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시 교육에서 독자의 해석 전략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학습 독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ader's interpretive strategies in modern poetry education : focusing on high school learning rea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635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독자가 시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시 해석 전략의 활용 양상을 기술하고,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중등 시 교육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 독자가 시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사용하는 시 해석 전략의 활용 양상을 기술하고,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중등 시 교육 현장은 학습 독자의 해석 활동을 통해 시를 읽기보다는 교사의 해석이나 전문가의 해설에 의존해 시를 읽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다른 텍스트보다 빈자리가 많고 독자의 적극적인 상상력이 필요한 시 텍스트의 특성상 시 교육에서는 독자의 능동적인 시 읽기 행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습 독자는 나름대로의 시 해석 전략을 사용하여 시 텍스트의 의미를 스스로 생성하는 능동적인 존재라고 보고, 중등 현대시 교육에서 시 해석 전략의 개념과 그것이 작동하는 토대로서의 기저 범주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포적 용법의 언어로 이루어진 시 텍스트는 산문과는 다른 시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읽어야 하며, 시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의 삶과 연관된 해석의 과정과 독자의 능동적인 참여가 필요하다는 점을 해석학과 독자반응 이론의 논의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시 해석 전략이란 시를 독자 본위의 삶의 의미로 실현하기 위해 독자가 시 텍스트의 빈자리에 동원하는 의도적인 읽기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제 학습 독자는 교실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시를 읽는다는 점에 주목하여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은 그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으로 형성된다고 보고 해석 전략의 기저 범주로 문학 교육과 국어 교육을 포함하는 학교 교육의 경험과 독자의 경험, 가치관, 선이해, 기대지평, 자원으로 설명할 수 있는 독자의 개인적 경험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시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과 구체적 활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습 독자를 대상으로 시 해석 텍스트를 수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학습 독자가 사용하는 해석 전략을 크게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로 범주화하였다.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는 다시 ‘해석 대상의 지각’,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 전략으로 구분하였다. 해석 대상의 지각은 시 텍스트의 다양한 의미 실현 자질들의 반복과 변주에 주목하여 중심 시어와 같은 해석의 대상을 인식하는 것이다.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은 제목이나 중심 제재와 관련 있는 독자의 경험, 선이해를 활용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예측하고 읽기 과정에서 자신의 예측을 확인하는 것이다.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은 시 텍스트의 부분과 전체에 압축된 의미를 풀어내어 독자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새로운 기술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은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와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으로 구분하였다.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는 시인에 대한 정보나 시대·사회적 배경을 활용해 주요 시어의 의미나 이면의 주제를 해석하는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의 활용은 읽고 있는 텍스트와 관련 있는 다른 텍스트를 끌어와 해석의 단서로 삼거나 학습 독자가 해석한 의미를 보다 정교하게 하거나 해석 결과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다.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은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으로 구분하였다.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는 시 텍스트의 비유적 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유사한 속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험이나 세계 지식을 조회하고 두 대상 간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시어의 구체적인 의미를 실현하거나 시 텍스트의 일부나 전체 구조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은 시어나 시구의 상징적 의미를 긍정-부정 중 하나로 해석하거나 이들의 관계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것으로 구분하여 뚜렷한 의미를 구조화하는 것이다.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은 시 텍스트의 다양한 빈자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면서 독자가 지닌 경험이나 세계지식을 활용해 가능성이 높은 의미 가설을 세우고 이를 연역적으로 뒷받침하거나 가설을 중심으로 시 텍스트를 해설하는 것이다.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는 ‘작가와의 소통 시도’,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로 구분하였다. 작가와의 소통 시도는 텍스트에 드러나지 않는 작가의 목적이나 창작 의도를 파악하여 텍스트 이면의 작가와 소통하려는 시도를 통해 독자의 관점에서 시 텍스트의 의미를 새롭게 맥락화하는 것이다.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는 학습 독자 자신의 삶이나 독자가 속한 공동체나 사회에 유용하거나 깨달음을 줄 수 있는 가치를 구성하여 자기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내면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학습 독자의 해석 전략 수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 텍스트를 읽기 위한 해석 전략의 다양성에 대해 열린 태도를 지니고, 해석 전략을 활용해 교실에서 소통 가능한 타당한 의미를 생성하며, 해석 전략을 매개로 이해와 표현 활동을 통합하고 연계하여 한 편의 시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와 감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는 학습 독자가 지각한 의미 자질들에 대해 질문을 생성하게 하여 의미 자질간의 관련성을 확보하고 독자 지평을 마련해 시 텍스트의 의미를 구체화하도록 하고, 소집단 대화를 통해 실천된 해석 전략의 적절성을 동료 학습자와 함께 비교하고 평가하여 해석의 타당성을 제고하며, 시 해석 전략을 쓰기의 전략으로 변용하거나 해석의 과정과 결과를 바탕으로 비평문 쓰기를 통해 시 텍스트의 가치를 내면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 독자인 실제 학습 독자의 시 해석 텍스트를 분석하여 시 읽기 과정에 사용되는 시 해석 전략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시 교실에서 학습 독자의 해석 활동을 중시하여 능동적인 시 해석 교육을 구체화하였으며,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 독자의 위상과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pplication aspects of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used by the learning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texts, and to sugges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odern poetry education using interpre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application aspects of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used by the learning readers in the process of reading poetry texts, and to sugges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odern poetry education using interpretive strategies.
      This study considers the learning reader to be an active being who creates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by itself using their own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and theore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in modern poetry education and the underlying categories on which it operates. As a result,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can be said to be an intentional reading method that the reader mobilizes in the empty space of the poetry text to realize poetry as the meaning of a reader-oriented life. And, as the base category of interpretive strategies, the experience of school education including literatur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and the reader's personal experience were classified and examine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poetry interpretation texts from high school first grade read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terpretive strategies were categorized into 'Recognition of text semantic features and verbalizing', 'Utilization of reference materials outside the text', 'Application of internalized interpretation and structuring conventions', and ‘Thematic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unicative meaning’
      First, 'Recognition of text semantic features and verbalizing' was further divided into ‘perception of interpretation target’, ‘prediction of meaning through title’, and ‘restatement of compressed meaning’ strategies. To the next, ‘Utilization of reference materials outside the text’ was divided into ‘reference of poets and times and social background’ and ‘use of intertextuality’. ‘Application of internalized interpretation and structuring conventions’ was divided into ‘analogism based on relevance’, ‘classification by dichotomous schema’, and ‘establishment of possible semantic hypotheses’. Finally, ‘Thematicization for the production of communicative meaning’ was divided into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artist’ and ‘internalization of community values’.
      In order for the reader's interpretive strategies to be performed effectively, it is have an open attitude toward the diversity of interpretive strategies for reading poetry texts, use the interpretive strategies to create a valid meaning that can be communicated in the classroom, and interpretive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link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these educational contents, the learning readers create questions about the perceived semantic features, secure the relevance between the semantic features, establish the reader’s horizon to materialize the meaning of the poetry text, and To improve the validity of interpretation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terpretive strategies with fellow learners, to transform the poetry interpretive strategies into a writing strategy, or to internalize the value of the poetry text through critical writing based on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terpretation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사 검토 2
      • 3. 연구대상 및 방법 6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사 검토 2
      • 3. 연구대상 및 방법 6
      • II. 현대시 교육에서 해석 전략의 개념과 기저 범주 8
      • 1. 시 텍스트의 특성과 해석 전략의 개념 8
      • 2. 중등 시 교육에서 학습 독자가 활용하는 해석 전략의 기저 범주 11
      • 1) 학교 교육의 경험 12
      • (1) 문학 교육의 경험 12
      • (2) 국어 교육의 경험 13
      • 2) 독자의 개인적 경험 16
      • III. 고등학교 학습 독자의 현대시 해석 전략 활용 양상 18
      • 1. 텍스트 의미 자질 인식과 언어화 19
      • 1) 해석 대상의 지각 19
      • 2) 제목을 통한 의미 예측 24
      • 3) 압축된 의미의 재진술 28
      • 2. 텍스트 밖의 참고 자료 활용 32
      • 1) 시인과 시대·사회적 배경의 참조 32
      • 2) 상호텍스트성의 활용 37
      • 3. 내면화된 해석 구조화 관습의 적용 41
      • 1) 연관성에 의거한 유비 42
      • 2) 이분법 도식에 의한 구분 46
      • 3) 가능한 의미 가설의 설정 49
      • 4. 소통론적 의미 생산을 위한 주제화 54
      • 1) 작가와의 소통 시도 55
      • 2)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 58
      • IV.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교육 방안 63
      • 1.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해석 교육 내용 설계 63
      • 1) 해석 전략의 다양성에 대한 열린 태도 63
      • 2) 소통을 위한 타당한 의미 실현 65
      • 3) 이해와 표현 활동의 통합 66
      • 2.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해석 교육의 전제 67
      • 3. 해석 전략을 활용한 현대시 해석 교육 방안 68
      • 1) 의미 자질에 대한 질문을 통한 독자 지평 형성 68
      • 2) 소집단 대화에 의한 해석의 타당성 제고 71
      • 3) 비평문 쓰기에 의한 가치 내면화 73
      • V. 결론 76
      • 참고 문헌 78
      • 영문 초록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