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기초로 유아반 놀이 중심 교육의 실행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교사, 유아, 연구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2020년 3월 16일부터 20...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90236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9(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기초로 유아반 놀이 중심 교육의 실행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교사, 유아, 연구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2020년 3월 16일부터 20...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을 기초로 유아반 놀이 중심 교육의 실행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이에 따른 교사, 유아, 연구자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2020년 3월 16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D광역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의 만 4, 5세 혼합연령 유아반에서 실시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교사 1명, 유아 14명이다. Kemmis와 McTaggart(1988)의 실행연구 모형에 따라 놀이 중심 교육에 대한 3차의 실행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참여교사에게서는 놀이 중심 교육을 위한 노력과 전문성 향상, 놀이에 몰입한 지저분한 교실 인정하기, 놀이에 대한 신념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유아에게서는 모두가 즐거운 진짜 놀이, 어울리는 법을 배우는 놀이, 놀이를 통해 배우는 아이들, 놀이를 창안하는 아이들로 변화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연구자는 진정한 놀이에 대한 의미 재탐색, 외로운 성장에서 필요한 협력의 동반자로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방법론적 측면보다 인식론적 측면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고정화된 놀이 지원이 아닌 개방적 차원의 놀이지원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운영을 위해 유아교육현장 중심의 실효성 있는 국가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implement plans for play-based education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examine changes in teachers, young children, and the researcher.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implement plans for play-based education in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examine changes in teachers, young children, and the researcher.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6, 2020 to February 28, 2021 in a mixed-age class of 4 and 5-year-olds at S child-care center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The participants were 1 teacher and 14 young children. This study went through 3 phases of play-based education based on the action research model suggested by Kemmis and McTaggart (1988).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made more efforts and enhanced their expertise in play-centered education, accepted the messy class immersed in play, and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beliefs about play.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real play that everyone enjoyed, learned how to get along while they played, learned many things through play, and invented play. The researcher revisited the meaning of real play and grew as a collaborative partner.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epistemological aspects should be focused on instead of methodological aspect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expertise, and that effective national support based on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s required for open-ended support for play and implementation of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목차 (Table of Contents)
융합인재교육(STEAM)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와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제5주기 유치원 평가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지표 분석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5세 학급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