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학생들의 성취도와 만족도 조사를 통해 - = A study on an after-school English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satisfaction survey and achievement 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30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이 어떤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은 기초 실력이 없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영어 능력 향상과 ...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이 어떤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은 기초 실력이 없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영어 능력 향상과 이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185명의 학생들이 총 12주에 걸쳐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에 참가하였고, 참여한 학생들의 실력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시작 전에 사전테스트를 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학생들의 영어 능력 성취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시작 전에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를 묻는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계획에 반영하였고, 프로그램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묻는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성취도 점수에 향상을 가져왔으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자신감 또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영어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생들 대부분은 본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위한 방과후 영어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구성하는 개발자를 위한 몇 가지 시사점 및 제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fter-school English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is after-school English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basic English skills and had the objective of increasing the confidenc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fter-school English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his after-school English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basic English skills and had the objective of increasing the confidence in English. 185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after-school English program over the period of 12 week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re-students` achievement test was measured before starting the program. After finishing the program, post-students` achievement test was also measured to compare the difference. Pre- and post-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to identify their expectat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is after-school English program helped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scores and their confidence in English. In addition, the students in the program showed great positiv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study offered a few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after-school program developers who want to design and develop an English after-school English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희화,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와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79-101, 2010

      2 교육인적자원부, "방과후 학교 시대열린다"

      3 한승희, "방과후 학교 : 지역사회를 넘어 학습사회로" 2006

      4 박부남, "대학 교양영어 확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집중 영어 프로그램" 21세기영어영문학회 22 (22): 285-309, 2009

      5 정영숙,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방안"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4 (14): 253-275, 2002

      6 김현옥,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프로그램 운영방안"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2 (22): 75-101, 2010

      7 김영숙,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영어교육학회 64 (64): 337-368, 2009

      8 정동수, "대학 교양영어 과목개선을 위한 연구" 56 (56): 265-292, 2001

      9 정덕교, "교양영어교육에서의 수준별 영어수업 - 한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77-197, 2010

      10 김현옥,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 (14): 179-205, 2007

      1 김희화, "청소년의 방과후 학교 참여와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유능감 간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7 (17): 79-101, 2010

      2 교육인적자원부, "방과후 학교 시대열린다"

      3 한승희, "방과후 학교 : 지역사회를 넘어 학습사회로" 2006

      4 박부남, "대학 교양영어 확대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집중 영어 프로그램" 21세기영어영문학회 22 (22): 285-309, 2009

      5 정영숙,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방안"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14 (14): 253-275, 2002

      6 김현옥,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프로그램 운영방안"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2 (22): 75-101, 2010

      7 김영숙, "대학 교양영어 수준별 수업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영어교육학회 64 (64): 337-368, 2009

      8 정동수, "대학 교양영어 과목개선을 위한 연구" 56 (56): 265-292, 2001

      9 정덕교, "교양영어교육에서의 수준별 영어수업 - 한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77-197, 2010

      10 김현옥,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만족도 및 인식 비교"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 (14): 179-205, 2007

      11 Harasim, L., "Online Education" Praeger 137-183, 1990

      12 Dotter, A. M., "Implications of out-of-school activities for school engagement in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36 : 391-401, 2007

      13 Robinson, P., "ESP : The Present Position" Pergamon 1980

      14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Trade Institute, "2002 the World Econom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