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포던스 개념을 적용한 지능공간 디자인 방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412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mart space is the convergent one with the preexisting physical space and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The smart space is an intelligent one which helps human and space interact without limit of time and space, and helps human live in convenience as well. In earlier days(1990s), the smart space was considered from the technology-centered perspective, but today the human-centered design perspective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by degrees. That is to say, in designing the smart space, the harmonious satisfaction of the user's needs and behaviors is desirable rather than the indiscreet application of high technologies to the smart space.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base for the human-centered design methodologies in the smart space. First, this study drew and systematized the affordance atrributes, the influential elements on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mart space. And,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and the utility of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in the smart space design. This analyzation included not only the design phase before the construction, but also the post-design phase, because the active life cycle management is important in the smart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ffordance is a useful concept in seeking methodologies for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The affordance, the supportiveness for the user's behaviors, affects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mart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gram the affordance acceptable to the user in design in order to create the smart space the user would be satisfied with.

      Second, there are three elements which affect on form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smart space; smart space, user, and interaction between them. On the basis of three elements above, the criteria of classify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are as follows; the target user, the contents, the place, the time, and the providing process of the smart services.

      Third, this study classified the affordance attributes into 18 categories, and then into 49 attributes. This classification was resulted from the analyzation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at is, this study reviewed the writings containing discourses on the smart space, and then drew the contents on the affordance attributes. Thereafter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contents, and then categorized and systematized the conceptualized contents. Meanwhile, the affordance attributes support the user's behavior process; interpretation-planning-execution-result.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is the basic concept for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methodology which supports user's needs and behaviors.

      Fourth, the smart space design using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has a utility in creating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which brings satisfaction of the user. The smart space design process presented in this study is a form organically integrated the physical space design process and the virtual space design process. 'The smart service design', the main element in the smart space design, is the process planning the contents and the providing way of the intelligent service which satisfies user's needs and supports user's behaviors. 'The affordance programming', the element supporting the intelligent service design, is the process which plans the affordance attributes specifically of the intelligent service. This study divided the basic process of the affordance programming into the following 3 steps; setting up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intelligent services, survey on the user's requirements on the affordance attributes, final decision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This process could apply consistently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and could program the affordance attributes that the user would prefer. This study implemented the intelligent service design and the affordance programming which were the main elements of the smart space design. Therefore, they were proved useful in creating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Fifth, it is helpful for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the smart space to apply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to the post-design of the smart space. There are 3 steps in the post-design phase; case study(completed smart space analysis), PDE(post-design evaluation), and redesign. The affordance attributes could be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affordance in the created smart space. And then, in the phase PDE, the examination thruough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could reveal the user's satisfaction and new reuirements with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smart space in use. And the results of PDE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affordance programming in the phase redesign. Besides, PDE and re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could contribute to the upgrade and the remodeling which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smart space continuously as well. Therefore, PDE and redesign have an economic benefit, because they coul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in reconstructing the smart space.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on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methodology using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This study systematized the affordance attribut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arlier researches on the affordance of the smart space are in little progress. This study identified the applicability and the utility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system, which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with the smart space, to the smart space design. It is only more necessary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method in analyz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The smart space is a one invigorated with the affordance which supports user's behaviors. Therefore the affordance is the subject of research helpful for the humanization of the smart space. It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that various research methods should generalize the theory of the affordance in the smart space design and should systematize practicable methodologies of the smart space design using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번역하기

      The smart space is the convergent one with the preexisting physical space and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The smart space is an intelligent one which helps human and space interact without limit of time and space,...

      The smart space is the convergent one with the preexisting physical space and the virtual space based on the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The smart space is an intelligent one which helps human and space interact without limit of time and space, and helps human live in convenience as well. In earlier days(1990s), the smart space was considered from the technology-centered perspective, but today the human-centered design perspective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by degrees. That is to say, in designing the smart space, the harmonious satisfaction of the user's needs and behaviors is desirable rather than the indiscreet application of high technologies to the smart space.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base for the human-centered design methodologies in the smart space. First, this study drew and systematized the affordance atrributes, the influential elements on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mart space. And,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bility and the utility of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in the smart space design. This analyzation included not only the design phase before the construction, but also the post-design phase, because the active life cycle management is important in the smart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ffordance is a useful concept in seeking methodologies for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The affordance, the supportiveness for the user's behaviors, affects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mart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gram the affordance acceptable to the user in design in order to create the smart space the user would be satisfied with.

      Second, there are three elements which affect on form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smart space; smart space, user, and interaction between them. On the basis of three elements above, the criteria of classify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are as follows; the target user, the contents, the place, the time, and the providing process of the smart services.

      Third, this study classified the affordance attributes into 18 categories, and then into 49 attributes. This classification was resulted from the analyzation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at is, this study reviewed the writings containing discourses on the smart space, and then drew the contents on the affordance attributes. Thereafter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contents, and then categorized and systematized the conceptualized contents. Meanwhile, the affordance attributes support the user's behavior process; interpretation-planning-execution-result.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is the basic concept for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methodology which supports user's needs and behaviors.

      Fourth, the smart space design using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has a utility in creating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which brings satisfaction of the user. The smart space design process presented in this study is a form organically integrated the physical space design process and the virtual space design process. 'The smart service design', the main element in the smart space design, is the process planning the contents and the providing way of the intelligent service which satisfies user's needs and supports user's behaviors. 'The affordance programming', the element supporting the intelligent service design, is the process which plans the affordance attributes specifically of the intelligent service. This study divided the basic process of the affordance programming into the following 3 steps; setting up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intelligent services, survey on the user's requirements on the affordance attributes, final decision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This process could apply consistently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and could program the affordance attributes that the user would prefer. This study implemented the intelligent service design and the affordance programming which were the main elements of the smart space design. Therefore, they were proved useful in creating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Fifth, it is helpful for the life cycle management of the smart space to apply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to the post-design of the smart space. There are 3 steps in the post-design phase; case study(completed smart space analysis), PDE(post-design evaluation), and redesign. The affordance attributes could be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zing the affordance in the created smart space. And then, in the phase PDE, the examination thruough the system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could reveal the user's satisfaction and new reuirements with the affordance attributes of the smart space in use. And the results of PDE can be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the affordance programming in the phase redesign. Besides, PDE and re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could contribute to the upgrade and the remodeling which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smart space continuously as well. Therefore, PDE and redesign have an economic benefit, because they coul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in reconstructing the smart space.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on the human-centered smart space design methodology using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This study systematized the affordance attribut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arlier researches on the affordance of the smart space are in little progress. This study identified the applicability and the utility of the affordance attributes system, which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with the smart space, to the smart space design. It is only more necessary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method in analyzing the affordance attributes.

      The smart space is a one invigorated with the affordance which supports user's behaviors. Therefore the affordance is the subject of research helpful for the humanization of the smart space. It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that various research methods should generalize the theory of the affordance in the smart space design and should systematize practicable methodologies of the smart space design using the concept of the afford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 I. 서론 1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3
      • 1) 연구의 범위 3
      • 2) 연구의 방법 3
      • 3) 연구 문제와 가설 5
      • 3. 용어의 정의 6
      • 4. 선행 연구 검토 9
      • 1) 지능공간 디자인에 관한 선행 연구 9
      • 2) 어포던스에 관한 선행 연구 11
      • II. 지능공간과 어포던스의 이론적 고찰 17
      • 1. 지능공간의 개념과 구성요소 17
      • 1) 지능공간의 개념과 공간 특성 17
      • 2) 지능공간을 구현하는 기술과 서비스 23
      • 3) 지능공간의 사례 25
      • 2. 어포던스 이론의 디자인 분야 적용 동향 30
      • 1) 어포던스 이론의 형성 30
      • 2) 어포던스 이론의 적용 31
      • 3) 지능공간에서 어포던스의 개념 설정 35
      • 3. 지능공간 디자인과 어포던스의 관계 36
      • 1) 지능공간에서 어포던스의 기능 36
      • 2) 지능공간 디자인 요소와 어포던스의 관련성 36
      • 3) 지능공간의 인간 중심적 디자인을 위한 어포던스 적용 필요성 37
      • 4. 소결 42
      • III. 지능공간의 어포던스 속성 분석과 체계화 44
      • 1. 분석 방법 및 절차 44
      • 1) 어포던스 속성 분석 방법 44
      • 2) 어포던스 속성 분석 절차 44
      • 3) 어포던스 속성 분석의 객관성 확보 46
      • 2. 지능공간 어포던스 속성 형성의 영향요소 47
      • 1) 지능공간 50
      • 2) 이용자 51
      • 3) 지능공간과 이용자의 상호작용 56
      • 3. 지능공간 어포던스 속성 도출과 체계화 56
      • 1) 분석대상 자료 선정 56
      • 2) 어포던스 속성 분류 기준 설정 58
      • 3) 어포던스 속성 관련 내용 도출과 개념화 60
      • 4) 어포던스 속성 범주화와 체계화 70
      • 4. 소결 80
      • IV. 지능공간 디자인에서 어포던스 속성의 적용 가능성 분석 81
      • 1. 지능공간 디자인 도구로서 어포던스 속성의 적용 가능성 분석 82
      • 1) 지능공간 디자인 프로세스 설정 82
      • 2) 기존 지능공간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와의 비교 분석 86
      • 3) 지능공간 서비스 디자인과 어포던스 프로그래밍 예시 90
      • 2. 지능공간 사후 디자인 도구로서 어포던스 속성의 적용 가능성 분석 93
      • 1) 지능공간 사례분석 틀로서 어포던스 속성의 적용 가능성 분석 94
      • 2) 지능공간 PDE 및 Redesign 도구로서 어포던스 속성의 적용 가능성 분석 98
      • 3. 소결 101
      • V. 어포던스 개념을 적용한 지능공간 디자인 방법의 효용성 분석 104
      • 1. 지능공간 디자인 방법의 효용성 분석 내용과 절차 104
      • 1) 지능공간 디자인 방법의 효용성 분석 내용 104
      • 2) 지능공간 디자인 방법의 효용성 분석 절차 105
      • 2. 지능공간 디자인의 개념화 단계의 효용성 108
      • 1) 지능형 서비스 디자인 목표와 서비스 리스트 설정 108
      • 2) 지능형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요구 조사 112
      • 3) 지능형 서비스 선정과 디자인 효용성 분석 119
      • 3. 지능공간 디자인의 체계화 단계의 효용성 120
      • 1) 지능형 서비스 시나리오와 어포던스 속성 설정 120
      • 2) 어포던스 속성에 대한 이용자 요구 조사 126
      • 3) 어포던스 속성 최종 결정과 디자인 효용성 분석 137
      • 4. 어포던스 개념을 적용한 지능공간 디자인 방법 140
      • 1) 어포던스 개념을 적용한 지능공간 디자인 방법의 효용성 140
      • 2) 어포던스 개념을 적용한 지능공간 디자인 기본 방향 142
      • VI. 결론 146
      • 참고문헌 14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배성환, 김동환, 이지현, "UX DESIGN", 에이콘, 2011

      2 편집부 (편집자), "Smart Space", 한국HCI학회, 현대건축사, 2005

      3 William J., "e-토피아", 한울, 한울, 2001

      4 김억, 이지현, 박희령, "Body Metaphor", Spacetime, 2008

      5 김용성, "Smart space Ⅱ", 국민대학교 출판부,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5

      6 조위덕, "u-Service Design", 진한 M&B, 2010

      7 이수인 역, Dan Saffer 저, "INTERACTION DESION", 에이콘, 2012

      8 고토 다케시, "디자인 생태학", 세종, 세종출판사, 2005

      9 권영걸, "공간디자인 16講", 2008

      10 Donald A. Norman 저, 이창우, 박창호 역, 김영진, "디자인과 인간심리", 학지사, 2010

      1 배성환, 김동환, 이지현, "UX DESIGN", 에이콘, 2011

      2 편집부 (편집자), "Smart Space", 한국HCI학회, 현대건축사, 2005

      3 William J., "e-토피아", 한울, 한울, 2001

      4 김억, 이지현, 박희령, "Body Metaphor", Spacetime, 2008

      5 김용성, "Smart space Ⅱ", 국민대학교 출판부,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5

      6 조위덕, "u-Service Design", 진한 M&B, 2010

      7 이수인 역, Dan Saffer 저, "INTERACTION DESION", 에이콘, 2012

      8 고토 다케시, "디자인 생태학", 세종, 세종출판사, 2005

      9 권영걸, "공간디자인 16講", 2008

      10 Donald A. Norman 저, 이창우, 박창호 역, 김영진, "디자인과 인간심리", 학지사, 2010

      11 이연숙, "미래공간과 디자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12 Norman, Donald A, "미래세상의 디자인", 학지사, 학지사, 2009

      13 Viladas, Xenia, "서비스 디자인하라", 비즈앤비즈, 비즈앤비즈, 2011

      14 반준철, "오래가는 UX 디자인", 한빛미디어, 2014

      15 임연웅, "디자인 방법론 연구", 미진사, 2001

      16 박지수, "UX 디자인 7가지 비밀", 안그라픽스, 안그라픽스, 2013

      17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보문당, 2008

      18 Stickdorn, Marc, "서비스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안그라픽스, 2012

      19 안창일, "심리학의 현대적 이해", 학지사, 2012

      20 정창덕, "유비쿼터스 모델 사례", MJ미디어, 2004

      21 김한별, 정종원, 유기웅, 김영석,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3

      22 조용환,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3

      23 이도영, "건축디자인 연구방법론", Spacetime, 2005

      24 권영걸, "40인. 공간디자인의 언어", 도서출판 날마다, 2011

      25 강신각, 현욱, "스마트워크 표준화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2호, 2011

      26 서유석, "POE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창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1997

      27 고일두, "유비쿼터스 건축도시공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0

      28 이연숙, "「한국인의 삶과 미래주택」",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29 김동환, 하원규, 최남희, "유비쿼터스 IT혁명과 제3공간", 전자신문사, 2003

      30 일본건축학회 편, 배현미, 김종하 역, "인간심리행태와 환경 디자인", 보문당, 2009

      31 고인룡 외 7명, 정무웅, "건축 디자인과 인간행태 심리", 기문당, 2009

      32 심우갑, "건축 프로그래밍에 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지, 26권104호, 1982

      33 고성룡, 안우진, 안우석, "근대에서 현대, 건축의 20 장면", 도서출판 대가, 2014

      34 김정은, "도시 환경에 대한 사후 설계 평가", 홍익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3

      35 이연숙, "오고있는 미래 반응하는 세계주택", 연세대학교 출판부, null

      36 김홍용, 손명기, "국내 건축설계 프로세스의 합리화 방안", 대한건축학회지 건축, 2002

      37 조택연, "유비쿼터스 공간에서의 하이퍼매스 건축", 中央大學校 大學院, 중앙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06

      38 김민정, 조벽호, "유비쿼터스 환경과 미래주거의 변화고찰",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연구소,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39 권니아, "경관에 내재된 어포던스 지각의 영향인자", 서울대학교 조경학 박사학위논문, 2011

      40 재단법인 경남테크노파크, "경남테크노파크 지능형 홈 육성 기본계획", 2009

      41 이정민, "상호작용 공간의 상호작용성 영향요인 Ⅰ",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집 Vol. 10, No. 5, 2010

      42 Donald A. Norman, "인지공학심리연구회 역. 생각있는 디자인", 학지사, 2009

      43 박상헌, "지능형 홈의 환경친화 구성요소 분석 연구", 창원대학교 건축공 학과 석사학위논문, null

      44 문희범, "지능형 공간 기술의 적용에 관한 기초 연구", 국민대학교 건축디 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null

      45 김대익, 이을규, "공공건축물 외부공간의 지원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 회논문집, 2000

      46 방송통신위원회한국정보화진흥원, "기업을 위한 스마트워크 도입운영 가이드북", 2011

      47 일본건축학회, "유비쿼터스는 건축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기문당, 기문당, 2008

      48 이상희, "Interactive Architecture의 상호작용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49 김수진, "건축 공간의 경험 구조로서 지원성 적용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 회논문집, 2004

      50 조희정,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미래주택 사례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주거 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51 유성은, 이소영, "스마트워크 업무공간의 유형과 계획 특성 분석", 한국디자인지식학회, 한국디 자인지식학회논문집, 2013

      52 박창호, "인지공학심리학(인간-시스템 상호작용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시그마 프레스, 2007

      53 이민혜, 이준기, "스마트워크 연구에 대한 고찰과 향후 연구 주제", 한국정보화진흥원, 정보화 정책 제18권 제2호, 2011

      54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년 모바일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2014

      55 강윤화, "메타분석을 이용한 모바일미디어 어포던스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석사학위논문, 2005

      56 김정훈, "조춘만 한선희. U-City 구현을 위한 국가전략 연구", 국토연구원, 2006

      57 김영호,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잠유성의 재해석과 그 적용", 중앙대 디자 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

      58 이정민, 조벽호, "상호작용 공간의 심리적 행태적 의의에 관한 연구", 한국 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권 1호 통권 3호, 2007

      59 정석주, 한승훈, "시간제 디지털 임대 사무환경의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5권 2호, null

      60 이승훈, "어포던스 이론의 본질과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 자인학회논문집, null

      61 권세영, "유비쿼터스로 인한 물리적 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62 차준석, "항목별 가중치에 의한 건물 리모델링 최적화 방안",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63 권오정, 이용민, "국내 거주 후 평가 연구동향 분석과 발전방안 연구", 한 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0권 3호, 2011

      64 지민정, "LOHAS 개념을 적용한 공동주택 스마트 외부공간 계획", 국민대 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5 김억, 박희령, "Ubiquitous 개념을 적용한 공간의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1호, 2006

      66 강인호, "거주후 평가연구 결과의 디자인 적용성 저하요인 분석", 대한건축 학회논문집, 12권7호, 1996

      67 김형숙, 박부미, "공간디자인에서의 이용자 행태 연구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8권 1호 통권10호, 2006

      68 백준홍, 엄신조, "소비자 요구도 조사를 통한 디지털홈 서비스 추진방향", 대한건축학논문집 21권 8호, 2005

      69 이가은, 이정욱, "실내공간에서 어포던스 개념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8

      70 성영식, 조택연, 조완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실현 가능한 지능공간 공동 주거",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2권 3호, 2006

      71 김성아, 조윤정, "지능형 공간서비스 시나리오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4권 제6호, 2008

      72 송정화, "거주자 행위를 기반으로 한 유비쿼터스 주택 모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73 박종혜, 신경주, "국내 미래주택관을 통해서 본 미래 주거기능 경향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1권 2호, 2012

      74 진선진, "기술혁신수용유형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거환경 수요도", 호서대 학교 벤처경영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75 이주환, "컨텍스트 인식 서비스를 위한 정보 시각화에 관한 연구", 국민대 학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4

      76 윤창기, "유비쿼터스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공동주택 디자인 연구", 홍익 대학교 산업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9

      77 이기정, "디지털 문화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변화가능성 예측 연구", 연세 대학교 주거환경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78 김란주, "라이프 스타일을 적용한 디지털 홈 실내설계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null

      79 하해화, "노화특성 유형별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를 적용한 주택개조", 건 국대학교 가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80 김주미,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환경지각과 미적 지원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 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4호, 2000

      81 김미영, "인터페이스 관점에 의한 유비쿼터스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건국 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 석사학위논문, 2006

      82 정인상, "재택 고령자 건강관리를 위한 u-헬스케어 서비스 모델 연구", 경남대학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83 오훈근, "미디어 공간에서 ‘사용자 경험’의 인지적 작용 요소 연구", 한국 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2010

      84 성백홍, "사용자 중심의 건축을 위한 '환경-사용자'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3

      85 민병택, "『스마트공간 환경에 있어 어포던스 디자인의 요인과 구조』", 홍익 대학교 공간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7

      86 이가은, "실내공간 디자인에서 어포던스 개념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실내건축학 석사학위논문, 2007

      87 조휘인, "유비쿼터스 개념을 적용한 환경조형물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스페이스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88 박유미, "공간 경험을 통한 어포던스에 따른 공간과 오브제의 상호관계", 국민대학교 실내디자인전공 석사학위논문, 2008

      89 김영돈,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고령자를 위한 주택 지원성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부동산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90 인치호, "가로 시설물과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성 요구도 평가 체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91 박정대,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건축 디자인 프로세스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권 1호, 2006

      92 민병택, "어포던스 디자인을 적용한 스마트 공간 구축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논문집, null

      93 한승훈, "원격 사무공간 구축을 위한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5권 제5호, 2009

      94 전익성, "Life-cycle Management를 활용한 공공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5권 제2호, null

      95 김미연, "도시공간의 지능화에 따른 인터페이스 사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9권 제3호, 2013

      96 이수찬, "디지털 기술 사회의 특성이 적용된 현대 건축 경향에 관한 연 구",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97 심민정, "스마트 홈의 UC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방법론 연구", 한동대학교 문화미디어디자인학과 석사논문, 2004

      98 구선아, "사용자 중심의 경험공간을 위한 어포던스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서울시립대학교 디지털 스페이스 디자인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1

      99 조준배, 최상헌, "사용자 중심 이론에 기반한 보육시설 공간환경 디자인 방향 설정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0

      100 정종윤, 노병희(Byeong-hee Roh), 류기열(Ki-yeol Ryu), "사용자 중심의 시나리오에 기반한 개인화 서비스 합성 및 제공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논문집, 2009

      101 권오정, 하해화, 이용민, "노인 거주자의 유비쿼터스 홈 서비스 요구도 조 사를 위한 방법론 연구",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Vol.21 No.3, 2010

      102 이정민, "상호작용 공간에 대한 행태적 참여에 관한 어포던스 속성에 관 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공간디자인 전공 박사학위논문, 2007

      103 이진희, "인지적 어포던스 관점에서의 디자인 호텔 로비공간의 분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4 도상래,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유비쿼터스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05 윤석범, "헤르만 헤르츠버거 작룸으로 본 현대공간의 어포던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1

      106 권오병, 이남연, 심재문,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요구분석을 위한 공간재설 계법 및 수정된 UML 접근법", 한국전자거래학회,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2 No.4, 2007

      107 여준기, 최재원, 최무혁, "「도시이미지 제고를 위한 이용자디자인평가(PDE)요소의 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1권3호, 2009

      108 김미연, 최진원, "지능형 오피스 내의 유비쿼터스 제품과 서비스 디자인 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1권 12호, 2005

      109 임형철, "지능형 건물의 생애주기 서비스 지원을 위한 체계개발 및 적용 우선순위 도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권3호, null

      110 김근우, 윤재은, "요코하마 국제 항만터미널의 공간적 특성에서 나타나는 어포던스 관계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1

      111 고득호, "유비쿼터스 지능공간 재설계 시 상황정보를 활용한 공간분석방안 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12 류혜지, "생활 유형에 따른 고령친화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요구도 조사 연구", 연세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113 구건서, "사용자를 지향한 스마트워크 시스템 기반의 한국형 스마트워크 센터 설계 및 구축",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2013

      114 이상완, "유비쿼터스 지능형 주택의 표준기술 현황분석 및 사용자 선호 도 조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115 강민수, 추승연, 박용서, "컨버전스 기술을 이용한 어포던스 기반 미래 주거 공간의 하이브리드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09

      116 김민하, "유비쿼터스 아파트 거주자들의 시스템 이용현황을 중심으로한 공간 사용 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