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원삼국기 한강유역 정치체의 존재양태와 백제국가의 통합양상 = The existence of politics on Han-river area in proto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intergration process of Baekj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20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idence sites located in the middle area of Hanseong Baekje in proto three kingdoms period have different kinds of the central room shaped as a sqare, rectangle, pentagon and hexagon These distinct rooms, however, share common style of gate alongside, which stands out as the area's unique feature when compared to the common style of four posts based residence sites from Chungchcong-Jeolla area.
      Meanwhile, although the memorial services before the grave in proto three kingdoms period are various such as stone mound tomb, pit tomb with ditch, coffin tomb without a ditch, the regular distribution can be observed, The pit tomb with ditch and coffin tomb are related to Han, while stone mound tomb should not be analyzed as Ye's memorial service.
      Although Han from Chungcheong-jeolla area and Ye from Youngdong area can be differentiated by ethnic, it is impossible to differentiate the residence from Seoul, Gyeonggi, Westem Gangwon by these two definitions, In this sense, the term of HanYe might contain the incorporated meaning of Han and Ye.
      The integration process of Baekjae can be analyzed that while Han was quite successful, HanYe was not, The evidences of middle are style vessel and prestige goods, spread of stone chamber tomb and construction of moutain fortress validate the arguments.
      번역하기

      The residence sites located in the middle area of Hanseong Baekje in proto three kingdoms period have different kinds of the central room shaped as a sqare, rectangle, pentagon and hexagon These distinct rooms, however, share common style of gate alon...

      The residence sites located in the middle area of Hanseong Baekje in proto three kingdoms period have different kinds of the central room shaped as a sqare, rectangle, pentagon and hexagon These distinct rooms, however, share common style of gate alongside, which stands out as the area's unique feature when compared to the common style of four posts based residence sites from Chungchcong-Jeolla area.
      Meanwhile, although the memorial services before the grave in proto three kingdoms period are various such as stone mound tomb, pit tomb with ditch, coffin tomb without a ditch, the regular distribution can be observed, The pit tomb with ditch and coffin tomb are related to Han, while stone mound tomb should not be analyzed as Ye's memorial service.
      Although Han from Chungcheong-jeolla area and Ye from Youngdong area can be differentiated by ethnic, it is impossible to differentiate the residence from Seoul, Gyeonggi, Westem Gangwon by these two definitions, In this sense, the term of HanYe might contain the incorporated meaning of Han and Ye.
      The integration process of Baekjae can be analyzed that while Han was quite successful, HanYe was not, The evidences of middle are style vessel and prestige goods, spread of stone chamber tomb and construction of moutain fortress validate the argu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원삼국-한성백제기 중부지역의 주거지는 주실의 평변형태가 방형, 장방형, 오각형, 육각형 등다양한 모습을 보이지만 옆으로 들어가는 출입부가 부가된 점에서 공통적이다. 충청-전라지역에서 크게 유행한 시주식 주거지의 출입이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진 것과 비교하면 이 지역의 큰 특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원삼국기 중부지역의 묘제는 적석총, 주구토광묘, 주구 없는 목관(곽)묘 등 다양한데 나름의 일정한 분포권을 가진다. 이중 주구토광묘와 주구 없는 목관(곽)묘는 韓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지만 적석총을 곧바로 滅의 묘제로 보는 것은 성립할 수 없다.
      충청-전라지역의 韓과 영동지역의 滅는 종족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존재이지만 서울, 경기, 강원 영서지역의 주민집단을 韓과 滅라는 두 가지 개념만으로 구별하려는 것은 무리이다. 이런 점에서 韓滅라는 표현은 韓과 滅의 통칭의 의미도 담고 있을 것이다.
      백제 국가의 통합과정을 중앙양식 토기 및 중앙산 위세품과 외래기성품의 확산, 횡혈식석실분의 보급, 산성의 축조 등을 통해 볼 때 , 韓에 대해서는 성공적, 韓滅에 대해서는 불충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번역하기

      원삼국-한성백제기 중부지역의 주거지는 주실의 평변형태가 방형, 장방형, 오각형, 육각형 등다양한 모습을 보이지만 옆으로 들어가는 출입부가 부가된 점에서 공통적이다. 충청-전라...

      원삼국-한성백제기 중부지역의 주거지는 주실의 평변형태가 방형, 장방형, 오각형, 육각형 등다양한 모습을 보이지만 옆으로 들어가는 출입부가 부가된 점에서 공통적이다. 충청-전라지역에서 크게 유행한 시주식 주거지의 출입이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진 것과 비교하면 이 지역의 큰 특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원삼국기 중부지역의 묘제는 적석총, 주구토광묘, 주구 없는 목관(곽)묘 등 다양한데 나름의 일정한 분포권을 가진다. 이중 주구토광묘와 주구 없는 목관(곽)묘는 韓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되지만 적석총을 곧바로 滅의 묘제로 보는 것은 성립할 수 없다.
      충청-전라지역의 韓과 영동지역의 滅는 종족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존재이지만 서울, 경기, 강원 영서지역의 주민집단을 韓과 滅라는 두 가지 개념만으로 구별하려는 것은 무리이다. 이런 점에서 韓滅라는 표현은 韓과 滅의 통칭의 의미도 담고 있을 것이다.
      백제 국가의 통합과정을 중앙양식 토기 및 중앙산 위세품과 외래기성품의 확산, 횡혈식석실분의 보급, 산성의 축조 등을 통해 볼 때 , 韓에 대해서는 성공적, 韓滅에 대해서는 불충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철기시대,마한시대,그리고 원삼국시대
      • Ⅲ. 韓과 濊의 가옥
      • Ⅳ. 韓과 濊의 무덤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철기시대,마한시대,그리고 원삼국시대
      • Ⅲ. 韓과 濊의 가옥
      • Ⅳ. 韓과 濊의 무덤
      • Ⅴ. 백제의 성장에 따른 지역정치체 통합양상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rchaeology -> Archaeology: Journal of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경기고고학회 -> 중부고고학회
      영문명 : Seoul Kyonggi Archaeology Society ->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2.135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