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靑銅銀入絲香垸의 梵字 해석 = A Study on Sanskrit Characters on Silver-Inlaid Incense Burner of Gorye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0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nskrit characters on silver inlaid incense burner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Sanskrit characters is inlaid with silver, lotus plate, arabesque pattern and head of ruyi are decorated around Sanskrit characters. The structure of this pattern is c...

      Sanskrit characters on silver inlaid incense burner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Sanskrit characters is inlaid with silver, lotus plate, arabesque pattern and head of ruyi are decorated around Sanskrit characters. The structure of this pattern is completed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tep such as a concentric circle enclosing Sanskrit character, lotus and arabesque pattern between the Sanskrit character and circular head of ruyi and concentric circle enclosing Sanskrit character.
      Sanskrit characters on silver inlaid incense burner began to appear in Hwangwan with inscription Daejeong 4th, 1164 and lasted during the course of Jijeong. There are four types in Sanskrit characters of silver inlaid Hwangwan such as oṃ mani pad me hūṃ, oṃ a hrīḥ hūṃ, a aṃ ah, and admiration phrase. Of all these four types admiration phrase commands a majority in Sanskrit characters. Also in numbers of Sanskrit characters Hwangwan keeps on maintaining four characters, whereas other Buddhist crafts does not limit number of characters.
      The calligraphic style of Sanskrit on Hwangwan seems to maintain that of Tripitaka Koreana. However, that of Sanskrit on other Buddhist crafts such as Buddhist bell, bronze drum, and sarira reliquary seems to use Siddham, Rantsha, Tibetian charac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梵字는 1164년에 제작된 大定4年銘 청동은입사향완부터 至正年間(1341-1367)에 제작된 향완까지 지속된다. 이들 梵字는 여의두문의 문양틀에 면입사를 하였으며, 梵...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梵字는 1164년에 제작된 大定4年銘 청동은입사향완부터 至正年間(1341-1367)에 제작된 향완까지 지속된다. 이들 梵字는 여의두문의 문양틀에 면입사를 하였으며, 梵字와 梵字 사이에는 연화당초문으로 여백을 은입사하고 있어 불교적인 문양으로 梵字를 장엄하는 특징이 있다.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梵字는 육자진언과 태장만다라의 사불진언 및 아 옴 흐리히 계열과 최상의 찬탄어구로 이루어진 4가지 계통이 있다. 그 중 옴마니마드메훔의 육자진언은 청동은입사향완 이외에 고려시대 범종과 동경, 청자 및 막새에도 표현되어 고려시대에 가장 폭넓게 사용되었고, 조선시대에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던 진언이라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의 범자 중 최상의 찬탄어구로 이루어진 梵字 중에는 고려시대 사람들의 불교적인 염원, 즉 삼천대천세계의 무수한 존재를 위해 표현된 범자도 있고, 해석이 되지 않은 4자의 범자들은 동서남북의 방위와 관련되어 불교적인 염원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至正12年 龍藏禪寺銘 청동은입사향완의 태장만다라의 사불 진언은 기황후와 고용보 등 원대 지배층의 불교신앙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에 은입사 된 梵字는 주로 고려대장경 서체를 따른 梵字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범종과 금고, 사리장엄구 등에는 실담을 비롯해 란차체 또는 티벳문자를 사용하고 있어 청동은입사향완의 범자가 고려적인 전통이 보다 강했던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향완은 통일신라 거향로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은입사를 사용한 장식기법이 돋보이는 향로일 뿐만 아니라 은입사 된 범자는 고려인들의 불교적 염원을 반영하고 있고, 범자의 서체는 고려대장경의 서체를 오랜 기간 유지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歷史考古學硏究會, 59 : 2008

      2 歷史考古學硏究會, 62 : 2010

      3 김무생, "六字眞言 信仰의 史的 展開와 그 特質"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97

      4 허일범, "한국진언문화의 불교사적 전개-진언문화의 전개유형을 중심으로" 2005

      5 김 령, "산스끄리트 음운론 소고" 14 : 1997

      6 임근동, "국내 실담문자를 통한 천수진언의 산스크리트 의미해석" 13 : 2003

      7 김경집, "고려시대 麗․元 불교의 교섭" 14 :

      8 "黃壽永全集 4 금석유문" 혜안 1999

      9 황수영, "高麗梵鐘의 新例(其三)" 1 : 1961

      10 허일범, "高麗․朝鮮時代의 梵字文化 硏究" 5 : 2000

      1 歷史考古學硏究會, 59 : 2008

      2 歷史考古學硏究會, 62 : 2010

      3 김무생, "六字眞言 信仰의 史的 展開와 그 特質"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97

      4 허일범, "한국진언문화의 불교사적 전개-진언문화의 전개유형을 중심으로" 2005

      5 김 령, "산스끄리트 음운론 소고" 14 : 1997

      6 임근동, "국내 실담문자를 통한 천수진언의 산스크리트 의미해석" 13 : 2003

      7 김경집, "고려시대 麗․元 불교의 교섭" 14 :

      8 "黃壽永全集 4 금석유문" 혜안 1999

      9 황수영, "高麗梵鐘의 新例(其三)" 1 : 1961

      10 허일범, "高麗․朝鮮時代의 梵字文化 硏究" 5 : 2000

      11 허일범, "韓國의 六字眞言信仰과 金剛界三十七尊의 習合" 2007

      12 남권희, "韓國 記錄文化에 나타난 眞言의 流通" 7 : 2005

      13 이용진, "韓國 佛敎香爐 硏究" 동국대 대학원 2011

      14 김무생, "眞言의 成立과 韓國的 流通" 7 : 2005

      15 "眞言集"

      16 "瑜伽金剛頂經釋字母品"

      17 정영호, "正豊二年銘小鍾" 11 : 1961

      18 全東赫, "梵書摠持集 から見た高麗密敎の性格" 11 : 1989

      19 中村瑞隆, "梵字事典" 雄山閣 1980

      20 허일범, "望月寺本 眞言集 硏究" 2 : 1993

      21 "大方廣佛華嚴經入法界品頓證毘盧遮那法身字輪瑜伽儀軌"

      22 "大方廣佛華嚴經入法界品四十二字觀門"

      23 "大乘莊嚴寶王經"

      24 德山暉純, "圖說梵字" 木耳社 1974

      25 "佛說佛母般若波羅密多大明觀想儀軌"

      26 弘學, "佛敎諸尊全圖-胎藏界曼茶羅" 蜀書社出版 2003

      27 任宜敏, "中國佛敎史" 人民出版社 2005

      28 "七俱胝佛母所說準提陀羅尼經"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6 1.48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