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시대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링구얼 상상력과 문화 번역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82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년 차에는, 첫째, 문학적 트랜스링구얼리즘과 문화 번역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이며, 둘째, 이러한 주제 하에 중국계 미국인 작가 하 진(Ha Jin)의 삶과 문학 작품에 관한 연구를 ...

      1년 차에는, 첫째, 문학적 트랜스링구얼리즘과 문화 번역에 관한 이론적인 연구를 수행할 것이며, 둘째, 이러한 주제 하에 중국계 미국인 작가 하 진(Ha Jin)의 삶과 문학 작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켈만에 의하면 트랜스링구얼 작가는 언어를 넘어서(beyond languages)가 아니라 언어들 사이 (between languages) 에 존재한다고 묘사하는 데, 이는 문학적 트랜스링구얼리즘의 특징을 압축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다. 이는 트랜스링구얼 작가의 문학 생산 과정의 특징이 비록 고향/모국을 떠나 중심의 국가로 이동하여서, 모국어가 아닌 중심의 언어로 작품을 쓴다고 할지라도, 거기에는 새로운 땅/모국, 새로운 언어/모국어 사이의 갈등, 소외, 긴장, 경쟁 등의 감정들이 드러나 있으며, 이러한 긴장과 경쟁을 통해서 트랜스링구얼 상상력이 고무/자극되며, 그 결과 트랜스링구얼리즘의 특징을 지닌 하나의 작품이 생산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학적 트랜스링구얼리즘과 문화 번역의 접점에 대해 탐색하고 발전시킬 것이다. 이를 위해 호미 바바 (Homi Bhabha), 김현미, 애샥 베리 (Ashok Berry), 하리쉬 트리베디 (Harish Trivedi)의 문화 번역에 대해서 비판적 재읽기를 시도할 것이다. 이는 켈만이 묘사한 트랭스링구얼 작가는 언어를 넘어서 (beyond languages)가 아니라 언어들 사이 (between languages) 에 존재한다는 문학적 트랭스링구얼리즘의 핵심적 특징을 명확히 이해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데 이론적인 기반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에서 하 진의 삶과 작품세계에 나타난 트랜스링구얼리즘, 문학적 상상력, 문화 번역을 연구함에 있어서, 다음 세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첫째, 하 진에게 있어서 영어로 글을 쓴다는 것은 ‘번역’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번역의 두 가지 의미인 공간적 의미 에서의 물리적 이동과 언어적 이동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둘째, 하 진이 문학 작품을 생산하는 과정 중에 국가/민족 (the nation)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하는 것이다. 셋째, 어떻게 한 작가의 삶과 작품세계의 특징을 초국가적(transnational)으로 판단하고 정의 내릴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2년 차에는 램(Lam), 돌프만(Dorfman), 호프만(Hoffman)의 자서전 (autobiography)에 나타난 트랜스링구얼 상상력과 문화 번역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이들과 1차 년도에 다루는 작가인 하 진과의 두드러진 차이점을 언급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무엇을 어떻게 논의할 지가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첫째, 하 진은 20대 후반에 미국으로 이주한 뒤 영어로 본격적으로 문학 작품 활동을 시작한 반면에, 2차년 도에 다루게 될 작가들은 모두가 어린 시절 또는 청소년기에 미국으로 이주/망명을 하여 본격적으로 글을 쓰게 되었을 때는 이미 영어가 그들의 모국어라고 할 수 있을 정도가 되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램, 돌프만, 호프만의 작품에는 영어라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과정 중에 겪는 갈등, 고통, 소외의 감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이는 과거/현재, 모국/새로운 땅, 모국어/새로운 언어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 고통, 소외의 감정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연구될 필요가 있다. 세 작가들의 자서전에는 이 둘 사이의 끊임없는 갈등과 화해의 과정이 흥미롭게 드러나 있다.

      둘째, 하 진의 작품에는 이곳 (미국)과 저 곳(중국)에 대한 비교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과 소외의 감정이 절제되어 있는 반면, 램, 돌프만, 호프만의 자서전에는 이러한 고향/모국에 대한 그리움과 둘 사이에서 갈등과 소외의 감정이 아주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물론 이는 이들의 글이 자서전이라는 장르적인 특징으로 인한 측면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실제적으로 이곳에서 저 곳을 방문을 하며, 그에 따른 경험과 감정들을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공간적인 측면에서 이곳과 저 곳의 비교와 그에 따르는 감정인 갈등, 갈망, 아쉬움 등에 대해서 자세하게 논의를 할 것이다.

      셋째, 하 진의 작품과는 달리, 세 작가들의 자서전에는 공통적으로 과거의 트라우마를 언어적으로 재현하며 이를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볼 수 있다. 램, 돌프만, 호프만은 각각 전쟁, 쿠테타, 유대인 대학살과 같은 충격적인 (traumatic) 사건들로 인해 고향/모국을 떠날 수밖에 없게 되었고, 이러한 사건들로 인한 트라우마가 끊임없이 그들을 따라다니며 괴롭히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투쟁한다. 이렇게 다양한/다른 방식의 과거의 트라우마가 작가들의 현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글쓰기를 통해서 그들은 어떤 식으로 그것을 재현하며 동시에 극복하고자 하는지를 논의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