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2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tak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IN 2004 the「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was enacted. Although this Act has been revised many times in the last decade, it still has lots of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So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especially in the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relationships with other Acts, and response system Based on the Constitutional Meaning and Legal Nature of the Act. From a Constitutional standpoi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can be regarded as means to perform the duty of State to protect the Youth and guarantee the Fundamental Rights, and to exercise the power to institute and manage the Educational systems. Therefore, It should consider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school education’s purpose. In this regard School Violence Prevention should be the first goal of the Act and place mediation and restoration above disciplinary action. In conclusion, there are three main factors to be improved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First, more specific requirements about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set down to achieve substantial results of education. Next,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first be applied to other Acts like the 「Criminal Act」, and the measures took on the former should be a factor in judicial procedures according to the latter. Lastly, it is reasonable that the 'autonomous committee for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established in each school(Article 12)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e 'Regional Coordination Committees for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established in each Si/Gun/ Gu(Article 10-2) handles school violence cases.
      번역하기

      To tak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IN 2004 the「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was enacted. Although this Act has been revised many...

      To tak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IN 2004 the「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was enacted. Although this Act has been revised many times in the last decade, it still has lots of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So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especially in the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relationships with other Acts, and response system Based on the Constitutional Meaning and Legal Nature of the Act. From a Constitutional standpoint,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can be regarded as means to perform the duty of State to protect the Youth and guarantee the Fundamental Rights, and to exercise the power to institute and manage the Educational systems. Therefore, It should consider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school education’s purpose. In this regard School Violence Prevention should be the first goal of the Act and place mediation and restoration above disciplinary action. In conclusion, there are three main factors to be improved i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First, more specific requirements about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set down to achieve substantial results of education. Next,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first be applied to other Acts like the 「Criminal Act」, and the measures took on the former should be a factor in judicial procedures according to the latter. Lastly, it is reasonable that the 'autonomous committee for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established in each school(Article 12)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e 'Regional Coordination Committees for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established in each Si/Gun/ Gu(Article 10-2) handles school violence ca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의 제기
      • Ⅱ. 학교폭력예방법의 의의
      • Ⅲ. 학교폭력예방법의 법적성격
      • Ⅳ. 학교폭력예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Ⅴ. 결론
      • Ⅰ. 문제의 제기
      • Ⅱ. 학교폭력예방법의 의의
      • Ⅲ. 학교폭력예방법의 법적성격
      • Ⅳ. 학교폭력예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정내용 및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3 (23): 157-190, 2012

      2 전종익,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선 방안 연구 : 교육과 예방 및 회복 기능을 중심으로" 대한교육법학회 25 (25): 205-229, 2013

      3 김영천, "현행 학교폭력 관련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법교육학회 7 (7): 29-58, 2012

      4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5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6 이종근, "학교폭력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법제적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1) : 1-28, 2013

      7 정현미,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법제의 개선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20 : 244-267, 2012

      8 김형섭,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법제 연구 : 경찰의 대응방안과 헌법정책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9 권오걸,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과 문제점" 법학연구원 (43) : 79-102, 2013

      10 정한중,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44 (44): 73-99, 2009

      1 이승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정내용 및 개선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3 (23): 157-190, 2012

      2 전종익,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선 방안 연구 : 교육과 예방 및 회복 기능을 중심으로" 대한교육법학회 25 (25): 205-229, 2013

      3 김영천, "현행 학교폭력 관련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법교육학회 7 (7): 29-58, 2012

      4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5

      5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5

      6 이종근, "학교폭력의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법제적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1) : 1-28, 2013

      7 정현미,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법제의 개선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20 : 244-267, 2012

      8 김형섭,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법제 연구 : 경찰의 대응방안과 헌법정책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9 권오걸,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과 문제점" 법학연구원 (43) : 79-102, 2013

      10 정한중,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44 (44): 73-99, 2009

      11 김혜경, "학교폭력에 대한 형사법적 접근의 제한 :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조정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4 (24): 257-293, 2013

      12 박윤기, "학교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13 박찬걸, "학교폭력대책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소년정책학회 15 : 91-130, 2010

      14 조병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법제도적 정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5 오경식,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법,제도적 분석과 개선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12 : 181-218, 2009

      16 김난주, "학교폭력 예방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17 박창언,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교육과정 법제화 방안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2 (22): 229-247, 2014

      18 조진우,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6 (6): 363-392, 2012

      19 김현철,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개선방안 - 시론적 고찰 -" 한국법교육학회 5 (5): 69-83, 2010

      20 강지명, "학교폭력 대응정책에서 소년사법의 역할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26 (26): 249-275, 2014

      21 이진국, "학교 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체계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1 (1): 2007

      22 이상윤, "집단따돌림현상의 헌법적 개념정의와 입법론적 과제"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3-24, 2008

      23 김선택, "아동・청소년보호의 헌법적 기초 –미성년 아동・청소년의 헌법적 지위와 부모의 양육권-" 8 : 1997

      24 김종철, "미국법상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 법학연구원 13 (13): 51-85, 2003

      25 김종구, "또래괴롭힘(bullying)의 개념과 법적규율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법학연구소 (27) : 307-338, 2014

      26 문영희,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의 적용범위 및 피해자보호제도에 관한 비판적 검토와 그 개선방안" 법과정책연구원 21 (21): 151-180, 2015

      27 문영희,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상 가해학생 조치에 관한 비판적 검토" 한국법정책학회 14 (14): 1905-1932, 2014

      28 김성기,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과 동법 시행령의 문제점과 개정방안" 대한교육법학회 20 (20): 27-45,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 -> 원광법학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54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