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관계지향성과 자율지향성, 지식활동 및 지식활동성과 간 관계 : 인지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92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간의 지향성(orientation)이라는 성격특성의 구성개념인 관계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지식창출활동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며, 조직구성원들에 의해 창출되어 활용...

      본 연구는 인간의 지향성(orientation)이라는 성격특성의 구성개념인 관계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지식창출활동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며, 조직구성원들에 의해 창출되어 활용되고 있는 조직지식의 품질과 지식사용상의 만족도 등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관계에 조직문화 특히, 구성원들에 의해 인지된 발전문화와 위계문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불성실 응답 설문지 등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87명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지를 중심으로 SPSS 18.0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인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관계지향성은 지식창출활동 그리고 지식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관계지향성향을 띠는 구성원은 지식창출활동에도 긍정적이며, 구성원들이 창출하고 공유 및 활용하는 지식의 품질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관계지향성향의 조직구성원들을 조직의 구조적 상황과 조직의 환경에 맞게 잘 관리하여 상황요인들과 일치시킬 수 있다면 더 높은 지식성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게 하는 점이다.

      둘째, 조직구성원의 자율지향성은 지식창출활동을 포함하여 지식품질이나 지식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율지향성향을 띠는 사람들은 개인적인 자율과 독립적인 사고를 지향하며, 간섭을 회피하려 들고 개인적 목표성취 성향이 강하여 다른 조직구성원들과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적극성을 띠지 않을 가능성이 크므로 조직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지향특성에 따라 인사관리의 방향성을 달리해야 한다는 판단이 가능한 분석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는 자율지향성향의 구성원들에게 최대한 자율성과 독립성을 허용하여 독보적이고 창의적이며 혁신적인 지식을 창출할 수 있도록 배려하되, 다른 구성원들과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잘 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들고 관리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관계지향성향의 구성원들에게는 유기적인 대인관계와 적극적 의사소통을 통해 활발한 지식창출활동이 보장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조직구성원의 지식창출활동은 지식품질과 지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직구성원들이 가능하면 더욱 새롭고, 가치 있는 지식을 많이 창출할 수 있도록 관리하여 구성원들이 창출해낸 지식을 더욱 활발히 공유하고 활용하게 함으로써 지식품질을 향상시키고 지식에 대한 만족도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넷째, 조직구성원이 인지한 발전문화는 지식창출활동과 지식품질 및 지식만족 간의 정(+)의 관계를 강화하는 결과를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발전문화는 관계지향성이나 자율지향성과 지식창출활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전문화가 재량과 유연성을 바탕으로 외부지향적인 방향성을 나타내는 특성 때문에 구성원들의 성격특성을 강제하여 지식창출활동을 이끌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조직구성원이 인지한 위계문화는 관계지향성과 지식창출활동 간의 관계에서 그 영향을 감쇄시키며, 지식창출활동과 지식품질 간의 정(+)의 관계도 강화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자율지향성과 지식창출활동 간의 부(-)의 관계는 강화시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규칙과 통제를 앞세우고 내부지향적이며 안정성을 추구하는 위계문화의 특성 때문에 구성원의 성격특성이 관계지향성향이든 아니면 자율지향성향이든 가리지 않고 활발한 지식창출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구성원이 지식활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조직 내에 산재한 많은 다른 구조적요인과 상황요인들이 개인의 특성과 결합하여 나타난 것이라고 추측되므로 향후 연구에서 더욱 다양한 구조적 요인과 상황요인들을 조합하여 조직문화의 영향관계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관계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을 중심으로 조직의 여러 상황변수와 조직행동변수들을 조합하여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 과정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Ph. D. Dissertation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and autonomy, knowledge activity, and knowledge performances: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Cho, Youngil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Abstract

      Ph. D. Dissertation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and autonomy, knowledge activity, and knowledge performances: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ulture.

      Cho, Youngil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Knowledge workers can lead their company to innovations and develop new products and services so that it can create unlimited value and increase performances.
      However, in the process of knowledge activities, knowledge worker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response can vary from each other in demonstrating their knowledge abilities due to their personality traits or orientation.
      According to Beck et al(2003) and Robins et al.(1994; 1997), theorists and researchers have given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personality orientation which is constructed with sociotropy and autonomy in pathopsychology whereas sociotropy involves interpersonal orientation such as needs for intimacy, affiliation, and dependency while autonomy focuses on needs involving goal achievement and individual autonomy.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grasp and maintain knowledge workers’ orientation, the personality trait, to be congruent wi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vironment because knowledge workers are the core resources of the organization.
      In this light, even though this personality orientation; sociotropy and autonomy, is relatively new concept in social science,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se two personality dimensions on knowledge creation activity and knowledge performances, and analysed the effects of knowledge creation on knowledge quality and knowledge satisfaction as knowledge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development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between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above mentioned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In this study, SPSS 18.0 was used to analyse data set of 387 valid questionnaires in the various statistical treatment such as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factor, corelation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as follows;

      First, positive effects of sociotropy on both knowledge quality and knowledge satisfaction were validated.
      This could be interpreted to support the knowledge creating view of Nonaka(1994) and Nonaka and Konno(1998) explaining that individuals create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of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based on interdependence at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al level in their work place.
      This als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summary statement of Ma and Yuen(2010); “the desire to develop and the tendency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are the major determinants of the knowledge sharing behavior of individual learners.”
      It is also congruent with the research result of Lee and Lee(2010) explaining that the voluntary sharing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collective culture, of which characteristics are known as similar to sociotropy, is processed more in an active manner due to vigorous formal and informal communications.

      Second, negative effects of autonomy on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quality and knowledge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is supports the empirical findings on sociotropy and autonomy by the researchers; Robins et al.(1994), Bielings et al.(2000), Beck et al.(2003), and Mazure and Maciejewski(2003), whereas autonomy involves more negative response than sociotropy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s.
      This also explains somewhat in common with the point of Paulsen and Hjerto(2010);

      “When group autonomy is low, an increased cognitive distance does not seem to affect the perception of knowledge transfer of the individual. Conversely, in groups where autonomy is high, an increased cognitive distance seems to be detrimental to the individual’s perception of knowledge transfer.”

      Furthermore, this result is congruent with the research result of Lee et al.(2013) who presented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data from 242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upscale hotel employees in Seoul; job autonomy did not statistically affect on knowledge sharing activity of members.

      Third,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creation activity and either knowledge quality and knowledg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validated.
      This result is congruent with the empirical research result of Lee et al.(2006) who showed that knowledge creation positively affected on either knowledge quality and knowledge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supports the result of Becerra-Fernandez and Sabherwal(2001B) who presented that each of knowledge externalization and knowledge combin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satisfaction.

      Fourth, the reinforceme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development culture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ither knowledge creation activity and knowledge quality, or knowledge creation activity and knowledge satisfaction are statistically validated, whil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development cul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ither sociotropy and knowledge creation activity, or autonomy and knowledge creation activity is statistically not valid.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development culture does not force and lead the employee’s personality to create new knowledges because it focuses on externality, flexibility and discretion. In contrast, this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culture may help employees’ voluntary knowledge creation activities

      Fifth, the reinforceme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hierarchical culture on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knowledge creation activity was empirically validated, while perceived hierarchical culture did not moderate o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creation activity and knowledge quality. Furthermore, the perceived hierarchical culture did attenu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and knowledge creation activity.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erceived hierarchical culture that pursues the internal orientation, stability, discipline and control has a negative effect on active knowledge creation activities of employees, whether the personality traits of the members are sociotropy or autonomy.

      It is assumed that the above results are combined with many other structural factors and contingency factors scattered within the organization in performing knowledge activities.
      Becaus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a result of different fit and context formed by multiple organizational contingencies(Van de Van and Drazin, 1984), It is important that all of the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member’s personality orient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knowledge activities including structural factors and even leadership should be organically match one to each ot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Therefore, individual-cultural fit that matches the behaviors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urpose is important(Ryu and Ahn, 2006). This is becau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enhanced when a plurality of contingency factors and structural factors including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the orientations of the members in the organization have to be fitted or contingent internally(Van de Van and Drazin, 1984).

      In future resear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personality orienta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composed of sociotropy and autonomy affects some behavioral variables and contingency factors of the organization and to find out which prescription is necessary to bring about organizational fit with these factors.

      Key words: sociotropy, autonomy, knowledge activity,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performances, knowledge quality, knowledge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 iv
      • 그림 목차 v
      • 논문 개요 vii
      • 제 1 장 서 론 1
      • 표 목차 iv
      • 그림 목차 v
      • 논문 개요 vii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문제와 연구목적 1
      • 1. 연구배경 및 문제의 제기 1
      • 2. 연구목적 3
      •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구성 5
      • 제 2 장 이론적 고찰 7
      • 제 1 절 관계지향성과 자율지향성 7
      • 1. 성격특성 7
      • 2. 관계지향성(sociotropy)과 자율지향성(autonomy) 연구 8
      • 제 2 절 지식활동과 지식활동성과 16
      • 1. 지식의 개념 16
      • 2. 개인지식과 조직지식 20
      • 3. 지식활동, 지식경영 및 지식활동성과 23
      • 제 3 절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 30
      • 1. 조직과 조직문화 30
      • 2. 조직문화의 유형 33
      • 제 3 장 연구 설계 50
      • 제 1 절 가설의 설정 및 연구모형 50
      • 1. 가설의 설정 50
      • 2. 연구모형 68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69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69
      • 2. 측정도구의 구성 80
      • 제 4 장 실증분석 82
      • 제 1 절 조사방법 및 표본의 특성 82
      • 1. 조사방법 82
      • 2.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82
      • 제 2 절 기초통계분석 84
      • 1. 분석방법 84
      • 2. 신뢰도 분석 85
      • 3. 요인분석 86
      • 4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90
      • 5. 조직문화 프로파일 분석 93
      • 제 3 절 연구가설의 검정(회귀분석) 97
      • 1. 관계지향성, 자율지향성, 지식활동, 지식성과 간 관계 97
      • 2. 지식창출과 지식성과 간 관계 100
      • 3. 인지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1) 101
      • 4. 인지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2) 109
      • 5. 연구가설 검정결과 115
      • 제 5 장 결론 및 논의 118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118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121
      •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23
      • 참고문헌 125
      • 부록: 설문지 140
      • Abstract 14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용선, "양면성 조직의 상황 조건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1(1), pp.63-82, 2014

      2 서인덕,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10, pp.103-133, 1986

      3 신호경, 김경규, 김범수, 송세정, "지식공유 의도와 지식관리시스템의 사용", 한국경영정보학회, 『경영정보학연구』, 15(3), pp.65-90, 2005

      4 장용선, "학습조직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931-961, 2009

      5 이민규, "우울에 대한 성격-사건간의 일치성 가설의 검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 회지 임상』, 19(2), pp.247-257, 2000

      6 김선아, 김영걸, "“조직지식 창출프로세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 연구』, 1(1), pp.91-107, 2000

      7 김영조, "조직문화와 조직성과의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인사조직연 구』, 8(2), pp.111-134, 2000

      8 김호정, "행정조직문화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한국행 정학보』, 36(4), pp.87-105, 2002

      9 김동배, 류성민, "“참여적 작업관행․현장관리자의 역할․조직성과”", 한국산업경영학회, 『경영 연구』, 24(4), pp.59-88, 2009

      10 김효근, 나미자 , "조직구성원의 지식기여도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움』, 30(0), pp.139-188, 1999

      1 장용선, "양면성 조직의 상황 조건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21(1), pp.63-82, 2014

      2 서인덕,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10, pp.103-133, 1986

      3 신호경, 김경규, 김범수, 송세정, "지식공유 의도와 지식관리시스템의 사용", 한국경영정보학회, 『경영정보학연구』, 15(3), pp.65-90, 2005

      4 장용선, "학습조직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931-961, 2009

      5 이민규, "우울에 대한 성격-사건간의 일치성 가설의 검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 회지 임상』, 19(2), pp.247-257, 2000

      6 김선아, 김영걸, "“조직지식 창출프로세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 연구』, 1(1), pp.91-107, 2000

      7 김영조, "조직문화와 조직성과의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인사조직연 구』, 8(2), pp.111-134, 2000

      8 김호정, "행정조직문화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회, 『한국행 정학보』, 36(4), pp.87-105, 2002

      9 김동배, 류성민, "“참여적 작업관행․현장관리자의 역할․조직성과”", 한국산업경영학회, 『경영 연구』, 24(4), pp.59-88, 2009

      10 김효근, 나미자 , "조직구성원의 지식기여도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 학술심포지움』, 30(0), pp.139-188, 1999

      11 김효근, 나미자 , "조직 구성원의 지식기여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한국경영정보학회』, 6(2), pp.113-135, 2004

      12 강정애, "조직문화유형별 종업원의 직무인지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인지과학회, 『인지 과학』, 7(1), pp.85-103, 1996

      13 조윤형, "개인이 인지한 조직문화와 조직정치. 조직성과와의 관계",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한국 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pp.30-40, 2008

      14 류성민,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활용과 근로자의 혜택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한 국인사관리학회 춘계학술논문집』, pp.1-19, 2012

      15 류성민, 안성익, "일-가정 균형에 대한 지원환경,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 『경영연구』, 27(2), pp.49-85, 2012

      16 손승연(Seung Yeon Son), 박종욱(Jongwook Pak), "고성과 작업시스템 지각이 과업성과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25(2), pp.193-218, 2017

      17 강희택,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자의 지식활동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학위 논문, 2008

      18 김효준,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 『한 국경호경비학회지』, 29, pp.61-86, 2011

      19 류성민, 안성익, "개인-조직문화적합성과 고객서비스 품질 간의 관계에 관 한 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10(1), pp.71-87, 2008

      20 문형구, 장용선, "사업다각화에 따른 하위문화의 형성과정: 비영리조직을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14(1), pp.1-51, 2006

      21 이준호, 이진규, "집단주의 조직문화에서 창의적 성과를 위한 커뮤니케이 션의 역할",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23(1), pp.183-203, 2010

      22 이장환, "관리적 요소 및 분위기성숙이 조직의 지식경영 도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학위논문, 2001

      23 김철의, 박동수, "조직문화, CEO 리더십과 조직혁신과의 관계: 지방 공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32(4), pp.85-124, 2008

      24 이정주, "지방공기업에서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5 황원일, 한주회, 박석구, "“조직문화 인식 유형이 조직몰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5(2), pp.95-134, 1997

      26 이갑두, "“산업클러스터 내 기업의 사회적 자본, 지식활동 그리고 성과의 관계”", 한국산업경영학회, 『경영연구』, 24(1), pp.101-126, 2009

      27 김지혜, 임승락, 이동수,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자율지향성과 관계지향 성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40(5), pp.813-823, 2001

      28 이광노, "벤처기업의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유호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29 이을터, 이진규, "지식기반업무활동 평가체계 개발과 내용 및 구성타당성: 칸트 인식론 관점",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29(1), pp.1-33, 2005

      30 김성훈, 안성익, 류성민, "개인가치와 조직문화의 적합성이 고객서비스품질 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pp.153-190, 2013

      31 홍승활, "“기초자치단체장의 경쟁가치리더십이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에 미 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2 이상훈, 이호근, "지식이전 프로세스가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금융지식연구』, 5(1), pp.97-138, 2007

      33 김제구, 장용선, "사회적 자본의 지각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30(1), pp.59-91, 2006

      34 류성민, "인사관리부문의 전략적 역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략변화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영학회, 『경영연구』, 28(2), pp.243-279, 2013

      35 이정훈, "조직문화와 직무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북지방경찰청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한국행정논집』. 22(1), pp.181-215, 2010

      36 류기현, 이재은, 박정민, "인지된 조직문화의 변화와 종업원의 M&A 만족 도에 관한 연구: 심리적 측면을 중심으로", 『경영연구』, 28(2), pp.81-99, 2013

      37 조영일, 류성민, "참여적 작업시스템과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일선관리 자 인사관리 역할의 조절효과", 한국생산성학회, 『생산성논집』, 28(2), pp.187-219, 2014

      38 조아라, "관계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기 발달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39 박희준, 조인수, "지식활동성과 향상을 위한 지식공유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관계적 요인을 중심으로", 『지식정보산업연합학회 창립기념 학술 대회 발표논문집』, pp.307-320, 2008

      40 이정주, "지방공기업에서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하철공사의 사례", 『지방정부연구』, 9(4), pp.71-93, 2005

      41 고준, 신선진, 공희경, "지식관리시스템에서의 지식공유에 대한 영향요인과 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연구』, 9(2), pp.87-107, 2008

      42 서재현, "문화에 따른 조직몰입의 발전적 차이에 관한 연구-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차이에 관하여", 『한국인사조직학회 추계발표논문집』, pp.159-180, 1994

      43 서재현, "“개인의 성향과 조직 내 경험이 경력몰입, 팀 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인사관리연구』, 26(2), pp.61-87, 2002

      44 김성수, 류성민, "환경, 인사부문의 전략적 참여, 인사시스템, 인사관리 효 과성 및 기업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15(1), pp.1-43, 2007

      45 최수형, "“기업의 가족친화문화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신뢰를 매개효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8(1), pp.123- 153, 2014

      46 김민용, 이정호, 김영걸, "“지식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식창출 활동과 지식공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지식경영학회, 『지식경영연구』, 7(1), pp.13-30, 2006

      47 장용선, "조직구조 지각, 임파워먼트, 통제위치가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영학회, 경영연구. 21(2), pp.117-151, 2006

      48 이춘우, "한국기업의 조직문화: 조직문화적 역량 관점과 공유가치DNA구조 관점에서의 한국 대기업의 성장동력 탐색",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22(1), pp.39-93, 2014

      49 박성종, 변찬복, 이홍재, "직무자율성, 직무만족, 정서적 조직몰입과 지식공유행동의 구조적 영향관계 : 서울시 특1급 호텔 종사자를 대상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관광연구』, 28(3), pp.145-168, 2013

      50 김효근, 성은숙, "조직 구성원의 지식기여에 대한 평가 및 보상이 지식기 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컨설팅 산업의 사례를 중심 으로", 『지식경영학회 제 2 회 학술심포지엄』, pp.307-330,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