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왔고 지금에 와서는 그 중요성에 대해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에 따라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75183
서울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411 판사항(22)
서울
[v], 89 p. : 삽화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조현용
참고문헌: p. 76-79
I804:11006-2000003665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왔고 지금에 와서는 그 중요성에 대해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에 따라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에 대...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왔고 지금에 와서는 그 중요성에 대해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인식에 따라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진 편이나 본격적인 문학수업을 위한 전문교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나마도 문학사적 측면만을 명시적으로 제시하는 교재이거나 읽기자료로서 문학을 소비하고 있는 교재만이 출간되어 있을 뿐 언어적, 문화적, 문학적 측면을 고루 고려하여 구성되어 있는 교재는 전무한 상태이다.
캄보디아는 우리나라 개발협력 사업의 주요 파트너로 매년 수만 명의 캄보디아인들이 EPS-TOPIK을 치루고 있으며 한해 7000∼8000명의 노동자를 한국으로 보내고 있다. 또 캄보디아에서는 호감이 가는 나라를 조사한 순위에서 한국이 1위를 하는 등의 현황들에 기대어 한국어교육에 대한 수요가 빠른 속도로 늘어가고 있는 나라이다. 하지만 국내에서 캄보디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특히 문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여 캄보디아 고급학습자 대상 한국문학 수업교재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밝히고 그에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핀 후, 캄보디아의 한국문학 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캄보디아 학습자를 위한 문학작품을 선정하고 한국문학 교재를 구성하여 보았다.
학습자 중심 교재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한국어학습자를 위한 문학교재의 개발에 적용하여 생각해 보면 첫 번째 요건은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와 맞닿아 문학작품의 선정기준과 깊게 연관되고, 두 번째 요건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로 단원의 구성과 관련되어 있다. ‘어떤 작품’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가 문학교재 개발의 핵심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캄보디아 고급학습자를 위한 문학교재의 변인 요소를 캄보디아의 정치·문화 배경과 학습자의 한국어 단계로 보고 이를 고려하여 문학작품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단원 구성 방안과 관련하여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 유도에 적합한 기법이라 판단되는 텍스트 몰입 기법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 실제 단원을 설계해 보았다. 예시 단원으로는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을 이용하였고, 텍스트 몰입 기법의 다섯 단계의 활동- 준비활동, 경험활동, 흡입반응활동, 개발활동, 입력반응활동-을 고루 적용하여 단원을 구성하였다.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문학교육의 목적은 한국문학을 매개체로 언어능력은 물론 문화능력과 문학능력을 포괄하는 통합적인 능력 함양에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물이 캄보디아 고급학습자의 문학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교재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