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법 제32조의 근로의 권리를 통한 디지털 플랫폼 노동자 보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Digital Platform Workers through the Right to Work under Article 32 of the Constit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1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노동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 기기를 통한 네트워킹은 인간의 노동과 강력하게 결합되고 있으며, 이는 알고리즘 방식으로 노동 서비스 거래가 ...

      인간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노동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디지털 기기를 통한 네트워킹은 인간의 노동과 강력하게 결합되고 있으며, 이는 알고리즘 방식으로 노동 서비스 거래가 조율되는 디지털 네트워크인 ‘디지털 노동 플랫폼(digital labour platform)’과 이를 통해 노동하는 ‘플랫폼 노동 종사자(platform worker)’의 등장도 이러한 변화 중 하나이다.
      ‘디지털 플랫폼 노동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제 차원의 보호를 위한 연구는 노동법 학계에서 최근 활발하다. 노동법학계의 논의는 기존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하여 오랜 시간 축적된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개념 확대 및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상 근로자 개념 확대에 관한 논의와 맥을 같이 한다. 헌법학에도 헌법 제32조 및 제33조의 노동기본권에 관한 깊이 있는 연구가 다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헌법적 차원에서의 보호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는 연구는 현재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인간의 노동환경 내지 맥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헌법 제32조를 통한 플랫폼 노동종사자의 헌법적 보호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노동법적 보호를 받았거나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노동을 하는 인간이 디지털 노동 플랫폼을 통해 근로자에서 개인사업자의 지위로 전환되어 노동법제의 보호로부터 배제되는 것, 즉 인간의 노동이 디지털 노동 플랫폼을 매개로 전통적인 사용종속관계보다 더 취약한 지위로 이전하는 것을 헌법적 차원에서 방지할 수 있는 구체적 근거를 헌법 제32조의 근로의 권리가 전제하는 ‘근로’와 ‘종속’ 개념의 확대에서 찾는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플랫폼 노동 종사자에 대한 노동법적 보호가 헌법적 명령임을 논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hum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lso changed human labour. Networking through digital devices is strongly combined with human labour, and one of these changes is the emergence of digital labour platforms, a digita...

      The development of hum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also changed human labour. Networking through digital devices is strongly combined with human labour, and one of these changes is the emergence of digital labour platforms, a digital network where labour service transactions are coordinated in an algorithmic way, and platform workers working through them.
      Research on the protection of ‘digital platform workers' at the labour law level has recently been active in the labor law community. The discussion of labour laws is in line with the discussion of expanding the concept of ‘workers or employees' under the Labor Standards Act, which has accumulated for a long time, and expanding the concept of ‘workers or employees' under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 There are also many in-depth studies on basic labor rights under Articles 32 and 33 of the Constitution. However, few studies currently address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digital platform workers.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platform workers through Article 32 of the Constitution to counter changes in the human labour environment or context. The expansion of the “work” and “subordinate labour” concepts presupposing the constitutional right to work in Article 32 to prevent human labour from being transferred from a digital labour platform to a more vulnerable position than a traditional subordinate relationship. Through this study, I argue that legal protection for platform workers, especially protection under labour laws is a constitutional or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1

      2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3 홍성방, "헌법학(중)" 박영사 2015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9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8

      6 정영훈, "헌법재판 30년과 노동권 보장" 한국법학원 170 (170): 97-136, 2019

      7 서보건, "헌법상 근로의 권리의 보장과 국가의 역할" 한국헌법학회 23 (23): 1-35, 2017

      8 홍석한, "헌법상 근로의 권리에 대한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20 (20): 125-153, 2019

      9 노호창, "헌법상 근로권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재해석"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0) : 125-164, 2011

      10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18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1

      2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3 홍성방, "헌법학(중)" 박영사 2015

      4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9

      5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8

      6 정영훈, "헌법재판 30년과 노동권 보장" 한국법학원 170 (170): 97-136, 2019

      7 서보건, "헌법상 근로의 권리의 보장과 국가의 역할" 한국헌법학회 23 (23): 1-35, 2017

      8 홍석한, "헌법상 근로의 권리에 대한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20 (20): 125-153, 2019

      9 노호창, "헌법상 근로권의 내용과 성격에 대한 재해석"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0) : 125-164, 2011

      10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18

      11 김종철, "한국 헌법과 사회적 평등 - 현황과 법적 쟁점 -" 헌법재판연구원 4 (4): 211-244, 2017

      12 김준영,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추정과 특성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8

      13 이호근, "플랫폼 노동 등 고용형태의 다양화와 사회보장법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노동학회 26 (26): 49-112, 2020

      14 박은정,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보호 : 걸어온 길, 가야 할 길"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8 (28): 47-80, 2018

      15 정흥준,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규모 추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한국노동연구원 2019

      16 "코로나가 키운 배달시장…바로고 7개월만에 라이더 53%↑"

      17 모든 취업자를 실업급여로 보호하는 고용노동부, "전국민 고용보험 로드맵"

      18 심재진, "영국노동법의 인적 적용범위와 플랫폼 노동" 한국노동법학회 (73) : 93-135, 2020

      19 정재황, "신헌법입문" 박영사 2018

      20 이상윤, "사용종속관계의 새로운 기준 및 평가" 한국비교노동법학회 48 : 29-69, 2020

      21 이다혜, "미국 노동법상 디지털 플랫폼 종사자의 근로자성 판단 ― 2018년 캘리포니아 대법원 Dynamex 판결을 중심으로 ―" 한국노동법학회 (72) : 189-238, 2019

      22 김진곤, "노동복지의 헌법적 기초로서 노동기본권 ― 근로의 권리와 노동3권을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8 (18): 43-82, 2012

      23 후고 진쯔하이머, "노동법원리" 도서출판 관악사 2004

      24 이승욱, "노동법상 근로자ㆍ사용자 개념 확대를 둘러싼 쟁점과 입법적 과제" 한국노동법학회 (49) : 221-264, 2014

      25 조경배, "노동3권의 주체로서 근로자개념과 특수고용노동자" 한국노동법학회 (22) : 421-409, 2006

      26 장선미, "기본권 심사구조의 통합적 이해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자유권적 기본권과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5 (25): 25-68, 2019

      27 최기산, "글로벌 긱 경제(Gig Economy) 현황 및 시사점" 한국은행 2019

      28 이다혜, "근로자 개념의 재검토 : 4차 산업혁명, 플랫폼 노동의 부상에 따른 ‘종속노동’의 재조명"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49) : 1-50, 2020

      29 김종서, "근로의 권리" 민주주의법학연구회 (74) : 243-284, 2020

      30 한인상, "근로권의 의의와 주요 입법과제"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36) : 73-118, 2014

      31 장선미, "국제인권규범을 통한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화 가능성 검토" 법학연구소 22 (22): 155-187, 2018

      32 조경배, "고용보장의 노동법적 원리와 구조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33 최영호, "계약근로형 노무공급자의 근로자성"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13 : 4-146, 2002

      34 Uma Rani, "World Employment and Social Outlook: The role of digital labour platforms in transforming the world of work" ILO 2021

      35 ILO, "Work for a Brighter Future: Global Commission on the Future of Work" ILO 2019

      36 ANTON MENGER, "THE RIGHT TO THE WHOLE PRODUCE OF LABOUR: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LABOUR'S CLAIM TO THE WHOLE PRODUCT OF INDUSTRY" 1899

      37 ILO, "Synthesis Report of the National Dialogues on the Future of Work" ILO 2017

      38 Pesole A. Urzi Brancati, "Platform Workers in Europe"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8

      39 High-Level Expert Group on AI, "Ethics Guidelines for Trustworthy Artificial Intelligence" European Commission 2019

      40 Nandita Bose, "EXCLUSIVE U.S. Labor Secretary supports classifying gig workers as employees"

      41 ILO, "Digital Labour Platforms and the Future of Work: Towards Decent Work in the Online World" ILO 2018

      42 박지순, "4차 산업혁명과 노동법의 과제" 비교법학연구소 54 : 161-20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68 0.998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