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세기 동학사상에 나타난 보국안민의 의미와 수사학 = The meaning and rhetoric of patriotismin Donghak in the 19th cent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06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nghak began in 1860 by Choi Je-woo (崔濟愚, 1824~1864), a Suun (水雲).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lost its ability to lead the country, with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politics,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ountry, and the function...

      Donghak began in 1860 by Choi Je-woo (崔濟愚, 1824~1864), a Suun (水雲).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lost its ability to lead the country, with Neo-Confucianism and Confucian politics, the guiding ideology of the country, and the function of the state collapsed.
      The policy of patriotism and security can be found in Donghak's scriptures, 󰡔Yongdam Yusa(용담유사)󰡕 and 󰡔Eastern Bible(동경대전)󰡕.
      These books express concerns internally about the contradiction of the system in Joseon society and the penetration of Western studies as a religion in the discussion of the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externally express concerns about the invasion of East Asia by Western powers.
      The lyrics written in Korean, 󰡔Yongdamyusa(龍潭諭詞)󰡕, include 「Yongdamga」(龍潭歌, 1860), 「Ansim song」(安心歌, 1861), 「Lesson song」 (敎訓歌, 1861), 「Dosusa」(道修詞, 1861), 「Gwonhakga」(勸學歌, 1861), 「Mongjungnosomundabga」(夢中老少問答歌, 1862), 「Moral song」(道德歌, 1863), 「Heungbi (興比歌, 1863), etc. Donghak lyrics are being passed on.
      󰡔Eastern Bibl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cludes 「Podeokmun」(布德文, 1861), 「Theory of Donghak」(東學論, 1862), 「Sudeokmun」(修德文), 1862) and 「Buyeongiyeon」(不然其然, 1863), etc.
      The situation of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1860s was a series of very chaotic situations. The chaotic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fact that China allowed the propagation of Western studies was accepted by Choi Je-woo, the founder of Donghak, as a major crisis in Joseon society. The reason why Choi Je-woo(최제우) founded Donghak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propagation of Western learning was allowed in China through the Beijing Treaty.
      The same family as Hangeul homonyms of the citizens of the homeland 1. Patriotic Anmin (輔國安民):Helping the country with allegiance and making the people comfortable.
      2. Patriotic People (保國安民):Protecting the country and making the people comfortable 3. Patriotic Anmin (報國安民):To repay the country's favor and bring peace to the people At the time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1894), the proposition “Jepok-gumin”(除暴救民) appeared as the flag of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a metonymy meaning of “patriotic people(보국안민)” and was used together as a slogan for the revolutionary army along with Patriotic Anmin(輔國安民).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제우는 1860년 동학(東學)을 창도(創道)할 시기에 교도들의 명첩(名帖)에 실천할 계명(誡命)을 적어 주었다. 그 내용은 첫 머리에 용담연원(龍潭淵源), 검악포덕(劍岳布德)이라는 8자를 쓰고,...

      최제우는 1860년 동학(東學)을 창도(創道)할 시기에 교도들의 명첩(名帖)에 실천할 계명(誡命)을 적어 주었다. 그 내용은 첫 머리에 용담연원(龍潭淵源), 검악포덕(劍岳布德)이라는 8자를 쓰고, 끝에는 대자특서(大字特書)로 ‘보국안민(輔國安民), 포덕천하(布德天下), 광제창생(廣濟蒼生)’이라는 실현정책을 기록하였다.
      여기서 용담(龍潭)은 수운(水雲) 최제우(1824~1864)를 뜻하고, 검악(劒岳)은 해월(海月) 최시형(1827~1898)을 의미한다. 즉, 수운이 동학을 창도하여 근원을 이루고, 해월이 널리 덕을 베풀어 포교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동학은 창도할 때부터 대외적으로 서구열강의 동아시아 침탈에 대한 걱정을 표출하면서 보국안민(輔國安民)의 실현정책에 집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국(輔國)에는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위태로운 국가를 도와서 국가를 개혁해야 하는 상황을, 안민(安民)에는 백성들의 편안함을 추구하여 만민의 평등함을 주장하는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담보하고 있다. 수운 최제우는 󰡔용담유사󰡕와 󰡔동경대전󰡕에서 인내천(人乃天) 사상을 동학의 이념으로 채택하였다. 그리고 국가존립의 실현정책으로 보국안민(輔國安民)을 주장하였고, 사회복지의 실현정책으로 광제창생(廣濟蒼生)을 강조였으며, 종교문화의 실천정책으로 포덕천하(布德天下)라는 명제를 내세웠다. 이처럼 동학은 국가와 사회를 개혁하고 보국안민 즉, 제폭구민(濟暴救民)을 실현하는 정책을 내세워 민중들이 참여하는 동학농민운동의 미래를 열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동학에 나타난 최제우의 보국안민이라는 명제는 󰡔용담유사󰡕와 󰡔동경대전󰡕에 담겨있는 가장 중요한 실현정책이며, 20세기 이후에는 일본의 침탈로부터 한국사회의 독립운동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의미이며 그 수사학이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마이클 라이언, "포스터 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 갈무리 25-, 1996

      2 "태종실록 3권"

      3 이돈화, "천도교창건사" 천도교 중앙종리원 162-, 1933

      4 "조선왕조실록"

      5 "정조실록 16권"

      6 윤석산, "용담유사연구" 민족문화사 1-263, 1987

      7 김용욕, "용담유사" 통나무 2022

      8 "용담유사"

      9 "영조실록 59권"

      10 이어령, "시 다시 읽기" 문학사상사 25-, 1996

      1 마이클 라이언, "포스터 모더니즘 이후의 정치와 문화" 갈무리 25-, 1996

      2 "태종실록 3권"

      3 이돈화, "천도교창건사" 천도교 중앙종리원 162-, 1933

      4 "조선왕조실록"

      5 "정조실록 16권"

      6 윤석산, "용담유사연구" 민족문화사 1-263, 1987

      7 김용욕, "용담유사" 통나무 2022

      8 "용담유사"

      9 "영조실록 59권"

      10 이어령, "시 다시 읽기" 문학사상사 25-, 1996

      11 "숙종실록 8권"

      12 "세종실록 3권"

      13 "세종실록 30권"

      14 "세조실록 12권"

      15 "세조실록 12권"

      16 "성종실록 135권"

      17 김인환, "문학과 문학사상" 열화당 6-28, 1978

      18 로만야곱슨, "문학 속의 언어학" 문학과지성사 1989

      19 孟子, "맹자(盡心下)"

      20 류해춘, "동학가사에 나타난 근대의식과 남녀평등" 한국어문학회 (140) : 123-142, 2018

      21 김문기, "동학가사1~6" 동학문화재단 2016

      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동학가사 1.2" 1979

      23 김용옥, "동경대전" 통나무 2021

      24 "동경대전"

      25 정재호, "근대문학의 형성과정" 문학과 지성사 260-288, 1984

      26 "고종실록 47권"

      27 "고종실록 31권"

      28 조동일, "개화기의 우국문학" 1-190, 1974

      29 "日省錄"

      30 박준성, "‘제폭구민’·‘보국안민’의 깃발을 들다" (12) : 221-228,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