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扶餘 陵山里寺址 出土 瓦當의 再檢討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46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부여 능산리사지 가람중심부에서 출토된 와당의 형식 분류와 상대편년안, 기와 공급체계를 재정리한 것이다. 567년 이전에 건립되어 660년 무렵에 廢寺한 이 절터에서는 502점의 와당...

      본고는 부여 능산리사지 가람중심부에서 출토된 와당의 형식 분류와 상대편년안, 기와 공급체계를 재정리한 것이다. 567년 이전에 건립되어 660년 무렵에 廢寺한 이 절터에서는 502점의 와당이 출토되었는데, 형식 분류 결과 13종류의 蓮花文瓦當과 2종류의 巴文瓦當, 1종류의 素文瓦當이 확인되었다.
      연화문와당은 연판 문양과 중방의 형태, 연자의 수, 와당과 수키와의 접합방식 등에 따라 세분된다. 1형식은 創建期 와당으로 모두 5가지로 세분되며, 567년 이전부터 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1형식의 세부 형식들은 태토와 소성도, 연판 문양, 접합방식, 와당과 접합된 수키와의 형식 등에서 차이가 발견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工人差, 工房差, 年代差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3형식과 4형식, 9형식도 초기에 제작된 와당들이다. 초기의 와당들은 1형식과는 태토, 소성도, 접합 기법, 연판 문양 등이 다르기 때문에 생산 공방과 공인, 연대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대체로 창왕명 석조사리감이 매립된 567년 이후에 제작되어 공급된 것으로 보인다.
      다른 형식의 와당들은 6세기 후반부터 멸망기까지 시기적으로 중첩되면서 계속해서 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이 와당들은 출토 수량이 적고, 일부 와당의 경우 특정 건물에만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으며, 연대적으로 초기 와당들 보다 한두 단계 늦게 출현하기 때문에 補修用 와당으로 생각된다.
      보수용 와당 중 2형식과 5형식, 8형식 와당은 가람중심부가 1차적으로 완비된 이후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반에 제작 사용되고, 7형식과 11형식은 7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6형식을 비롯한 10형식, 12형식, 13형식 및 파문 1식은 7세기 전반에서 중엽에 제작되고, 파문 2식과 소문 와당은 7세기 중엽 이후에 제작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5형식은 금당지, 6형식은 목탑지, 7형식은 강당지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기 때문에 이 건물들의 보수를 위해 특별히 제작?공급된 와당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ses type, relative chronology and supply system of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central area of Neungsan-ri temple site, Buyeo. Established around 567 AD to be abandoned in 660s, this temple leaves 502 pieces of roof-end tile. Desig...

      This article analyses type, relative chronology and supply system of roof-end tiles excavated from central area of Neungsan-ri temple site, Buyeo. Established around 567 AD to be abandoned in 660s, this temple leaves 502 pieces of roof-end tile. Designs could be categorized into 13types of lotus design, 2types of meandering design and patternless design of single type.
      Classification of roof-end tiles with lotus design is based on leaf design, shape of carpel, number of anther, joining method of convex-concave tiles. Among the 13 types, Type 1, contemporary with the foundation of temple, can be classified into 5 sub-types. Variations in clay, degree of firing, leaf design, joining method employed, type of convex tile connected to the roof-end tile suggest existence of several artisans and workshops as well as difference in manufacturing period. Type 3 and 4 are also products from initial stage. Clay, degree of firing, joining method, leaf design dissimilar to Type 1 indicates that they were on the whole manufactured and used after 567 AD when the stone reliquary with "King Chang"inscription was enshrined, although the workshop, artisan or manufacturing period is not necessarily identical.
      Roof-end tiles of other types, not large in quantity, seem to be produced from the late 6th century until the downfall of the Kingdom, overlapping with each other periodically. The fact that these are often found crowded in specific building sites and appear 1-2 phase later than the initial ones indicates these were made for repair.
      Among the repair roof-end tiles, Type 2, 5 and 8 are thought to be manufactured between the end of 6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7th century when central area of the temple was completed primarily, whereas Type 7 and 11 are outcomes of the first half of 7th century. Type 6, 10, 12 and 13 as well as Ripple Type 1 is thought to be from the early and mid 7th century, while Ripple Type 2 and Patternless Type to be made after the mid 7th century. It is noteworthy that Type 5 is concentrated in the Main Hall site, Type 6 in wooden pagoda site, Type 7 is in the Lecture Hall site. This leads to the point that these were supplied for the repair of specific build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와당 형식의 재검토
      • Ⅲ. 출토 와당의 상대편년과 공급체계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와당 형식의 재검토
      • Ⅲ. 출토 와당의 상대편년과 공급체계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申光燮, "陵山里寺址 發掘調査와 伽藍의 特徵.百濟金銅大香爐와 古代東亞世亞"

      2 金賢晶, "陵山里寺址 出土 印花紋土器에 대한 檢討" 2 : 2002

      3 國立扶餘博物館, "陵寺-扶餘 陵山里寺址 發掘調査 進展報告書"

      4 國立扶餘博物館, "陵寺-扶餘 陵山里寺址 6~8次 發掘調査報告書"

      5 국립부여박물관, "백제금동대향로 발굴 10주년 기념 연구논문자료집"

      6 淸水昭博, "기와의 전래-백제와 일본의 초기 기와생산체제의 비교-" 백제연구소 (41) : 167-200, 2005

      7 成正鏞, "기와.聖住寺" 충남대박물관 1998

      8 국립부여박물관, "그리운 것들은 땅 속에 있다"

      9 金和英, "韓國蓮華文硏究" 이화여대 1976

      10 淸水昭博, "軍守里廢寺出土軒丸瓦の檢討" 596 : 2006

      1 申光燮, "陵山里寺址 發掘調査와 伽藍의 特徵.百濟金銅大香爐와 古代東亞世亞"

      2 金賢晶, "陵山里寺址 出土 印花紋土器에 대한 檢討" 2 : 2002

      3 國立扶餘博物館, "陵寺-扶餘 陵山里寺址 發掘調査 進展報告書"

      4 國立扶餘博物館, "陵寺-扶餘 陵山里寺址 6~8次 發掘調査報告書"

      5 국립부여박물관, "백제금동대향로 발굴 10주년 기념 연구논문자료집"

      6 淸水昭博, "기와의 전래-백제와 일본의 초기 기와생산체제의 비교-" 백제연구소 (41) : 167-200, 2005

      7 成正鏞, "기와.聖住寺" 충남대박물관 1998

      8 국립부여박물관, "그리운 것들은 땅 속에 있다"

      9 金和英, "韓國蓮華文硏究" 이화여대 1976

      10 淸水昭博, "軍守里廢寺出土軒丸瓦の檢討" 596 : 2006

      11 李다운, "百濟의 瓦生産-웅진ㆍ사비시대를 중심으로" 韓半島考古學論叢 2002

      12 金誠龜, "百濟의 瓦塼.百濟의 彫刻과 美術" 공주대박물관 1992

      13 국립부여박물관, "百濟의 瓦塼"

      14 국립부여박물관, "百濟의 工房"

      15 戶田有二, "百濟泗?時代における造瓦集團の一端.百濟 泗?時期 文化의 再照明"

      16 龜田修一, "百濟古瓦考" 12 : 1981

      17 淸水昭博, "百濟「大通寺式」수막새의 성립과 전개-中國 南朝系 造瓦技術의 전파-" 백제연구소 38 : 57-83, 2003

      18 薛貞連, "百濟 蓮華紋瓦當 編年에 關한 硏究" 경희대 1975

      19 朴容塡, "百濟 瓦當의 體系的 分類" 9 : 1976

      20 李다운, "百濟 瓦博士考" 20 : 2004

      21 소재윤, "百濟 熊津ㆍ泗?期 百濟 수막새에 대한 編年 硏究" 23 : 2006

      22 李炳鎬, "百濟 泗?都城의 造營過程" 서울대 국사학과 47 : 2002

      23 尹善泰, "百濟 泗?都城과 ?夷-木簡으로 본 泗?都城의 안과 밖" 2 : 2006

      24 한진숙, "百濟 泗?期 기와 제작집단에 대하여" 충남대 2007

      25 淸水昭博, "百濟 泗?時代の瓦生産" Ⅹ : 2008

      26 申光燮, "百濟 泗?時代 陵寺 硏究" 중앙대 2006

      27 上原眞人, "瓦を讀む" 講談社 11 : 1997

      28 上原眞人, "瓦の見方について" 3 : 1984

      29 金鍾萬, "泗?時代 瓦에 나타난 社會相 小考" 2 : 2002

      30 龜田修一, "日韓古代瓦の硏究" 吉川弘文館 2006

      31 金鍾萬, "扶餘陵山里寺址出土瓦當文樣の形式と年代觀" Ⅱ : 2000

      32 金誠龜, "扶餘의 百濟窯址와 出土遺物에 대하여" 21 : 1990

      33 金鍾萬, "扶餘 陵山里寺址에 대한 小考" 2000

      34 近藤浩一, "扶餘 陵山里 羅城築造 木簡 再論" 49 : 2008

      35 近藤浩一, "扶餘 陵山里 羅城 出土 木簡의 硏究" 40 : 2004

      36 尹善泰, "扶餘 陵山里 出土 百濟木簡의 再檢討" 40 : 2004

      37 李炳鎬, "扶餘 陵山里 出土 木簡의 性格" (창간) : 2008

      38 國立扶餘博物館, "扶餘 亭岩里窯址.Ⅱ"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