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치권 부존재 확인소송에서 판단범위 - 대법원 2016. 3. 10. 선고 2013다99409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 - = The Scope of the Decision in a Lawsuit that Confirms the Nonexistence of a Right of Reten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udgement of this case is related to the scope of the decision in a lawsuit against a lien who claims the right of retention against the object of the auction in the auction procedure. In the claims of affirmation of the non-existence of lien , the Supreme Court rule is made based on the existence of a secured claim. No judgement was made whether the scope of secured claims which is claimed by the lien holder was reasonable. This is because the right of retention has inseparability as a registration of security act. However,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has to judge whether the secured debt of defendant’s claim really exists and is not excessive. This is the case to ask the judgement of the scope of the bond between the parties. It seems that the judgement of the repayment implementation of the court (when the owner of retained article claim request delivery to lien holder, the court makes the judgement of repayment) is borrowed. However, the owner and the lien holder have the status of a creditor and a debtor in addition to the status of the owner and the opponent.
      Therefore, both have a direct interest in arguing and confirming the range of the secured bond. On the other hand, trustee and lien holders are not creditors and debtors. Even if the scope of the security bond is judged between them, the order of this judgment is only for trustee and lien holders, and not applied for the debtor and the buyer of the auction procedure. As a result, the judgement of the scope of secured debt in this case can not be claimed by anyone.
      번역하기

      The judgement of this case is related to the scope of the decision in a lawsuit against a lien who claims the right of retention against the object of the auction in the auction procedure. In the claims of affirmation of the non-existence of lien , th...

      The judgement of this case is related to the scope of the decision in a lawsuit against a lien who claims the right of retention against the object of the auction in the auction procedure. In the claims of affirmation of the non-existence of lien , the Supreme Court rule is made based on the existence of a secured claim. No judgement was made whether the scope of secured claims which is claimed by the lien holder was reasonable. This is because the right of retention has inseparability as a registration of security act. However,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has to judge whether the secured debt of defendant’s claim really exists and is not excessive. This is the case to ask the judgement of the scope of the bond between the parties. It seems that the judgement of the repayment implementation of the court (when the owner of retained article claim request delivery to lien holder, the court makes the judgement of repayment) is borrowed. However, the owner and the lien holder have the status of a creditor and a debtor in addition to the status of the owner and the opponent.
      Therefore, both have a direct interest in arguing and confirming the range of the secured bond. On the other hand, trustee and lien holders are not creditors and debtors. Even if the scope of the security bond is judged between them, the order of this judgment is only for trustee and lien holders, and not applied for the debtor and the buyer of the auction procedure. As a result, the judgement of the scope of secured debt in this case can not be claimed by anyo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사건 판결은 경매절차에서 근저당권자가 경매목적물에 대하여 유치권을 주장하는 유치권자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판단범위와 관련된 것이다.
      종래 대법원은 유치권 부존재확인 청구에서 유치권의 존재, 부존재 여부는 피담보채권이 존재하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유치권자가 주장하는 피담보채권의 범위가타당한 것인지에 대하여 따로 판단하지 않았다. 유치권이 담보물권으로서 불가분성을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사건에서 대상판결은 유치권자가 주장하는 피담보채권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과다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피담보채권이 실제로 주장하는 만큼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판단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채권의 당사자 사이에 채권의 범위에 대하여 판단을 구하는 경우로서 유치물의소유자가 유치권자를 상대로 유치물 인도청구를 하는 경우에 상환이행 판결을 하는 법원의 태도를 그대로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소유자와 유치권자는 물권자와 상대방이라는 지위 외에 채권자와 채무자라는 지위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자이다. 따라서 피담보채권의 범위에 대하여 다투고 확인받을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자들이다. 그러나 근저당권자와 유치권자는 채권자 채무자 관계가 아니다. 이들 사이에 피담보채권의 범위에 대하여 판단한다고 하여도 이판결의 주문은 근저당권자와 유치권자에게만 기판력이 미칠 뿐 채무자와 경매절차의매수인에게는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 결국 이 판결의 피담보채무의 범위에 대한 판단은 누구도 주장할 수 없는 것이 된다.
      번역하기

      이 사건 판결은 경매절차에서 근저당권자가 경매목적물에 대하여 유치권을 주장하는 유치권자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판단범위와 관련된 것이다. 종래 대법원은 유치권 부존재확인 청구에...

      이 사건 판결은 경매절차에서 근저당권자가 경매목적물에 대하여 유치권을 주장하는 유치권자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판단범위와 관련된 것이다.
      종래 대법원은 유치권 부존재확인 청구에서 유치권의 존재, 부존재 여부는 피담보채권이 존재하는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유치권자가 주장하는 피담보채권의 범위가타당한 것인지에 대하여 따로 판단하지 않았다. 유치권이 담보물권으로서 불가분성을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사건에서 대상판결은 유치권자가 주장하는 피담보채권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과다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피담보채권이 실제로 주장하는 만큼 존재하는지에 대하여 판단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채권의 당사자 사이에 채권의 범위에 대하여 판단을 구하는 경우로서 유치물의소유자가 유치권자를 상대로 유치물 인도청구를 하는 경우에 상환이행 판결을 하는 법원의 태도를 그대로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소유자와 유치권자는 물권자와 상대방이라는 지위 외에 채권자와 채무자라는 지위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자이다. 따라서 피담보채권의 범위에 대하여 다투고 확인받을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자들이다. 그러나 근저당권자와 유치권자는 채권자 채무자 관계가 아니다. 이들 사이에 피담보채권의 범위에 대하여 판단한다고 하여도 이판결의 주문은 근저당권자와 유치권자에게만 기판력이 미칠 뿐 채무자와 경매절차의매수인에게는 기판력이 미치지 않는다. 결국 이 판결의 피담보채무의 범위에 대한 판단은 누구도 주장할 수 없는 것이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승준, "주석민사소송법(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2

      2 김갑유, "주석민법(물권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1

      3 추신영, "유치권자에 의한 경매신청에 있어서 소멸주의 적용의 법리 - 대법원 2011. 6. 15. 2010마1059결정 -" 법학연구소 (58) : 509-539, 2013

      4 배용준, "유치권의 성립요건으로서의 견련관계 및 유치권의 불가분성" 민사판례연구회 (31) : 157-209, 2009

      5 김희동, "유치권에 의한 부동산경매에서 매각으로 인하여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이 소멸하는지 여부와 법정매각조건 ― 대법원 2011. 6. 15.자 2010마1059 결정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9 (19): 39-70, 2012

      6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4

      7 오시영, "부동산유치권의 성립과 대항력의 구별" 한국민사법학회 (38) : 211-250, 2007

      8 박종렬, "부동산경매에 있어 유치권 신고의무"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08-415, 2011

      9 이선희, "부동산 유치권의 대항력 제한" 한국민사법학회 72 : 215-257, 2015

      10 홍기문, "민사소송법" 대한민국 2015

      1 강승준, "주석민사소송법(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2

      2 김갑유, "주석민법(물권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1

      3 추신영, "유치권자에 의한 경매신청에 있어서 소멸주의 적용의 법리 - 대법원 2011. 6. 15. 2010마1059결정 -" 법학연구소 (58) : 509-539, 2013

      4 배용준, "유치권의 성립요건으로서의 견련관계 및 유치권의 불가분성" 민사판례연구회 (31) : 157-209, 2009

      5 김희동, "유치권에 의한 부동산경매에서 매각으로 인하여 목적부동산 위의 부담이 소멸하는지 여부와 법정매각조건 ― 대법원 2011. 6. 15.자 2010마1059 결정을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19 (19): 39-70, 2012

      6 이시윤, "신민사소송법" 박영사 2014

      7 오시영, "부동산유치권의 성립과 대항력의 구별" 한국민사법학회 (38) : 211-250, 2007

      8 박종렬, "부동산경매에 있어 유치권 신고의무"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08-415, 2011

      9 이선희, "부동산 유치권의 대항력 제한" 한국민사법학회 72 : 215-257, 2015

      10 홍기문, "민사소송법" 대한민국 2015

      11 호문혁, "민법주해(Ⅵ)물권(3)" 박영사 2004

      12 김준호, "민법강의" 법문사 2016

      13 이영준, "물권법" 박영사 2009

      14 송오식, "물권법"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3

      15 김준호, "물권법" 박영사 2012

      16 김상용, "물권법" 화산미디어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3-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5 0.80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