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하곡 정제두의 中極論 = 霞谷鄭齊斗的中極論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655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곡학의 출발점은 주자학과 양명학의 이원화(二元化)나 그의 가능성극복에 두었다. 그래서 그는 임정종욕(任情縱欲)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문적 주제를 생리(生理) 속에서 진리ㆍ천리ㆍ양지 등을 일체화(一體化)하고 중극론을 가지고 균형을 잡으려 한 것이다.
      하곡의 중극론의 특징은 역학(易學)과 동양 의학(醫學)에 기초하여 천지만물의 중심에 인간 생리를 일체화(一體化)함으로써 이원화 가능성을 없애려 한 것이다. 하곡의 주요 문제는 임정종욕이었기 때문에 정욕(情欲)의 기(氣)를 움직이어 과불급을 일으키는 내적 원인인 명문(命門)의 상화(相火)를 제어하는 수극화(水克火)의 위치에 있는 중극(中極)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그것은 양지와 정욕을 생리와 일체화하고 중극에서 균형을 바로 잡으면 임정종욕과 같은 가능성은 없어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천체 운행의 중심 역시 중극이기 때문에 인간의 생리 역시 그를 중심으로 생생불식할 수 있다. 그래서 하곡은 중극을 만사만물의 근본으로 삼은 것이다. 양명에게서 최고 이상이 치양지(致良知)에 있다면 하곡에게서는 통중극(通中極)에 있다. 하곡의 통중극은 통생리(通生理)ㆍ통인리(通仁理)ㆍ통천리(通天理)ㆍ통신극(通身極)은 물론 통천극(通天極)ㆍ통태극(通太極)을 의미하며 실천상 욕인행례(欲仁行禮)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하곡이 중극에 생리ㆍ인리ㆍ천리를 일체적으로 통하게 하고 확충해 나아가는 것은, 맹자가 배의여도(配義與道) 사단(四端)을 확충해 나아가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는 것과 형태상 유사하다. 그렇지만 중극론은 하곡 특유의 방법론으로서 조선 유학은 물론 중국 유학에서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내과적 치료에 치중하여 외과적 치료 방법을 소홀히 한 것은 문제이다. 뿐만 아니라 중극의 위치와 여러 분야의 관계 설정을 치밀하게 하지 못한 것 역시 아쉬운 점이다.
      번역하기

      하곡학의 출발점은 주자학과 양명학의 이원화(二元化)나 그의 가능성극복에 두었다. 그래서 그는 임정종욕(任情縱欲)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문적 주제를 생리(生理) 속에서 진리ㆍ천리...

      하곡학의 출발점은 주자학과 양명학의 이원화(二元化)나 그의 가능성극복에 두었다. 그래서 그는 임정종욕(任情縱欲)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문적 주제를 생리(生理) 속에서 진리ㆍ천리ㆍ양지 등을 일체화(一體化)하고 중극론을 가지고 균형을 잡으려 한 것이다.
      하곡의 중극론의 특징은 역학(易學)과 동양 의학(醫學)에 기초하여 천지만물의 중심에 인간 생리를 일체화(一體化)함으로써 이원화 가능성을 없애려 한 것이다. 하곡의 주요 문제는 임정종욕이었기 때문에 정욕(情欲)의 기(氣)를 움직이어 과불급을 일으키는 내적 원인인 명문(命門)의 상화(相火)를 제어하는 수극화(水克火)의 위치에 있는 중극(中極)을 중심으로 한 것이다. 그것은 양지와 정욕을 생리와 일체화하고 중극에서 균형을 바로 잡으면 임정종욕과 같은 가능성은 없어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천체 운행의 중심 역시 중극이기 때문에 인간의 생리 역시 그를 중심으로 생생불식할 수 있다. 그래서 하곡은 중극을 만사만물의 근본으로 삼은 것이다. 양명에게서 최고 이상이 치양지(致良知)에 있다면 하곡에게서는 통중극(通中極)에 있다. 하곡의 통중극은 통생리(通生理)ㆍ통인리(通仁理)ㆍ통천리(通天理)ㆍ통신극(通身極)은 물론 통천극(通天極)ㆍ통태극(通太極)을 의미하며 실천상 욕인행례(欲仁行禮)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하곡이 중극에 생리ㆍ인리ㆍ천리를 일체적으로 통하게 하고 확충해 나아가는 것은, 맹자가 배의여도(配義與道) 사단(四端)을 확충해 나아가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르는 것과 형태상 유사하다. 그렇지만 중극론은 하곡 특유의 방법론으로서 조선 유학은 물론 중국 유학에서도 없는 것이다. 그러나 내과적 치료에 치중하여 외과적 치료 방법을 소홀히 한 것은 문제이다. 뿐만 아니라 중극의 위치와 여러 분야의 관계 설정을 치밀하게 하지 못한 것 역시 아쉬운 점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요약문】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 참고문헌
      • 〈中文提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명종, "한국의 양명학" 서울, 동화출판공사 1983

      2 김길환, "한국양명학 연구" 서울, 일지사 1981

      3 송석준,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하곡 정제두" 한국양명학회 6 : 2000

      4 박연수, "하곡 정제두의 인간관" 한국양명학회 (6) : 2001

      5 임홍태, "하곡 정제두의 격물치지설(한국철학사상가 연구)" 철학과 현실사 2002

      6 김용재, "하곡 정제두의 心善·性善의 合一 논증­『霞谷集』의 ?孟子說?을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회 (10) : 173-212, 2003

      7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철학분과, "중국의학과 철학" 서울, 여강출판사 1993

      8 楊力, "주역과 중국의학(상,중,하)" 서울, 법인문화사 2000

      9 松田 弘, "조선조 양명학의 특질과 그 논리구조" 서울, 일지사 (25) : 2001

      10 한국사상연구회, "조선유학의 학파들" 서울, 예문서원 1996

      1 유명종, "한국의 양명학" 서울, 동화출판공사 1983

      2 김길환, "한국양명학 연구" 서울, 일지사 1981

      3 송석준, "한국 양명학의 형성과 하곡 정제두" 한국양명학회 6 : 2000

      4 박연수, "하곡 정제두의 인간관" 한국양명학회 (6) : 2001

      5 임홍태, "하곡 정제두의 격물치지설(한국철학사상가 연구)" 철학과 현실사 2002

      6 김용재, "하곡 정제두의 心善·性善의 合一 논증­『霞谷集』의 ?孟子說?을 중심으로­" 한국양명학회 (10) : 173-212, 2003

      7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철학분과, "중국의학과 철학" 서울, 여강출판사 1993

      8 楊力, "주역과 중국의학(상,중,하)" 서울, 법인문화사 2000

      9 松田 弘, "조선조 양명학의 특질과 그 논리구조" 서울, 일지사 (25) : 2001

      10 한국사상연구회, "조선유학의 학파들" 서울, 예문서원 1996

      11 윤남한, "조선시대의 양명학 연구" 서울, 집문당 1979

      12 정인재, "정하곡의 양지설(한국유학사상논문선집 56권)" 불함문화사 1996

      13 윤한남, "정제두의 양명학(한국의 사상)" 서울, 열음사 1994

      14 이상호, "정제두 양명학의 양명우파적 특징" 계명대학교대학원 2004

      15 왕양명, "전습록" 서울, 평민사 2000

      16 "재편집 동의학사전" 서울, 도서출판 까치 1990

      17 요시다,코헤이, "일본 양명학" 서울, 청계 2004

      18 유명종, "왕양명과 양명학" 서울, 청계 2002

      19 김교빈, "양명학자 정제두의 철학사상" 서울, 한길사 1996

      20 박연수, "양명학의 이해" 서울, 집문당 1999

      21 윤사순, "양명학의 연구" 서울, 법인문화사 4 : 1992

      22 김흥호, "양명학 공부 1-2" 서울, 솔 1999

      23 김길락, "상산학과 양명학" 서울, 예문서원 1995

      24 한상모, "동의학개론" 서울, 여강출판사 1991

      25 최재목, "동아시아의 양명학" 서울, 예문서원 1996

      26 정제두, "국역 하곡집"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2

      27 최일범, "霞谷 鄭齊斗의 工夫論에 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회 30 : 53-75, 2002

      28 楊國榮, "陽明學通論" 서울, 박영사, 1994

      29 錢明, "陽明學的形成與發展" 南京, 江蘇古籍出版社 2002

      30 李浚川 主編, "醫易學思想" 서울, 법인문화사 2000

      31 王陽明論文集, "臺北" 中華學術院 1977

      32 陳榮捷, "王陽明與禪" 臺北, 學生書局 1984

      33 김길락, "王陽明哲學硏究" 서울, 청계 2001

      34 蔡仁厚, "王陽明哲學" 서울, 서광사 1996

      35 蔡仁厚, "王陽明哲學" 臺北, 三民書局 1983

      36 王陽明, "王陽明全書(1-4" 臺北, 正中書局 1979

      37 陳榮捷, "王陽明傳習錄譯註集評" 臺北, 學生書局 1983

      38 秦家懿, "王陽明, 臺北" 東大圖書公司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23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