미 ‘–二–’, ‘–白–’의 분포와 기능에 관한 연구" 경북어문학회 29 : 1995

      13 정재영, "韓國의 口訣" 구결학회 (17) : 129-189, 2006

      14 황선엽, "釋讀구결사전" 박문사 2009

      15 이 용, "釋讀口訣에 나타난 不定詞의 機能에 대하여" 구결학회 (11) : 249-274, 2003

      16 南豊鉉, "國語 否定法의 發達" 문법연구회 3 : 1976

      17 박진호, "借字表記 資料에 대한 통사론적 검토" 국립국어연구원 7 (7): 1997

      18 장경준, "≪합부금광명경≫ 권3의 점토구결 기초 연구" 청주고인쇄박물관 26 : 2019

      19 문현수, "≪유가사지론≫ 권20의 석독구결 역주" 역락 2015

      20 문현수, "≪구역인왕경≫과 ≪자비도량참법≫의 석독구결 현토 양상에 대하여" 국어학회 (93) : 123-155, 2020

      21 장경준, "≪瑜伽師地論≫ 點吐釋讀口訣의 解讀 方法 硏究" 太學社 2007

      22 김민국, "‘에서’ 주어의 통사와 의미" 국어학회 (81) : 145-190, 2017

      23 김태우, "{–삽–}의 기능 변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8

      24 Whitman, J., "The Ubiquity of the Gloss" The Hunmin jeongeum Society 3 : 2011

      25 남권희 ; 남경란, "13세기 高麗 釋讀口訣本 『慈悲道場懺法』 卷4 殘片의 구결 소개" 국어사학회 (22) : 199-250,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6-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riental Studies KCI등재
      2013-03-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양학연구소 -> 동양학연구원
      영문명 : Dankook University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 Academy of Asian Studies, Dankook Universi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3 1.457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