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사학파의 지역적 전개양상과 사상적 특성 =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diffusion of the Nosa school and its ideological trai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46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말 기호학계의 대표적인 문인집단인 ‘노사학파’의 학문과 사상을 지역적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어 기호학계가 학파의 분화라는 특징적 면모를 드러내는 가운데 노사학파의 종장인 기정진은 율곡 성리학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통해 특정적인 성리설을 제시하여 일찍부터 기호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그는 호남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가학과 혼맥을 통해 이루어진 인적 기반을 바탕으로 호남과 영남 서부에 이르는 지역에서 많은 문인을 배출하면서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호남을 대표하는 문인집단이자 기호학계의 대표적인 학파로 성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노사학파의 위상과 성격을 밝히기 위해 학파의 종장인 기정진의 학문적 특징을 19세기 기호학계의 지형 속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의 학문적 관심이 두드러졌던 율곡 성리설과 호락논쟁에 대한 그의 특징적 면모를 검토하였고, 이것이 집중적으로 드러난 저작의 면모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징적인 성리설 이외에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통해 문인을 배출한 것에 주목하여 그 기반이 되는 인적 기반을 그의 가문과 혼맥, 그리고 학문 교유임을 밝히고, 나아가 문인들의 활동이 기정진의 학문으로부터 연원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말 기호학계의 대표적인 문인집단인 ‘노사학파’의 학문과 사상을 지역적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어 기호학계가 학파의 분화라는 특징적 면모를 드...

      본고는 한말 기호학계의 대표적인 문인집단인 ‘노사학파’의 학문과 사상을 지역적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어 기호학계가 학파의 분화라는 특징적 면모를 드러내는 가운데 노사학파의 종장인 기정진은 율곡 성리학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통해 특정적인 성리설을 제시하여 일찍부터 기호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그는 호남 유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가학과 혼맥을 통해 이루어진 인적 기반을 바탕으로 호남과 영남 서부에 이르는 지역에서 많은 문인을 배출하면서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호남을 대표하는 문인집단이자 기호학계의 대표적인 학파로 성장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노사학파의 위상과 성격을 밝히기 위해 학파의 종장인 기정진의 학문적 특징을 19세기 기호학계의 지형 속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의 학문적 관심이 두드러졌던 율곡 성리설과 호락논쟁에 대한 그의 특징적 면모를 검토하였고, 이것이 집중적으로 드러난 저작의 면모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특징적인 성리설 이외에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통해 문인을 배출한 것에 주목하여 그 기반이 되는 인적 기반을 그의 가문과 혼맥, 그리고 학문 교유임을 밝히고, 나아가 문인들의 활동이 기정진의 학문으로부터 연원하는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diffu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istocratic group in late Chosun dynasty period. In 19th century, Kiho school was divided into several aristocratic sects. One of the sects, Nosa school was heralded by Ki Jung-jin who was the chief scholar of the school. He had a unique analysis on Yulgok's neo-confucian theory and other aristocratic sects of Kiho school payed attention to his arguments.
      Especially, he inherited the confucian tradition of Honam region and raised a lot of scholars of Honam and western Youngnam region basing on his familial and matrimonial human networks. By these efforts, the Nosa school became the representative scholar group in Honam and Kiho region.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map out Ki Jung-jin's ideological specialities in relation to the Kiho school and intended to identify the Nosa school's status and trait in Kiho school of 19th century. Especially, this article examined his ideological speciality by analysing his view on Yulgok's Sungrisul and Horak dispute in his works. Moreover, the author tried to identify the aspects of his works. Furthermore, the author payed attention to Ki Jung-jin's activities of raising disciples and could find out that his human network resources were based on his family relations, and marital relations. Also it could be revealed that his students' scholastic activities were derived from Ki Jung-jin's original wokrs.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diffu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istocratic group in late Chosun dynasty period. In 19th century, Kiho school was divided into several aristocratic sects. One of t...

      This articl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diffu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istocratic group in late Chosun dynasty period. In 19th century, Kiho school was divided into several aristocratic sects. One of the sects, Nosa school was heralded by Ki Jung-jin who was the chief scholar of the school. He had a unique analysis on Yulgok's neo-confucian theory and other aristocratic sects of Kiho school payed attention to his arguments.
      Especially, he inherited the confucian tradition of Honam region and raised a lot of scholars of Honam and western Youngnam region basing on his familial and matrimonial human networks. By these efforts, the Nosa school became the representative scholar group in Honam and Kiho region.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map out Ki Jung-jin's ideological specialities in relation to the Kiho school and intended to identify the Nosa school's status and trait in Kiho school of 19th century. Especially, this article examined his ideological speciality by analysing his view on Yulgok's Sungrisul and Horak dispute in his works. Moreover, the author tried to identify the aspects of his works. Furthermore, the author payed attention to Ki Jung-jin's activities of raising disciples and could find out that his human network resources were based on his family relations, and marital relations. Also it could be revealed that his students' scholastic activities were derived from Ki Jung-jin's original wok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머리말
      • 2. 호남 성리학과 19세기 호남학계의 지형
      • 3. 기정진 성리설의 형성과 전개
      • 4. 노사학파의 형성과 전개
      • 요약문
      • 1. 머리말
      • 2. 호남 성리학과 19세기 호남학계의 지형
      • 3. 기정진 성리설의 형성과 전개
      • 4. 노사학파의 형성과 전개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학래, "蘆沙奇正鎭의性理說을둘러싼기호학계의논쟁 - 「猥筆」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8 (48): 407-445, 2008

      2 奇正鎭, "蘆沙先生全集"

      3 鄭載圭, "老柏軒集"

      4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5 박경목, "연재 송병선의 학맥과 민족운동"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39 : 2001

      6 김봉곤, "노사학파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7 박학래, "기정진- 한말 성리학의 거유" 성균관대 출판부 2008

      8 黃澈源, "重軒文集"

      9 박학래, "艮齋學派의 學統과 사상적 특징" 한국유교학회 (28) : 2007

      10 田愚, "艮齋先生全集"

      1 박학래, "蘆沙奇正鎭의性理說을둘러싼기호학계의논쟁 - 「猥筆」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48 (48): 407-445, 2008

      2 奇正鎭, "蘆沙先生全集"

      3 鄭載圭, "老柏軒集"

      4 고영진,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혜안 2007

      5 박경목, "연재 송병선의 학맥과 민족운동"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39 : 2001

      6 김봉곤, "노사학파의 형성과 전개"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7 박학래, "기정진- 한말 성리학의 거유" 성균관대 출판부 2008

      8 黃澈源, "重軒文集"

      9 박학래, "艮齋學派의 學統과 사상적 특징" 한국유교학회 (28) : 2007

      10 田愚, "艮齋先生全集"

      11 崔琡民, "溪南集"

      12 趙性家, "月皐集"

      13 權雲煥, "明湖文集"

      14 鄭義林, "日新齋集"

      15 노관범, "19세기 후반 호서산림의 위상과 ‘정학’운동" 서울대 국사학과 38 : 1997

      16 박학래, "19세기 호남성리학의 전개와 특징 ―노사 기정진과 노사학파를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9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8-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62 1.32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